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721B1 -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721B1
KR101083721B1 KR1020090132044A KR20090132044A KR101083721B1 KR 101083721 B1 KR101083721 B1 KR 101083721B1 KR 1020090132044 A KR1020090132044 A KR 1020090132044A KR 20090132044 A KR20090132044 A KR 20090132044A KR 101083721 B1 KR101083721 B1 KR 10108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ide bracket
housing
insertion piece
moun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360A (ko
Inventor
정요승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7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50)이 골격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부공간(52)이 형성된다. 터미널(54)은 상기 하우징(5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52)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50)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50)의 양측면에는 삽입부(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60)에는 삽입슬롯(6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62)에는 사이드브라켓(64)의 삽입편(66)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편(66)은 그 일부가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의 실장편(7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삽입편(66)에는 조립통공(68)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통공(68)의 일측은 상기 실장편(7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직선면으로 되는데, 이를 누름펀치가 눌러주면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의 삽입편(66)이 상기 삽2입슬롯(6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브라켓(64)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되고, 사이드브라켓(64)을 통한 하우징(50)의 기판실장이 정확하게 된다.
기판, 실장, 터미널, 사이드브라켓, 조립

Description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PCB mounting type connector and side-bracket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그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사이드브라켓이 기판에 보다 확실하게 실장되도록 한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3)은 하우징(1)의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1)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3)이 다수개가 열을 지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3)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1)의 하부로 연장된다. 상기 내부공간(3)에 위치한 터미널(3)의 일단부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의 하부로 연장된 터미널(3)의 타단부는 기판에 솔더링되어 실장된다. 대략 상기 터미널(3)은 'ㄴ'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는 판상의 보호리브(7)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호리브(7)중 일부의 하면에는 조립돌기(9)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9)는 원기둥형상으로서 기판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커넥터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은 평면도로 볼 때 직사각형인데,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변에 해당되는 양측면에는 삽입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1)는 그 내부에 납작한 판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1)에는 사이드브라켓(13)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13)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일부가 상기 삽입부(11)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기판에 솔더링되어 하우징(1)이 기판에 견고하게 실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13)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삽입부(11)에 삽입되는 삽입편(15)과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편(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편(15)은 사각형의 판상인데,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장편(17) 역시 사각형의 판상인데 상기 하우징(1)의 양측면의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사이드브라켓(13)은 상기 삽입편(15)의 일부가 상기 실장편(17)과 직교 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사이드브라켓(13)은 그 두께와 크기 등의 조건 때문에 상기 삽입편(15)의 절곡이 제대로 되지 않고, 절곡 후에도 스프링백 형상이 발생하여 상기 실장편(17)의 하면과 기판과의 사이가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브라켓(13)을 상기 하우징(1)의 삽입부(11)에 삽입하는 것은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수행하는데, 상기 삽입부(11)에 삽입편(15)을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누름펀치를 사용하여 상기 실장편(17)의 하면을 눌러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누름펀치로 상기 실장편(17)의 하면을 눌러주면 상기 실장편(17)의 하면에 변형이 발생하여 실장편(17)이 기판에 밀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제작정밀도가 높은 사이드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드브라켓을 하우징에 삽입시 사이드브라켓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로 내부공간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삽입슬롯이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과, 상기 삽입부의 삽입슬롯에 삽입편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장편이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삽입편에는 일측 내면이 눌러짐에 의해 상기 삽입편이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하는 조립통공이 형성되는 사이드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은 그 일부가 상기 실장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조립통공은 상기 실장편과 같은 평면을 이루는 삽입편의 부분에서 시작해서 상기 실장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편의 부분까지 형성되고, 상기 조립통공에서 상기 실장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 부분은 상기 실장편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직선으로 되는 누름면으로 된다.
상기 삽입편의 양단에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슬롯 내면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하나씩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편으로 구성되는 사이드브라켓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삽입슬롯의 입구에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을 일부 삽입하는 일부삽입단계와,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에 형성된 조립통공중 상기 실장편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평면인 누름면에 힘을 가해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이 상기 삽입슬롯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완전삽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전삽입단계에서는 상기 누름면이 상기 삽입부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상기 사이드브라켓에 힘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에 양측면에 설치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에 조립통공을 형성하였으므로, 삽입편의 절곡이 정확하게 되어 사이드브라켓의 제작정밀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브라켓에 형성된 조립통공을 기준으로 사이드브라켓이 하우징의 삽입부에 삽입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사이드브라켓의 