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492A -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 - Google Patents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492A
KR20080025492A KR1020060090027A KR20060090027A KR20080025492A KR 20080025492 A KR20080025492 A KR 20080025492A KR 1020060090027 A KR1020060090027 A KR 1020060090027A KR 20060090027 A KR20060090027 A KR 20060090027A KR 20080025492 A KR20080025492 A KR 20080025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etching
etchant
chamb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544B1 (ko
Inventor
차혁진
노승민
김제환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06009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544B1/ko
Publication of KR2008002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의 둘레면을 실링할 필요가 없고, 고가의 식각액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지는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글라스의 식각이 이루어지는 식각 챔버; 상기 글라스의 외주면을 고정시키며, 글라스를 식각 챔버 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고정 수단;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글라스의 상부에 식각액을 분사하여 식각액이 흘러내리며 글라스 표면을 균일하게 식각하도록 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의 외주면을 밀봉,고정하는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식각 챔버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시키는 글라스 정렬 단계; 상기 글라스의 측면 상부로 분사장치가 이동하여 식각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단계; 그리고, 상기 분사된 식각액이 흘러 내리며 수막을 형성하여 글라스의 표면을 균일하게 식각하는 식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각 방법를 제공한다.
식각 장치, 식각 챔버, 고정 수단, 노즐

Description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Etching Apparatus and etch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가 글라스에 식각액을 분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다수개의 기판을 동시 식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식각 챔버 110: 순환장치
200: 고정 수단 210: 밀봉 수단
300: 분사장치 310: 노즐
400: 글라스 500: 식각액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장치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라스의 둘레면을 실링할 필요가 없고 고가의 식각액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지는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로서는 LCD(Liquid Crystal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이러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텔레비전이나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등 휴대용 정보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널리 사용되며 가볍고 휴대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휴대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정보기기의 경량화가 계속 연구되고 있으며, 그 일 방편으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 기본요소인 글라스의 중량을 줄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글라스는 평판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가장 중량이 크기 때문에 글라스의 중량감소를 통해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량을 줄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평판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글라스의 크기를 줄여서 중량을 감소시키는 대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므로 현재는 식각 장치를 이용해 글라스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글라스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식각 장치는 에칭 배스, 린스(QDR: Quick Dump Rinse) 배스 및 건조 배스로 구성되며, 상기 에칭 배 스의 하부에는 글라스의 식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질소 기체 버블(bubble)을 균일하게 생성하는 다공성의 버블판이 설치된다.
따라서, 글라스가 식각액이 채워진 에칭 배스 내에 담궈지면 식각액에 의해 글라스의 표면이 식각되어 지며 이때, 상기 버블판에서 질소 기체 버블이 생성되어 글라스의 식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에칭 배스에서 식각이 완료된 글라스는 린스 배스를 거치며 세정된 후 건조 배스로 이송되어 건조된다.
