KR20080027394A - 액체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394A
KR20080027394A KR1020087003672A KR20087003672A KR20080027394A KR 20080027394 A KR20080027394 A KR 20080027394A KR 1020087003672 A KR1020087003672 A KR 1020087003672A KR 20087003672 A KR20087003672 A KR 20087003672A KR 20080027394 A KR20080027394 A KR 2008002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positioning
mounting portion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380B1 (ko
Inventor
히토시 마츠모토
히토토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85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58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8547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5867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9Cartridg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액체 수용 용기)(1)에서는, 카트리지 홀더(100)의 잉크 공급 니들(15)을 잉크 수용 챔버(7)에 접속하는 잉크 송출구(17)가 용기 전면(3a)의 짧은 변 방향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홀더(110)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핀(11)에 감합되어 용기 본체(3)를 위치결정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카트리지 홀더(110)의 가압 공기 공급로(19)를 가압 챔버(5)에 접속시키는 가압 공기 도입부(21), 및 카트리지 홀더(110)의 접속 단자(23)에 접속되는 데이터 기억 유닛(25)은 잉크 송출구(17)에 대해 용기 전면(3a)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 배치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닛, 액체 송출부, 가압 유체 도입부, 접속 단자, 데이터 기억 유닛, 오삽입 방지 유닛, 로킹부, 필름

Description

액체 수용 용기{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 분사 장치에 공급되는 액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액체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분사 장치에 사용되는 액체를 수용한 액체 수용 용기로서,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를 거론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용의 잉크 카트리지는, 용기 본체에 설치되어 인쇄 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를 갖는다. 사용 시에, 잉크 카트리지는 소정 위치에 설치된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감합(fit: 끼움) 장착된다. 잉크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된 잉크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송신될 인쇄 데이터에 따라 구동되는 인쇄 헤드에 공급되고, 이후 인쇄 헤드에 설치된 노즐에 의해 용지 등의 피인쇄물 상의 목표 위치에 분사된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인쇄 헤드가 탑재되고 피인쇄물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캐리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캐리지 에 설치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인쇄 헤드와 함께 왕복이동하는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방식[소위 온 캐리지(on-carriage) 타입]이 사용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지 이외의 개소에 설치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동시에, 가요성 튜브로 형성된 잉크 유로를 거쳐서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방식(소위 오프-캐리지 타입)이 사용된다.
오프-캐리지 타입 잉크젯 프린터에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로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9135 호에 기재된 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201)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9135 호에 개시된 것이다. 잉크 카트리지(201)에서,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 장착부(203)에 장착되는 용기 본체(205) 내에는, 용기 본체(205) 내의 가압 챔버(207)에 공급될 가압 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그 용적이 축소될 수 있는 잉크 수용 챔버(209)가 형성된다. 잉크 수용 챔버(209)에는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될 잉크 액이 수용된다. 용기 본체(205)의 일면(선단면)에는, 카트리지 장착부(203)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유닛(211)에 감합되어 용기 본체(205)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213)와, 카트리지 장착부(203)의 잉크 공급로(잉크 공급 니들)(215)를 잉크 수용 챔버(209)에 접속하는 잉크 송출구(217)와, 카트리지 장착부(203)의 가압 공기 공급로(219)를 가압 챔버(207)에 접속하는 가압 공기 도입부(221)와, 카트리지 장착부(203)의 접속 단자(223)에 접속되는 데이터 기억 유닛(225)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 기억 유닛(225)은, 잉크 카트리지(201)의 종류 또는 잉크의 사용 이력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잉크젯 프린터의 제어부로부터 읽기/쓰기 가능하게 기억해두는 메모리 소자이다. 데이터 기억 유닛(225)에 있어서는, 카트리지 장착부(203)의 접속 단자(223)에 대한 접점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동작 불량 등의 문제가 초래되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결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201)에서는, 용기 본체(205)의 일면의 양단에 배치된 가압 공기 도입부(221) 및 데이터 기억 유닛(225)의 바로 내측에, 위치결정부(213)를 근접 배치하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수용 챔버는 수용가능한 잉크 용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듯이, 가압 공기 도입부(221), 두 개의 위치결정부(213), 잉크 송출구(217), 데이터 기억 유닛(225) 등, 잉크 송출구의 주변에 배치되는 접속 기구의 전부가 대략 일직선으로 나란한 구조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의 전면(前面)을 접속 기구가 점유하게 되므로, 그만큼 잉크의 용량에 대해 잉크 카트리지의 외형이 커지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에서도, 접속 기구에 대응하는 부분이 설치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가 대형화하기 쉽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213) 사이의 간격(P1)이 용기 본체(205)의 폭(W1)에 비해 대폭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 화살표 A와 B로 도시된 비틀림 하중이 인가될 때, 용기 본체(205)의 폭방향 양단에서의 변위나 변형이 불충분하게 억제된다. 이어서, 데이터 기억 유닛(225)의 위치결정 정확도가 용기 본체(205)의 폭방향 양단에서의 변위나 변형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으 며, 접점의 접촉 불량에 의해 데이터 기억 유닛(225)의 작동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용기 본체의 폭방향 양단에서의 변위나 변형은 가압 챔버에 공급될 가압 공기에 의해 초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위치결정 정확도 역시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액체 송출부와 접속 기구가 그 전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잉크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용기 본체에 비틀림 하중 또는 가압 챔버의 압력이 인가되어도 두 개의 위치결정부에 의한 견고한 고정에 의해 변위나 변형을 억제하여 정확한 위치결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기 본체의 변위나 변형에 기인하는 수용 용기의 변위나 변형을 억제하여 정확한 위치결정에 의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용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가압 유체가 공급되는 가압 챔버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그 용적이 가압 챔버에 공급될 가압 유체에 기인하는 압력에 의해 축소가능한 액체 수용 챔버와,
