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279A -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279A
KR20080027279A KR1020077030426A KR20077030426A KR20080027279A KR 20080027279 A KR20080027279 A KR 20080027279A KR 1020077030426 A KR1020077030426 A KR 1020077030426A KR 20077030426 A KR20077030426 A KR 20077030426A KR 20080027279 A KR20080027279 A KR 20080027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rachidonic acid
composition
triglycerides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939B1 (ko
Inventor
요시유키 이시쿠라
요시히코 고가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작용을 하는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escription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S AMELIORATING A REDUCED DIURNAL ACTIVITY AND/OR DEPRESSIVE SYMPTOMS}
본 발명은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작용을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은 중장년층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주간 활동량은 수면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어서, 수면 장애는 종종 주간 활동량을 감소시키고 주간 활동량은 밤 수면의 양 및 질과 상호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Psychiatry Clin Neurosci Vol. 54, 309-310 (2000)]. 수면 장애의 발병은 나이가 들수록 두드러지게 증가한다. 중장년층에서의 수면 장애의 발병이 증가하는 배경에는, 수면 중 각성의 증가, 각성 후 다시 수면에 드는 데 어려움, 총수면 시간의 단축, 수면 효율 감소 및 서파수면 감소 사례로 대표되는, 수면에 있어서의 종종 나이와 관련된 변화들이 있다. 이러한 생리적인 변화와 함께, 중장년층의 수면 장애의 발병을 초래하는 다양한 수면 방해 요소들이 일어날 수 있다고 믿어진다 [Medical Frontier (Saisin Igaku) Vol. 59, 468-475 (2004)].
반면에, 다양한 정신 장애가 직접 또는 수면 장애 등의 증상을 통하여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을 야기한다고 믿어진다. 예를 들어, 정신분열 증 환자에 있어서, 수면의 어려움 및 수면 중 각성으로부터 생기는 불면증뿐만 아니라 생활 패턴의 변화 및 불규칙한 일상 등 수면 및 잠을 깨는 리듬의 혼란으로부터 생기는 수면 장애가 알려져 있다. 정신 장애 중에서, 감정 장애는 종종 수면 장애 및 우울 증상을 동반하는데, 즉 단극성 우울병은 수면에 있어서의 어려움, 수면 중 각성, 새벽 기상, 숙면 느낌의 부족 및 수면 시간의 단축 등 불면증 증상을 나타내고, 양극성 우울병은 단극성 우울병의 증상과 유사한 불면증 증상을 나타내나 단극성 우울병과 달리 종종 반복된 선잠 등 수면과다가 지적된다. 게다가, 신경 장애도 또한 수면 장애 및 우울 증상의 원인이 되고, 종종 수면 장애를 수반하는 신경 장애로서 퇴행성 뇌 장애, 치매, 파킨슨병, 치명적인 유전성 불면증, 수면 관련 간질, 수면 중 간질성 경련 파 상태, 수면 관련 두통 등을 언급할 수 있다 [Supplement, Nippon Rinsho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Vol. 39, 231-248 (2003)].
최근, 액티그래프 (actigraph) 이용법이 수면량 및 활동량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관심을 끌고 있다. 액티그래프는 1주를 단위로 주야 활동량을 측정하여 활동량에 있어서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활동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된, 잘 쓰지 않는 팔에 채워진 손목시계형 장치이다.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이 액티그래프의 측정 결과를 분석하는 것은 정신 질환, 신경 질환 및 노화와 관련된 수면 장애, 활동량의 감소 등의 진단, 진행 정도의 관찰 및 치료 효과의 판단에 매우 유용하다고 믿어진다.
수면 장애, 및 정신 및 신체 기능 감소 등으로 인한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을 위한 치료법으로서, 심리적 접근, 비약물 치료 및 약물 치료법이 있다. 비약물 치료법은 고조도 방사선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현재 계절 정서 장애 및 24시간 주기 리듬 수면 장애의 치료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비타민 B12 및 벤조디아제핀 수면제 등이 수면 장애 및 우울 증상 치료용 약물 치료법으로 이용되지만, 이들 중 어떤 것도 매우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어서, 약물 치료법의 확립이 기다려지고 있다. 감정 장애 및 신경 질환의 치료로서, 항우울 증상제 및 항정신성 약물을 수면제와 함께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면 장애 및 정신 및 신체 기능 감소로 인한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의 처리에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화합물은 없다.
수면 및 행동을 조절하는 화합물로서, 카나비노이드 (cannabinoids)가 알려져 있다. 카나비노이드는 뇌의 카나비노이드 수용체를 통하여, 기억 및 학습 [Nature Vol. 388, 773-778 (1997)], 음식물 섭취, 이완 및 수면 [J Neurosci Vol. 21, 5344-5350 (2001)]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체의 내인성 카나비노이드로서, 아난다미드 (anandamide) 및 2-아라키돈오일 모노글리세롤 등 아라키돈산 함유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이들 카나비노이드는 경구 섭취할 때조차 가수 분해되어, 그 자체로 흡수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이들에 대한 기록은 생체 밖 실험 또는 수용체 억제자의 투여에 대한 실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인간에 의하여 섭취된, 구성 지방산으로서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가 분명하지 않다.
