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661A -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661A
KR20080026661A KR1020087003994A KR20087003994A KR20080026661A KR 20080026661 A KR20080026661 A KR 20080026661A KR 1020087003994 A KR1020087003994 A KR 1020087003994A KR 20087003994 A KR20087003994 A KR 20087003994A KR 20080026661 A KR20080026661 A KR 20080026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ions
antimicrobial
ion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069B1 (ko
Inventor
아키오 타니구치
쿠미코 미야케
야수오 쿠리하라
Original Assignee
시나넨 제오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나넨 제오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나넨 제오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026After-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8Silve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20Faujasite type, e.g. type X or Y
    • C01B39/24Type 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수지 등에 첨가하여도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변색을 쉽게 일으키지 않는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이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제공한다.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 이온 및 은 이온으로 치환한 항균성 제올라이트, 이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0.05~80 질량% 함유하는 항균성 수지 조성물.
항균성 제올라이트, 수소 이온, 은 이온, 항균성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수지 조성물{ANTIBACTERIAL ZEOLITE AND ANTIBACTERIAL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이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에 걸쳐 경시적(經時的)으로 변색되지 않는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조성물, 특히 항균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올라이트의 이온 교환 가능한 금속 이온을 은, 구리, 아연 등의 항균성 금속 이온으로 치환한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은 주지이다. 이러한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수지에 첨가한 항균성 수지 조성물은 경시적으로 변색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갖는 경시적 변색이라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제올라이트에 은 이온과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소 63-265809호).
이 문헌에 기재된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분명 수중 또는 공기 중에 방치했을 때의 항균력 지속성이 우수한 동시에 수지로의 혼입시에도 변질하지 않는 등 우수한 항균제이다.
그러나, 이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인 사용 상황에서는 극단적으로 변색되는 등의 문제는 없지만, 가혹한 조건, 예를 들면 강력한 자외선 등에 장기간 조 사되거나 한 경우에는 경시적으로 변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변색에 의해 제올라이트의 항균성 자체가 손실되는 건 아니지만, 이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첨가한 제품이 변색되는 경우가 있어,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상품 가치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 등에 첨가한 경우에도 조성물의 경시적 변색을 잘 일으키지 않는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특히 항균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 이온 및 은 이온으로 치환한 항균성 제올라이트.
2. 수소 이온을 0.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항균성 제올라이트.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0.05~80 질량%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4. 수지 조성물인 상기 3에 기재된 항균성 조성물.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올라이트'로는 천연 제올라이트 및 합성 제올라이트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삼차원 골격 구조를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며, 일반식으로 xM2 / nO·Al2O3·ySiO2·zH2O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M은 이온 교환 가능한 n가의 이온을 나타내는데, 통상은 1 또는 2가인 금속의 이온이다. x는 금속 산화물의 몰수, y는 실리카의 몰수, z는 결정수의 몰수를 표시하고 있다.
제올라이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A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Y형 제올라이트, T형 제올라이트, 고(高)실리카 제올라이트, 소다라이트, 모데나이트, 아날사임, 크리노프티로라이트, 캐버자이트, 에리오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들 예시 제올라이트의 이온 교환 용량은 전형적으로는 A형 제올라이트 7meq/g, X형 제올라이트 6.4meq/g, Y형 제올라이트 5meq/g, T형 제올라이트 3.4meq/g, 소다라이트 11.5meq/g, 모데나이트 2.6meq/g, 아날사임 5meq/g, 크리노프티로라이트 2.6meq/g, 캐버자이트 5meq/g, 에리오나이트 3.8meq/g로서, 모두 수소 이온 및 은 이온으로 이온 교환하기에 충분한 양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상기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 예를 들면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칼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철 이온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 이온 및 은 이온으로 치환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은 이온 외에 다른 항균성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으며, 그 러한 항균성 금속 이온의 예로는 구리, 아연, 수은, 납, 주석, 비스머스, 카드뮴, 크롬 또는 탈륨의 이온,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아연의 이온을 들 수 있다.
