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783B1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783B1
KR100485783B1 KR20040048684A KR20040048684A KR100485783B1 KR 100485783 B1 KR100485783 B1 KR 100485783B1 KR 20040048684 A KR20040048684 A KR 20040048684A KR 20040048684 A KR20040048684 A KR 20040048684A KR 100485783 B1 KR100485783 B1 KR 10048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rotating
display
communication terminal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629A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to KR2004004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78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783B1/ko
Priority to US11/630,386 priority patent/US20080055829A1/en
Priority to CNA2005800210649A priority patent/CN1977463A/zh
Priority to PCT/KR2005/001981 priority patent/WO2006001661A1/en
Priority to EP05765878A priority patent/EP1762009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액정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액정화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와, 제 1고정부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회전부와, 제 1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부를 제 1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 2고정부와, 회전부에 형성되고 제 1고정부에 접촉하여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캠과, 제 1고정부상에 설치되며 캠에 탄성력을 가하여 회전부를 초기 상태와 회전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동력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부와, 제동부가 제 1고정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회전시켜 액정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함으로써, 액정화면의 전체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사이즈의 영화 등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DISPLAY SWING MECHANISM OF CELLULAR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단말기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액정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액정화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일반적인 휴대폰 등의 통신단말기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통신단말기는, 힌지장치(30)를 매개로 하여 액정화면(22)이 설치된 커버(20)를 본체(10)로부터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장치(30)는 커버(20)를 본체(10)로부터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 안내하는 역할만을 하고 있다.
한편, 액정화면(22)으로는 각종 문자나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최근에는 메모리의 증가와 통신서비스의 향상으로 액정화면(22)을 통해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인 통신단말기는 통상 액정화면(22)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영화는 정상적인 화면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영화를 정상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수평방향으로 긴 액정화면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22)으로 영화를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긴 액정화면(22)의 일부를 사용하지 못하여 작은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긴 액정화면(22)의 전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가로방향을 좁히고 세로방향을 늘려야 하므로, 비정상적인 화면이 상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단말기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액정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액정화면을 회전시킴으로써, 액정화면의 전체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힌지 회전되는 지지부에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제 1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 1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 2고정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캠; 상기 제 1고정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캠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부를 초기 상태와 회전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동력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가 상기 제 1고정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고정부의 중심영역에는 가이드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가이드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축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중심공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고정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1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캠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90°범위내에서 제한하기 위한 접촉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 1고정부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밀어서 상기 회전부의 초기 위치와 회전된 상태에서 각각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액정화면 회전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통신단말기는, 지지부(110)가 본체(100)로부터 힌지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지부(110)에 디스플레이(1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장치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130)는 액정화면(132)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고, 지지부(110)는 본체(100)로부터 힌지부(120)에 의해 회전된다.
이 회전장치는,
지지부(110)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200); 제 1고정부(200)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130)에 결합되는 회전부(300); 제 1고정부(200)에 결합되어 회전부(300)를 제 1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 2고정부(250); 회전부(300)에 형성되고, 제 1고정부(200)에 접촉하여 회전부(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캠(310); 및 캠(310)에 탄성력을 가하여 회전부(300)를 초기 상태와 회전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동력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부(400)로 이루어진다.
제 1고정부(200)의 중심영역에는 가이드축부(210)가 형성되고, 회전부(300)의 중심영역에는 가이드축부(2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공(322)이 형성된다. 가이드축부(210)는 회전부(300)의 회전중심이 된다. 이러한 가이드축부(210)의 중심영역에는 중심공(212)이 형성되고, 지지부(110)로부터 디스플레이(130)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중심공(212)을 통과한다.
회전부(300)에는 디스플레이(130)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320)가 형성되고, 제 2고정부(250)에는 결합부(320)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1관통공(252)이 형성된다.
제 2고정부(250) 및 제 1고정부(200)는 스크류(260)로 지지부(110)에 체결하고, 회전부(300)의 결합부(320)도 스크류(260)로 디스플레이(130)에 체결한다.
캠(310)에는 돌출부(312)가 형성되고, 제 1고정부(200)에는 돌출부(312)의 회전을 90°범위내에서 제한하기 위한 접촉부(220)가 형성된다.
제동부(400)는, 제 1고정부(200)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캠(310)에 형성되는 돌출부(312)를 밀어서 회전부(300)의 초기 위치와 회전된 상태에서 각각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블록(400); 및 슬라이드 블록(40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420)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블록(400)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제 1고정부(200)에는 가이드리브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230)이 형성된다.
제 1고정부(200)와 회전부(30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블록(400)과 스프링(4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430)를 삽입시킨다. 커버(430)에는 캠(310)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 2관통공(432)이 형성된다.
한편, 본체(100)의 제어부는 액정화면(132)이 회전되면 디스플레이(130)되는 영상을 역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하를 바로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액정화면 회전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통신단말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평상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130)는 도 9와 같이 수직인 상태로 지지부(110)에 결합되어 본체(100)에 닫혀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420)의 탄성을 받는 슬라이드 블록(400)은 도 6과 같이 캠(310)의 돌출부(312)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일측 접촉부(220)측으로 밀어서 회전부(300) 및 디스플레이(1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130)를 들어올리면, 지지부(110)가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디스플레이(130)가 오픈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130)와 함께 회전부(300)가 도 8과 같이 가이드축부(210)를 중심으로 90°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슬라이드 블록(400)은 도 7과 같이 스프링(420)의 탄성을 이기고 반대측의 접촉부(220)측으로 이동하고, 이 후 슬라이드 블록(400)은 다시 돌출부(312)를 반대측의 접촉부(220)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으로 밀어서 회전부(300) 및 디스플레이(13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돌출부(312)가 양측 접촉부(220)사이에서만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130) 및 회전부(300)는 90°이내의 범위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130)가 90° 회전하면, 디스플레이(130)의 액정화면(132)이 수평방향으로 폭이 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정화면(132)을 통해 영화 등을 정상적인 사이즈로 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와, 제 1고정부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회전부와, 제 1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부를 제 1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 2고정부와, 회전부에 형성되고 제 1고정부에 접촉하여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캠과, 제 1고정부상에 설치되며 캠에 탄성력을 가하여 회전부를 초기 상태와 회전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동력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부와, 제동부가 제 1고정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로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켜 액정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함으로써, 액정화면의 전체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사이즈의 영화 등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액정화면 회전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액정화면 회전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통신단말기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지지부
120: 힌지부 130: 디스플레이
132: 액정화면 200: 제 1고정부
210: 가이드축부 212: 중심공
220: 접촉부 230: 가이드홈
250: 제 2고정부 252: 제 1관통공
260: 스크류 300: 회전부
320: 결합부 322: 가이드공
400: 제동부 410: 슬라이드 블록
412: 가이드리브 420: 스프링
430: 커버 432: 제 2관통공