비특허 문서 1: Psychiatry Clin Neurosci Vol. 54, 309-310 (2000)
비특허 문서 2: Medical Frontier (Saisin Igaku) Vol. 59, 468-475 (2004)
비특허 문서 3: Supplement, Nippon Rinsho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Vol. 39, 231-248 (2003)
비특허 문서 4: Nature Vol. 388, 773-778 (1997)
비특허 문서 5: J Neurosci Vol. 21, 5344-5350 (2001)
발명의 설명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 개선 작용을 하는 식품 및 음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식품 및 음료는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정신 질환 (정신 분열증, 우울증 등), 신경 질환 (퇴행성 뇌 장애, 치매, 파킨슨병, 치명적인 유전성 불면증, 수면 관련 간질, 수면 중 간질성 경련 파 상태, 수면 관련 두통 등) 또는 노화 관련된 정신 및 신체 기능의 감소로 인한 수면 장애로부터 생기는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 개선 작용을 하는 식품 및 음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식품 및 음료는 활성 성분으로 아라키돈산, 아라키돈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및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 인지질 및 당지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으로서,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의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집중적이고 광범위한 조사 후에, 본 출원 발명에 의하여 액티그래프에 의하여 측정된 값을 지표로서 이용하여 평가함으로써, 노인 치료 시설에서 단기간 머무르는 중장년층의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 개선에 있어 활성 성분으로서 아라키돈산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효과가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제 및 주간 활동량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제는 활성 성분으로서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더 상세하세 말하자면, 본 발명은 정신 질환 (정신 분열증, 우울증 등), 신경 질환 (퇴행성 뇌 장애, 치매, 파킨슨병, 치명적인 유전성 불면증, 수면 관련 간질, 수면 중 간질성 경련 파 상태, 수면 관련 두통 등)으로 인한 수면 장애로부터 생기는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 우울 증상 및 노화와 관련된 정신 및 신체 기능의 감소로 인한 수면 장애로부터 생기는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제는 활성 성분으로서 아라키돈산, 아라키돈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및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 인지질 및 당지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상의 방법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 아라키돈산 또는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을 포함하는,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제와,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의 원인으로서, 정신 질환 (정신 분열증, 우울증 등)으로 인한 수면 장애, 신경 질환 (퇴행성 뇌 장애, 치매, 파킨슨병, 치명적인 유전성 불면증, 수면 관련 간질, 수면 중 간질성 경련 파 상태, 수면 관련 두통 등)으로 인한 수면 장애, 또는 노화 관련된 정신 및 신체 기능의 감소로 인한 수면 장애를 들 수 있다. 이들 증상 또는 질환은 비제한적으로,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과 관련된 모든 증상 또는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은 아라키돈산이고,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이 있는 모든 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로는 예컨대 칼슘염 및 나트륨염 등 아라키돈산염을 들 수 있다. 아라키돈산의 저알콜 에스테르로는 예컨대, 아라키돈산 메틸 에스테르 및 아라키돈산 에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 인지질 및 당지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나열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 모두가 이용될 수 있다.
식품에 적용할 때, 아라키돈산은 인지질, 특히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인 것이 좋다.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를 위한 중성원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와 동의어)은 없거나 거의 없다. 본 발명자들은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산업 용도가 중장년층의 주간 활동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을 위한 섭취 연구로 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의 효과를 처음으로 증명하였으며, 이것이 주간 활동량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고, 그 효과는 아라키돈산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인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 함유 트리글리세리드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가 이용될 수 있다.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로서,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총지방산 중의 아라키돈산 비율이 20 (w/w)% 이상, 좋기로는 30 (w/w)% 이상, 더 좋기로는 40 (w/w)% 이상인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이 식품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이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생산되는 모든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미생물로는 예컨대 모르티에렐라 (Mortierella) 속, 코니디오볼루스 (Conidiobolus) 속, 피튬 (Pythium) 속, 피토프토라 (Phytophthora) 속, 페니실리움 (Penicillium) 속, 클라도스포리움 (Cladosporium) 속, 무코르 (Mucor) 속, 푸사리움 (Fusarium) 속,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속, 로도토룰라 (Rhodotorula) 속, 엔토모프토라 (Entomophthora) 속, 에키노스포란기움 (Echinosporangium) 속 및 사프로레그니아 (Saprolegnia) 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들 수 있다.
모르티에렐라 속 모르티에렐라 아속에 속하는 미생물로는, 모르티에렐라 엘롱가타 (Mortierella elongata), 모르티에렐라 엑시구아 (Mortierella exigua), 모르티에렐라 히그로필라 (Mortierella hygrophila),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Mortierella alpina) 등을 들 수 있다. 상세하게는, 균주 모르티에렐라 엘롱가타 (Mortierella elongata) IFO8570, 모르티에렐라 엑시구아 (Mortierella exigua) IFO8571, 모르티에렐라 히그로필라 (Mortierella hygrophila) IFO5941,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Mortierella alpina) IFO8568, ATCC16266, ATCC32221, ATCC42430, CBS219.35, CBS224.37, CBS250.53, CBS343.66, CBS527.72, CBS529.72, CBS608.70, 및 CBS754.68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 균주들은 모두 일본 오사카시의 발효 협회 (IFO), 미국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및 Centrralbureau voor Schimmelcultures (CBS)로부터 제한 없이 구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연구 집단에 의하여 토양으로부터 단리시킨 미생물 균주 모르티에렐라 엘롱가타 SAM0219 (FERM P-8703) (FERM BP-1239)를 이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기 위하여, 균주의 포자 또는 균사체 (mycelia), 또는 균주를 사전 배양함으로써 얻은 예비 배양물을 액체 또는 고체 배지에 접종시키거나 배양시킨다. 액체 배지의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탄소원은 글루코스, 과당, 크실로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가용성 전분, 당즙, 글리세롤 및 만니톨 등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질소원으로는, 펩톤, 이스트 추출물, 엿기름 추출물, 고기 추출물, 카사미노산, 옥수수 침출액 (corn steep liquor), 콩 단백질, 탈지콩 및 목화씨 가루 (cottonseed meal) 등의 천연 질소원에 더하여, 우레아 등 유기 질소원 및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및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 질소원이 이용될 수 있다. 좋기로는 인산염,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구리 및 비타민이 미량원소로서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배지 성분의 농도는 이들이 미생물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제한이 없다. 실제적인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탄소원은 0.1~40 중량% 및 좋기로는 1~25 중량%의 범위에 있다. 첨가된 출발 질소원은 0.1~10 중량% 및 좋기로는 0.1~6 중량%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질소원은 배양 중간에 배수 (draining)를 통하여 첨가될 수 있다.
더욱이, 배지의 탄소원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아라키돈산을 45 (w/w)% 이상 함유하는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을 본 발명의 활성 성분으로 만들 수 있다. 배양 2~4일은 미생물 크기 (mass) 성장 단계이고 배양 2~4일 이후는 오일 축적 단계이다. 탄소원의 출발 농도는 1~8 중량%, 좋기로는 1~4 중량%이고, 미생물 크기 성장 단계 및 오일 축적 단계의 초기 동안, 탄소원이 연속 첨가되어, 첨가된 탄소원의 합은 결과적으로 2~20 중량%, 좋기로는 5~15 중량%가 된다. 미생물 크기 성장 단계 및 오일 축적 단계의 초기 단계 동안 첨가되는 탄소원의 양은 출발 질소원 농도에 상응하여 첨가되고, 7일 이상, 좋기로는 6일 이상, 더 좋기로는 4일 이상 배양할 때, 배지 중의 탄소원 농도는 0이 되면서,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만들 수 있는 45 중량% 이상의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오일이 얻어진다.
아라키돈산 생성 미생물의 배양 온도가 이용되는 미생물에 따라 다를지라도, 균사체를 키우기 위하여 5~40 ℃, 좋기로는 20~30 ℃ 또는 20~30 ℃에서 배양 후, 불포화 지방산을 생성하기 위하여 5~20 ℃에서 배양을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을 통하여, 생성된 지방산 중의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배지의 pH를 4~10, 좋기로는 5~9로, 진동 교반 배양, 진동 배양 또는 고정 배양이 행해질 수 있다. 배양은 통상 2~30일, 좋기로는 5~20일, 더 좋기로는 5~15일간 행해진다.
