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429A -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429A
KR20220161429A KR1020227037699A KR20227037699A KR20220161429A KR 20220161429 A KR20220161429 A KR 20220161429A KR 1020227037699 A KR1020227037699 A KR 1020227037699A KR 20227037699 A KR20227037699 A KR 20227037699A KR 20220161429 A KR20220161429 A KR 20220161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mpathy
composition
long
unsaturated fa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노리 도쿠다
미카 다가시로
도시아키 스에야스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2Arachid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할 수 있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제용 조성물, 및,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기 위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의 용도 등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일상 생활을 통하여, 각 개인이 속한 사회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 때문에, 사회성의 유지·향상은 사람들의 생활의 질(QOL/Quality Of Life)을 높이며, 풍부한 인생의 창조로 이어진다. 타인과 관계성의 구축이나 외부 환경에의 접촉 빈도의 증가 등의 양호한 사회성은, 개개인이 갖는 타인에 대한 우호성이나 공감력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된다.
실제로 공감력이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부여하는 것이 역학 연구에 의해 보고되어 있고(비특허문헌 1), 타인에 대한 우호성이나 공감력의 개선이, 사회성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우호성이나 공감력은 주의, 기억, 수행 기능 등과는 다른 능력이며, 뇌 기능의 일종이라고 생각된다. 뇌는 수분을 제외하면 약 6할이 지질로 구성된 장기로서, 뇌세포의 세포막(인지질)을 구성하는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아라키돈산과 도코사헥사엔산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들 아라키돈산과 도코사헥사엔산은 동물 체내에서는 드 노보 합성할 수 없어,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의 전구체가 되는 리놀레산, α-리놀렌산)으로 식사로부터 섭취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과 같이, 뇌 기능의 저하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갖는 조성물로서, 아라키돈산 및/또는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억·학습 능력의 저하, 인지 능력의 저하, 감정 장애(예컨대, 우울병), 지적 장애(예컨대, 인지증,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형 치매, 뇌혈관성 치매)에 대한 개선 효과는 나타나 있지만, 우호성이나 공감력에 대한 효과는 전혀 실증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특허문헌 2에서는, n-3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경구 영양 보조 식품의 집학적 치료 중인 폐암 환자의 QOL 및 기능 상태에의 영향이 개시되어 있다(DISCUSSION). 또한, 비특허문헌 3에서는, 뇌에서 가장 풍부한 지방산인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뇌와 망막의 성장과 발달에 불가결하며, 출산 전후기의 임부가 어유 서플리먼트(도코사헥사엔산과 에이코펜타엔산을 포함함)를 섭취하는 것은, 4개월의 유아의 커뮤니케이션 도메인에 있어서의 신경 발달에 유용하다고 개시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4에서는,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는, 사회적 인지에 관련된 피질의 기능 결합성이 저하한 신경 발달 장애이며, 아라키돈산(ARA) 및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뇌 네트워크의 성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개시하고, DHA 및 ARA의 섭취가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사람의 사회 상호 작용의 장애를 개선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5에서는, 장쇄 오메가3 지방산은, 인지 우울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는, 우호성이나 공감력에 대한 효과는 전혀 실증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종래부터 연구되고 있다. 한편,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섭취에 의한 우호성이나 공감력에 대한 효과는 전혀 실증되어 있지 않으며, 아직 불명한 점이 많다.
또한, 비특허문헌 6에 의하면, 운동에 의한 사회 기능의 개선이 나타나 있지만, 운동에 의한 우호성이나 공감력에 대한 효과는 전혀 실증되어 있지 않으며, 불명하였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36214호 공보
비특허문헌 1: Aging & Mental Health Vol.12, No.4, July 2008, 499-503 "Empathy and social functioning in late adulthood" 비특허문헌 2: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2012) 66, 399-404, "Oral nutritional supplements containing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ffect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status in lung cancer patients during multimodality treatment: an RCT" 비특허문헌 3: Eur J Nutr(2018) 57: 2387-2397, "The effect of perinatal fish oil supplementation on neurodevelopment and growth of infa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비특허문헌 4: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Volume 32, Number 2, April 2012, "Effects of Large Doses of Arachidonic Acid Added to Docosahexaenoic Acid on Social Impairment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비특허문헌 5: JACC: HEART FAILURE VOL.6, NO.10, 2018 "Long-Chain Omega-3 Fatty Acid Supplements in Depressed Heart Failure Patients" 비특허문헌 6: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2005 Vol.51 "Effects of a water-based program on women 65 years and ov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본 발명은 사회 생활에 있어서 특히 사람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할 수 있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조성물,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1〕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2〕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1〕에 기재된 조성물.