상기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유닛에 감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위치결정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액체 공급로를 상기 액체 수용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액체 송출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가압 유체 공급로를 상기 가압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데이터 기억 유닛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의 각각은 상기 액체 송출부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shorter side)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일면의 짧은 변 방향(용기 두께 방향)의, 두 개의 위치결정부, 가압 유체 도입부, 데이터 기억 유닛과 같은 접속 기구가 배치되지 않은 측의 용기 본체의 내부를 액체 수용 챔버 또는 가압 챔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용적에 대한 액체 수용 용기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각 접속 기구가 용기 두께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므로, 용기 장착부의 구성을 액체 수용 용기의 두께 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체 수용 용기 및 용기 장착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용기 장착부의 오삽입 방지 기구에 감합되도록 구성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이, 상기 액체 송출부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장착부에 대해 적합한 액체 수용 용기만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이 제공될 때, 오삽입 방지 유닛은 위치결정부와 같은 접속 기구가 배치되는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 용기의 내부 용적에 대한 압력 인가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다른 면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장착부에 설치된 로킹 피스의 감합에 의해 상기 용기 장착부로부터의 용기 본체의 분리를 규제하는 로킹부가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와 대략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장착부에 용기 본체가 장착될 때, 용기 본체의 로킹부는 용기 장착부에 대해 정확히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용기 장착부에 설치된 로킹 피스는 용기 본체의 로킹부를 정확히 정착(anchor)시킨다. 그 결과, 용기 장착부로부터의 용기 본체의 분리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용기 장착부의 로킹 피스로부터 용기 본체의 로킹부에 인가되는 힘이 두 개의 위치결정부와 대략 동일한 평면에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평면에 대한 용기 본체의 표면 편위(deflection)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억 유닛의 접속 단자와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의 접촉 저하를 초래하는, 접속 단자의 면방향으로의 용기 본체의 편위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기억 유닛의 접속 단자와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의 전기 접속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상기 가압 챔버는,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가압 유체 도입부, 및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되는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다른측에 설치되는 용기 본체의 개방부가 필름에 의해 밀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개방부를 필름으로 밀봉하기 전에, 위치결정부와 같은 접속 기구 없이 큰 개방부로부터 액체 수용 챔버를 설치(잉크 팩을 장전)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필름을 용착할 때 접속 기구가 작업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양호한 조립 작업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는 용기 본체의 일면의 양 종방향 에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는 상기 액체 송출부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가 장치의 용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 용기 본체를 용기 장착부에 위치결정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는 용기 본체의 일면의 종방향 양 에지에 설치되는 바, 즉 용기 본체의 측벽에 근접하여 강성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비틀림 하중이 인가되어도, 용기 본체의 일면의 종방향 양단부에서의 변위나 변형을, 위치결정부와 용기 장착부의 위치결정 유닛의 감합 정확도 내에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변위나 변형은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 송출부, 가압 유체 도입부, 및 데이터 기억 유닛에 의해 추가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위치결정부에 의한 견고한 고정을 통해서 용기 본체의 변위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위치결정 상태에 의해 안정적인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오삽입 방지 기구에 감합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이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장착부에 대해 적합한 액체 수용 용기만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용기 장착부의 오삽입 방지 기구에 액체 수용 용기의 오삽입 방지 유닛이 감합될 때, 오삽입 방지 유닛이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오삽입 방지 기구로의 위치결정이 정확히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적합한 액체 수용 용기를 장착할 때, 오삽입 방지 유닛이 잘못하여 장착 위치 앞에서 오삽입 방지 기구와 접촉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되는 위치결정 유닛은 원주형(columnar) 위치결정 핀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중 하나는 위치결정 핀이 긴밀하게 감합되는 원형 단면의 제 1 감합 구멍일 수 있고, 다른 위치결정부는 위치결정 핀을 용기 본체의 일면의 긴 변(longer side)을 따르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타원형 단면의 제 2 감합 구멍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두 개의 위치결정부 중 하나인 제 1 감합 구멍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용기 장착부의 위치결정 유닛인 원주형 위치결정 핀 중 하나는 제 1 감합 구멍에 긴밀하게 감합되며, 따라서 위치가 단면의 모든 방향에 걸쳐서 균등하게 규제된다. 그러므로, 높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발휘한다. 또한, 제 2 감합 구멍은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후, 제 2 감합 구멍에 감합되는 용기 장착부의 다른 원주형 위치결정 핀은 타원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용기 본체의 일면의 긴 변 방향 길이의 오차가 허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길이 오차로 인해, 용기 장착부에 대한 장착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용기 장착부에 대한 액체 수용 용기의 교환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은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제 2 감합 구멍에 비해 높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발휘하는 제 1 감합 구멍에 근접하여 배치된 데이터 기억 유닛은 정확히 위치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결정 정확도의 저하에 의해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와의 접촉 불량이 초래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된다.
