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107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107A
KR20080027107A KR1020070009268A KR20070009268A KR20080027107A KR 20080027107 A KR20080027107 A KR 20080027107A KR 1020070009268 A KR1020070009268 A KR 1020070009268A KR 20070009268 A KR20070009268 A KR 20070009268A KR 20080027107 A KR20080027107 A KR 20080027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in
electronic device
support fram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255B1 (ko
Inventor
도모유끼 나가미네
데쯔야 호리
시게루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 각도로 고정되는 하우징부의 고정 정밀도의 향상이다.
지지 프레임부[가동 아암부(8)]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회전 모듈(12)]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하우징부[(가동측 하우징부(6)]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로부터 이격시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로크 상태로 유지하는 회전 로크 기구(60)를 구비한 구성이다.
가동 아암부, 회전 모듈, 회전 로크 기구, 휴대 단말 장치, 스톱퍼 기구, 힌지 기구

Description

전자 기기 {ELECTRONIC APPARATUS}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휴대 단말 장치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은 휴대 단말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4는 개방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측 회전(좌측 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배면측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측 회전(좌측 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8은 휴대 단말 장치의 회전 로크 기구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가동 아암부로부터의 회전 로크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로크핀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가동 아암부의 로크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회전 모듈 및 핀 결합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핀 결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회전 로크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회전 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각도와 하중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가동 아암부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스톱퍼 기구 및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스톱퍼 기구 및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스톱퍼 기구 및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회전 로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2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PC를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PC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휴대 단말 장치
4 : 고정측 하우징부
6 : 가동측 하우징부
8 : 가동 아암부(지지 프레임부)
10 : 힌지 기구
12 : 회전 모듈(회전 지지부)
16 : 표시부
60 : 회전 로크 기구
62 : 스톱퍼 기구
64 : 핀 결합부
66 : 로크핀
72 : 코일 스프링(탄성부)
118 : 홈부
114, 116 : 스톱퍼면
120, 122 : 스톱퍼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27449호 공보(요약, 도1 등)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13289호 공보(요약, 도2 등)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6893호 공보(요약, 도5 및 도11 등)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유닛부 등의 표시부가 회전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부를 탑재한 가동측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로크 가능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표시 유닛부가 회전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표시 유닛부를 회전에 의해 세로 길이로부터 가로 길이, 가로 길이로부터 세로 길이로 변화하는 경우에, 표시 유닛부를 소정의 표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표시 위치의 고정에는 기계적인 조작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회전 기구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2축 힌지의 회전 기구 및 그 회전 기구를 구비한 휴대 전화가 개시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 또는 회전축 지지 부재와 압접 부재 사이에 코일 스프링에 의한 하중을 작용시킴으로써, 미끄럼 이동 마찰 토크나 클릭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휴대 통신기의 배터리 유지 구조에 대해, 본체측에 휘어진 판 스프링을 돌출시켜 이 판 스프링이 인입되는 오목부를 회전 가능한 배터리측에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의 회전에 의해 배터리측의 오목부에 판 스프링을 착탈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절첩 가능한 본체에 회전 가능한 표시 유닛부를 세로 길이로부터 가로 길이로 또는 그 반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표시 유닛부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 그 해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2축 힌지를 이용한 회전 기구에 코일 스프링에 의한 하중을 작용시킴으로써, 미끄럼 이동 마찰 토크나 클릭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성(특허 문헌 1)에서는 하중이 힌지에 집중하고, 2축 힌지에서 지지된 부재의 고정 강도가 낮고, 또는 고정 강도가 변화되는 등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한, 판스프링과 오목부의 결합 구조(특허 문헌 2)는 구조가 간단한 반면 안정성이 결여된다. 또한, 회전 로크 설정이나 그 로크 설정을 해제하는 구조로서, 세로 길이(0도 위치) 및 가로 길이(90도 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세로 막대와 표시 유닛의 오목부에 삽입 각도를 유 지하는 등의 설정 구조(특허 문헌 3)에서는 조작성이 부족하다.