또한,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중 아라키돈산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수단으로서, 배지 중에서 탄소원 농도를 조절하는 외에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을 선택적으로 가수 분해시켜, 아라키돈산을 고비율로 함유하는 오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적 가수 분해에 사용하기 위한 리파아제는 자리 특이성이 없고 가수 분해 활성은 이중 결합수에 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고도불포화 지방산 이외의 지방산의 에스테르 결합이 가수 분해된다. 또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그 결과 생성되는 PUFA 부분 글리세리드류 등의 사이에서 일어나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증가된 트리글리세리드를 생성할 수 있다 ("Enhancement of Arachidonic: Selective Hydrolysis of a Single-Cell Oil from Mortierella with Candida cylindracea Lipase": J. Am. Oil Chem. Soc, 72: 1323-1327 (1998)).
따라서,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의 선택적인 가수 분해에 의하여 얻은 고비율의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을 본 발명의 활성 성분으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지방산의 효과를 감소시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의 총지방산에 대한 아라카돈산의 비율이 높은 것이 좋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비율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제로 식품에 적용할 때, 아라키돈산의 절대량은 때때로 셀수 있으며, 심지어 아라키돈산 10 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오일 (트리글리세리드)도 사실상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중간 사슬 지방산이 1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이용될 수 있다.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5 몰% 이상, 좋기로는 10 몰% 이상, 더 좋기로는 20 몰% 이상 및 가장 좋기로는 30 몰% 이상을 함유하는 오일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는 상기 중간 사슬 지방산은 6~12개의 탄소를 가진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6~12 개의 탄소를 가진 지방산으로서, 카프릴산 및 카프로산 등을 언급할 수 있고, 1,3-카프릴오일-2-아라키돈오일-글리세롤 (이하 "8A8"로 지칭함)이 특히 좋다.
중장년층이 대상일 때,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는 이들 트리글리세리드들이 가장 좋은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이다. 통상적으로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이 섭취되어 소장으로 이동하면, 이들은 췌장 리파아제에 의하여 가수 분해되는데, 상기 췌장 리파아제는 1번과 3번 위치에 자리 특이성이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의 1번과 3번 위치가 분열되어 동시에 2몰의 자유 지방산 및 1몰의 2-모노아실글리세롤 (2-MG)을 생성한다. 이 2-MG는 담즙산을 분해하는 데에 매우 고활성이고, 흡수성이 높기 때문에, 2번 위치 지방산은 더 흡수성이 높다고 한다. 2-MG가 담즙산에서 용해되었을 때, 이것은 또한 계면활성제로서 제공되고 자유 지방산의 흡습성을 증가시킨다.
이때,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등과 결합한 자유 지방산 및 2-MG는 담즙산 합성 균주체를 생합성하고, 이것은 트리아실글리세롤이 다시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유미미립으로 림프로 방출되는 장상피 세포 안으로 포함된다. 지방산에 대한 췌장 리파아제의 특징은 포화 지방산의 경우가 더 높아서, 아라키돈산은 거의 분열되지 않는다. 추가의 문제는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이 나이가 듦에 따라 감소하여, 중장년층에 있어서,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가장 좋은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이 된다는 것이다.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생성하는 특이적인 방법으로서, 트리글리세리드의 1번과 3번 위치의 에스테르 결합에만 작용하는 리파아제가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및 중간 사슬 지방산의 존재 하에 작용된다.
원료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은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이 있는 트리글리세리드이다.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총지방산에 대한 아라키돈산의 비율이 높을 때, 반응 온도는 반응하지 않은 오일 (원료 트리글리세리드 및 1번과 3번 위치의 지방산 중 1개가 중간 사슬 지방산인 것인 트리글리세리드) 비율 증가로 인하여 반응 수율이 감소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통상의 촉매 반응 온도인 20~30 ℃보다 높은, 30~50 ℃, 좋기로는 40~50 ℃인 것이 좋다.
트리글리세리드의 1번과 3번 위치의 에스테르 결합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리파아제로는, 리조푸스 (Rhizopus) 속, 리조무코르 (Rhizomucor ) 속,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 및 돼지 췌장 리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리파아제는 상업적으로 구득가능하다. 예컨대, 리조푸스 델레마르 (Rhizopus delemar)로부터 유래한 리파아제 (Talipase manufactured by Tanabe Seiyaku Co., Ltd.), 리조무코르 미에헤이 (Rhizomucor miehei)로부터 유래한 리파아제 (Rhibozyme IM manufactured by NovoNordisk Pharma Co., Ltd.),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spergillus niger)로부터 유래한 리파아제 (Lipase A, manufactured by Amano Enzyme Inc.) 등을 언급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1번과 3번에 자리 특이성이 있는 리파아제라면 어느 것이든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리파아제들은 반응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30 ℃ 이상, 좋기로는 40 ℃ 이상에서 이용되기 때문에, 효소에 열저항성을 수여하기 위하여 고정 담체에 고정되는 리파아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고정 담체로는, 다공성이며 세공 크기가 약 100 옹스트롬 이상인, Dowex MARATHON WBA 등의 이온 교환 수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열저항성을 수여할 수 있는 고정 담체라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1번과 3번 위치에 특이적인 리파아제의 0.5~20 중량부가 고정 담체의 한 부분에 걸리고, 냉각 아세톤 (예컨대 -80℃) 2~5 부피부를 침전이 형성되도록, 교반하에 점차 첨가한다. 침전물을 감압하에 건조시켜 고정 효소를 제조할 수 있다. 더 단순한 방법으로, 1번과 3번 위치에 특이적인 리파아제의 0.05~4 중량부를 최소량의 물에 용해시키고, 고정 담체를 교반하에 혼합하며, 감압하에 건조시켜 고정 효소를 제조한다. 이런 절차에 의하여, 리파아제의 약 90%가 담체에 고정되나, 이것은 그 자체로 에스테르 교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아서, 고정 효소가 최상으로 활성화되고 제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물 1~10 중량 (w/v)%, 좋기로는 1~3 중량 (w/v)%가 첨가된 기질에서 전처리하는 것이 좋다.