〔3〕상기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성물.
〔4〕상기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인 상기 〔3〕에 기재된 조성물.
〔5〕상기 아라키돈산, 상기 도코사헥사엔산 및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함유 중량비가, 상기 아라키돈산 1에 대하여, 상기 도코사헥사엔산이 0.01∼500이고,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이 0.01∼500인 상기 〔4〕에 기재된 조성물.
〔6〕상기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은, POMS2(상표)에 의해 평가되는 것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7〕상기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은, POMS2(상표)의 「우호」 척도에 의해 평가되는 것인 상기 〔6〕에 기재된 조성물.
〔8〕운동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9〕조성물이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0〕식품 조성물로서,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또는 고령자용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조성물.
〔11〕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는 방법.
〔12〕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기 위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르면,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하, LCPUFA라고도 함)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은,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여기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LCPUFA)의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탄소수 20 이상의 LCPUFA의 에스테르체, 비닐에테르체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20 이상의 LCPUFA가 결합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나, 가수 분해에 의해 탄소수 20 이상의 LCPUFA를 분리 가능하게 하는(생성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되는 상기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탄소수가 20 이상이며, 2개 이상의 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지방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에이코사디엔산, 에이코사트리엔산, 에이코사테트라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디엔산, 도코사트리엔산, 도코사테트라엔산, 도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테트라코사디엔산, 테트라코사트리엔산, 테트라코사테트라엔산, 테트라코사펜타엔산, 테트라코사헥사엔산, 및 아라키돈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유도체로서는,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결합한 구조를 갖는 모든 화합물, 및, 가수 분해에 의해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분리 가능하게 하는 모든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예컨대,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인 경우는,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이 결합한 구조를 갖는 모든 화합물, 및, 가수 분해에 의해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을 분리 가능하게 하는 모든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결합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가수 분해에 의해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분리 가능하게 하는 화합물에는,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염류, 예컨대 칼슘염, 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에스테르, 예컨대 아라키돈산메틸에스테르, 도코사헥사엔산에틸에스테르, 에이코사펜타엔산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체로서, 그 구성 지방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리드, 인지질, 게다가 당지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이들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경우, 식품에의 적응을 고려한 경우에는,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트리글리세리드나 인지질의 형태, 특히 트리글리세리드의 형태의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유도체로서, 그 구성 지방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트리글리세리드(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로서는,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전체 지방산 중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5 중량(w/w)%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인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식품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한 형태가 된다.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의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아라키돈산의 유도체로서, 예컨대,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산생하는 능력을 갖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진 것(미생물 발효 유지)이면 전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코사헥사엔산 및/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유도체로서, 예컨대, 도코사헥사엔산 및/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을 함유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청어 등의 어유나 농축 어유이면 전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복수종 있는 경우,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로서는,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전체 지방산 중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합계의 비율이 5 중량(w/w)%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인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식품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한 형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상기 아라키돈산, 상기 도코사헥사엔산 및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의 함유 중량비가, 상기 아라키돈산 1에 대하여, 상기 도코사헥사엔산이 0.01∼500이고,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이 0.01∼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 중량비는, 상기 아라키돈산 1에 대하여, 상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이, 각각 0.05∼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이, 각각 0.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이며, 상기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은, POMS2(Profile of Mood States 2nd Edition)에 의해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OMS2는, 멀티-헬스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Multi-Health Systems Inc.)의 미등록 상표이다. 또한, 심리 검사에는, 성인용이나 청소년용과 같이 대상이 되는 모집단에 따라 검사 방법이 다른 것이나, 전항목판이나 단축판과 같이 검사 시의 질문 항목수가 다른 것이 있는데, 대상의 상황에 따라 검사 방법이나 질문 항목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OMS2에서는, 「긴장-불안(Tension-Anxiety; TA)」, 「우울-실의(Depression-Dejection; D)」, 「분노-적의(Anger-Hostility; AH)」, 「활기-활력(Vigor Activity; VA)」, 「피로-무기력(Fatigue-Inertia; FI)」, 「혼란-당혹(Confusion-Bewilderment; CB)」, 및 「우호(Friendliness; F)」의 인자가 측정된다.