또한, 표시 유닛부와 아암부를 연결하는 회전 모듈 내부(캠 구조)로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회전 모듈의 유지 각도가 일정하지 않고(예를 들어, ±0.7도 정도의 편차가 있음), 폐쇄 상태에서의 고정부와 표시 유닛부의 임시적인 어긋남이 생기고, 개방 상태에서는 표시 화면에 경사가 생기는 등 고정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요구나 과제에 대해, 특허 문헌 1 내지 3에는 그 개시나 시사는 없고, 그것을 해결하는 구성 등에 대한 개시나 시사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각도로 고정되는 하우징부의 고정 정밀도의 향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부의 회전 조작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정 각도로 고정되는 하우징부의 고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각도로 고정되는 하우징부의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그 박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이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에 하우징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로부터 이격시켜 회전 로크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지지 프레임부와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로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와 회전 로크 기구를 다른 구성으로 하고 양자를 이격시키므로, 이격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 지지부측에서 하우징부를 소정의 회전 각도로 고정할 경우에 비해, 동일한 고정력이면 고정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어긋남 각도가 작아져 하우징부의 고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부에 대한 하우징부의 고정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부의 어긋남 각도를 작게 할 수 있어 소정 각도에서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전자 기기이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하우징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로부터 이격시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에 회전시켰을 때,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로크 상태로 유지하는 회전 로크 기구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면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밀착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로크 기구는 로크핀과, 이 로크핀에 결합하는 핀 결합부와, 상기 로크핀 또는 상기 핀 결합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과 상기 핀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로크 상태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 결합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 또는 상기 하우징부측에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을 상기 하우징부측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에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핀 결합부 및/또는 상기 로크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핀 결합부를 삽입하는 홈부를 상기 하우징부측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의 면내에 구비하고, 상기 핀 결합부에 대해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 반경 방향에 미끄럼 이동 바꾸게 하는 상기 로크핀을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 또는 상기 하우징부측의 내측에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 및/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 개시점 및 회전 종점에 스톱퍼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표시 유닛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개폐 기구를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고정측 하우징부에 대해 상기 개폐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부에 미끄럼 이동 시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톱퍼 기구는 홈부와 핀 결합부로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 및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휴대 단말 장치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은 휴대 단말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4는 개방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배면측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 장치(2)는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복수의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이며,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로서 고정측 하우징부(4)와, 제2 하우징부로서 가동측 하우징부(6)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측 하우징부(4)에는 지지 프레임부로서의 가동 아암부(8)가 개폐 기구인 힌지 기구(10)에 의해 설치되고, 또한 가동 아암부(8)에는 회전 지지부로서의 회전 모듈(12)을 설치되고, 이 회전 모듈(12)에 가동측 하우징부(6)가 고정되고, 가동측 하우징부(6)는 회전 모듈(12)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고정측 하우징부(4)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키나 커서 키 등의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사용자 조작부(14) 등이 설치되고, 또한 가동측 하우징부(6)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유닛으로서 표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2)에 따르면, 가동부로서 힌지 기구(10) 및 회전 모듈(12)을 구비함으로써, 가동측 하우징(6)을 가동 아암부(8)와 함께 개폐시키고, 또는 가동측 하우징부(6)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하우징부(6)는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가동 아암부(8)와 함께 폐쇄하고, 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아암부(8) 및 가동측 하우징부(6)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이르는 도중에서 정지 및 유지시킬 수도 있다. 도3에 도시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 a는 가동측 하우징부(6)의 중심선에 일치하는 중심 고정 위치(좌우 회전 개시점), b는 가동측 하우징부(6)의 우측 고정 위치(우측 회전 종점), c는 가동측 하우징부(6)의 좌측 고정 위치(좌측 회전 종점)이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하우징부(6)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중심 고정 위치(a)로부터 화살표 A의 방향(우측)에 우측 고정 위치(b)까지 회전시켜서 고정하고, 또는 중심 고정 위치(a) 또는 우측 고정 위치(b)로부터 화살표 B의 방향(좌측)에 좌측 고정 위치(c)까지 회전시켜 고정하고,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L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측 하우징부(6)는 좌우의 회전 종점(b, c)에 이르는 도중에서 회전 모듈(12)이 갖는 정지 토크에 의해 정지시켜 그 정지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가동측 하우징부(6)의 중심 고정 위치(a)(좌우 회전 개시점)에 대해, 가동측 하우징부(6)의 우측 고정 위치(b)(우측 회전 종점), 가동측 하우징부(6)의 좌측 고정 위치(c)(좌측 회전 종점)가 설정되어 있다. 즉, 가동측 하우징부(6)는 가동 아암부(8)측에 회전 모듈(12)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고정 위치(a)로부터 화살표 A의 방향(우측)에 우측 고정 위치(b)까지 회전시켜 고정하고, 또는 중심 고정 위치(a)로부터 화살표 B의 방향(좌측)에 좌측 고정 위치(c)까지 회전시켜 고정하고,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L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또한 가동측 하우징부(6)는 좌우의 회전 종점(b, c)에 이르는 도중에서, 회전 모듈(12)이 갖는 정지 토크에 의해 정지시켜 그 정지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조작에 의해, 고정측 하우징부(4)의 배면측으로부터 가동측 하우징부(6)에 있는 표시부(16)의 표시 내용을 볼 수 있다.