Claims (7)

  1. 통신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힌지 회전되는 지지부에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제 1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 1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 2고정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캠;
    상기 제 1고정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캠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부를 초기 상태와 회전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동력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가 상기 제 1고정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의 중심영역에는 가이드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가이드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중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고정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1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회전을 90°범위내에서 제한하기 위한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 1고정부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밀어서 상기 회전부의 초기 위치와 회전된 상태에서 각각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KR20040048684A 2004-06-26 2004-06-26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KR10048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8684A KR100485783B1 (ko) 2004-06-26 2004-06-26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US11/630,386 US20080055829A1 (en) 2004-06-26 2005-06-24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CNA2005800210649A CN1977463A (zh) 2004-06-26 2005-06-24 便携式终端的显示器摆动机构
PCT/KR2005/001981 WO2006001661A1 (en) 2004-06-26 2005-06-24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EP05765878A EP1762009A1 (en) 2004-06-26 2005-06-24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8684A KR100485783B1 (ko) 2004-06-26 2004-06-26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29A KR20040105629A (ko) 2004-12-16
KR100485783B1 true KR100485783B1 (ko) 2005-04-28

Family

ID=3738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8684A KR100485783B1 (ko) 2004-06-26 2004-06-26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5783B1 (ko)
CN (1) CN19774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86B1 (ko) * 2005-11-28 2007-01-16 주식회사 모젬 스윙 타입 휴대폰용 힌지구조체
KR100768532B1 (ko) * 2006-11-27 2007-10-18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의 스윙 개폐장치
EP1961125A4 (en) * 2005-12-13 2009-11-25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PIVOTING MECHANISM FOR THE DISPLAY PART OF A MOBILE PHONE
KR100709745B1 (ko) * 2006-03-08 2007-04-19 (주)유엔아이 회전힌지장치
JP4754450B2 (ja) * 2006-09-22 2011-08-2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802079B1 (ko) * 2006-10-26 2008-02-11 주식회사 엠솔버 스윙형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CN101420832B (zh) * 2007-10-23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旋转定位结构及电子装置
KR102269013B1 (ko) * 2021-02-23 2021-06-23 김준기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7463A (zh) 2007-06-06
KR20040105629A (ko)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747B1 (ko)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KR100485783B1 (ko)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KR102062240B1 (ko) 플렉시블 액정용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673297B1 (ko)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KR1005760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600095B1 (ko) 스윙 방식 개폐장치
KR1004664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KR100637624B1 (ko)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KR100761447B1 (ko) 2방향 개폐장치
KR100505961B1 (ko)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42125B1 (ko) 통신단말기용 회전장치
KR100660819B1 (ko) 슬라이드 및 회전형 통신단말기
KR100455545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70065189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20050022038A (ko)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4879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KR100729637B1 (ko)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회전장치
KR100465227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474633B1 (ko)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485631B1 (ko) 휴대폰의 커버 개폐 및 로테이션장치
KR100771389B1 (ko) 전자기기의 회전장치
KR2005006771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323293Y1 (ko)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KR20030071902A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