POMS2로서는, 「POMS2 성인용 전항목판(Profile of Mood States 2nd Edition-Adult; POMS 2-A)」이나 「POMS2 성인용 단축판(Profile of Mood States 2nd Edition-Adult Short; POMS 2-A 단축판)」(원저: Heuchert, J.P. et al. 일본어판: 요코야마 가즈히토 번역감수, 가네코쇼보, 2015년)을 들 수 있다.
「POMS2 성인용 전항목판」, 「POMS2 성인용 단축판」, 「POMS2 청소년용 전항목판」 및 「POMS2 청소년용 단축판」을 이용한 기분의 평가는, 질문 용지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의 하나이다. POMS2는 세계 각국에서 그 평가의 타당성이 확인되어 있고, 의약품, 식품, 운동, 릴랙세이션 등을 통해 발생하는 기분 변화의 파악에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에서는, 상기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POMS2 성인용 전항목판」 및 「POMS2 성인용 단축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OMS2 성인용 전항목판」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OMS2 성인용 전항목판」에는, 「우호」의 인자의 측정에 대응하여, (1) 사람들과의 사귐이 즐겁다, (2) 타인을 배려한다, (3) 동정한다, (4)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든다, (5) 타인을 따뜻하게 대할 수 있다, (6) 타인을 신뢰한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1)∼(6)의 질문 항목 중, (1)∼(4)는, 공감력에 관한 질문 항목이며, 우호성 및 공감력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OMS2의 「우호」 인자는, 타인에 대하여 신뢰감이나 배려가 있는 기분의 상태를 나타내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우호성 개선」은, POMS2에 의해 평가되는 「우호」의 수치가 향상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감력 개선」이란, POMS2의 「우호」를 측정할 때의 질문 항목 (1) 사람들과의 사귐이 즐겁다, (2) 타인을 배려한다, (3) 동정한다, 및 (4)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든다,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회답 수치가 향상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회성이란, 집단을 만들어 생활하고자 하는 성질, 두문불출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의 사람들과 교제하고자 하는 생활 태도(사교성)와 같이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회성」은, 주위의 사람들과 교제하고자 하는 생활 태도(사교성)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타인의 방문, 클럽 등의 지역 활동에의 참가, 사람을 만나 대화나 외식을 하는 등의 사회적 활동의 빈도가 향상하는 것을 사회성 향상으로 표현한다. 또한, 사회성의 향상은, 사회성을 유지하는 것, 사회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비특허문헌 1 등의 최근의 연구에 의해, 공감이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부여하는 것이 역학 연구에 의해 보고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이 개선되는 것은, 사회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으로 이용되는 것이지만, 운동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과 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운동이란, 예컨대, 조깅, 워킹, 체조,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 운동; 스쿼트, 벤치 프레스, 사이드 레이즈, 로잉, 커프 레이즈, 싯업 등 근육량이나 근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레지스턴스 운동; 유연 운동(스트레치)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산소 운동, 레지스턴스 운동 및 유연 운동의 2종 이상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산소 운동 및 레지스턴스 운동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산소 운동, 레지스턴스 운동 중 적어도 한쪽 및 유연 운동(스트레치)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고, 유산소 운동, 레지스턴스 운동 및 유연 운동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유연 운동은, 유산소 운동 및/또는 레지스턴스 운동의 전후 중 어느 한쪽, 또는 전후의 양방에서 실시되면 좋다.