상기 과제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용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가압 유체가 공급되는 가압 챔버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그 용적이 가압 챔버에 공급될 가압 유체에 기인하는 압력에 의해 축소가능한 액체 수용 챔버와,
상기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유닛에 감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위치결정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액체 공급로를 상기 액체 수용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액체 송출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가압 유체 공급로를 상기 가압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데이터 기억 유닛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양 종방향 에지에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상기 액체 송출부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가 장치의 용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 용기 본체를 용기 장착부에 위치결정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는 용기 본체의 일면의 종방향 양 에지에 설치되는 바, 즉 용기 본체의 측벽에 근접하여 강성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비틀림 하중이 인가되어도, 용기 본체의 일면의 종방향 양단부에서의 변위나 변형을, 위치결정부와 용기 장착부의 위치결정 유닛의 감합 정확도 내에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변위나 변형은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 송출부, 가압 유체 도입부, 및 데이터 기억 유닛에 의해 추가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위치결정부에 의한 견고한 고정을 통해서 용기 본체의 변위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위치결정 상태에 의해 안정적인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용기 장착부의 오삽입 방지 기구에 감합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이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장착부에 대해 적합한 액체 수용 용기만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용기 장착부의 오삽입 방지 기구에 액체 수용 용기의 오삽입 방지 유닛이 감합될 때, 오삽입 방지 유닛이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오삽입 방지 기구로의 위치결정이 정확히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적합한 액체 수용 용기를 장착할 때, 오삽입 방지 유닛이 잘못하여 장착 위치 앞에서 오삽입 방지 기구와 접촉하여 장착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되는 위치결정 유닛은 원주형 위치결정 핀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중 하나는 위치결정 핀 중 하나가 긴밀하게 감합되는 원형 단면의 제 1 감합 구멍일 수 있고, 다른 위치결정부는 다른 위치결정 핀을 용기 본체의 일면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타원형 단면의 제 2 감합 구멍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두 개의 위치결정부 중 하나인 제 1 감합 구멍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용기 장착부의 위치결정 유닛인 원주형 위치결정 핀은 제 1 감합 구멍에 긴밀하게 감합되며, 따라서 위치가 단면의 모든 방향에 걸쳐서 균등하게 규제된다. 그러므로, 높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발휘한다. 또한, 제 2 감합 구멍은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후, 제 2 감합 구멍에 감합되는 용기 장착부의 원주형 위치결정 핀은 타원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용기 본체의 일면의 긴 변 방향 길이의 오차가 허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길이 오차로 인해, 용기 장착부에 대한 장착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용기 장착부에 대한 액체 수용 용기의 교환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은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제 2 감합 구멍에 비해 높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발휘하는 제 1 감합 구멍에 근접하여 배치된 데이터 기억 유닛은 정확히 위치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결정 정확도의 저하에 의해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와의 접촉 불량이 초래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은 상기 액체 송출부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일면의 짧은 변 방향(용기 두께 방향)의, 두 개의 위치결정부, 가압 유체 도입부, 데이터 기억 유닛과 같은 접속 기구가 배치되지 않은 측의 용기 본체의 내부를 액체 수용 챔버 또는 가압 챔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용적에 대한 액체 수용 용기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각 접속 기구가 용기 두께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므로, 용기 장착부의 구성을 액체 수용 용기의 두께 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체 수용 용기 및 용기 장착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용기 장착부의 오삽입 방지 기구에 감합되도록 구성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이, 상기 액체 송출부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장착부에 대해 적합한 액체 수용 용기만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이 제공될 때, 오삽입 방지 유닛은 위치결정부와 같은 접속 기구가 배치되는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 용기의 내부 용적에 대한 압력 인가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 상기 가압 챔버는,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가압 유체 도입부, 및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되는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다른측에 설치되는 용기 본체의 개방부가 필름에 의해 밀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액체 수용 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개방부를 필름으로 밀봉하기 전에, 위치결정부와 같은 접속 기구 없이 큰 개방부로부터 액체 수용 챔버를 설치(잉크 팩을 장전)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필름을 용착할 때 