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717A -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717A
KR20080024717A KR1020060089177A KR20060089177A KR20080024717A KR 20080024717 A KR20080024717 A KR 20080024717A KR 1020060089177 A KR1020060089177 A KR 1020060089177A KR 20060089177 A KR20060089177 A KR 20060089177A KR 20080024717 A KR20080024717 A KR 2008002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terminal plate
cover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697B1 (ko
Inventor
양정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6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착단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의 일측에는 플레이트관통공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안착부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직교하게 솔더링부와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솔더링부가 상기 플레이트관통공을 관통하는 터미널과; 상기 가이드리브가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가 관통하는 커버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을 상기 안착단과 가이드리브에 밀착시키는 탄성고정구가 각각의 터미널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관통공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서는 터미널이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어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가 상대물인 인쇄회로기판이나 부품과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어 터미널플레이트가 사용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플레이트, 터미널, 플레이트커버, 고정

Description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Terminal plate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터미널플레이트 12: 걸이홈
14: 안착단 16: 플레이트관통공
18: 가이드리브 20: 터미널
22: 안착부 24: 솔더링부
26: 결합부 30: 플레이트커버
32: 걸이턱 34: 커버관통공
36: 탄성고정구 37: 연결부
38: 제1누름부 39: 제2누름부
본 발명은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에 의해 다수개의 터미널이 배열되어 설치되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사각판 형상의 터미널플레이트(1)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인 플레이트커버(3)의 사이에는 터미널(5)이 다수개 배열되어 배치된다.
상기 터미널(5)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5)은 Z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간 부분이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 사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는 정션박스 등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터미널(5)의 일단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플레이트커버(3)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타단부에는 각종 부품이나 커넥터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5)은 각각 사출물인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의 사이에 그 중간 부분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를 터미널(5)이 관통하는 부분은 상기 터미널(5)의 치수보다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가지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부 푸품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5)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를 관통하는 부분은 각각 터미널(5)의 치수에 비해 그 관통하는 부분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5)의 중간부분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사이의 틈새가 상기 터미널(5)의 두께보다 작으면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 사이를 조립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작공차와 조립공차 등을 고려하여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 사이의 틈새를 상기 터미널(5)의 두께보다 크게 한다.
결국, 상기 터미널(5)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터미널(5)의 유동은 상기 터미널(5)의 일단부를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5)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의 정확한 위치에서 벗어나게 한다.
즉, 상기 터미널(5)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한쪽 방향으로 밀린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플레이트커버(3)를 관통하여 연장된 부분의 위치 또한 이동되어 다른 부품과의 결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사이의 틈새가 상대적으로 크면 상기 터미널(5)은 터미널플레이트(1)와 플레이트커버(3)사이의 틈새 사이에서 유동될 수 있어, 각각의 터미널(5)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나 플레이트커 버(3)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서 터미널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착단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의 일측에는 플레이트관통공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안착부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직교하게 솔더링부와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솔더링부가 상기 플레이트관통공을 관통하는 터미널과; 상기 가이드리브가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가 관통하는 커버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을 상기 안착단과 가이드리브에 밀착시키는 탄성고정구가 각각의 터미널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관통공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고정구는 상기 커버관통공의 내면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착단을 향해 연장되어 선단이 안착단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안착부를 안착단에 밀착시키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를 가이드리브에 밀착시키는 제2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누름부의 선단은 상기 플레이트커버의 하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다.
상기 제2누름부는 선단이 상기 가이드리브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로 터미널의 결합부를 가이드리브에 밀착시킨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안착단을 향하는 부분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상부를 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각각 걸이홈과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홈과 걸이턱의 결합에 의해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서는 터미널이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어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가 상대물인 인쇄회로기판이나 부품과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어 터미널플레이트가 사용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플레이트(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플레이트커버(30)와의 결합을 위한 걸이홈(1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의 표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이 안착되는 안착단(14)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4)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의 상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4)의 일측에는 플레이트관통공(16)이 천공된다. 상기 플레이트관통공(16)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관통공(16)은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사각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이 관통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안착단(14)의 일단에는 가이드리브(18)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8)는 상기 안착단(14)을 기준으로 플레이트관통공(16)이 형성된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8)는 상기 안착단(14)의 표면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일부를 감싸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18)는 상기 안착단(14) 방향과 가이드리브(18)가 돌출된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터미널(20)이 위치된다.