다음에, 이 휴대 단말 장치(2) 및 회전 로크 기구에 대해,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휴대 단말 장치(2)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에 있어서, 도1 내지 도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휴대 단말 장치(2)의 구조 및 회전 로크 구조는 지지 프레임부로서의 가동 아암부(8)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회전 로크 기구의 일례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아암부(8)에 회전 모듈(12)을 개재하여 가동측 하우징부(6)가 설치되고, 이 가동측 하우징부(6)를 소정 각도로 로크시키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측 하우징부(4)는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18)와 고정측 후방 케이스부(19)를 구비하고,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18)의 길이 방향의 모서리부측에는 힌지 기구(10)의 베어링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20)에는 베어링 구멍(22)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측 후방 케이스부(19)에는 고정측 기판 등이 탑재되어 있다.
가동측 하우징부(6)는 가동측 전방 케이스부(23)와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24)를 구비하고,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24)의 원형부(26)측에는 회전 모듈(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모듈(12)의 주위부에는 환형의 미끄럼 이동 시트(30) 가 설치된다. 이 미끄럼 이동 시트(30)는 가동 아암부(8)의 미끄럼 이동면의 윤활성을 유지하여 덜걱거림을 방지하고 있다. 가동측 전방 케이스부(23)에는 가동측 기판 등이 탑재되어 있다.
가동 아암부(8)는 아암부(32)와 아암 커버부(34)를 구비한다. 아암부(32)의 원형부(36)측에는 전술한 회전 모듈(12)과 함께 가동측 하우징부(6)의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24)가 고정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복수의 나사(38)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아암부(32)에는 힌지 기구(10)의 베어링부(40, 42)가 형성되고, 각 베어링부(40, 42)의 간격(44) 내에 고정측 하우징부(4)의 베어링부(20)가 삽입된다. 베어링부(40)에는 고정측 하우징부(4)의 베어링부(20)에 도달하는 힌지축으로서의 힌지 모듈(46)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또한 베어링부(42)에도 힌지축으로서의 힌지 모듈(48)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힌지 모듈(48)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을 삽통시키기 위해 케이블 가이드로서 구성해도 좋다.
아암 커버부(34)는 아암부(32)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50)와, 각 베어링부(40, 42)를 덮는 피복부(52, 54)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50)는 아암부(32)에 접합되어 아암부(32)의 상면을 보호하고, 피복부(52, 54)는 각 베어링부(40, 42)의 주위벽부를 덮고, 각 베어링부(40, 42)를 보강하여 보호한다.
힌지 기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하우징부(4)의 베어링부(20)와, 가동 아암부(8)의 베어링부(40, 42)와, 힌지 모듈(46, 48)을 갖고 구성되고, 고정측 하우징부(4)에 가동 아암부(8)를 개폐 가능(본 실시 형태에서는, 180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회전 모듈(12)은 가동 아암부(8)에 가동측 하우 징부(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측 하우징부(6)를 회전 모듈(12)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아암부(8), 가동 아암부(8) 상에서 회전 모듈(12)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가동측 하우징부(6)에는 가동측 하우징부(6)의 좌우 허용 회전각 90도의 중심 위치, 즉 0도 위치를 결정하는 회전 로크 기구(60)와, 좌우 허용 회전각 90도의 회전 범위를 결정하는 스톱퍼 기구(62)(도1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로크 기구(60)의 핀 결합부(64)가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24)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핀 결합부(64)는 회전 모듈(12)로부터 외측에서 미끄럼 이동 시트(30)의 내측에 설치되고,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24)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다. 핀 결합부(64)와 결합하는 로크핀(66)은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32)에 설치되고,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아암부(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회전 로크 기구(60)에 대해, 도8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은 휴대 단말 장치의 회전 로크 기구(60)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가동 아암부(8)로부터의 회전 로크 기구(60)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로크핀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가동 아암부(8)의 로크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회전 모듈 및 핀 결합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핀 