접속 기구가 작업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양호한 조립 작업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일면의 용기 두께 방향의, 두 개의 위치결정부, 가압 유체 도입부, 데이터 기억 유닛과 같은 접속 기구가 배치되지 않은 측의 용기 본체의 내부를 액체 수용 챔버 또는 가압 챔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용적에 대한 액체 수용 용기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체 수용 용기에 수용될 잉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접속 기구가 두께 방향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용기 장착부의 구성이 액체 수용 용기의 두께 방향으로 작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액체 수용 용기와 용기 장착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에서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가 용기 본체의 일면의 종방향 양 에지에 설치되는 바, 즉 용기 본체의 측벽에 근접하여 강성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에 비틀림 하중 또는 가압 챔버의 압력이 인가되어도, 용기 본체의 일면의 종방향 양 단부에서의 변위나 변형을 두 개의 위치결정부에 의한 견고한 고정에 의해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위치결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변위나 변형은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 송출부, 가압 유체 도입부, 및 데이터 기억 유닛에 의해 추가로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위치결정 상태에 의해 안정적인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잉크젯 프린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 단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정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와,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위치 관계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부의 접속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Ⅸ-Ⅸ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X-X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액체 수용 용기의 대표예로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요부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일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잉크젯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 단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와,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위치 관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부의 접속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X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액체 분사 장치로서 작용하는 잉크젯 프린터(100)는, 프린터 본체 케이스(101), 플래튼(platen)(102), 가이드 샤프트(103), 캐리지(104), 타이밍 벨트(105), 캐리지 모터(106), 및 액체 분사 헤드로서 작용하는 인쇄 헤드(107)를 구비한다. 추가로, 잉크젯 프린터(100)는 밸브 유닛(108), 및 가압 펌프(109)를 구비한다.
프린터 본체 케이스(10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박스이다. 도 1의 우측 단부에는, 용기 장착부로서 작용하는 카트리지 홀더(110)가 설치된다. 카트리지 홀더(11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잉크 카트리지(1)는 잉크의 색(흑색, 황색, 적색, 청색)에 대응하여 4개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102)은, 프린터 본체 케이스(101) 내에 인쇄 헤드(107)의 메인 주사 방향을 따라서 가설되어 있으며, 급지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송출되는 용 지 등의 피인쇄물(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더욱이, 상기 피인쇄물은 캐리지(104)의 왕복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송출된다.
가이드 샤프트(103)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래튼(102)과 평행한 메인 주사 방향을 따라서 프린터 본체 케이스(101) 내에 가설되어 있다. 캐리지(104)는, 플래튼(102)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이드 샤프트(10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왕복이동한다.
캐리지(104)는, 타이밍 벨트(105)를 거쳐서 캐리지 모터(106)에 접속되어 있다. 캐리지 모터(106)는 프린터 본체 케이스(101)에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 모터(106)가 구동됨으로써, 캐리지(104)가 타이밍 벨트(105)를 거쳐서 구동되어, 가이드 샤프트(103)를 따라서 왕복 이동된다.
인쇄 헤드(107)는, 플래튼(102) 측을 향하여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다. 밸브 유닛(108)은 캐리지(104) 상에 탑재되며, 그 안에 일시적으로 수용한 잉크를, 압력을 조정한 상태에서 인쇄 헤드(107)로 공급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밸브 유닛(108)은 잉크의 색(흑색, 황색, 적색, 청색)에 대응하여 4개 장착되어 있다.
가압 펌프(109)는, 접속 튜브(111)를 거쳐서 압력 검출부(112)에 접속되며, 압력 검출부(112)는 각각의 공기 공급 튜브(113)를 거쳐서 각각의 잉크 카트리지(1)에 접속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1)와 밸브 유닛(108)은 각 잉크 공급 튜브(114)를 거쳐서 각각 상호 접속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1)에 대해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잉크 카트리지(1)는, 잉크젯 프린터(100)의 용기 장착부로서의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본체(3) 내에, 도 10에 도시하는 가압 챔버(5)와, 도 9에 도시하는 잉크 수용 챔버(7)를 구획 형성하고 있다.
잉크 수용 챔버(7)는, 예를 들어 가요성 필름을 중첩하고 그 주위를 용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잉크 팩으로서의 파우치(pouch)(8)를 구비한다. 잉크 수용 챔버(7)의 용적은, 가압 챔버(5)에 공급되는 가압 공기로 인한 압력에 의해 축소될 수 있다. 잉크 수용 챔버(7) 내에는 잉크젯 프린터(100)에서 소비되는 잉크 액(9)이 수용되어 있다.
잉크 팩의 파우치의 형태로는, 두 장의 필름 부재를 그 주변을 따라서 상호 접착하는 형태와, 잉크 팩의 두께 방향으로도 한 쌍의 필름 부재를 설치하여 4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파우치(8)는, 카세트형 잉크 팩으로도 지칭되는 후자의 형태이다. 카세트형 잉크 팩은, 잉크 수용 용량을 증대시키기에 적합하다.