항균성의 관점에서 상기 은 및 항균성 금속 이온은 제올라이트 중에 0.1~15 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다. 은 이온 0.1~14.9 질량% 및 구리 이온 또는 아연 이온을 0.1~8 질량% 함유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수소 이온은 제올라이트 중 0.0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0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이 제올라이트의 변색을 유효하게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적당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질량%라 함은 110℃ 건조 기준의 질량%를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소 이온과 은 이온(및 필요에 따라 다른 항균성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제조 방법으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의 두 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제 1 방법은 수소 이온과 은 이온(및 필요에 따라 다른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 수용액과 제올라이트를 접촉시켜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을 수소 이온과 은 이온(및 필요에 따라 다른 항균성 금속 이온)으로 치환하는 방법이다. 제 2 방법은 열 분해에 의해 수소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과 은 이온(및 필요에 따라 다른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 수용액을 제올라이트와 접촉시켜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을 수소 이온 생성성 이온과 은 이온(및 필요에 따라 다른 항균성 금속 이온)으로 치환한 후에, 가열하여 수소 이 온 생성성 이온을 수소 이온으로 변환하여, 수소 이온과 은 이온(및 필요에 따라 다른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제올라이트를 얻는 방법이다.
제 1 방법에서는 미리 조제한 수소 이온 및 은 이온(및 필요에 따라 구리 이온, 아연 이온 등의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 수용액에 제올라이트를 접촉시켜,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과 상기 이온을 치환시킨다. 접촉은 10~70℃, 바람직하게는 40~60℃에서 3~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24시간, 배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수용액의 pH는 3~10, 바람직하게는 5~7로 조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조정에 의해 은의 산화물 등의 제올라이트 표면 또는 세공 내로의 석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수용액 중의 각 이온은 통상 모두 염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면, 수소 이온은 질산, 황산, 초산, 과염소산, 인산 등, 은 이온은 질산은, 황산은, 과염소산은, 초산은, 디암민은질산염, 디암민은황산염 등, 구리 이온은 질산구리, 황산구리, 과염소산구리, 초산구리, 테트라시아노구리산칼륨염 등, 아연 이온은 질산아연, 황산아연, 과염소산아연, 초산아연, 티오시안산아연 등, 수은 이온은 질산수은, 과염소산수은, 초산수은 등, 주석 이온은 황산주석 등, 납 이온은 황산납, 질산납 등, 비스머스 이온은 염화비스머스, 요오드화비스머스 등, 카드뮴 이온은 과염소산카드뮴, 황산카드뮴, 질산카드뮴, 초산카드뮴 등, 크롬 이온은 과염소산크롬, 황산크롬, 황산암모늄크롬, 질산크롬 등, 탈륨 이온은 과염소산탈륨, 황산탈륨, 질산탈륨, 초산탈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 방법에서 열 분해에 의해 수소 이온이 되는 수소 이온 생성성 이온으로 는 암모늄 이온, 하이드록시암모늄 이온, NH3CH3 +, NH2(CH3)2 +, NH(CH3)3 +, N(CH3)4 +, NH3(C2H5)+, N(C2H5)4 +, NH3(C3H7)+, NH3(C4H9)+ 등의 각종 알킬암모늄 이온,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암모늄 이온을 들 수 있다. 미리 조제한 암모늄 이온, 하이드록시암모늄 이온, 알킬암모늄 이온 및 은 이온, 구리 이온, 아연 이온 등의 항균성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혼합 수용액에 제올라이트를 접촉시켜,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과 상기 이온을 치환시킨다. 접촉은 10~70℃, 바람직하게는 40~60℃에서 3~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24시간, 배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수용액의 pH는 3~10, 바람직하게는 5~7로 조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조정에 의해 은의 산화물 등의 제올라이트 표면 또는 세공 내로의 석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수용액 중의 각 이온은 통상 모두 염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면 암모늄 이온은 질산암모늄, 황산 암모늄, 초산 암모늄, 과염소산 암모늄, 티오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등, 하이드록시암모늄 이온은 염산하이드록시암모늄 등, 알킬암모늄 이온은 염화메틸암모늄, 염화디메틸암모늄, 염화트리메틸암모늄, 