결합부(스톱퍼 기구의 스톱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회전 로크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회전 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가동측 하우징부(6)의 각도와 하중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4에 있어서, 도1 내지 도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회전 로크 기구(60)는 가동 아암부(8)에 회전 모듈(12)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가동측 하우징부(6)를 고정측 하우징부(4)에 일치하는 위치, 즉 중심 고정 위치(a)에 고정하여 보유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여기서, 가동측 하우징부(6)를 가동 아암부(8)에 고정 및 유지시키는 것은 사용자에게 그 위치가 기준 위치인 것을 인식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회전하는 의사를 갖고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이동하지 않는 정도의 유지 상태이며, 이동을 허가하지 않는 등의 로크 상태를 한정한 것은 아니다. 통상의 회전 조작을 위한 부하 및 개폐 조작에서는 회전하지 않는 정도의 유지를 상정하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하우징부(6)를 고정측 하우징부(4)에 일치하는 위치, 즉 중심 고정 위치(a)에 고정하여 유지시키기 위해, 가동 아암부(8)에 고정된 회전 모듈(12)의 회전 중심을 일관하는 가상 중심축(68) 상에 회전 로크 기구(60)를 설치하고 있다. 중심 고정 위치(a)에 가동 하우징부(6)를 고정하는 것으로 하면, 회전 로크 기구(60)를 중심축(68) 상에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회전 로크 기구(60)의 핀 결합부(64)를 스톱퍼 기구(62)에 공용하고 있고, 스톱퍼 기구(62)가 좌우의 동일한 회전 각도(실시 형태에서는 90도)의 위치에서 회전 저지를 하기 위해 중심축(68) 상에 설정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32)에는 회전 모듈(12)의 중심축 방향에 긴변부를 갖는 장방 형상의 가이드 구멍(7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70)에 로크핀(66)이 회전 모듈(12)의 중심축 방향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 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로크핀(66)과 아암부(32) 사이에는 탄성부로서 코일 스프링(72)이 설치되어 있다. 즉, 로크핀(66)은 코일 스프링(72)의 복원력을 받음으로써 회전 모듈(12)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로크핀(66)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본체부(74)의 배면측에 전술한 가이드 구멍(7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직사각형상의 슬라이드부(76)를 구비하고, 핀 본체부(74)에는 슬라이드부(76)의 정부와 거의 동등한 높이를 갖는 원호형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핀 선단부(78)가 중심축 상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핀 본체부(74)의 중심축 상에는 가이드 축(8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축(80)에 코일 스프링(72)이 장착되어 있다. 핀 선단부(78)을 중심에 핀 본체부(74)의 양측에는 아암부(82, 84)가 형성되어 있고, 각 아암부(82, 84)는, 예를 들어 L자 형상이며, 그 하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시킨 스톱퍼부(86)를 구비한다. 이 로크핀(66)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로크핀(66)에 있어서, 슬라이드부(76)의 폭(w)은 가이드 구멍(70)의 폭[d(> w)]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부(76)는 가이드 구멍(70)에 안내되고, 로크핀(66)을 가이드 구멍(70)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로크핀(66)에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72)의 복원력과, 핀 결합부(64)의 접촉에 따라 이동한다.
이 로크핀(66)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아암부(8)의 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핀(66)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미끄럼 이동 기구(88)를 상세하게 서술하면,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32) 내에 로크핀(66)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미끄럼 이동 홈(90)이 가이드 구멍(70)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홈(90)에는 아암부(82, 84)에 대응하는 가이드홈(92, 9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92, 94)의 천정측에는 스톱퍼부(86)에 대응하고, 로크핀(66)의 상방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부(9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핀(66)의 가이드 축(80)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72)은 로크핀(66)의 핀 본체부(74)와 아암부(32)의 바닥면부(98) 사이에 구속되어 있다. 즉, 로크핀(66)이 도면 중의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즉 핀 결합부(64)의 결합이 개시되면 코일 스프링(72)은 압축되고, 그 복원력이 로크핀(66)에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복원력이 회전 로크 기구(60)의 회전을 저지하는 유지력으로 이용된다.