도 3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 본체(3)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 밀폐된 박스이다. 카트리지 본체(3)는 본체 주요부(3b)와, 상기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3c)의 충합(衝合:butt) 구조로 조립되어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듯이,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3c)의 내측에서는,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의 주변부가 필름(30)에 의해 용착되어 밀봉되어 있다. 이후, 필름(30)에 의해 밀봉된 본체 주요부(3b)의 내측 공간이 가 압 챔버(5)를 형성한다.
카트리지 본체(3)의 일면인 본체 주요부(3b)의 용기 전면(3a)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 홀더(110)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유닛으로서의 원주형 위치결정 핀(11)과의 감합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3)의 위치결정을 담당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와, 카트리지 홀더(110)에 액체 공급로로서 설치된 잉크 공급 니들(15)에 접속하는 잉크 송출구(액체 송출부)(17)와, 카트리지 홀더(110)의 가압 공기 공급로(가압 유체 공급로)(19)를 가압 챔버(5)에 접속하는 가압 공기 도입부(가압 유체 도입부)(21)와, 카트리지 홀더(110)의 오삽입 방지 기구(27)에 감합되는 오삽입 방지 유닛(29)이 설치되어 있다. 용기 전면(3a)은, 잉크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삽입 방향의 선단면이 되는 표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 전면(3a)에 배치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가압 공기 도입부(21), 데이터 기억 유닛(25), 오삽입 방지 유닛(29)은 잉크 송출구(17)에 대해 카트리지 본체(3)의 용기 전면(3a)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체 주요부(3b)의 용기 전면(3a)에 직교하는 다른 면인 본체 주요부(3b)의 용기 측면(3d)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 홀더(110)에 구비되는 로킹 피스(28)가 정착되어 카트리지 홀더(110)로부터의 카트리지 본체(3)의 분리를 규제하는 로킹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 측면(3d)에 설치되는 로킹부(26)는, 용기 전면(3a)에 배치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와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카트리지 홀더(110)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핀(11)에 감합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중 하나의 위치결정부(13)는 원형 단면의 제 1 감합 구멍이다. 위치결정 핀(11)은 위치결정부(13)에 긴밀하게 감합된다. 다른 위치결정부(14)는 위치결정 핀(11)을 카트리지 본체(3)의 용기 전면(3a)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타원형 단면의 제 2 감합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는, 카트리지 본체(3)의 용기 전면(3a)의 짧은 변 방향의 양 에지에, 즉 카트리지 본체(3)의 폭방향의 작은 측면 근방에 배치된다. 이들 위치는 카트리지 본체(3)에서 강성이 비교적 높은 곳이다.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사이에, 잉크 송출구(17)와, 가압 공기 도입부(21)와, 데이터 기억 유닛(25)과, 오삽입 방지 유닛(29)이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듯이, 잉크 송출구(17)는, 잉크 수용 챔버(7)를 구획하고 있는 파우치(8)의 일단에 기밀하게 접속된 원통부(17a)와, 이 원통부(17a)를 따르는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17b)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상기 잉크 송출구(17)는, 용기 전면(3a)의 폭방향[용기 전면(3a)의 긴 변 방향]의 대략 중앙의 위치 및 용기 전면(3a)의 두께 방향[용기 전면(3a)의 짧은 변 방향]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잉크 송출구(17)에서는, 도 9에 도시하듯이, 원통부(17a)에 카트리지 홀더(110)의 잉크 공급 니들(15)이 삽입되면, 그것에 의해 개폐 밸브(17b)가 유로를 개방하고, 이후 잉크 수용 챔버(7) 내의 잉크액(9)이 잉크 공급 니들(15)에 유입될 수 있다.
잉크 공급 니들(15)에는 도 1에 도시한 잉크 공급 튜브(114)가 접속되어 있어서, 잉크 수용 챔버(7)로부터 잉크 공급 니들(15)에 공급된 잉크액이 잉크 공급 튜브(114)와 밸브 유닛(108)을 거쳐서 인쇄 헤드(107)에 공급된다.
도 1에 도시한 공기 공급 튜브(113)가 접속되는 가압 공기 공급로(19)는 가압 공기의 토출구이다. 도 10에 도시하듯이, 대략 원통형의 가압 공기 도입부(21)가 가압 공기 공급로(19)에 기밀하게 감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속된 가압 공기 도입부(21)를 거쳐서 카트리지 본체(3) 내의 가압 챔버(5)로 가압 공기가 공급된다.
데이터 기억 유닛(25)은, 카트리지 홀더(110)의 접속 단자(23)와의 접촉에 의해,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데이터의 읽기/쓰기가 이루어지는 메모리를 구비한 IC 칩이다. 데이터 기억 유닛(25)은, 데이터 기억 유닛(25)의 접속 단자가 카트리지 홀더(110)의 접속 단자(23)에 고정확도로 위치결정되도록, 원형 단면의 제 1 감합 구멍인 위치결정부(13)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하듯이, 오삽입 방지 유닛(29)은 용기 벽의 일부에 입체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29a, 29b, 29c...)에 의해, 수용되는 잉크액의 종류, 잉크젯 프린터의 기종,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위치 등에 따른 특징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110)의 오삽입 방지 기구(27)에서, 상기 각 리브(29a, 29b, 29c...)가 삽입되는 홈이 비어 있으면, 리브의 간섭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3)가 장 착될 수 없으며, 따라서 오삽입이 방지된다.