효소의 유형에 따라, 수성 반응계에 첨가되는 물의 양이 매우 중요하다. 물이 없을 때, 에스테르 교환은 쉽게 일어나지 않고, 물이 풍부할 때, 글리세리드 회수가 감소되도록 (가수 분해가 일어날 때 디글리세리드 및 모노글리세리드가 형성된다) 가수 분해가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전처리로 활성화된 고정 효소를 이용함으로써, 본 반응계에 첨가되는 물의 양은 중요하지 않게 되고,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물이 없는 계에서조차 고효율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효소의 유형을 선택함으로써, 전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열저항 고정 효소를 이용하여, 효소 반응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1번과 3번 위치의 리파아제 특이성을 위한 반응성이 낮은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의 반응 효율성을 낮추지 않고,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 (8A8)가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주간 활동량의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 개선 작용을 하는 식품 및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품 및 음료용으로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함유한다면 극소량으로 함유하여 원료와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극소량은 식품 및 음료용 원료가 아라키돈산을 함유하고, 여기에 원료를 혼합한 식품 조성물이 인간에 의하여 섭취될 때조차, 본 발명의 1일 아라키돈산 섭취량에 이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에,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은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잠재력을 가지고, 식품, 음료, 화장품 및 약제용 원료 및 첨가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용 목적 및 이용량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식품 조성물로서, 일반적인 식품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 영양 보충제, 특이 건강용 식품, 미숙아용 조제 우유, 유아용 조제 우유, 유아용 식품, 임신부용 식품 또는 중장년층용 식품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오일 함유 식품의 예로는 고기, 생선 및 너트 등 본래 오일을 함유하는 천연 식품, 수프 등 조리시 오일이 첨가되는 식품, 오일이 도넛 등 열 매질로서 이용되는 식품, 버터 등 지방 식품, 쿠키 등 가공시 오일이 첨가되는 가공 식품, 또는 딱딱한 비스킷 등 가공 마지막 단계에서 오일이 분사되거나 적용되는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오일은 농산물, 발효 식품, 축산품, 수산물 또는 오일이 없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기능성 식품이나 약제 형태일 수 있고, 또한 장식품, 분말, 과립, 정제, 경구액, 현탁액, 에멀션 및 시럽 등 가공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성물에는 주간 활동량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 개선 작용을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지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활성 성분에 부가하여 식품 또는 음료, 약제 또는 준약물용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담체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의 산화를 예방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항산화제로서는, 토코페롤, 플라본 유도체, 필로둘신 (phyllodulcins), 코지산, 갈산 유도체, 카테킨, 푸키산 (fuki acid), 고시폴, 피라진 유도체, 사사몰 (sasamol), 과이어콜, 과이악산 (guaiac acid), p-쿠마르산, 노르디히드로과이아트산 (nordihydroguaiatic acid), 스테롤, 테르펜, 핵염기, 카로테노이드 및 리그닌 등 천연 생성 항산화제 및 아스코르베이트-팔미테이트 에스테르, 아스코르베이트-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BHA),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BHT), t-부틸히드로퀴논 (TBHQ) 및 4-히드록시메틸-2,6-디-t-부틸페놀 (HMBP)로 대표되는 합성 항산화제를 들 수 있다.
토코페롤로는, 관련 화합물로서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ε-토코페롤, ζ-토코페롤, η-토코페롤 및 토코페롤 에스테르 (토코페롤 아세테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카로테노이드로는 예컨대, β-카로텐, 칸타잔틴 (canthaxantin) 및 아스타크산틴 등을 들 수 있다.
담체로는, 본 발명의 활성 성분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담체, 증량제, 희석제, 팽창제, 분산제, 부형약, 결합 용매 (예컨대 물, 에탄올, 식물성 오일), 용해 보조제, 완충액, 용해 촉진제, 겔화제, 현탁제, 밀가루, 쌀가루, 전분, 옥수수 전분, 다당류, 유단백질, 콜라겐, 쌀기름 및 레시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비타민, 감미제, 유기산, 착색제, 향료, 항습윤제, 섬유, 전해질, 미네랄, 영양분, 항산화제, 보존제, 풍미제, 습윤제, 천연 식품 추출물 및 식물 추출물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라키돈산 및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약학상 주요 활성 성분은 아라키돈산이다. 매일 음식으로 섭취하는 아라키돈산은 간토 지역에서 0.14 g이고, 간사이 지역에서는 0.19~0.20 g이라고 보고되어 있다 [Sisitsu Eiyougaku (Lipid Nutrition)4:73,(1995)]. 오일 섭취량이 감소하고 췌장 리파아제 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는 중장년층의 경우, 유의적인 양 이상의 아라키돈산이 섭취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라키돈산 및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성인 (예컨대 체중 60 ㎏)의 매일 섭취량은 아라키돈산의 경우, 0.001~20 g, 좋기로는 0.01~10 g, 더 좋기로는 0.05~5 g, 가장 좋기로는 0.1~2 g이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이 실제로 식품이나 음료에 적용될 때, 식품이나 음료에 혼합되는 아라키돈산의 절대량이 중요하다. 그러나,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식품에 혼합될 때, 식품이나 음료에 혼합되는 절대량은 혼합되는 식품이나 음료의 섭취량에 따라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아라키돈산으로 0.001 중량% 이상, 좋기로는 0.01 중량% 이상, 더 좋기로는 0.1 중량% 이상 혼합된다. 또한,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에 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식품에 혼합될 때, 이것은 0.0003 중량% 이상, 좋기로는 0.003 중량% 이상, 더 좋기로는 0.03 중량% 이상으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품으로 이용될 때, 약학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는 방법, 예컨대 일본 약전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품으로 이용될 때, 조성물에 혼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특별한 제한 없이,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적절한 혼합 비율로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품으로 이용될 때, 단위 제형 및 특히 경구 투여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연령, 체중, 질환 정도, 투여 횟수 등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본 발명의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을 가지는 화합물의 성인 (60 ㎏) 1일 투여량은, 아라키돈산의 경우, 일반적으로 약 0.001~20 g, 좋기로는 0.01~10 g, 더 좋기로는 0.05~5 g, 가장 좋기로는 0.1~2 g으로, 매일 1~3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뇌세포막의 인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아라키돈산 및 도코사헥사에노산 (docosahexaenoic acid)이고, 균형을 고려하여 도코사헥사에노산이 혼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뇌인지질막의 에이코사펜타에노산 (eicosapentaenoic acid)의 비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아라키돈산 및 도코사헥사에노산을 소량의 에이코사펜타에노산과 혼합하는 것이 좋다. 아라키돈산 및 도코사헥사에노산을 혼합할 때, 아라키돈산/도코사헥사에노산의 비율은 0.1~15의 범위이고, 좋기로는 0.25~10의 범위이다. 또한, 에이코사펜타에노산이 아라키돈산의 1/5를 넘지 않는 양으로 혼합된 식품 및 음료가 좋다.