설치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에 형성된 조립통공의 내면을 누름펀치로 눌러 사이드브라켓이 하우징의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므로,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편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실장편이 정확하게 기판에 실장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와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이드브라켓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5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50)은 대략 좌우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52)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52)은 하우징(50)의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50)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54)이 다수개가 열을 지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54)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52)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50)의 하부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내부공간(52)에 위치한 터미널(54)의 일단부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50)의 하부로 연장된 터미널(54)의 타단부는 기판에 솔더링되어 실장된다. 대략 상기 터미널(54)은 'ㄴ'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50)의 네 모서리에는 판상의 보호리브(5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56)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터미널(54)들이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리브(56)의 하면은 상기 터미널(54)의 최하단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호리브(56)중 일부의 하면에는 조립돌기(58)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58)는 원기둥형상으로서 기판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하우징(50)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50)은 평면도로 볼 때 직사각형인데,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변에 해당되는 양측면에는 삽입부(6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60)는 그 내부에 납작한 판상의 공간인 삽입슬롯(6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60)에는 사이드브라켓(64)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일부가 상기 삽입부(60)의 삽입슬롯(62)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기판에 솔더링되어 하우징(50)이 기판에 견고하게 실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삽입부(60)에 삽입되는 삽입편(66)과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편(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편(66)은 사각형의 판상인데,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66)의 양단에는 걸이턱(6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7)은 상기 삽입슬롯(62)의 내면에 삽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상기 삽입편(66)에는 조립통공(68)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통공(68)은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상인데, 상기 삽입편(66)중에서 상기 실장편(70)과 평행한 부분에서부터 시작해서 상기 실장편(7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까지 형성된다. 상기 조립통공(68)에서 상기 실장편(7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 부분은 직선, 즉 상기 실장편(7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직선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 직선으로 형성된 조립통공(68)의 내면을 누름면(68')이라고 한다. 상기 누름면(68')은 누름펀치가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사이드브라켓(64)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면(68')은 또한 상기 삽입편(66)이 삽입슬롯(62)에 삽입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척도가 된다. 즉, 상기 누름면(68')과 상기 삽입부(60)의 하면이 동일한 평면으로 되도록 삽입편(66)이 삽입슬롯(62)에 삽입되면 된다.
상기 실장편(70) 역시 사각형의 판상인데 상기 하우징(50)의 양측면의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실장편(70)은 기판의 표면에 솔더링되어 실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실장편(70)은 상기 하우징(50)의 하면과 평행하게 되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과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50)에 설치되는 터미널(54)은 다수개가 열을 지어 있다. 상기 터미널(54)은 상기 하우징(50)의 제작후에 삽입되어 절곡되거나, 하우징(50)의 사출성형시에 금형에 터미널(54)을 인서트하여 하우징(50)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50)에 있는 터미널(54)은 상기 보호리브(56)에 의해 보호가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리브(56)는 상기 하우징(50)이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터미널(54)에 외력이 임의로 작용하여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0)의 삽입부(60)에는 사이드브라켓(64)이 설치되는데,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은 자동화된 장치에 의해 상기 삽입부(60)의 삽입슬롯(62)에 상기 삽입편(66)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5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60)의 삽입슬롯(62)에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의 삽입편(66)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자동화된 기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편(66)은 최초에 상기 걸이턱(67)이 상기 삽입부(60)의 삽입슬롯(62)입구에 걸처지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의 조립통공(68)의 누름면(68')에 누름펀치가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힘을 가하도록 한다.
상기 누름면(68')에 누름펀치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편(66)의 걸이턱(67)이 상기 삽입슬롯(62)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삽입편(66)이 삽입슬롯(6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누름펀치에 의한 상기 삽입편(66)의 삽입은 상기 누름면(68')이 상기 삽입부(60)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될 때 까지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삽입편(66)의 삽입이 이와 같이 되지 않으면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의 조립은 불량상태가 된다.
상기 삽입편(66)이 삽입되어 상기 누름면(68')과 상기 삽입부(60)의 하면이 동일한 평면으로 되면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의 삽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기판에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의 실장편(70)이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브라켓(64)을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조립통공(68)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삽입편(66)을 절곡하여 삽입편(66)의 일부가 상기 실장편(7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삽입편(66)이 실장편(70)에 대해 스프링백에 의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상기 조립통공(68)이 먼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편(66)의 절곡과정에서 삽입편(66)을 구성하는 부분들이 상기 조립통공(68)측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어 절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이드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하우징 52: 내부공간
54: 터미널 56: 보호리브
58: 조립돌기 60: 삽입부
62: 삽입슬롯 64: 사이드브라켓
66: 삽입편 67: 걸이턱
68: 조립통공 70: 실장편