전술한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가 잉크젯 프린터(100)의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 본체(3)를 카트리지 홀더(110)에 위치결정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는, 카트리지 본체(3)의 일면인 용기 전면(3a)의 긴 변 방향 양 에지에 설치되는 바, 즉 카트리지 본체(3) 근처의 강성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에 비틀림 하중이 인가되어도, 용기 전면(3a)의 종방향(긴 변 방향)의 양 단부에서의 짧은 변 방향 변위나 변형(도 5에 도시된 화살표 F, G 방향의 변위나 변형)이, 위치결정부(13, 14)와 카트리지 홀더(110)의 위치결정 핀(11)의 감합 정확도 이내로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변위나 변형은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사이에 배치되는 잉크 송출구(17), 가압 공기 도입부(21), 데이터 기억 유닛(25), 및 오삽입 방지 유닛(29)에 의해 추가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에 비틀림 하중이 인가되어도,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에 의한 견고한 고정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3)의 변위나 변형이 억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위치결정 상태에 의해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사이에 오삽입 방지 유닛(2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110)의 오삽입 방지 기구(27)에 오삽입 방지 유닛(29)의 각 리브(29a, 29b, 29c...)가 감합될 때, 오삽입 방지 유닛(29)은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삽입 방 지 기구(27)에 대한 위치결정이 정확히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적합한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할 때, 오삽입 방지 유닛이 오삽입 방지 기구(27)에 대해 시프트되어 본래의 장착 위치 이전에서 오삽입 방지 기구(27)에 접촉되고 장착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후, 카트리지 홀더(110)에 적합한 잉크 카트리지(1)는 확실히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에서,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중 하나의 위치결정부(14)인 제 2 감합 구멍은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2 감합 구멍에 감합되는 위치결정 핀(11)이 그 타원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3)의 용기 전면(3a)의 긴 변 방향 길이 오차가 허용된다. 그러므로, 길이 오차로 인해, 카트리지 홀더(110)에의 장착성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110)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의 교환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에서,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중 하나의 위치결정부(13)인 제 1 감합 구멍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카트리지 홀더(110)의 원주형 위치결정 핀(11)은 제 1 감합 구멍에 긴밀하게 감합되며, 따라서 단면 내의 전체 방향에 걸쳐서 균등하게 위치가 규제된다. 따라서, 높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발휘한다. 따라서, 제 1 감합 구멍에 근접하여 배치된 데이터 기억 유닛(25)의 위치결정이 고정확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치결정의 정확도 저하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110)의 접속 단자(23)와의 접촉 불량이 초래되는 경우가 전혀 없다.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는 상기 원형 단면 및 타원형 단면의 형상에 한 정되지 않으며, 구형(矩形:rectangular)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는 구멍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결정부는 카트리지 본체(3)의 외면에 위치결정 핀(11)을 구속하는 오목부의 형성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카트리지 본체(3)의 일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가압 공기 도입부(21), 데이터 기억 유닛(25), 오삽입 방지 유닛(29)과 같은 접속 기구가, 카트리지 본체(3)의 일면의 잉크 송출구(17)로부터 짧은 변 방향(카크리지 두께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기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카트리지 본체(3)의 내부가 잉크 수용 챔버(7) 또는 가압 챔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용적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카트리지 홀더(110)에 설치되는 접속 기구도 일측에 편향 배치되므로, 카트리지 홀더(110)의 구성을 두께 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 및 카트리지 홀더(110)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에서는, 본체 주요부(3b)의 용기 전면(3a)에 직교하는 용기 측면(3d)에 설치되고, 카트리지 홀더(110)에 구비된 로킹 피스(28)의 감합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110)로부터의 카트리지 본체(3)의 분리를 규제하는 로킹부(26)가,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와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 본체(3)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될 때는, 카트리지 본체(3)의 로킹부(26)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대해 정확히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110)에 구비된 로킹 피스(28)는, 카트리지 본체(3)의 로킹부(26)를 정확히 정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카트리지 홀더(110)로부터의 카트리지 본체(3)의 분리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10)의 로킹 피스(28)로부터 카트리지 본체(3)의 로킹부(26)에 인가되는 힘은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와 대략 동일 평면에 인가되므로, 이 평면에 대한 카트리지 본체(3)의 표면 편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억 유닛(25)의 접속 단자와 카트리지 홀더(110)의 접속 단자(23)의 접촉 저하를 초래하는 접속 단자의 면방향으로의 카트리지 본체(3)의 편위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기억 유닛(25)의 접속 단자와 카트리지 홀더(110)의 접속 단자(23)의 전기 접속이 향상될 수 있다.