이와 같이 현재 글라스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글라스를 식각액이 채워진 에칭 배스 내에 담궈 상기 식각액에 의해 글라스의 표면이 식각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식각 장치를 이용한 글라스 식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글라스 전체가 에칭 배스 내에 채워지는 식각액에 담궈지기 때문에 식각액이 상하부 글라스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등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각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글라스의 둘레면을 실링(sealing)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하지만, 이러한 실링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공정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둘째, 상기 글라스 전체가 담궈질 수 있도록 에칭 배스내에 식각액이 채워져야 하기 때문에 실제 글라스의 식각에 필요한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식각액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식각액은 3-4회의 식각공정이 진행되어 식각에 따른 각종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외부로 배출된 후 폐기되기 때문에 고가의 식각액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식각액의 교체없이 수차례의 식각 공정이 진행되면 식각에 따른 각종 이물질이 에칭 배스의 바닥면에 적층되기 때문에 식각액 배출 후 에칭 배스 내부를 세정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세정작업은 힘들고 위험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의 둘레면을 실링할 필요가 없고, 고가의 식각액 낭비를 방지하는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지는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글라스의 식각이 이루어지는 식각 챔버; 상기 글라스의 외주면을 고정시키며, 글라스를 식각 챔버 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고정 수단;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글라스의 상부에 식각액을 분사하여 식각액이 흘러내리며 글라스 표면을 균일하게 식각하도록 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의 외주면을 밀봉,고정하는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식각 챔버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시키는 글라스 정렬 단계; 상기 글라스의 측면 상부로 분사장치가 이동하여 식각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단계; 그리고, 상기 분사된 식각액이 흘러 내리며 수막을 형성하여 글라스의 표면을 균일하게 식각하는 식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각 방법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가 글라스에 식각액을 분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각 장치는 글라스(400)의 식각이 이루어지는 식각 챔버(100)와, 상기 글라스(400)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200)과, 상기 글라스(400)에 식각액을 분사하는 분사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수단(200)은 글라스(400)의 외주면을 고정시키며, 상기 글라스(400)를 식각 챔버(100) 내에 수직하게 위치시킨다. 이러한 고정 수단(200)은 일종의 고정 척(chuck)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400)의 외주면이 식각액(500)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밀봉수단(210)을 구비한다. 상기 밀봉수단(210)은 식각액(500)이 글라스(400)의 외주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글라스(400) 내부의 액정층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수단(200)은 글라스(400)의 외주면이 충격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글라스(400)와의 접촉, 고정부위 에 설치되는 완충패드(미도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 패드는 밀봉수단(210)과 같이 글라스(400)의 외주면이 식각액(500)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300)는 글라스(400)가 고정 수단(200)에 의해 식각 챔버(100) 내부로 이동하면 글라스(400)의 상부에 식각액(500)을 분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장치(300)에는 다수개의 노즐(310)이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장치(300)는 글라스(400)의 일측면에만 식각액(500)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즉, 한쌍의 분사장치(300)가 글라스(40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글라스(400)의 양측면이 모두 식각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400)의 일측에만 분사장치(300)가 위치하도록 하여 선택된 글라스(400)의 일면만이 식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300)는 다양한 구조적 변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장치(3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수단(200)에 의해 분사장치(300) 내부에 글라스(400)가 수직하게 위치하면 분사장치(200)의 내측 전후면에 형성된 노즐(310)에서 동시에 식각액(500)이 분사되어 글라스(400)의 양측면이 식각된다. 물론, 상기 분사장치(300)의 내측에 형성된 노즐(310)을 제어하여 글라스(400)의 일측면에만 식각액(500)이 분사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글라스(40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수단(200)이 개방된 분사장치(300)의 일측면을 통해 분사장치(3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분사장치(300)의 내측 전후면에 형성된 노즐(310)에서 식각액(500)이 분사되어 글라스(400)의 양측면이 식각된다.
도 6은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다수개의 기판을 동시 식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다수개의 글라스를 동시에 식각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수단(200) 및 분사장치(300)는 다수대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글라스가 챔버(100)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하면 각 고정수단(200)의 양측면에 위치한 분사장치(300)의 노즐에서 식각액(500)이 분사되어 글라스(400)의 식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명은 글라스(400) 전체가 식각액에 담궈질 필요없이 분사장치(300)를 이용하여 글라스(400) 측면 상부에 필요한 양만큼의 식각액(500)을 직접 분사한다. 따라서, 식각액(500)이 글라스(400)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글라스(400)를 식각하기 때문에 고정 수단(200)이 글라스(400)의 외주면을 밀봉시키면 식각액(500)이 글라스(400) 내부로 유입될 위험이 없다.