이 로크핀(66)과 결합하는 핀 결합부(64)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하우징부(6)의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24)의 중심축 상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모듈(1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충분히 이격한 위치이며, 주회하는 미끄럼 이동 시트(30)의 내측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결합부(64)는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24)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이며, 베이스부(100)와 핀 접촉부(102)를 구비하고, 베이스부(100)는 원호형이며, 핀 접촉부(102)의 수직 투영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핀 접촉부(102)에는 그 중앙에 로크핀(66)을 삽입시키는 원호형의 움푹패인 오목부(10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04)를 끼워 원호형의 돌기부(106, 108) 및 경사부(110, 112)가 베이스부(100)의 전방 모서리보다 후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핀 접촉부(102)의 오목부(104), 돌기부(106, 108) 및 경사부(110, 112)는 중심축 상에 좌우 대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 대상으로 하는 것은 가동측 하우징부(6)가 중심축을 끼워 좌우 90도로 회전하고, 그 중심부에서 로크 상태 및 조작감을 얻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회전 로크 기구(60)를 구비하면, 고정측 하우징부(4)에 가동측 하우징부(6)를 일치시킨 위치에서는 핀 결합부(64)의 오목부(104)에 로크핀(66)이 끼워 넣어지고, 로크핀(66)에는 압축 상태에 있는 코일 스프링(72)으로부터 복원력이 작용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72)의 복원력에 따른 하중에 의해 로크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가동측 하우징(6)에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로크핀(66)은 핀 결합부(64)의 돌기부(106, 108)측에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72)은 보다 압축 상태가 높아진다. 이로 인해, 그 코일 스프링(72)으로부터 큰 복원력이 작용되므로, 핀 결합부(64)와 로크핀(66) 어느 사이의 하중이 커진다. 이 결과, 가동측 하우징부(6)의 회전은 그 하중을 초과하는 회전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한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가동측 하우징부(6)를 회전시켜 고정측 하우징부(4)의 중심 위치로 이동시켰을 경우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결합부(64)와 로크핀(66)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고, 핀 결합부(64)로 로크핀(66)이 맞지 않던 위치(P1)에서는 코일 스프링(72)은 개방 상태가 되는 데 반해, 핀 결합부(64)의 경사부(110)에 로크핀(66)이 접촉하는 위치(P2)에서는 경사부(110)의 경사에 따라 코일 스프링(72)은 압축 상태가 증가되고, 핀 결합부(64)의 돌기부(106)에 로크핀(66)이 도달하는 위치(P3)에서는 코일 스프링(72)의 압축 상태는 가장 높아지고, 핀 결합부(64)의 오목부(104)에 로크핀(66)이 끼워 넣어진 위치(P4)에서는 코일 스프링(72)의 압축 상태는 위치(P3)보다 경감되지만, 개방 상태의 위치(P1)보다 높은 압축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가동측 하우징부(6)의 회전 위치에 따라 코일 스프링(72)의 복원력에 의한 하중이 핀 결합부(64)의 로크핀(66)측의 형상에 따라 변화되는 결과,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하우징부(6)에 작용하는 하중(F)은 가동측 하우징부(6)의 회전 각도에 의해 변화되고, 토크 변화와 로크 상태가 형성된다. 도15에 있어서, P4는 중심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각 위치(P1, P2, P3, P4)의 하중을 F1(= 0), F2, F3, F4라고 하면, F3 > F4 ≥ F2 > F1이 된다.
다음에, 스톱퍼 기구(62)에 대해 도16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6은 가동 아암부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17 내지 도19는 스톱퍼 기구 및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6 내지 도19에 있어서, 도1 내지 도1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스톱퍼 기구(62)는 회전 로크 기구(60)를 중심으로 가동측 하우징부(6)의 좌우 회전의 최대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그 최대 회전 각도로 가동측 하우징부(6)를 정지시키는 구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핀 결합부(64)를 스톱퍼부에 공용하고 있고, 핀 결합부(64)에는 스톱퍼면(114, 116)이 형성되어 있다(도13 및 도14).
이 핀 결합부(64)(스톱퍼부)에 대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아암부(8)에는 핀 결합부(64)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홈부(118)가 형성되고, 홈부(118)의 종단부에서 핀 결합부(64)의 스톱퍼면(114, 116)을 접촉시키는 스톱퍼(120, 122)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톱퍼면(114)이 스톱퍼(120), 스톱퍼면(116)이 스톱퍼(122)에 해당하고, 가동측 하우징부(6)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 저지되는 위치가 중심 고정 위치(a)로부터 좌우 90도의 위치(b, c)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17에 도시한 위치에 있는 가동측 하우징부(6)를 좌측에 회전시키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결합부(64)의 스톱퍼면(114)이 홈부(118)의 종단부인 스톱퍼(120)에 해당하고, 가동측 하우징부(6)가 좌측 90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도17에 도시한 위치에 있는 가동측 하우징부(6)를 우측에 회전시키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결합부(64)의 스톱퍼면(116)이 홈부(118)의 종단부인 스톱퍼(122)에 해당하고, 가동측 하우징부(6)가 우측 90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특징 사항을 추출하면서 이점이나 효과 등에 언급한다.