염화테트라메틸암모늄, 염화에틸암모늄, 염화디에틸암모늄, 염화트리에틸암모늄, 염화테트라에틸암모늄, 염화프로필암모늄, 염화부틸암모늄 등, 은 이온은 질산은, 황산은, 과염소산은, 초산은, 디암민은질산염, 디암민은황산염 등, 구리 이온은 질산구리, 황산구리, 과염소산구리, 초산구리, 테트라시아노구리산칼륨염 등, 아연 이온은 질 산아연, 황산아연, 과염소산아연, 초산아연, 티오시안산아연 등, 수은 이온은 질산수은, 과염소산수은, 초산수은 등, 주석 이온은 황산주석 등, 납 이온은 황산납, 질산납 등, 비스머스 이온은 염화비스머스, 요오드화비스머스 등, 카드뮴 이온은 과염소산카드뮴, 황산카드뮴, 질산카드뮴, 초산카드뮴 등, 크롬 이온은 과염소산크롬, 황산크롬, 황산암모늄크롬, 질산크롬 등, 탈륨 이온은 과염소산탈륨, 황산탈륨, 질산탈륨, 초산탈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얻어진 암모늄 이온 함유의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필요에 따라 건조하고, 예를 들어 200~600℃에서 1~24시간 가열하면, 암모늄 이온, 하이드록시암모늄 이온, 알킬암모늄 이온이 열분해하여 수소 이온으로 변화하여, 목적의 수소 이온 및 은 이온으로 치환한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얻어진다.
제올라이트 중의 수소 이온, 항균성 금속 이온 등의 함유량은 상기 혼합 수용액 중의 각 이온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모늄 이온 및 은 이온을 함유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혼합 수용액 중의 암모늄 이온 농도를 0.2~2.5M/L, 은 이온 농도를 0.002~0.15M/L로 하고, 이 용액 1L에 대하여 원료 제올라이트를 500~2000g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접촉시킴으로써 암모늄 이온 함유량 0.5~5 질량%, 은 이온 함유량 0.1~5 질량%의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적절하게 얻어진다. 또한, 이것을 가열함으로써 수소 이온 함유량 0.05~0.40 질량%, 은 이온 함유량 0.1~5 질량%의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구리 이온, 아연 이온을 함유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경 우, 상기 혼합 수용액 중의 구리 이온 농도를 0.1~0.85M/L, 아연 이온 농도를 0.15~1.2M/L로 함으로써 구리 이온 함유량 0.1~8 질량%, 아연 이온 함유량 0.1~8 질량%의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혼합 수용액 이외에 각 이온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각 수용액과 제올라이트를 차례로 접촉시킴으로써 이온 교환할 수도 있다. 각 수용액 중의 각 이온의 농도는 상기 혼합 수용액 중의 각 이온 농도에 준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온 교환이 종료한 제올라이트는 충분히 수세한 후 건조한다. 건조는 상압에서 105~115℃, 또는 1~30torr의 감압 하 70~9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석, 비스머스 등 적당한 수용액 염류가 적은 이온이나 유기 이온의 이온 교환은 알콜이나 아세톤 등의 유기 용매 용액을 이용하여 수(水)난용성의 염기성 염류가 석출되지 않도록 반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본 발명의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항균성은 각종 일반 세균, 진균, 효모균에 대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MIC의 시험은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시료를 임의 농도로 첨가한 평판 배지에 접종용 균액을 도말하여, 세균은 35℃에서 24시간 배양하고, 진균ㆍ효모는 25℃에서 4일간 배양하여, 균의 발육이 저지되는 최저 농도를 그 MIC값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특히 항균성 수지 조성물도 제공한다.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 비닐 수지, ABS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탈,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소 수지, 레이온, 구리암모늄레이온, 아세테이트, 각종 엘라스토머, 천연 및 합성 고무 등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상기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상기 수지에 직접 이겨 넣어, 또는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지에 항균ㆍ방미ㆍ방조(防藻) 기능을 부가한다는 관점에서, 수지 조성물 중의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05~8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80 질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항균성 수지 조성물의 MIC는 상기와 동일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변색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는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을 0.1~3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조성물은 각종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계(水系) 분야에서는 정수기, 쿨링타워수, 각종 냉각수의 항균 방조제로서 이용 가능하고, 또한 생화 연명제로도 이용 가능하다.