가압 챔버(5)는, 본체 주요부(3b)와, 상기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3c)의 충합 구조의 내측에서,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 가압 공기 도입부(21), 데이터 기억 유닛(25), 오삽입 방지 유닛(29)이 배치된 측과 반대되는 측에 설치된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를 필름(30)으로 밀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두 개의 위치결정부(13, 14)와, 가압 공기 도입부(21)와, 데이터 기억 유닛(25)과, 오삽입 방지 유닛(29)을 구비한 본체 주요부(3b)에, 잉크액이 수용된 파우치(8)를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로부터 장전한 후,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의 주변부를 필름(30)으로 용착하여 밀봉함으로써, 본체 주요부(3b)의 내측에 가압 챔버(5)가 형성된다. 필름(30)을 용착하여 가압 챔버(5)를 형성한 후에는, 본체 주요부(3b)에 필름(30)의 위로부터 커버부(3c)를 조립함으로써, 잉크 카 트리지(1)의 구성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 주요부(3b)에 대한 파우치(8)의 장전은, 위치결정부(13, 14) 등과 같은 접속 기구를 갖지 않는 큰 개방부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름(30)의 용착이 본체 주요부(3b)의 개방부의 주변부에 대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접속 기구가 용착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커버(3c)의 부착이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는 양호한 조립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용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는, 액체 수용 용기를 용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액체 분사 장치의 액체 분사 헤드에 액체를 공급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액체 분사 장치의 예로는, 액체 분사 헤드(인쇄 헤드)를 갖는 잉크젯 기록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칼라 필터 제조에 사용되는 색재(color material) 분사 헤드를 갖는 장치, 유기 EL(전계발광) 디스플레이, FED(면발광 디스플레이)의 전극 형성에 사용되는 전극재(도전 페이스트) 분사 헤드를 갖는 장치, 바이오 칩 제조에 사용되는 생체 유기물 분사 헤드를 갖는 장치, 또는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헤드를 갖는 장치가 포함된다.

Claims (15)

  1.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용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가압 유체가 공급되는 가압 챔버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그 용적이 상기 가압 챔버에 공급되는 가압 유체에 기인하는 압력에 의해 축소가능한 액체 수용 챔버와,
    상기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유닛에 감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위치결정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액체 공급로를 상기 액체 수용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액체 송출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가압 유체 공급로를 상기 가압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데이터 기억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의 각각은 상기 액체 송출부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장착부에 대해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적합할 때 상기 용기 장착부의 오삽입 방지 기구 내로 감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로킹 피스의 감합에 의해 상기 용기 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용기 본체의 분리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에 직교하는 다른 면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와 대략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챔버는,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되는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다른측에 설치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부가 필름에 의해 밀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양 종방향 에지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는 상기 액체 송출부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상기 오삽입 방지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되는 상기 위치결정 유닛은 원주형 위치결정 핀이며,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중 하나는 상기 위치결정 핀 중 하나가 긴밀하게 감합되는 원형 단면의 제 1 감합 구멍이고, 다른 위치결정부는 다른 위치결정 핀을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타원형 단면의 제 2 감합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은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9.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용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가압 유체가 공급되는 가압 챔버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고, 그 용적이 상기 가압 챔버에 공급되는 가압 유체에 기인하는 압력에 의해 축소가능한 액체 수용 챔버와,
    상기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된 위치결정 유닛에 감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위치결정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액체 공급로를 상기 액체 수용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액체 송출부와,
    상기 용기 장착부의 가압 유체 공급로를 상기 가압 챔버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용기 장착부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데이터 기억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양 종방향 에지에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사이에 상기 액체 송출부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장착부에 대해 상기 액체 수용 용기가 적합할 때 상기 용기 장착부의 오삽입 방지 기구 내로 감합되도록 구성된 오삽입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장착부 내의 2개소에 설치되는 상기 위치결정 유닛은 원주형 위치결정 핀이며,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중 하나는 위치결정 핀 중 하나가 긴밀하게 감합되는 원형 단면의 제 1 감합 구멍이고, 다른 위치결정부는 다른 위치결정 핀을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타원형 단면의 제 2 감합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은 상기 제 1 감합 구멍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은 상기 액체 송출부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장착부의 상기 오삽입 방지 기구에 감합되는 오삽입 방지 유닛은, 상기 액체 송출부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면의 짧은 변 방향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챔버는, 상기 두 개의 위치결정부, 상기 가압 유체 도입부, 및 상기 데이터 기억 유닛이 배치되는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다른측에 설치되는 상기 용 기 본체의 개방부가 필름에 의해 밀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 용기.