상기 운동의 빈도 및 운동 시간은, 예컨대, 1주일에 1일 이상, 1일당 1회 5분 이상(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주일에 2일 이상, 1일당 1회 5분 이상(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주일에 3일 이상, 1일당 1회 5분 이상(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주일에 5일 이상, 1일당 1회 5분 이상(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이다. 또한, 대상자, 운동의 종류 및/또는 운동의 조합에 따라, 상기 운동의 빈도 및/또는 운동 시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유산소 운동의 경우는, 1주일에 2∼5일, 1일당 1회 10∼60분 정도이면 좋고, 또한, 레지스턴스 운동의 경우는, 1주일에 1∼3일, 1일당 1회 10∼60분 정도이면 좋고, 유연 운동의 경우는, 1주일에 1∼7일, 1일당 1회 5∼30분 정도이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조합되는 운동의 강도는, 2.0 METs(예컨대, 보행/매우 천천히/1715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3 METs(예컨대, 스트레치/여유롭게/021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METs(예컨대, 레지스턴스 웨이트 트레이닝/0205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운동의 부하는 대상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운동의 강도는, 「개정판 신체 활동의 멧츠표((독)국립 건강·영양 연구소 2012)」를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 조성물로서는, 예컨대, 일반 식품 외에,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미숙아용 조제유, 유아용 조제유, 유아용 식품, 임산부 식품 또는 고령자용 식품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또는 고령자용 식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으로서는, 유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고기, 생선, 또는 넛츠 등의 본래 유지를 포함하는 천연 식품, 스프 등의 조리 시에 유지를 가하는 식품, 도넛 등의 열 매체로서 유지를 이용하는 식품, 버터 등의 유지 식품, 쿠키 등의 가공 시에 유지를 가하는 가공 식품, 혹은 하드 비스킷 등의 가공 마무리 시에 유지를 분무 또는 도포하는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지를 포함하지 않는, 농산 식품, 발효 식품, 축산 식품, 수산 식품, 또는 음료에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의 형태여도 상관없고, 예컨대, 경장 영양제, 분말, 과립, 트로키, 내복액, 현탁액, 유탁액, 시럽 등의 가공 형태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과, 이들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 작용 또는 그 작용에 기초한 작용을 갖는 취지의 표시를 붙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로서, 인지적 공감력의 유지·향상, 정동적 공감력의 유지·향상, 사람과의 사귐이 즐겁다, 타인을 배려한다, 동정한다,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든다, 타인에게 따뜻하게 대할 수 있다, 타인을 신뢰한다, 동정의 유지·향상, 사회 참여 의욕의 유지·향상, 사회성의 유지·향상, 커뮤니케이션력의 유지·향상, 경청력의 유지·향상, 대화력의 유지·향상 등이 붙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 성분으로서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과, 이들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지만, 이 외에, 일반적으로 음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에 이용되는 각종 담체나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상기 유효 성분의 산화를 막을 목적으로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산화제로서, 예컨대, 토코페롤류, 플라본 유도체, 필로둘신류, 코지산, 몰식자산 유도체, 카테킨류, 푸키산(Fukiic acid), 고시폴, 피라진 유도체, 세사몰, 구아이아콜, 구아이아콜산, p-쿠마린산,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 스테롤류, 테르펜류, 핵산 염기류, 카로티노이드류, 리그난류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 및 아스코르브산팔미트산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모노-t-부틸히드로퀴논(TBHQ), 4-히드록시메틸-2,6-디-t-부틸페놀(HMBP)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를 들 수 있다.