터미널(20)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0)은 안착부(22)의 양단에 각각 솔더링부(24)와 결합부(26)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대략 z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의 안착단(14)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솔더링부(22)는 상기 플레이트관통공(16)에 위치되어 터미널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6)는 아래에서 설명될 플레이트커버(3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 으로 다른 전자부품이나 커넥터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플레이트커버(30)는 상기 터미널(20)이 안착된 상태의 터미널플레이트(10) 상면을 덮어 터미널(20)의 배열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커버(30) 역시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커버(3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걸이홈(12)과 대응되는 걸이턱(32)이 형성되어 플레이트커버(30)가 터미널플레이트(10)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 플레이트커버(30)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8)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관통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관통공(34)은 각각의 가이드리브(18)에 대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인접한 가이드리브(18)들에 대해서는 이들이 함께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커버관통공(34)에 4개의 가이드리브(18)가 관통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관통공(34)의 일측 내면에서 연장되게 탄성고정구(36)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고정구(36)는 상기 터미널(20)을 상기 안착단(14)과 가이드리브(18)방향으로 밀착시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고정구(36)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터미널(20)을 탄성변형된 상태로 눌러주게 된다.
상기 탄성고정구(36)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커버관통공(34)의 내면에 연결부(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37)에서 상기 안착단(14) 방향으로 제1누름부(38)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누름부(38)의 선단은 상기 안착 단(14)에 안착된 터미널(20)의 안착부(22)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누름부(38)의 선단은 제1누름부(38)의 다른 부분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착단(14)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1누름부(38)의 선단은 상기 플레이트커버(30)의 하면보다 p만큼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고정구(36)의 제1누름부(38)에서 연장되어 제2누름부(39)가 형성된다. 상기 제2누름부(39)는 상기 제1누름부(38)의 선단 이외의 부분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누름부(38)와 제2누름부(39)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2누름부(39)는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측을 상기 가이드리브(18)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누름부(39)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리브(18)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누름부(39)가 보다 큰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의 각각의 안착단(14)에 상기 터미널(20)을 안착시킨다. 즉, 상기 터미널(20)의 안착부(22)가 상기 안착단(14)에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관통공(16)에 상기 솔더링부(24)가 위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26)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리브(18)의 내부에 위치된다.
참고로 상기 솔더링부(24)와 안착부(22)의 폭은 상기 결합부(26)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의 상부에서 상기 결합부(26)가 가이드리브(18)에, 솔더링부(24)가 플레이트관통공(16)에, 상기 안착부(22)가 안착단(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 상태에서 터미널(20)을 터미널플레이트(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안착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커버(30)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에 결합한다. 즉, 각각의 터미널(20)의 결합부(26)가 대응되는 커버관통공(34)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플레이트커버(30)를 터미널플레이트(10)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구(36)는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 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탄성고정구(36)의 제2누름부(39)는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 일면을 따라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의 기저부쪽은 상기 가이드리브(18)의 내부에 위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리브(18)중 상기 안착단(14)과 마주보는 쪽은 개구되어 있어 상기 제2누름부(39)에 의해 결합부(26)가 계속하여 눌러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 상에 상기 플레이트커버(30)가 완전히 안착되고, 상기 걸이턱(32)이 상기 걸이홈(12)에 걸어지면, 터미널플레이트(10)와 플레이트커버(30) 사이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구(36)의 제1누름부(38)는 상기 안착단(14)에 안착되어 있는 터미널(20)의 안착부(22)를 안착단(14)에 대해 눌러주게 된다. 물론, 상기 제1누름부(38) 역시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22)를 눌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는 상기 탄성고정구(36)의 제2누름부(39)에 의해 가이드리브(18)에 밀착되고, 상기 터미널(20)의 안착부(22)는 상기 탄성고정구(36)의 제1누름부(38)에 의해 안착단(14)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0)와 플레이트커버(30)에 대해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로 터미널을 다수개 배열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고정구로 터미널을 터미널플레이트에 밀착시켜주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이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어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가 상대물인 인쇄회로기판이나 부품과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플레이트가 사용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탄성고정구의 제2누름부와 제1누름부가 각각 상기 터미널의 서로 직교하는 결합부와 안착부를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눌러주도록 상기 플레 이트커버에 구비되므로,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 사이에서 터미널이 유동되지 않고 보다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게 된다.