도료 분야에서는 유성 도료, 래커, 바니시, 알킬 수지계, 아미노알키드 수지계, 비닐 수지계, 아크릴 수지계,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수에멀젼 수지계, 분체 도료계, 염화고무계, 페놀 수지계 등의 각종 도료에 직접 혼합하여, 또는 도막 표면에 코팅하여, 도막 표면에 항균ㆍ방미ㆍ방조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 하다.
건축 분야에서는 메움재, 벽재, 타일 등에 혼합하여, 또는 그들 표면에 코팅하여 항균ㆍ방미ㆍ방조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지 분야에서는 물티슈, 종이 포장재, 골판지, 종이 깔개, 선도 유지지에 첨가하여, 또는 코팅함으로써 이들 종이에 항균ㆍ방미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특히 슬라임 컨트롤제(슬라임 생성 억제제)로도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상기의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세균, 진균, 효모균, 조류(藻類) 등의 미생물의 발생, 증식의 방지ㆍ억제ㆍ사멸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조제)
제올라이트는 A형 제올라이트(Na2OㆍAl2O3ㆍ1.9SiO2ㆍxH2O, 평균 입경 1.5㎛), X형 제올라이트(Na2OㆍAl2O3ㆍ2.3SiO2ㆍxH2O, 평균 입경 2.5㎛), Y형 제올라이트(Na2OㆍAl2O3ㆍ4SiO2ㆍxH2O, 평균 입경 0.7㎛), 천연 모데나이트(150~250 메쉬), 크리노프티로라이트(150~250 메쉬)의 5종류를 이용하였다. 이온 교환을 위한 각 이온을 제공하는 염으로서 질산은, 질산구리, 질산아연, 질산암모늄의 4종류를 이용하였다.
표 1에 각 샘플 조제시에 사용한 제올라이트의 종류와 혼합 수용액에 포함되는 염의 종류 및 농도를 나타내었다. No.1~10의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샘플을 얻었다.
각 샘플 모두 110℃에서 가열 건조한 제올라이트 분말 1㎏에 물을 첨가하여 1.3L의 슬러리로 하고, 그 후 교반하여 탈기한 후, 적량의 0.5N 질산 용액과 물을 더 첨가하여 pH를 5~7로 조정하여, 전체 용량 1.8L의 슬러리로 하였다. 다음으로 이온 교환을 위하여, 소정 농도의 소정의 염의 혼합 수용액 3L를 첨가하여 전체 용량을 4.8L로 하고, 이 슬러리액을 40~60℃로 유지하여, 16시간 교반하면서 평형 상태에 도달된 상태로 유지하였다. 이온 교환 종료 후 제올라이트상을 여과하고, 실온의 물 또는 온수로 제올라이트상 중의 과잉의 은 이온, 구리 이온, 아연 이온이 없어질 때까지 수세하였다. 다음으로 샘플을 110℃에서 가열 건조하여 10종류의 샘플을 얻었다. 또한, 샘플 No.1~7은 200℃에서 3시간 가열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No.1~10의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샘플에 관한 데이터를 표 1에 나타낸다. 샘플 No.1~7은 실시예(○: 가열 처리 있음), No. 8~10은 비교예(×: 가열 처리 없음)이다. 항균성 제올라이트 중의 수소 이온 함유량은 사용한 제올라이트의 이론 이온 교환 용량에서 수소 이외의 교환 이온량을 뺀 값으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하였다. 비교예의 샘플 No.8~10은 가열 처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소 이온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금속 이온의 함유량은 형광 X선 분석법에 의해, 암모늄 이온의 함유량은 인도페놀에 의한 흡광 광도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샘플 제올라이트 종류 제올라이트 중의 함유량(%) 수득량 (g) 혼합 수용액 조성(M/L) 용액 pH 가열 처리 수소 이온 함유량(%)
NH4 Ag Cu Zn NH4NO3 AgNO3 Cu(NO3)2 Zn(NO3)2
1 A 2.5 2.5 - - 940 3.0 0.07 - - 6.8 0.19
2 A 1.2 1.0 - 14 930 2.0 0.03 - 2.0 7.2 0.10
3 A 5.0 1.0 6.1 - 910 4.5 0.03 1.2 - 7.4 0.39