토코페롤류로서는,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토코페롤 및 토코페롤에스테르(아세트산토코페롤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로티노이드류로서는, 예컨대, β-카로틴, 칸타크산틴, 아스타크산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각종 캐리어 담체, 익스텐더제, 희석제, 증량제, 분산제, 부형제, 결합제 용매(예, 물, 에탄올, 식물유), 용해 보조제, 완충제, 용해 촉진제, 겔화제, 현탁화제, 밀가루, 쌀가루, 전분, 콘스타치, 폴리사카라이드, 밀크 단백질, 콜라겐, 미유(米油),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물로서는, 예컨대, 비타민류, 감미료, 유기산, 착색제, 향료, 습화 방지제, 파이버, 전해질, 미네랄, 영양소, 항산화제, 보존제, 방향제, 습윤제, 천연의 음식물 추출물, 야채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1일당의 섭취량은,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환산의 섭취량으로서, 성인(예컨대, 체중 60 ㎏으로서) 1일당, 0.001 g∼20 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g∼1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5 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g∼2 g이다. 특히,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합계 섭취량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실제로 음식품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식품에 배합하는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절대량도 중요해진다. 단, 음식품에 배합하는 절대량도, 배합하는 음식품의 섭취량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구성 지방산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식품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0.001 중량% 이상이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중량% 이상이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중량% 이상이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90 중량% 이하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5 중량% 이하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하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제 기술 분야에 있어서 관용의 방법, 예컨대,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방법 혹은 그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 중의 유효 성분의 배분량은,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적당한 배합 비율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투여 단위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투여 횟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성인(약 60 ㎏으로서) 1일당,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환산으로서, 통상 0.001 g∼2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g∼1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g∼2 g을 1일 1회∼3회로 분할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 작용을 갖는 음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예컨대,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또는 그 유도체를 단독으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음식품 원료에 배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음식품 원료는,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도 1일당의 섭취량이,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량 환산으로서, 0.001 g에 달하지 않는 음식품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대상(투여 대상이라고 할 수도 있음)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 동물 등에 적용할 수 있지만, 인간이 바람직하다. 적용 대상으로서는, 예컨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희망하는 또는 필요로 하는 대상,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희망하는 또는 필요로 하는 대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상으로서, 예컨대,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의 저하가 인정되는 건강한 성인, 건강한 중고령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고령자란, 40세 이상의 성인을 의미한다. 최근,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고령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건강 수명의 연장이나 일상 생활의 질(QOL)의 향상이 과제로 되어 있다. 예컨대, 고령자의 사회성 향상은, 고령자의 건강 수명이나 QOL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대상(투여 대상이라고도 할 수도 있음)으로서는, 건강한 고령자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령자란, 60세 이상의 성인이면 좋다.
본 발명은 이하의 용도 및 방법도 포함한다.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위한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의 용도.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위한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의 용도.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의 개선 방법.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통한 사회성의 향상 방법.
상기 용도 및 방법에 있어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 본 발명의 조성물, 이것을 투여하는 대상 및 이들의 바람직한 양태 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하다. 상기 용도 및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음식품, 의약품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도는, 치료적 사용이어도 좋고, 비치료적 용도이어도 좋다.
상기 방법은, 치료적인 방법이어도 좋고, 비치료적인 방법이어도 좋다.
비치료적이란, 의료 행위, 즉 인간의 수술, 치료 또는 진단을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학술문헌 및 특허문헌의 전부는,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시험 식품의 제작>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미생물을 통기 교반 배양하여 얻은 아라키돈산 함유 식용 유지(트리글리세리드)와 생선으로부터 채취된 DHA, EPA를 함유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조합하여, 아라키돈산(ARA), 도코사헥사엔산(DHA),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의 중량비가 6:15:5의 배합비가 되도록,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LCPUFA) 함유 유지를 제작하였다.
젤라틴 100 중량부 및 식첨 글리세린 30 중량부에 물을 더하여 50∼60℃에서 용해하여, 연캡슐 피막용 기재를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LCPUFA 함유 유지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캡슐 성형 및 건조를 행하여, 1알 180 ㎎의 내용물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고(1캡슐의 크기: 장직경 10.7 ㎜×단직경 7.0 ㎜), 6알당 ARA 120 ㎎, DHA 300 ㎎, EPA 100 ㎎이 되는 LCPUFA 함유 식품을 제작하였다. 임상 시험용의 대조 식품으로서, 내용물을 정제 올리브유로 한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였다. 산화 등의 열화를 막기 위해, LCPUFA 함유 식품과 대조 식품은 각각 6알씩 알루미늄 파우치로 낱개 포장되어, 임상 시험에 필요한 수가 준비되었다.