도 1은 액티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중장년층의 주간 활동량에 대한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의 기록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장년층의 우울 증상에 대한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의 기록에 의한 기록과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을 섭취한 중장년층의 주간 활동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별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어떤 식으로든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 제조 방법
아라키돈산 생성 미생물로서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CBS754.68을 이용하였다. 1.8% 글루코스, 3.1% 탈지생두분말, 0.1% 생두 오일, 0.3% KH2PO4, 0.1% Na2SO4, 0.05% CaCl2/2H2O 및 0.05% MgCl2/5H2O를 함유하는 배지 6 ㎘를 10 ㎘ 배양 수조에서 준비하여, 최초 pH를 6.0으로 조절하고, 예비 배양 30 ℓ를 심고, 26 ℃, 진동률 360 ㎥/h, 수조 압력 200 kPa 조건에서 8일간 진동 교반 배양시켰다. 용해된 산소 농도가 10~15 ppm을 유지하도록 진동률을 조절하였다. 또한, 글루코스 농도를 배수법에 의하여 4일까지 1~2.5% 이내가 되고, 그 이후에는 0.5~1% 이내가 되도록 유지 시켰다.
배양을 마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이 있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균주체를 얻고, 균주체의 헥산 추출물에 의하여 오일을 추출하고, 정제 공정 (정련, 탈산, 탈취, 탈색)을 통하여,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 150 ㎏을 얻었다. 얻은 오일 (트리글리세리드)을 메틸에스테르화시키고, 얻은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총지방산 중 아라키돈산 비율이 40.84 중량%이었다.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γ-리놀렌산, 디호모-γ-리놀렌산의 비율은 각각 11.63%, 7.45%, 7.73%, 9.14%, 2.23% 및 3.27%이었다. 또한, 상기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SUNTGA40S)을 에틸에스테르화하고, 아라키돈산에틸에스테르 40 중량%를 함유하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혼합물을 표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하여 순도 99 중량%의 아라키돈산 에틸에스테르를 분리, 정제하였다.
실시예 2. 8A8 5 몰% 이상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
이온 교환 수지 (Dowex MARATHON WBA: Dow Chemical) 100 g을 리조푸스 델레마르 리파아제 (12.5% Talipase powder manufactured by Tanabe Seiyaku Co., Ltd.) 수용액 80 ㎖ 중에 현탁시키고, 냉각 아세톤 (예컨대 -80℃) 240 ㎖에서 교반한 후, 감압하에 건조시켜 고정화 리파아제를 얻었다.
그리고 나서, 실시예 1에서 얻은 아라키돈산 40 중량%를 함유하는 트리글리 세리드 80 g, 카프릴산 160 g, 상기 고정화 리파아제 12 g 및 물 4.8 ㎖를 30 ℃에서 49시간 교반 하에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제거하여 활성 고정화 효소를 얻었다.
이후, 고정화 리파아제 (Rhizopus delemar lipase, carrier: Dowex MARATHON WBA) 10 g을 재킷글래스컬럼 (jacketed glass column;1.8 x 12.5 cm, volume 31.8 ㎖)에 넣고, SUNTGA40S와 카프릴산이 1:2로 혼합된 실시예 1에서 얻은 반응 오일을 일정 속도 (4 ㎖/h)로 통과시키고, 계속 반응시켜 반응 오일 400 g을 얻었다. 컬럼 온도는 40~41 ℃이었다. 얻은 반응 오일로부터, 몰증류법에 의하여, 미반응 카프릴산 및 자유 지방산을 제거하고, 식용 오일을 위한 정제 공정 (정련, 탈산, 탈취, 탈색)을 통하여, 8A8 함유 오일을 얻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은 8A8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중 8A8의 비율을 조사하여, 31.6 몰% (8P8, 8O8, 8L8, 8G8 및 8D8의 비율은 각각 0.6, 7.9, 15.1, 5.2 및 4.8 몰%이었다)라는 것을 알았다. 트리글리세리드가 2번 위치에 결합된 P, O, L, G 및 D는 각각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γ-리놀렌산 및 디호모-γ-리놀렌산을 지칭하고, 8P8은 1,3-카프릴오일-2-팔미톨레인-글리세롤을 지칭하며, 8O8은 1,3-카프릴오일-2-올레오일-글리세롤을 지칭하고, 8L8은 1,3-카프릴오일-2-리놀레오일-글리세롤을 지칭하며, 8G8은 1,3-카프릴오일-2-γ-리놀렌오일-글리세롤을 지칭하고, 8D8은 1,3-카프릴오일-2-디호모-γ-리놀렌오일-글리세롤을 지칭한다. 얻은 8A8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표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하여 96 몰% 8A8을 분리, 정제하였다.
실시예 3. 시험 캡슐의 제조
젤라틴 100 중량부 및 식품 첨가 글리세린 35 중량부에 물을 첨가하고, 50~60 ℃에서 용해시켜, 점도 2000 cp의 젤라틴 코트 (gelatin coat)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비타민 E 오일을 실시예 1에서 얻은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중 0.05 중량%로 혼합하여, 내용물 1을 제조하였다. 내용물 1을 캡슐 형성에 이용하였고, 그리고 나서 건조하여, 캡슐당 내용물 200 ㎎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을 위한 위약 캡슐로서, 내용물이 올리브 오일로 대체된 소프트 캡슐을 동시에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단기간 노인 치료 시설에 머무르는 중장년층의 주간 활동량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에 있어서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식용 오일 캡슐의 효과에 대한 복용 연구
1주간 끊임없이 주야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잘 쓰지 않는 팔에 활동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된 손목시계형 측정 장치에 의하여 주간 및 야간 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이 액티그래프 측정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활동량 및 야간 수면의 질 등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인체에 대한 연구는 헬싱키 선언에 좇아 신중한 고려하에 행해졌다.
연구 참가 동의에 대한 브리핑 후에, 동의하고 단기간 노인 복지 시설에 머무르고 있는 7명의 중장년층을 2 개군: A: N=4, B: N=3으로 나누었다. 한달간 매일 A군은 매일 아라키돈산 240 ㎎을 섭취하도록,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아라키돈산 함유 식용 오일 (아라키돈산의 관점에서 80 ㎎/캡슐)을 함유하는 3개 캡슐을 받았고, B군은 3개의 위약 캡슐을 받았다. 캡슐 복용 전후, 1주간 계속하여 주야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잘 쓰지 않는 팔에 액티그래프를 착용하였다. 이후 A군과 B군의 대상은 세척 기간으로서 2주간 캡슐 복용을 멈추었다. 세척 기간이 끝난 후, 한달간 A군은 위약 캡슐을 받고, B군은 아라키돈산 함유 식용오일이 함유된 캡슐을 받았다. 유사하게, 캡슐 복용 전후에 1주간 계속하여 주야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잘 쓰지 않는 팔에 액티그래프를 착용하였다 (이중맹검시험, 교차 시험).