즉, 식각액(500)이 글라스(400)에 분사되더라도 글라스(400)의 외주면이 고정 수단(200)에 의해 밀봉되면 식각액(500)과 글라스(400) 외주면의 접촉이 차단되어 글라스(400) 내부의 액정층 등이 손상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식각 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글라스(400) 둘레면을 실링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필 요한 양만큼의 식각액(500)만을 글라스(400)에 분사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식각액(500)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식각 챔버(100)에는 사용된 식각액의 재사용을 위한 순환장치(110)가 설치된다.(도 1참조) 종래와 같이 식각 챔버(100) 내부에 식각액(500)이 채워져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된 식각액(500)은 상기 순환장치(110)을 통해 즉시 배출되어 재사용된다.
이와 같이 식각액(500)이 순환장치(110)를 통해 즉시 배출되면 식각액(500)에 함유된 이물질이 식각 챔버(100)의 바닥면에 적층될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식각공정 완료 후 진행되는 식각 챔버(100)의 세정작업도 한결 간편해 진다. 또한, 식각 챔버(100) 내부에 유독한 식각액(500)이 채워져 있지 않아 식각 챔버(100)의 정비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안전이 도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00)에는 식각액(500)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와 같은 여과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장치는 식각액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식각액(500)이 다시 분사장치(300)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식각액(500)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여과장치는 식각액(500)이 배출되는 순환장치(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각 장치를 이용한 식각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수단(200)과 같은 기계적 수단이 글라스(400)의 외주면을 밀봉, 고정시킨 후 글라스(400)를 식각 챔버(100)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시키면 분사장 치(300)가 이동하여 상기 글라스(400)의 측면 상부에 식각액(500)을 분사한다. 물론, 상기 분사장치(300)는 챔버(100) 내부에 고정되고 고정 수단(200)이 직접 분사장치(300)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분사된 식각액(500)은 글라스(400)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수막을 형성하여 글라스(400)를 균일하게 식각한다.
그리고, 상기 식각액(500)은 식각 챔버(100)에 형성된 순환장치(110)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식각액(500)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은 여과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식각액(500)은 다시 분사장치(300)로 공급되어 글라스(400) 식각에 다시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글라스의 둘레면을 고정 수단으로 감싼 상태에서 글라스에 직접 식각액을 분사하여 식각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글라스의 측면을 실링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둘째, 본 발명은 필요한 양만큼의 식각액을 직접 글라스에 분사하고, 식각액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장치를 통해 분리한 후 식각액을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식각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식각 챔버 바닥면에 적층되지 않아 식각 챔버 내부 세정작업이 간편해 진다.
셋째, 본 발명은 식각 챔버에 유독한 식각액이 채워져 있을 필요가 없기 때 문에 식각 챔버의 정비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글라스의 일측면만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글라스 일측면의 식각불량으로 인한 글라스 전체의 불량처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글라스의 식각이 이루어지는 식각 챔버;
    상기 글라스의 외주면을 고정시키며, 글라스를 식각 챔버 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고정 수단;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글라스의 상부에 식각액을 분사하여 식각액이 흘러내리며 글라스 표면을 균일하게 식각하도록 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글라스의 외주면을 식각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밀봉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글라스와의 접촉, 고정부위에 완충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글라스의 일측면에만 선택적으로 식각액을 분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글라스의 일측에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챔버에는 식각액의 재사용을 위한 순환 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챔버에는 사용된 식각액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 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 장치.
  8. 글라스의 외주면을 밀봉, 고정하는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글라스를 식각 챔버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시키는 글라스 정렬 단계;
    상기 글라스의 측면 상부로 분사장치가 이동하여 식각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단계; 그리고,
    상기 분사된 식각액이 흘러 내리며 수막을 형성하여 글라스의 표면을 균일하게 식각하는 식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각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의 기계적 수단은 내측에 완충 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된 식각액을 재사용하기 위한 순환단계; 그리고,
    상기 분사된 식각액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각 방법.