Claims (5)

  1. 상부로 내부공간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삽입슬롯이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과,
    상기 삽입부의 삽입슬롯에 삽입편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장편이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삽입편에는 일측 내면이 눌러짐에 의해 상기 삽입편이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하는 조립통공이 형성되는 사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은 그 일부가 상기 실장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조립통공은 상기 실장편과 같은 평면을 이루는 삽입편의 부분에서 시작해서 상기 실장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편의 부분까지 형성되고, 상기 조립통공에서 상기 실장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 부분은 상기 실장편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직선으로 되는 누름면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의 양단에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슬롯 내면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하나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4. 하우징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편으로 구성되는 사이드브라켓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삽입슬롯의 입구에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을 일부 삽입하는 일부삽입단계와,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에 형성된 조립통공중 상기 실장편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평면인 누름면에 힘을 가해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삽입편이 상기 삽입슬롯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완전삽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삽입단계에서는 상기 누름면이 상기 삽입부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상기 사이드브라켓에 힘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KR1020090132044A 2009-12-28 2009-12-28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KR10108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044A KR101083721B1 (ko) 2009-12-28 2009-12-28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044A KR101083721B1 (ko) 2009-12-28 2009-12-28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360A KR20110081360A (ko) 2011-07-14
KR101083721B1 true KR101083721B1 (ko) 2011-11-16

Family

ID=4491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044A KR101083721B1 (ko) 2009-12-28 2009-12-28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870A (ko) 2015-04-17 2016-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 실장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674Y1 (ko) * 2016-10-31 2017-06-09 (주)한신단자공업 휴대단말기용 보드 접속단자
KR200493738Y1 (ko) * 2016-12-27 2021-05-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KR102507026B1 (ko) * 2021-01-27 2023-03-07 주식회사 경신 표면실장형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표면실장형 커넥터의 제조장치
KR20240058351A (ko) 2022-10-26 2024-05-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870A (ko) 2015-04-17 2016-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 실장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360A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8696B2 (ja) 平坦な整列表面を有する2体の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JP4322752B2 (ja) 電気接続箱
JP5102385B2 (ja) コンプライアントピン制御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864143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rd edge connector
US7104810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083721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JP5912632B2 (ja) コネクタ
KR20070104427A (ko) 평면의 정렬 표면을 갖는 표면 실장형 헤더 어셈블리
JP5255365B2 (ja) 中継端子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回路構造体、並びに電子ユニット
JP3762834B2 (ja) 電気コネクタ
TWI297966B (ko)
US8052449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floating pad thereon
JP2005222771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5285654A (ja) コネクタ固定部材と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2014137989A (ja) 基板間コネクタのソケット及び基板間コネクタ
WO2009133768A1 (ja) 端子付回路ケース
US671606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older plate and pegs for PC board mounting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JP2009176570A (ja) 電気コネクタ付回路基板用ケ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ユニット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JP2021057420A (ja) 電子部品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実装部材
KR200465415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0465414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TWI552449B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