<임상 시험>
시험 참가 동의의 설명을 행하고, 동의를 얻은 60-79세의 건강한 고령자(운동 습관이 없음)를 대상으로 플라세보 대조 단순 맹검 병행군간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운동 없음+대조 식품(비교예 1), 운동 있음+대조 식품(비교예 2), 및, 운동 있음+LCPUFA 함유 식품(실시예 1)의 3군에 할당되어, 각각의 군에서 운동 및 시험 식품 섭취의 개입을 24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있음군에 있어서는, 30분간/일의 레지스턴스 운동(스쿼트, 벤치 프레스, 사이드 레이즈, 로잉, 커프 레이즈, 싯업을 각각 약 10 RM으로 3-5셋트)을 주 2일간과 30분간/일의 유산소 운동(워킹, 12-13 RPE)을 주 3일간 실시시켰다. 어느 운동도 주운동의 전후에 워밍업과 쿨다운의 유연 운동(스트레치)을 실시시켰다. 운동 없음군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운동 개입을 실시하지 않고, 일상 생활에 따른 행동만을 하도록 하였다. 시험 식품(대조 식품 또는 LCPUFA 함유 식품)은 1일 6캡슐을, 충분한 양의 물 또는 미지근한 물과 함께 섭취시켰다. 기분 상태의 평가는 세계 각국에서 타당성이 확인되어 있는 Profile of Mood States 2(POMS2)를 개입의 전후에 실시하여, 기분 상태에 대한 개입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POMS2에는 7개의 하위 척도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우호」는 「사람들과의 사귐이 즐겁다」, 「타인을 배려한다」, 「동정한다」,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든다」, 「타인에게 따뜻하게 대할 수 있다」, 「타인을 신뢰한다」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우호성이나 공감력을 평가할 수 있다.
<해석 결과>
개입이 완료된 해석 대상자는 각각 운동 없음+대조 식품군: 28명, 운동 있음+대조 식품군: 27명, 운동 있음+LCPUFA 함유 식품군: 21명이었다. POMS2에 의한 「우호」에 대한 검사의 결과(T 득점)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검사의 결과는, POMS2의 「우호」에 관한 질문에 대한 개수의 소득점의 합계를, 성·연령별로 표준화된 환산표와 대조하여 산출된 득점이며(T 득점), 50점이 평균값이 된다. 개입 전의 평균값±표준 오차는, 운동 없음+대조 식품군이 50.9±1.8점, 운동 있음+대조 식품군이 51.8±2.4점, 운동 있음+LCPUFA 함유 식품군이 47.7±2.1점이고, 3군 사이에 유의차는 없었다. 개입 전후의 변화에 관해서는, 운동 없음+대조 식품군 및 운동 있음+대조 식품군에서는 현저한 변화는 없어, POMS2에 의해 평가되는 「우호」에 대하여, 운동에 의한 현저한 개선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운동 있음+LCPUFA 함유 식품군에 있어서는 6.6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LCPUFA를 섭취한 군만 동지표의 개선이 인정되었기 때문에, 우호성·공감력에 대한 LCPUFA 섭취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1
상기 결과는,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었다.(운동 없음+대조 식품군: n=28, 운동 있음+대조 식품군: n=27, 운동 있음+LCPUFA 함유 식품군: n= 21)
a) 3군 사이에서 유의차 없음(일원 배치 분산 분석)
b) 개입 전과 비교하여 유의차 있음(** p<0.01 대응이 있는 t 검정)

Claims (12)

  1.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을 통한 사회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아라키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키돈산, 상기 도코사헥사엔산 및 상기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함유 중량비가, 상기 아라키돈산 1에 대하여, 상기 도코사헥사엔산이 0.01∼500이고,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이 0.01∼500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은, POMS2(상표)에 의해 평가되는 것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은, POMS2(상표)의 「우호」 척도에 의해 평가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동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또는 고령자용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는 방법.
  12.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을 개선하기 위한, 탄소수 20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의 용도.