캡슐 복용 전, 후 및 동시에,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에 의한 시험 (40 이상: 가벼운 우울 증상, 50 이상: 중간 정도의 우울 증상)을 이용하여, 우울 증상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캡슐 복용 전후의 평균 주간 활동량에서의 변화를 도 1에 나타내고,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에 의한 득점에서의 변화는 도 2에 나타낸다. 위약 캡슐을 복용하였을 때, 평균 주간 활동량 및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에 의한 득점에 있어서 어떤 유의적인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아라키돈산 함유 식용 오일을 함유한 캡슐을 복용하였을 때, 평균 주간 활동량이 19.1 카운트/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에 의한 득점도 3.2 향상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때, 평균 주간 활동량과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에 의한 득점 사이의 상관관계가 최소자승법에 기초하여 근사 직선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도 3). 평균 주간 활동량과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에 의한 득점 사이에 유의적인 상관관계 (상관 계수 R= -0.561)가 나타났고, 이것은 비록 융의 우울 증상 자기 평가 척도에 의한 평균 득점이 가벼운 우울 증상에 이르지 못하는 정도인 37.6이지만, 우울 증상 정도의 개선이 주간 활동량을 증가시켰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초로, 아라키돈산 함유 식용 오일의 복용이 주간 활동량 감소 및/또는 우울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이는 아라키돈산에 의한 것임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5. 아라키돈산 함유 식용 오일 ( 트리글리세리드 )이 혼합된 캡슐의 예비 실시예
젤라틴 100 중량부 및 식품 첨가 글리세린 35 중량부에 물을 첨가하고, 50~60 ℃에서 용해시켜, 점도 2000 cp의 젤라틴 코트 (gelatin coat)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비타민 E 오일을 실시예 2에서 얻은 8A8 32 몰%를 함유하는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중 0.05 중량%로 혼합하여, 내용물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50 중량% 및 어류 오일 (참치 오일: 총지방산 중 에이코사펜타에노산 및 도코사헥사에노산의 비율은 각각 5.1% 및 26.5%이다) 50 중량%를 혼합한 후, 여기에 비타민 E 오일을 0.05 중량%까지 혼합하여 내용물 3을 제조하였다.
아라키돈산 함유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80 중량% 및 어류 오일 (참치 오일: 총지방산 중 에이코사펜타에노산 및 도코사헥사에노산의 비율은 각각 5.1% 및 26.5%이다) 20 중량%를 혼합한 후, 여기에 비타민 E 오일을 0.05 중량%까지 혼합하여 내용물 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99% 아라키돈산 에틸에스테르에 비타민 E 오일을 0.05 중량%까지 혼합하여 내용물 5를 제조하였다. 이들 내용물 2~5를 이용하여, 표준법에 따라 캡슐을 형성하고 건조시켜, 캡슐당 내용물 180 ㎎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오일 주입액에의 이용
실시예 2에서 얻은 96 몰% 8A8을 함유하는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400 g, 정제된 달걀 노른자 레시틴 48 g, 올레산 20 g, 글리세린 100 g 및 0.1 N 수산화나트륨 40 ㎖를 첨가하고, 균질화기로 분산시킨 후, 주사용 증류수를 첨가하여 4 ℓ로 만들었다. 고압 분사형 에멀션화 기기를 이용하여 에멀션화하여 오일 에멀션을 제조하였다. 상기 오일 에멀션을 플라스틱 주머지로 200 ㎖씩 분배한 후, 이들을 121 ℃에서 20분간 고압 증기 소독하여 오일 주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주스에의 이용
β-시클로덱스트린 2 g을 20% 에탄올 수용액 20 ㎖에 첨가하고,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얻은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 (비타민 E 0.05% 혼합됨) 100 ㎎을 교반기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50 ℃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약 1 시간), 4 ℃에서 10 시간 교반하면서 더 배양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하고, n-헥산으로 세척하고, 냉동 건조하여, 아라키도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시클로덱스트린 함유 화합물 1.8 g을 얻었다. 이 분말 1 g을 10 ℓ주스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라키돈산 함유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22)

  1.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아라키돈산의 알코올 에스테르이거나,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드, 인지질 또는 당지질인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는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사슬 지방산은 탄소 원자가 6~12개인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5.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아라키돈산 비율은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총지방산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인 것인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모르티에렐라 (Mortierella) 속, 코니디오볼루스 (Conidiobolus) 속, 피튬 (Pythium) 속, 피토프토라 (Phytophthora) 속, 페니실리움 (Penicillium) 속, 클라도스포리움 (Cladosporium) 속, 무코르 (Mucor) 속, 푸사리움 (Fusarium) 속,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속, 로도토룰라 (Rhodotorula) 속, 엔토모프토라 (Entomophthora) 속, 에키노스포란기움 (Echinosporangium) 속 및 사프로레그니아 (Saprolegnia) 속에 속하는 미생물로부터 추출된 것인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에이코사펜타에노산을 미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인 것인 조성물.
  9. 중간 사슬 지방산이 1번과 3번 위치에 결합되고 아라키돈산이 2번 위치에 결합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5 몰% 이상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주간 활 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사슬 지방산은 탄소 원자수가 6~12개인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주간 활동량의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원인은 정신 질환 (정신 분열증, 우울증 등)인 것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원인은 신경 질환 (퇴행성 뇌 질환, 치매, 파킨슨병 등)인 것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원인은 나이와 관련된 정신 및 신체 기능의 감소인 것인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인 것인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반 식품 (식품 및 음료), 기능성 식품, 영양 보충제, 특이 건강용 식품, 미숙아용 조제 우유, 유아용 조제 우유, 유아 용 식품, 임신부용 식품 또는 중장년층용 식품인 것인 조성물.
  16. 도코사헥사에노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서 도코사헥사에노산을 더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지방산으로서 도코사헥사에노산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도코사헥사에노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또는 구성 지방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도코사헥사에노산인 트리글리세리드, 인지질 또는 당지질인 것인 조성물.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키돈산 및 상기 도코사엑사에노산의 조합 중의 아라키돈산/도코사헥사에노산의 비율 (중량)은 0.1~15 범위인 것인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아라키돈산에 대한 조성물 중의 에이코사펜타에노산의 양은 1/5을 초과하지 않는 것인 조성물.
  20.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실직적으로는 아라키돈산 성분이 함유되지 않거나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더라도 극소량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물질과 혼합하여 이용되는,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작용을 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 하는 방법.