이 휴대 단말 장치(2)에서는 고정측 하우징부(4)에 가동 아암부(8)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가동 아암부(8)에 가동측 하우징부(6)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개폐에 의한 절첩과, 가동측 하우징부(6)의 회전 동작 및 소정 위치에서의 회전 로크 기능을 구비한다.
회전 로크 기구(60)에서는 로크핀(66)과 핀 결합부(64)의 요철 결합과, 코일 스프링(72)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요철 결합에 로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중을 작용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매우 간단한 구조이면서, 소정의 회전 각 도로 고정 유지가 가능한 동시에 고정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또한 코일 스프링(72)에 의한 하중을 초과하는 회전력을 작용시키면, 가동측 하우징부(6)를 소정의 각도에 회전할 수 있어 조작성이 높은 휴대 단말 장치(2)를 구성할 수 있다.
가동측 하우징부(6)는 표시 유닛부를 구성하고 있고, 그 회전 조작 각도는 좌우 각 90도(180도의 동작 범위)로 넓고, 절첩한 상태(0도)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절접한 상태에서도 회전 조작이 가능하고, 원하는 각도로 조작할 수 있다.
회전 로크 기구(60)의 핀 결합부(64)는 스톱퍼 기구(62)의 스톱퍼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별개로 구성한 경우의 각도 설정 등은 불필요한 동시에, 부품 개수의 삭감에 기여하고 있다. 즉, 핀 결합부(64)의 회전 방향의 폭을 결정하면, 홈부(118)의 주회 길이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최대 회전 각도, 예를 들어 좌우 각 90도의 위치에 고정밀도로 가동측 하우징부(6)를 설정할 수 있어 표시 유닛부의 위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회전 로크 기구(60)에서는 핀 결합부(64)의 핀 접촉부(102)와 로크핀(66)의 접촉에 의해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른 하중을 얻을 수 있고, 이 결과 회전 토크와 로크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모듈(12)이 최대 각도측으로 인입하고, 하우징부끼리 접촉하는 인입 캠 기구로 되어 있으므로, 좌우 각 90도 각도(최대 각도) 정밀도의 향상 및 조작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핀 결합부(64)와 로크핀(66)의 결합 방향이 가동 아암부(8)의 래디얼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어 아암부(3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높이 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 비해 아암부(3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휴대 단말 장치(2)의 편평화 및 박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로크핀(66)이 접압하는 범위(후방 케이스부 돌기 폭)를 적게 하므로, 회전 부하의 저감(조작력의 저감) 및 로크핀(66)의 마모 방지가 의도되어 있다.
회전 로크 기구(60)는 회전 모듈(12)의 회전 중심 및 가동측 하우징부(6)의 회전 중심보다 이격한 위치에서 가동측 하우징부(6)를 로크하므로, 가동측 하우징부(6)의 로크 정밀도가 높고 회전 부분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이 휴대 단말 장치(2)에서는 회전 조작성이 높고, 폐쇄 상태에서의 고정측 하우징부(4)와 가동측 하우징부(6)(표시 유닛부)의 어긋남, 개방 상태에서의 표시 화면의 기울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높은 상품의 제공에 기여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20 및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0은 회전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회전 로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0 및 도21에 있어서, 도1 내지 도19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회전 로크 기구(60)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핀(66)을 코일 스프링(72)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로크핀(66)을 가동측 하우징부(6)측에 고정해도 좋고, 또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결합부(64)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구성해도 동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핀 결합부(64)측에 가이드 축(124)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축(124)에 코일 스프링(126)을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가동측 하우징부(6)에 설치한 로크핀(66)과, 가동 아암부(8)측의 핀 결합부(64)의 결합에 의해, 가동측 하우징부(6)를 그 결합 위치의 회전 각도에 로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핀(66)측에만 코일 스프링(72)을 설치하였지만,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핀(66) 및 핀 결합부(64)의 양쪽에 코일 스프링(72, 126)을 설치하고, 각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 관계를 갖게 함으로써, 견고한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단말 장치(2)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22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PC)(130)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22 및 도23에 있어서, 도1 내지 도8 및 도1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경우, 이 PC(130)에서는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가동측 하우징부(6)를 가로 길이 배치(도22), 또는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가동측 하우징부(6)를 세로 길이 배치(도23)로 할 수 있다. 이러한 PC(130)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단말 장치(2)나 PC(130)를 예시하였지만, 가동부를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나 게임 기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하우징부(6)에 핀 결합부(64) 및 가동 아암부(8)에 로크핀(66)을 설치한 회전 로크 기구(6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회전 로크 기구(60)는 지지 프레임부와 하우징부의 회전 로크를 실현하는 것이며, 지지 프레임부 또는 하우징부의 어느 하나에 핀 결합부(64) 또는 로크핀(66)을 설치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이상 서술한 발명의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여러 가지 레벨이나 변형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고,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하우징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로부터 이격시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로크 상태로 유지하는 회전 로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 부기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면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밀착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3) 부기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크 기구는 로크핀과, 이 로크핀에 결합하는 핀 결합부와, 상기 로크핀 또는 상기 핀 결합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과 