4 X 1.6 2.5 - 6.3 930 2.5 0.07 - 1.0 6.8 0.13
5 Y 1.1 1.0 - 5.1 940 1.7 0.03 - 1.0 6.4 0.10
6 모데나이트 0.9 0.5 - 3.0 950 1.8 0.02 - 0.7 7.5 0.12
7 크리노프티로라이트 0.8 0.1 3.0 - 940 1.8 0.02 0.7 - 7.4 0.13
8 A - 2.5 - - 930 - 0.07 - - 6.9 × 0
9 A 2.5 2.5 - - 940 3.0 0.07 - - 6.8 × 0
10 X 1.6 2.5 - 6.3 930 2.5 0.07 - 1.0 6.8 × 0
시험예 1( 항미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항균 성능을 곰팡이류의 MIC값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샘플 No. 검은누룩곰팡이 NBRC6341 푸른곰팡이 NBRC6352 토양사상균 NBRC6347
1 500 500 500
2 500 500 500
3 250 500 250
4 500 500 500
5 500 500 500
6 500 500 500
7 500 500 500
8 500 500 500
9 500 500 500
10 500 500 500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각 샘플은 모두 우수한 항미성을 가지며, 그 정도는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방균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가열 건조한 후에 혼입량 1 질량%로 수지에 첨가한 후에 사출 성형하여 항균성 수지 조성물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샘플에 대하여 JIS Z2801법에 의한 항균 가공 제품의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사용한 균종은 대장균과 황색포도구균이다. 성형품에 사용한 수지의 종류와 항균성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3(변색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가열 건조한 후에 혼입량 1 질량%로 수지에 첨가한 후에 사출 성형하여 항균성 수지 조성물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샘플에 대하여 블랙라이트 100W에 100시간 조사한 후의 변색을, 처리 전의 L*-a*-b* 표색계의 각 색치와의 색차(ΔE)로서 평가하였다. 색치는 각 샘플을 백색 켄트지 상에 올려 미놀타 색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성형품에 사용한 수지의 종류와 변색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샘플 No. 수지의 종류 항균성 시험 결과(항균 활성치) 변색 시험
대장균 황색포도구균 색차(ΔE)
1 PE:페트로센207R 3.5 3.3 0.07
2 PP:J707WT 4.2 3.0 0.05
3 ABS:슬라이랙220 4.7 4.1 0.09
4 PA:노바미드1010 3.3 3.6 0.04
5 PS:TI500A 4.3 4.0 0.05
6 PE:NUC8009 3.2 3.7 0.06
7 PE:NUC8009 3.5 3.0 0.07
8 PE:페트로센207R 3.1 2.8 12.5
9 PE:페트로센207R 3.0 3.1 6.42
10 PA:노바미드1010 2.8 3.0 5.41
PE:페트로센207R(토소 주식회사제 폴리에틸렌 상품명)
PP:J707WT(주식회사 그랜드폴리머제 폴리프로필렌 상품명)
ABS: 슬라이랙220(아사히카세이 주식회사제 ABS 상품명)
PA: 노바미드1010(미쯔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주식회사제 폴리아미드 상품명)
PS: TI500A(다이니폰 잉크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폴리스티롤 상품명)
PE: NUC8009(니폰유니카 주식회사제 폴리에틸렌 상품명)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지 않은 샘플 No.8의 변색은 현저하다. 또한, 항균성 금속 이온의 일부를 암모늄 이온 교환한 샘플 No.9 및 10에서는 변색은 샘플 No.8에 비해 거의 반감하고 있지만, 여전히 명백한 변색이 인정된다.