Claims (6)

  1. 안착단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의 일측에는 플레이트관통공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안착부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직교하게 솔더링부와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솔더링부가 상기 플레이트관통공을 관통하는 터미널과;
    상기 가이드리브가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가 관통하는 커버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을 상기 안착단과 가이드리브에 밀착시키는 탄성고정구가 각각의 터미널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관통공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구는,
    상기 커버관통공의 내면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착단을 향해 연장되어 선단이 안착단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안착부를 안착단에 밀착시키는 제1누름부와,
    상기 제1누름부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를 가이드리브에 밀착시키는 제2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부의 선단은 상기 플레이트커버의 하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누름부는 선단이 상기 가이드리브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로 터미널의 결합부를 가이드리브에 밀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안착단을 향하는 부분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상부를 향하는 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각각 걸이홈과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홈과 걸이턱의 결합에 의해 터미널플레이트와 플레이트커버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KR1020060089177A 2006-09-14 2006-09-14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KR10083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77A KR100830697B1 (ko) 2006-09-14 2006-09-14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77A KR100830697B1 (ko) 2006-09-14 2006-09-14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717A true KR20080024717A (ko) 2008-03-19
KR100830697B1 KR100830697B1 (ko) 2008-05-20

Family

ID=3941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177A KR100830697B1 (ko) 2006-09-14 2006-09-14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111B1 (ko) * 2008-03-25 2010-01-06 나재희 Isa와 pci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CN105850230A (zh) * 2013-10-04 2016-08-10 塔图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装置的照明指示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1979A (ja) * 1999-02-26 2000-09-14 Shizuki Electric Co Inc ピン状端子の接続構造及び端子板
JP2001076797A (ja) * 1999-09-06 2001-03-2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の接続構造
KR200409283Y1 (ko) 2005-10-04 2006-02-24 박제성 자동차 실내등 전구 접점 단자기능의 관통홈을 갖는 피시비 기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111B1 (ko) * 2008-03-25 2010-01-06 나재희 Isa와 pci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CN105850230A (zh) * 2013-10-04 2016-08-10 塔图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装置的照明指示器结构
CN105850230B (zh) * 2013-10-04 2019-02-15 塔图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装置的照明指示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697B1 (ko)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83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KR970000291Y1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H06333621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回路基板への取付け方法
KR20070002678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US10680361B2 (en) Card edge connector
US8550854B2 (en) Edge connector
JP2015038810A (ja) コネクタ
JP3762834B2 (ja) 電気コネクタ
KR970001945B1 (ko) 칩 연결 접촉부를 가진 표면 장착 접속기
KR0138885B1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electrical connector and thermal printhead using the same)
JP4240401B2 (ja) コネクタ
US793868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ligning means and assembly combination thereof
JP5134943B2 (ja) コネクタ
KR101083721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KR101787067B1 (ko) 플러그커넥터, 소켓커넥터 및 그 결합구조
JP2014165065A (ja) コネクタ
CN111213285B (zh) 焊接接触件和接触模块以及用于制造接触模块的方法
KR102479629B1 (ko) 표면 실장용 커넥터 장치
JP6095412B2 (ja) コネクタ
JP4238001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082489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0838784B1 (ko) 커넥터
JP609198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10853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