상기 핀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로크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4) 부기 3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 또는 상기 하우징부측에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을 상기 하우징부측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에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핀 결합부 및/또는 상기 로크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5) 부기 3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핀 결합부를 삽입하는 홈부를 상기 하우징부측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의 면내에 구비하고, 상기 핀 결합부에 대해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상기 로크핀을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 또는 상기 하우징부측의 내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6) 부기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 및/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 개시점 및 회전 종점에 스톱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7) 부기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표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8) 부기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고정측 하우징부에 개폐 기구를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고정측 하우징부에 대해 상기 개폐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9) 부기 3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는 상기 로크핀이 끼워 넣어진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0) 부기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크 기구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을 끼워 개폐 기구와 대향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1) 부기 3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2) 부기 1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부에 미끄럼 이동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3) 부기 6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는 홈부와 핀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4) 고정측 하우징부에 개폐 기구를 개재시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아암부와,
상기 가동 아암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가동측 하우징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로부터 상기 회전 지지부의 외측에 이격시켜 설치되고,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가동 아암부와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를 로크 상태로 유지하는 회전 로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5) 부기 14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아암부와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의 회전면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6) 부기 14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크 기구는 로크핀과, 이 로크핀에 결합하는 핀 결합부와, 상기 로크핀 또는 상기 핀 결합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과 상기 핀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로크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7) 부기 16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를 상기 가동 아암부 또는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에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을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 또는 상기 가동 아암부에 구비하고, 상기 탄 성부는 상기 핀 결합부 및/또는 상기 로크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8) 부기 16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핀 결합부를 삽입하는 홈부를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 또는 상기 가동 아암부의 면내에 구비하고, 상기 핀 결합부에 대해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상기 로크핀을 상기 가동 아암부 또는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9) 부기 14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아암부 및/또는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에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의 회전 개시점 및 회전 종점에 스톱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0) 부기 14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는 표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1) 부기 16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는 상기 로크핀이 끼워 넣어져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2) 부기 14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크 기구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을 끼워 상기 개폐 기 구와 대향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3) 부기 16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4) 부기 14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아암부와 상기 가동측 하우징부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부에 미끄럼 이동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5) 부기 19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는 홈부와 핀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고,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유닛부 등의 표시부가 회전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표시부를 탑재한 가동측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로크할 수 있어 소정 각도에서의 고정 정밀도를 높여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 지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고정할 수 있고, 하우징부의 고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2)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 하우징부의 회전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회전 기구에 의해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 그 박형화에 기여한다.