이에 비하여, 가열 처리에 의해 암모늄 이온을 수소 이온으로 변화시킨 샘플 No.1~7에서는 변색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종래의 항균성 제올라이트에서는 경시적 변색 때문에 사용이 곤란했던 제품에 대해서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 이온 및 은 이온으로 치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 이온을 0.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0.05~8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20087003994A 2005-09-27 2006-09-25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수지 조성물 KR101000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0551A JP2007091501A (ja) 2005-09-27 2005-09-27 抗菌性ゼオライト及び抗菌性樹脂組成物
JPJP-P-2005-00280551 2005-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661A true KR20080026661A (ko) 2008-03-25
KR101000069B1 KR101000069B1 (ko) 2010-12-10

Family

ID=3789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994A KR101000069B1 (ko) 2005-09-27 2006-09-25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70110825A1 (ko)
EP (1) EP1935849A1 (ko)
JP (1) JP2007091501A (ko)
KR (1) KR101000069B1 (ko)
CN (2) CN102351209A (ko)
AU (1) AU2006296012B2 (ko)
CA (1) CA2615654C (ko)
WO (1) WO20070371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23B1 (ko) * 2015-11-24 2017-03-24 김태영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광물과 금속이온의 결합체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9055B2 (ja) * 2006-02-22 2012-12-05 株式会社シナネンゼオミック 抗菌性ゼオライト及び抗菌性組成物
AU2008281278B2 (en) * 2007-08-02 2012-08-09 Covalon Technologies Ltd. Antimicrobial photo-stable coating composition
DE102007054132A1 (de) * 2007-11-14 2009-05-2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Antimikrobiell ausgerüste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S20090304762A1 (en) * 2008-06-05 2009-12-10 Bayer Materialscience Llc Antimicrobial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JP2010168312A (ja) * 2009-01-23 2010-08-05 Tatsuo Yamamoto 抗アメーバ性を有する眼科用組成物
EP2504041B1 (en) 2009-11-25 2017-04-12 Difusion Technologies Inc. Post-charging of zeolite doped plastics with antimicrobial metal ions
US8821912B2 (en) 2009-12-11 2014-09-02 Difus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timicrobial implants of polyetheretherketone
CA2795836C (en) 2010-05-07 2015-11-17 Difusion Technologies, Inc. Medical implant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incorporated therein
WO2012077721A1 (ja) * 2010-12-08 2012-06-14 Nakamura Kenji 抗菌性水処理剤
EP2797412A1 (en) * 2011-12-30 2014-11-05 Yeditepe Universitesi Antimicrobial material comprising a metal ion charged on synthesized zeolite
JP5781477B2 (ja) * 2012-08-17 2015-09-24 レンゴー株式会社 フォトルミネッセント材料
CL2013002101A1 (es) 2013-07-23 2014-08-29 Univ Chile Aditivo que confiere propiedades biocidas a distintos materiales que comprende un material de soporte o portador modificado con un agente bacteriano que forma estructuras nanometricas sobre la superficie externa de dicho material de soporte; y metodo para preparacion de dicho aditivo.
CA2920830C (en) * 2013-08-13 2021-01-12 Share-X Co., Ltd. Hydrogen-containing antimicrobial agent
JP2015124166A (ja) * 2013-12-26 2015-07-06 地方独立行政法人大阪府立環境農林水産総合研究所 発泡スチロール構造体
EP3140456B1 (en) 2014-05-09 2018-07-11 Uniwersytet Jagiellonski Modified nanocomposite material,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
JP6736347B2 (ja) * 2016-04-28 2020-08-05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保管方法
CN107879358A (zh) * 2017-12-01 2018-04-06 深圳市裕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x型分子筛载铜饲料抗菌剂及其制备方法
CN108330715A (zh) * 2018-03-02 2018-07-27 安徽鑫光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效果的防静电瓦楞纸板