KR1020060090027A 2006-09-18 2006-09-18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 KR10082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027A KR100824544B1 (ko) 2006-09-18 2006-09-18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027A KR100824544B1 (ko) 2006-09-18 2006-09-18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492A true KR20080025492A (ko) 2008-03-21
KR100824544B1 KR100824544B1 (ko) 2008-04-23

Family

ID=3941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027A KR100824544B1 (ko) 2006-09-18 2006-09-18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5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43B1 (ko) * 2008-07-16 2011-01-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에칭 장치
KR101388619B1 (ko) * 2012-08-29 2014-04-23 주식회사 엠엠테크 글라스 슬리밍 장치
CN112408805A (zh) * 2020-11-16 2021-02-26 中建材蚌埠玻璃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极薄玻璃减薄承载装置及减薄装置
KR20230044029A (ko) * 2020-10-20 2023-03-31 젬시스코 게엠베하 기판의 표면 처리를 위한 기판 체결용 클립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123B1 (ko) * 1988-01-14 1990-06-16 한국유리공업 주식회사 유리표면의 저반사 처리용 산용액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리표면의 저반사 처리방법
JP3686011B2 (ja) 2001-06-11 2005-08-24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DE10154885A1 (de) * 2001-11-05 2003-05-15 Schmid Gmbh & Co Geb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Gegenständen mittels einer Flüssigkeit
JP4071220B2 (ja) 2004-03-17 2008-04-02 西山ステンレスケミカル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0630809B1 (ko) * 2004-06-03 2006-10-02 송기훈 평판 디스플레이용 유리기판의 외면삭감장치
KR100484511B1 (ko) 2004-06-04 2005-04-22 (주) 비봉유리 불투명 판유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를 위한 부식액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43B1 (ko) * 2008-07-16 2011-01-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에칭 장치
US8308894B2 (en) 2008-07-16 2012-11-13 Samsung Display Co., Ltd. Substrate etching apparatus
KR101388619B1 (ko) * 2012-08-29 2014-04-23 주식회사 엠엠테크 글라스 슬리밍 장치
KR20230044029A (ko) * 2020-10-20 2023-03-31 젬시스코 게엠베하 기판의 표면 처리를 위한 기판 체결용 클립핑 장치
CN112408805A (zh) * 2020-11-16 2021-02-26 中建材蚌埠玻璃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极薄玻璃减薄承载装置及减薄装置
CN112408805B (zh) * 2020-11-16 2022-05-17 中建材玻璃新材料研究院集团有限公司 极薄玻璃减薄承载装置及减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544B1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544B1 (ko) 식각 장치 및 식각방법
KR20080000516A (ko) 기판처리방법 및 기판처리장치
KR101193229B1 (ko) 반도체 기판 표면의 화학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42616B1 (ko) 수직형 기판 박리 시스템
JP2007047351A (ja) 液晶パネルの洗浄装置、及び液晶装置の製造方法
KR101300524B1 (ko) 식각장치 및 식각방법
US6776853B2 (en) Clean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KR20090108857A (ko) 기판세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판세정시스템
KR101038572B1 (ko) 진공기판지그를 구비하는 기판 에칭시스템
JP2007047353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パネルの洗浄装置
KR20140059480A (ko) 엘씨디 유리기판 세정장치
JP2003093982A (ja) 液体処理方法、液体処理装置、及び、フラットパネル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048825B1 (ko) 기판 처리장치
KR100761977B1 (ko) 기판세정장치
KR101576145B1 (ko) 반도체 기판 세정용 약액 재사용장치
KR200338446Y1 (ko) 미스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세정장치 및 그에적용되는 유체 분사장치
KR20070034890A (ko) 약액탱크의 버블방지장치
KR20050064377A (ko) 버블판을 포함하는 식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각 방법
KR20070068886A (ko) 액정표시 패널의 이물 제거 장치
KR101122236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용 세정장치
KR20010002793A (ko) 식각장치
KR19990025114U (ko) 포토레지스트공급라인
US20150255266A1 (en) Etching device, etching method and patterning apparatus
KR20160082178A (ko) 인쇄판 세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쇄장치
KR200195101Y1 (ko) 감광제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