  21.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그러한 투여가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
  22.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작용이 있다는 효과에 대한 표지를 붙인, 아라키돈산 및/또는 구성 지방산으로서 아라키돈산 성분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
KR1020077030426A 2005-06-30 2006-06-29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KR101350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1506A JP5967855B2 (ja) 2005-06-30 2005-06-30 日中活動量の低下および/又はうつ症状の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JP-P-2005-00191506 2005-06-30
PCT/JP2006/313444 WO2007004689A1 (en) 2005-06-30 2006-06-29 Compositions ameliorating a reduced diurnal activity and/or depressive sympto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279A true KR20080027279A (ko) 2008-03-26
KR101350939B1 KR101350939B1 (ko) 2014-01-13

Family

ID=3711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426A KR101350939B1 (ko) 2005-06-30 2006-06-29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68241B2 (ko)
EP (1) EP1896004B1 (ko)
JP (1) JP5967855B2 (ko)
KR (1) KR101350939B1 (ko)
CN (3) CN105106191B (ko)
AU (1) AU2006266755B2 (ko)
CA (1) CA2613345C (ko)
RU (1) RU2463047C2 (ko)
WO (1) WO20070046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458A (ko) 2019-06-04 2020-12-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틸 갈레이트 및 틸로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146A1 (en) 2007-06-26 2008-12-31 N.V. Nutricia Suppor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WO2009002148A1 (en) 2007-06-27 2008-12-31 N.V. Nutricia Food composition for prodromal dementia patients
WO2009002166A1 (en) 2007-06-26 2008-12-31 N.V. Nutricia Improving memory in subjects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of 24-26
WO2009002145A1 (en) 2007-06-26 2008-12-31 N.V. Nutricia Lipid composition for improving function of brain functioning
US8343753B2 (en) 2007-11-01 2013-01-01 Wake Fores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microalgae
PL2222311T3 (pl) 2007-12-20 2013-08-30 Nutricia Nv Ciekły produkt zawierający nukleotydy/nukleozydy
JP2011136948A (ja) * 2009-12-28 2011-07-14 Nisshin Oillio Group Ltd うつ病又はうつ状態の予防又は治療用油脂組成物
US9216199B2 (en) 2013-12-05 2015-12-22 Buriva, LLC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ing phospholipid-DHA derived from eggs
US9233114B2 (en) 2013-12-05 2016-01-12 Buriva, LLC Dietary supplement containing phospholipid-DHA derived from eggs
US9549937B2 (en) 2013-12-05 2017-01-24 Burvia, LLC.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olipid-DHA and folate
US9610302B2 (en) 2013-12-05 2017-04-04 Buriva, LLC.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olipid-DHA and B vitamins
WO2019149822A1 (en) * 2018-02-02 2019-08-0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Stabilizing omega-3 fatty acids with bran
KR20220161429A (ko) * 2020-04-01 2022-12-0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12820A (en) 1967-04-28 1968-05-08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storage systems
US4668704A (en) 1982-08-09 1987-05-2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protecting and healing gastro-duodenal mucosa and the liver of mammals
US4526902A (en) 1983-10-24 1985-07-02 Century Laboratories, Inc. Combined fatty acid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prophylaxis of thrombo-embolic conditions
GB8601915D0 (en) 1986-01-27 1986-03-05 Efamol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S63297342A (ja) 1987-05-28 1988-12-05 Nisshin Oil Mills Ltd:The 合成油脂ならびにこれを含有する脂肪乳剤輸液および経腸栄養剤
US5198468A (en) 1987-06-24 1993-03-30 Efamol Holdings Plc Essential fatty acid composition
US5658767A (en) 1991-01-24 1997-08-19 Martek Corporation Arachidonic acid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GB9224809D0 (en) 1992-11-26 1993-01-13 Scotia Holdings Plc Schizophrenia
AU683027B2 (en) 1993-01-27 1997-10-30 Scotia Holdings Plc Triglycerides
JP3467794B2 (ja) 1993-03-09 2003-11-17 日本油脂株式会社 学習能向上剤
WO1994028891A1 (en) 1993-06-04 1994-12-22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coronary vascular disease using docosahexaenoic acid
JPH08511533A (ja) 1993-06-09 1996-12-03 マーテック・バイオサイエンスィズ・コーポレーション 神経学的障害の治療に有用な方法および医薬用組成物
CA2201931C (en) 1994-10-05 2004-08-10 Gerhard Kohn Mixture of phospholipid-containing fats and lcp fatty acids
JPH08143454A (ja) 1994-11-17 1996-06-04 Kanagawa Kagaku Kenkyusho:Kk 神経成長因子産生増強剤
GB9423625D0 (en) 1994-11-23 1995-01-11 Scotia Holdings Plc Fortified fruit juice
US5583019A (en) 1995-01-24 1996-12-10 Omegatech Inc. Method for production of arachidonic acid
JPH08214891A (ja) 1995-02-17 1996-08-27 Osaka City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トリグリセリドを含む油脂の製造方法
WO1996040106A2 (en) 1995-06-07 1996-12-19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Methods for controll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various tissues
JPH0923817A (ja) 1995-07-07 1997-01-28 Nisshin Oil Mills Ltd:The 油脂含有飲食物
JPH0930962A (ja) 1995-07-21 1997-02-04 Nisshin Oil Mills Ltd:The 医療用油脂含有組成物
US6200624B1 (en) 1996-01-26 2001-03-13 Abbott Laboratories Enteral formula or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ing arachidonic and docosahexaenoic acids
CN1058845C (zh) 1996-01-31 2000-11-29 高世虎 强化营养豆奶粉
GB9617847D0 (en) 1996-08-27 1996-10-09 Scotia Holdings Plc Fatty acid treatment
JP4034370B2 (ja) 1996-09-27 2008-01-16 雪印乳業株式会社 脳機能改善剤及び栄養組成物
JP4633204B2 (ja) 1996-10-11 2011-02-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ラキドン酸含有食用油脂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FI103856B (fi) 1996-11-15 1999-09-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ynaaminen kanava-allokointi
JPH10155459A (ja) 1996-11-27 1998-06-16 Suntory Ltd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飲食物
US6080787A (en) 1997-02-21 2000-06-27 Abbott Laboratories Methods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FR2762993B1 (fr) * 1997-05-06 1999-08-13 Inst Rech Biolog Sa Nouvelle utilisation de phospholipides d'origine animale en therapeutique et/ou dietetique
US5902807A (en) 1997-05-12 1999-05-11 Antti Haapalinn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mental illness in mammals and a composition therefor