Claims (10)

  1.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하우징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중심부로부터 이격시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로크 상태로 유지하는 회전 로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면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크 기구는 로크핀과, 이 로크핀에 결합하는 핀 결합부와, 상기 로크핀 또는 상기 핀 결합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과 상기 핀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로크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 또는 상기 하우징부측에 구비하고, 상기 로크핀을 상기 하우징부측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에 구 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핀 결합부 및/또는 상기 로크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핀 결합부를 삽입하는 홈부를 상기 하우징부측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의 면내에 구비하고, 상기 핀 결합부에 대해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상기 로크핀을 상기 지지 프레임부측 또는 상기 하우징부측의 내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 및/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 개시점 및 회전 종점에 스톱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표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고정측 하우징부에 개폐 기구를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고정측 하우징부에 대해 상기 개폐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의 미끄럼 이동면부에 미끄럼 이동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는 홈부와 핀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70009268A 2006-09-22 2007-01-30 전자 기기 KR100839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7319 2006-09-22
JP2006257319A JP4754450B2 (ja) 2006-09-22 2006-09-22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07A true KR20080027107A (ko) 2008-03-26
KR100839255B1 KR100839255B1 (ko) 2008-06-17

Family

ID=3922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268A KR100839255B1 (ko) 2006-09-22 2007-01-30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81758B2 (ko)
JP (1) JP4754450B2 (ko)
KR (1) KR100839255B1 (ko)
CN (1) CN1011506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0444B2 (en) * 2007-02-28 2011-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voting mobile terminal
TWI332816B (en) * 2008-07-25 2010-11-01 Htc Corp Electronic device
CA2760079A1 (en) * 2009-03-12 2010-09-16 Checkpoint Systems, Inc. Disposable cable lock and detachable alarm module
CN203347377U (zh) 2010-04-30 2013-12-18 关卡系统公司 用于固定物体的安全组件
CN102858117A (zh) * 2011-06-30 2013-01-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机构
US8654518B2 (en) * 2012-01-20 2014-02-1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20160120050A1 (en) * 2014-10-24 2016-04-28 Penetek Technology, Inc. Multi-directional display device
DE102017107842A1 (de) * 2017-04-11 2018-10-11 Kinetix Ag Halter für flache, in etwa rechteckige Geräte wie Tablet-Computer oder Smartphones
JP6664735B1 (ja) * 2018-10-09 2020-03-13 陽斗子 是枝 携帯通信端末機器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4020B2 (ja) 1996-06-25 1999-09-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のバッテリー保持構造
JP2001156893A (ja) * 1999-11-29 2001-06-08 Nec Saitama Ltd 通信機器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66460B1 (ko) * 2002-06-05 2005-01-15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KR200316495Y1 (ko) 2003-03-06 2003-06-18 케이. 에이. 이 (주) 선회식 휴대폰 개방장치
JP3715970B2 (ja) * 2003-03-10 2005-11-16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
JP4113092B2 (ja) 2003-10-24 2008-07-02 三菱製鋼株式会社 二軸ヒンジの回転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
KR100606564B1 (ko) * 2003-11-17 2006-08-01 (주)베스트원 휴대폰의 힌지장치
KR100600095B1 (ko) * 2004-12-02 2006-07-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스윙 방식 개폐장치
KR100485783B1 (ko) 2004-06-26 2005-04-28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US7590435B2 (en) * 2004-07-07 200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king apparatus of swing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2006022868A (ja) * 2004-07-07 2006-01-26 Heiwa Tokei Mfg Co Ltd 自動回転ヒンジ装置
US7440783B2 (en) * 2004-08-17 2008-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4252021B2 (ja) * 2004-09-08 2009-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200374468Y1 (ko) 2004-11-15 2005-01-28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JP4625321B2 (ja) * 2004-12-13 2011-02-02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4655680B2 (ja) * 2005-03-01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2軸ヒンジ機構とこれを用いた携帯型通信端末
KR20060098028A (ko) 2005-03-08 2006-09-1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KR100630069B1 (ko) 2005-04-06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7809414B2 (en) * 2005-12-14 2010-10-05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ning/closing oper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KR100819473B1 (ko) 2006-08-09 2008-04-04 주식회사 엠솔버 스윙형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1758B2 (en) 2011-02-01
JP4754450B2 (ja) 2011-08-24
US20080076479A1 (en) 2008-03-27
KR100839255B1 (ko) 2008-06-17
JP2008079093A (ja) 2008-04-03
CN101150607A (zh)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255B1 (ko) 전자 기기
JP4192024B2 (ja) 携帯端末用取付装置
EP2615331B1 (en) Opening/closing device
US7595980B2 (en)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guiding module thereof
JP4731539B2 (ja) ヒンジ機構
EP2012506A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KR20040052474A (ko) 휴대 단말 장치
JP4537930B2 (ja) 携帯機器の水平回転機構
JP2008092264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2010065801A (ja) 開閉装置および当該開閉装置を搭載した携帯情報端末
JP2011112150A (ja) 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機器
KR100664233B1 (ko) 360도 회전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2005188641A (ja) 二軸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折畳み式の携帯電話機
JP5022331B2 (ja)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01241254A (ja) 折り畳みヒンジ部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製ハウジング
JP2006283836A (ja) 連結機構及び携帯端末
EP1806644B1 (en)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guiding module thereof
JP2012182771A (ja) 端末装置
US9004621B2 (en) Electronic device, case unit, and locking device
KR200353384Y1 (ko)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JP5221108B2 (ja) スライド回転取付ユニット及び携帯電話機
JP2009097550A (ja) ヒンジ機構
KR200402929Y1 (ko) 핸드폰용 힌지
JP5218358B2 (ja) 携帯機器
US714289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locking mechanism for holding and releasing a flipping 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