CN109095945B (zh) * 2018-08-29 2021-06-08 南京金德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防霉型沸石基调湿材料的制备方法
CN110093101B (zh) * 2019-04-16 2021-02-09 广州澳盈日化包装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化妆品包装瓶的涂料及其制备方法和涂装工艺
CN111423804A (zh) * 2020-04-30 2020-07-17 郑州一安水性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广谱长效抗菌水性环保涂料及其制备方法
CN111808549B (zh) * 2020-07-01 2022-01-07 北京鉴真保鲜科技有限公司 瓦楞纸胶水用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2624737B (zh) * 2021-01-07 2022-06-17 广东顺辉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优良抗菌性的陶瓷材料的制备方法及陶瓷材料
KR102641313B1 (ko) * 2021-01-08 2024-03-04 주식회사 매직카퍼 비말 차단 마스크
KR102243914B1 (ko) 2021-03-02 2021-04-23 이병준 고단열 오염방지 불소수지 도료 제조방법
KR102309784B1 (ko) 2021-03-02 2021-10-08 이병준 내오존성 오염방지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3156A (en) * 1965-09-20 1968-07-16 Union Oil Co Pelleted zeolite compositions
JPS59133235A (ja) * 1983-01-21 1984-07-31 Kanebo Ltd 殺菌性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US4938958A (en) * 1986-12-05 1990-07-03 Shinagawa Fuel Co., Ltd. Antibiotic zeolite
JPS6424860A (en) * 1987-07-22 1989-01-26 Shinagawa Fuel Co Ltd Antibacterial resin composition
US5443812A (en) * 1989-04-24 1995-08-22 Kanebo Ltd. Stabilized synthetic zeolit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H03218916A (ja) * 1990-01-25 1991-09-26 Kanebo Ltd 抗菌性ゼオライトの製造法
US5206195A (en) * 1990-05-31 1993-04-27 Kanebo Ltd. Stablized synthetic zeolit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H04119913A (ja) * 1990-05-31 1992-04-21 Kanebo Ltd ゼオライトをイオン交換処理する方法
JP2978098B2 (ja) * 1994-09-09 1999-11-15 太郎 小澤 抗菌性材料
JP2889836B2 (ja) * 1995-03-16 1999-05-10 鐘紡株式会社 変色作用の少ない抗菌性ゼオライト及びその製造法
KR0146772B1 (ko) 1995-06-30 1998-08-17 김태구 필터오염상태 표시장치
JPH1045410A (ja) * 1996-08-01 1998-02-17 Harima Ceramic Co Ltd 抗菌性銀ゼオライ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混入した抗菌性樹脂組成物
JPH1095612A (ja) * 1996-09-20 1998-04-14 Nippon Sanso Kk 銀含有ゼオライトとそれを用いたガス分離方法及び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JP4063362B2 (ja) * 1997-08-30 2008-03-19 義男 篠崎 銀イオン交換ゼオライトを利用した抗菌性壁材
JP3705920B2 (ja) * 1998-03-02 2005-10-12 カネボウ株式会社 抗菌性ゼオライト
JPH11246213A (ja) 1998-03-02 1999-09-14 Kanebo Ltd 抗菌性組成物
JP2002068914A (ja) * 2000-08-28 2002-03-08 Nippon Chem Ind Co Ltd 銀成分を担持した無機系抗菌剤の抗菌活性の増強方法
RU2008126392A (ru) * 2005-12-01 2010-01-10 Басф Каталистс Ллк (Us) Гидротермически устойчивые ag-цеолитные ловушки для небольших молекул олефиновы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23B1 (ko) * 2015-11-24 2017-03-24 김태영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광물과 금속이온의 결합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1513B2 (en) 2013-01-29
KR101000069B1 (ko) 2010-12-10
CN102351209A (zh) 2012-02-15
WO2007037195A1 (ja) 2007-04-05
CA2615654A1 (en) 2007-04-05
JP2007091501A (ja) 2007-04-12
US20070110825A1 (en) 2007-05-17
CN101272988A (zh) 2008-09-24
US20110200523A1 (en) 2011-08-18
CA2615654C (en) 2013-04-30
AU2006296012B2 (en) 2010-09-23
EP1935849A1 (en) 2008-06-25
AU2006296012A1 (en)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069B1 (ko)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수지 조성물
KR100890796B1 (ko) 항균성 제올라이트 및 항균성 조성물
US8568791B2 (en) Antibacterial zeolite particles and antibacterial resin composition
US4938958A (en) Antibiotic zeolite
JP2519973B2 (ja) 抗菌性アルミノケイ酸塩
JPH0559308A (ja) 抗菌性塗料組成物
JPH0742101B2 (ja) サブミクロンa型ゼオライト及びその製造法
JPH0545628B2 (ko)
JPH0684247B2 (ja) 抗菌性無定形アルミノケイ酸塩
KR20120038111A (ko) 항변색 항균제의 제조방법, 항변색 항균제 및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