KR1020087003672A 2005-08-17 2006-08-17 액체 수용 용기 KR100973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6929 2005-08-17
JPJP-P-2005-00236930 2005-08-17
JP2005236929 2005-08-17
JP2005236930 2005-08-17
JPJP-P-2006-00198547 2006-07-20
JPJP-P-2006-00198548 2006-07-20
JP2006198548A JP5055868B2 (ja) 2005-08-17 2006-07-20 液体収容容器
JP2006198547A JP5055867B2 (ja) 2005-08-17 2006-07-20 液体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394A true KR20080027394A (ko) 2008-03-26
KR100973380B1 KR100973380B1 (ko) 2010-07-30

Family

ID=3719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672A KR100973380B1 (ko) 2005-08-17 2006-08-17 액체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651208B2 (ko)
EP (2) EP1924440B1 (ko)
KR (1) KR100973380B1 (ko)
CN (1) CN101242957B (ko)
AR (1) AR055125A1 (ko)
AT (1) ATE471818T1 (ko)
AU (1) AU2006280655B2 (ko)
BR (1) BRPI0614418B1 (ko)
CA (1) CA2618460C (ko)
DE (1) DE602006015069D1 (ko)
ES (2) ES2382105T3 (ko)
MX (1) MX2008002274A (ko)
NZ (1) NZ565801A (ko)
RU (1) RU2496649C2 (ko)
TW (1) TWI429541B (ko)
WO (1) WO2007021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343A (ja) * 2008-09-10 2010-03-25 Canon Inc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システム
JP2012210729A (ja)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2210728A (ja) *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2210726A (ja) *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3049168A (ja) * 2011-08-30 2013-03-14 Brother Industries Ltd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JP5842616B2 (ja) 2012-01-05 2016-01-13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42519B2 (ja) * 2012-12-14 2017-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供給装置及び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JP6331623B2 (ja) * 2014-04-11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JP6561535B2 (ja) 2015-03-30 2019-08-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17094660A (ja) * 2015-11-27 2017-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JPWO2019098287A1 (ja) * 2017-11-20 2020-1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装置
BR112020021117B1 (pt) 2018-07-13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arelho de fornecimento de líquido de impressão e estrutura de interface
RU2750861C1 (ru) 2018-07-13 2021-07-05 Хьюлетт-Паккард Дивелопмент Компани, Л.П.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ечатной жидкости
CN111655498A (zh) 2018-07-13 2020-09-1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液体供应
ES2937728T3 (es) 2018-07-13 2023-03-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uministro de líquido de impresión
JP2020152057A (ja) * 2019-03-22 2020-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システム及び液体収容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387A (en) * 1995-04-27 1998-10-20 Hewlett-Packard Company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US6074042A (en) * 1997-06-04 2000-06-13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having a guide feature for insuring reliable fluid, air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a printing system
US6450631B1 (en) * 1999-06-24 2002-09-17 Canon Kabushiki Kaisha Storing method of ink tank and ink jet head cartridge, and ink tank and storing container used in the same method
JP2002019135A (ja) * 2000-07-04 2002-01-23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DE60140335D1 (de) * 2000-01-21 2009-12-17 Seiko Epson Corp Tintenpatrone für aufzeichnungsgerät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MXPA03002490A (es) * 2002-03-20 2004-10-15 Seiko Epson Corp Cartucho para tinta y soporte de cartucho para tinta.
EP1815994B1 (en) * 2003-08-08 2013-04-2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4440A1 (en) 2008-05-28
ATE471818T1 (de) 2010-07-15
CA2618460C (en) 2010-10-12
TW200714483A (en) 2007-04-16
TWI429541B (zh) 2014-03-11
CN101242957B (zh) 2011-01-26
EP2100740B1 (en) 2012-03-28
KR100973380B1 (ko) 2010-07-30
BRPI0614418B1 (pt) 2018-07-10
MX2008002274A (es) 2008-03-27
DE602006015069D1 (de) 2010-08-05
AU2006280655A1 (en) 2007-02-22
ES2382105T3 (es) 2012-06-05
CA2618460A1 (en) 2007-02-22
CN101242957A (zh) 2008-08-13
AR055125A1 (es) 2007-08-08
EP1924440B1 (en) 2010-06-23
NZ565801A (en) 2010-12-24
ES2345787T3 (es) 2010-10-01
US20070040874A1 (en) 2007-02-22
RU2009115773A (ru) 2010-10-27
AU2006280655B2 (en) 2011-11-17
US7651208B2 (en) 2010-01-26
EP2100740A1 (en) 2009-09-16
WO2007021031A1 (en) 2007-02-22
RU2496649C2 (ru) 2013-10-27
BRPI0614418A2 (pt)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80B1 (ko) 액체 수용 용기
US7510251B2 (en) Liquid container and circuit board for liquid container
US8141998B2 (en) Liquid container
EP2657031B1 (en) Cartridge
CN110239223B (zh) 液体容器
CN107878038B (zh) 容器和连接体
US7509868B2 (en) Liquid detecting device, liquid container, and liquid refilling method
JP5055867B2 (ja) 液体収容容器
JP5055868B2 (ja) 液体収容容器
RU2369485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JP2009119726A (ja) 液体収容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液体検出ユニット
JP2005212221A (ja) 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