ATE230935T1 (de) 1997-07-22 2003-02-15 Nestle Sa Lipidzusammensetzung für säuglingsnährpräparat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970804B2 (ja) * 1997-07-23 1999-11-02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シート
US6225444B1 (en) 1998-02-10 2001-05-01 Protarga, Inc. Neuroprotective peptides and uses thereof
JP4175698B2 (ja) 1998-06-19 2008-11-05 サントリー株式会社 新規なトリグリセリド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WO2000021524A1 (en) 1998-10-15 2000-04-20 Dsm N.V. Pufa supplements
JP2001031586A (ja) 1999-07-14 2001-02-06 Sunstar Inc 動脈硬化症及び動脈硬化症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又は治療組成物
GB9916536D0 (en) 1999-07-14 1999-09-15 Scarista Limited Nutritional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9923738D0 (en) 1999-10-07 1999-12-08 Nestle Sa Nutritional composition
US7226916B1 (en) 2000-05-08 2007-06-05 N.V. Nutricia Preparation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US7208180B2 (en) 2000-05-08 2007-04-24 N.V. Nutricia Method and preparation for the preventing and/or treating vascular disorders and secondary disorders associated therewith
WO2001085158A2 (en) 2000-05-08 2001-11-15 Forskarpatent I Syd Ab Anandamide and structurally related lipids as vanilloid receptor modulators
US20020077355A1 (en) 2000-05-30 2002-06-20 Liao James K. Use of epoxyeicosatrienoic acids in the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conditions
EP1292288B1 (en) 2000-06-23 2004-09-29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2-arachidonylglycerol (2-ag) - an inhibitor of tumor necrosis factor -alfa and neuroprotector of brain in closed head injury
GB0016045D0 (en) 2000-06-29 2000-08-23 Laxdale Limited Therapeutic combinations of fatty acids
US7067145B2 (en) 2000-09-07 2006-06-27 University Of Maryland Biotechnology Institute Use of arachidonic acid for enhanced culturing of fish larvae and broodstock
DK1239022T3 (da) 2001-03-09 2009-07-20 Nestle Sa Olie indeholdende en eller flere langkædede flerumættede fedtsyrer hidrörende fra biomasse,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levnedsmiddel, næringsmiddelsammensætning, kosmetisk sammensætning eller farmaceutisk sammensætning indeholdende denne
GB0111282D0 (en) 2001-05-09 2001-06-27 Laxdale Ltd Potentiation of therapeutic effects of fatty acids
ES2321066T3 (es) 2001-06-18 2009-06-02 NEPTUNE TECHNOLOGIES & BIORESSOURCES INC. Extracto de krill para la prevencion y/o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cardiovasculares.
US7538238B2 (en) 2001-07-02 2009-05-26 Suntory Limited Production method of oil or fat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triglyceride
JP2003048831A (ja) * 2001-08-02 2003-02-21 Suntory Ltd 脳機能の低下に起因する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03113120A (ja) 2001-08-03 2003-04-18 Takeda Chem Ind Ltd 徐放性医薬
WO2003013609A1 (en) 2001-08-03 2003-02-20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ustained-release medicines
US6689810B2 (en) 2001-08-21 2004-02-10 Cellular Sciences, Inc. Method for treating pulmonary disease states in mammals by altering indigenous in vivo levels of nitric oxide
NL1019368C2 (nl) * 2001-11-14 2003-05-20 Nutricia Nv Preparaat voor het verbeteren van receptorwerking.
EP1501493B1 (en) 2002-05-03 2009-10-07 Pronova BioPharma Norge AS Use of epa and dha in secondary prevention of strokes
AU2003260967B2 (en) 2002-09-13 2009-12-10 Suntory Holdings Limited Process for production of transesterified oils/fats or triglycerides
GB0221480D0 (en) 2002-09-16 2002-10-23 Laxdale Ltd Treatment of anorexia nervosa (AN) and bulimia
EP1542670B2 (en) 2002-09-24 2023-07-05 Suntory Holdings Limited Composition containing arachidonic aci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docosahexaenoic acid for enhancing cognitive abilities in adults
WO2004084882A1 (en) * 2003-03-27 2004-10-07 Suntory Limited Use of arachidonic acid for normalization of infradian rhythm
WO2004091663A1 (ja) 2003-04-18 2004-10-28 Kyowa Hakko Kogyo Co., Ltd. 神経再生薬
WO2005018632A1 (en) 2003-08-18 2005-03-03 Btg International Limite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conditions
IL158552A0 (en) 2003-10-22 2004-05-12 Enzymotec Ltd Lipid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s
JP4522075B2 (ja) 2003-10-29 2010-08-11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血管の老化に起因する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07524674A (ja) 2004-01-19 2007-08-30 マーテック・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ーリン欠損症または機能障害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JP4868199B2 (ja) 2004-09-10 2012-02-01 学校法人鈴鹿医療科学大学 サルビアノール酸bを有効成分とする神経幹細胞増殖剤
JP2006083136A (ja) 2004-09-17 2006-03-30 Suntory Ltd ストレスに起因する脳機能の低下およびそれに伴う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4993852B2 (ja) 2004-09-17 2012-08-0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ストレスに起因する行動異常を伴う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5697293B2 (ja) 2005-06-30 2015-04-0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器質的脳障害に起因する高次脳機能の低下に対する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458A (ko) 2019-06-04 2020-12-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틸 갈레이트 및 틸로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06191B (zh) 2021-09-07
CN105106191A (zh) 2015-12-02
JP5967855B2 (ja) 2016-08-10
AU2006266755A1 (en) 2007-01-11
EP1896004A1 (en) 2008-03-12
CN105878226A (zh) 2016-08-24
EP1896004B1 (en) 2018-08-15
US9168241B2 (en) 2015-10-27
RU2463047C2 (ru) 2012-10-10
KR101350939B1 (ko) 2014-01-13
JP2007008861A (ja) 2007-01-18
WO2007004689A1 (en) 2007-01-11
RU2008103361A (ru) 2009-08-10
CA2613345C (en) 2016-01-05
US20090226481A1 (en) 2009-09-10
AU2006266755B2 (en) 2013-01-17
CN1891214A (zh) 2007-01-10
CA2613345A1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939B1 (ko) 주간 활동량 감소 증상 및/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KR101195574B1 (ko) 아라키돈산을 단독으로 또는 도코사헥사엔산과의 조합으로함유하는 인지 능력 향상용 조성물
US10744146B2 (en) Composition having effects of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nditions or diseases caused by brain hypofunction
JP5697293B2 (ja) 器質的脳障害に起因する高次脳機能の低下に対する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AU2004224513B2 (en) Use of arachidonic acid for normalization of infradian rhythm
JP5496163B2 (ja) 脳機能の低下に起因する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