KR1020227037699A 2020-04-01 2021-03-26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1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65996 2020-04-01
JPJP-P-2020-065996 2020-04-01
PCT/JP2021/012999 WO2021200698A1 (ja) 2020-04-01 2021-03-26 友好性及び/又は共感力改善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429A true KR20220161429A (ko) 2022-12-06

Family

ID=7792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699A KR20220161429A (ko) 2020-04-01 2021-03-26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129405A4 (ko)
JP (1) JPWO2021200698A1 (ko)
KR (1) KR20220161429A (ko)
CN (1) CN115315198A (ko)
AU (1) AU2021249347A1 (ko)
TW (1) TW202203905A (ko)
WO (1) WO2021200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5294B (zh) * 2023-02-07 2023-05-26 北京三元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评价婴幼儿沟通能力和发育状况的标志物组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6214A (ja) 2011-10-19 2012-02-23 Suntory Holdings Ltd 脳機能の低下に起因する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7855B2 (ja) * 2005-06-30 2016-08-1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日中活動量の低下および/又はうつ症状の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WO2011115476A1 (en) * 2010-03-17 2011-09-22 N.V. Nutricia Infant nutrition for improving fatty acid composition of brain membranes later in lif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6214A (ja) 2011-10-19 2012-02-23 Suntory Holdings Ltd 脳機能の低下に起因する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Aging & Mental Health Vol.12, No.4, July 2008, 499-503 "Empathy and social functioning in late adulthood"
비특허문헌 2: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2012) 66, 399-404, "Oral nutritional supplements containing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ffect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status in lung cancer patients during multimodality treatment: an RCT"
비특허문헌 3: Eur J Nutr(2018) 57: 2387-2397, "The effect of perinatal fish oil supplementation on neurodevelopment and growth of infa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비특허문헌 4: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Volume 32, Number 2, April 2012, "Effects of Large Doses of Arachidonic Acid Added to Docosahexaenoic Acid on Social Impairment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비특허문헌 5: JACC: HEART FAILURE VOL.6, NO.10, 2018 "Long-Chain Omega-3 Fatty Acid Supplements in Depressed Heart Failure Patients"
비특허문헌 6: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2005 Vol.51 "Effects of a water-based program on women 65 years and ov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00698A1 (ko) 2021-10-07
WO2021200698A1 (ja) 2021-10-07
CN115315198A (zh) 2022-11-08
EP4129405A4 (en) 2024-04-24
EP4129405A1 (en) 2023-02-08
TW202203905A (zh) 2022-02-01
AU2021249347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7010B2 (ja) 脂質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344053B1 (ko) 기질적인 뇌 장애에 기인하는 고차 뇌기능 저하를 개선하기위한 조성물
RU2670880C9 (ru) Источник жиров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Elson et al. Tropical oils: nutritional and scientific issues
US8975299B2 (en) Lipid mixture for infant nutrition
Wu et al. Dual functions of eicosapentaenoic acid-rich microalgae: enrichment of yolk with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partial replacement for soybean meal in diet of laying hens
Feng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dietary microalgae oil and fish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nsory quality of table eggs
Asif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potentia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KR20050055726A (ko) 아라키돈산을 단독으로 또는 도코사헥사엔산과의 조합으로함유하는 인지 능력 향상용 조성물
CN101810226A (zh) 一种脂肪酸组分平衡并含有多种活性成分的儿童型营养调和油
de Lorgeril et al. The Mediterranean diet in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KR20220161429A (ko) 우호성 및/또는 공감력 개선용 조성물
WO2011080982A1 (ja) うつ病又はうつ状態の予防又は治療用油脂組成物
Li Overview of dietary lipids and human health
CN107372861B (zh) 一种组合物及其在制备改善高血脂症的产品中的应用
KR100684641B1 (ko) 유지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JP5735576B2 (ja) コエンザイムq10を含有する組成物
JP2019522485A (ja) ヒトの血漿中におけるオメガ−3多価不飽和脂肪酸レベルを増加させる方法
JP2012082226A (ja) 皮膚疾患経口治療または予防剤
Kusich A functional application of the Gut-Brain Axis: a proposed Nutrition interventio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JP5870181B1 (ja) 血清コレステロール値及び/又は血中脂質値の改善剤
RU2211043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форм и обогащ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способствующая коррекции нарушений липидного обмена,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атеросклероза
JP2016135797A (ja) 皮膚疾患経口治療または予防剤
DEGE Importance of Functional Foods
Michel de Lorgeril et al. The Mediterranean diet in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