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966A -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966A
KR20080023966A KR1020060088163A KR20060088163A KR20080023966A KR 20080023966 A KR20080023966 A KR 20080023966A KR 1020060088163 A KR1020060088163 A KR 1020060088163A KR 20060088163 A KR20060088163 A KR 20060088163A KR 20080023966 A KR20080023966 A KR 2008002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light source
display light
scanning modu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198B1 (ko
Inventor
유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198B1/ko
Priority to US11/684,170 priority patent/US8294961B2/en
Priority to CN2007101274136A priority patent/CN101146164B/zh
Publication of KR2008002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966A/ko
Priority to US13/623,328 priority patent/US85590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9Output mean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to the user, e.g. using a l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2Indicating the scanned area, e.g. by projecting light marks onto th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닝 진행상황을 알려주는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는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측에서 이동하며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듈,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광원은 상기 스캐닝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는 표시창이 형성된다.
스캐닝, 진행상황, 별도광원, 표시창, 에러표시

Description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캐닝 장치의 스캐닝 모듈과 표시광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캐닝 장치의 표시창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0,110; 스캐닝 장치 10,60; 본체
13,63; 원고대 15; 커버
20,70; 스캐닝 모듈 21,71; 스캐닝 광원
30,90; 표시창 40, 80; 표시광원
69; 제어부 81; 발광원
100; 화상형성장치 120; 인쇄유닛
121; 급지수단 130; 팩스유닛
140; 제어부 150; 제어판
본 발명은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스캐닝 장치는 원고를 고정한 상태로 두고, 스캐닝 모듈을 이동시키면서 원고를 읽어 들이는 장치이다.
이러한 평판형 스캐닝 장치는 원고를 놓을 수 있는 원고대와, 원고대의 내측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원고대에 놓인 원고를 읽어 들이는 스캐닝 모듈을 포함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를 조명하는 스캐닝 광원과, 원고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스캐닝 센서를 포함한다. 스캐닝 센서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와 CIS (CMOS Image Sensor)가 사용된다. CCD 이미지 센서로 이미지를 읽어 들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광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CCD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닝 모듈은 광량이 큰 스캐닝 광원을 사용한다. CIS는 적은 광량에서도 이미지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따라서, CIS를 사용하는 스캐닝 모듈은 광량이 적은 스캐닝 광원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평판형 스캐닝 장치로 원고를 스캔할 경우에는 원고대에 원고를 올려놓고, 스캐닝 장치를 온(ON) 시키면, 스캐닝 모듈이 원고대의 하측에서 이동하 며 원고를 읽어 들이게 된다. 즉, 스캐닝 장치가 온되면, 스캐닝 광원이 점등되어 스캐닝 센서가 원고에 반사된 빛을 받아들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원고를 읽어 들이게 된다.
그런데, 평판형 스캐닝 장치로 스캐닝을 할 경우에는 외부의 빛에 의한 스캔화질의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고대에 놓인 원고를 커버로 덮어야 한다. 그러나 커버로 원고를 덮고 스캐닝을 하면, 원고대 아래에서 이동하는 스캐닝 모듈을 볼 수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캐닝 작업 중에는 스캐닝의 진행 상황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스캐닝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스캐닝 장치의 외부로 유도하는 광전달부재를 설치하고, 광전달부재를 통해 나오는 빛에 의해 사용자가 스캐닝 작업의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스캐닝의 진행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지만, 빛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스캐닝 광원의 광량이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CCD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닝 장치의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CIS를 사용하는 스캐닝 장치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적은 광량의 스캐닝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원고 스캐닝 작업의 진행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는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이동하며,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듈; 및 상기 스캐닝 모듈과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광원;을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스캐닝 장치는 상기 표시광원이 온(ON) 되면, 그 빛을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창은 상기 스캐닝 모듈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표시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대기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캐닝 장치는,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이동하며,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듈;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광원;을 포함한다.
이때, 스캐닝 작업 중에는 상기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한 개의 발광원이 온(ON) 되거나, 상기 스캐닝 모듈이 통과한 위치에 대응되는 발광원은 모두 온(ON)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광원은 에러가 발생하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발생을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를 스캐닝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스캐닝 장치; 및 상기 스캐닝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을 포함하는 복합기를 제공함 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광원은 상기 인쇄유닛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문제발생을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기는 상기 스캐닝 장치와 일체로 설치되며, 팩스를 송수신하는 팩스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광원은 상기 팩스유닛으로 전화가 오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는 본체(10)와, 스캐닝 모듈(20), 및 표시광원(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부에 원고를 놓을 수 있는 원고대(13)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스캐닝 모듈(20)을 직선이동시키는 이동유닛(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원고대(13)는 투명한 유리로 형성된다. 이동유닛은 종래의 스캐닝 장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원고대(13)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원고대(13)를 열고 덮을 수 있도록 커버(15)가 설치된다. 본체(10)의 전면(11)에는 스캐닝 모듈(20)의 이동방향으로 표시창(30)이 마련된다. 표시창(30)은 표시광원(40)이 온(ON) 되면 본체(10)의 외부에서 표시광원(4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표시창(30)은 표시광원(40)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반투명부재로 형성되며, 본체(10)의 전면(11)에 스캐닝 모듈(2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에 설치된다. 표시창(30)은 스캐닝 모듈(20)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캐닝 작업 동안, 표시광원(40)은 표시창(30)의 한쪽 끝(30a)에서 다른 쪽 끝(30b)까지 이동한다. 한편, 스캐닝 모듈(20)이 스캐닝을 하기 전에 대기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본체(10)의 전면(11)에는 대기창(3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대기창(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30)과 분리하여, 별도의 형상(본 실시예의 경우는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대기창(32)의 뒤에 위치한 표시광원(40)이 온 되어 대기창(32)에 불이 들어오는 것에 의해 스캐닝 장치(1)가 스캐닝 준비가 완료된 대기상태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스캐닝 모듈(20)은 원고대(13)에 놓인 원고를 읽어들이는 것으로서, 본체(10)의 내측에 원고대(13)의 아래에 설치되며 이동유닛에 의해 직선이동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닝 모듈(20)은 원고를 조명하는 스캐닝 광원(21)과, 원고의 이미지를 읽어 들이는 스캐닝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스캐닝 센서로는 CIS (CMOS Image Sensor)가 사용된다. CIS는 적은 광량에서도 이미지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따라서, CIS를 사용하는 스캐닝 모듈(20)은 CCD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닝 모듈에 비해 광량이 적은 스캐닝 광원(21)을 사용한다.
표시광원(40)은 스캐닝 모듈(2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스캐닝 모듈(20)의 일측에 스캐닝 모듈(2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표시광원(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모듈(20)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캐닝 모듈(20)이 이동하면 표시광원(40)도 이동하게 된 다. 이때, 표시광원(40)은 표시광원(40)에서 나오는 빛이 스캐닝 모듈(20)의 원고 스캐닝 작업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표시광원(40)은 스캐닝 광원(21)의 설치위치보다 아래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광원(40)은 스캐닝 모듈(20)과 일체로 설치하지 않고, 스캐닝 모듈(20)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광원(40)과 스캐닝 모듈(20) 사이에 표시광원(40)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광원(40)은 스캐닝 장치(1)가 스캐닝 작업을 할 수 있는 대기상태일 경우에 온(ON)되며, 스캐닝 작업 중에도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광원(40)은 스캐닝 모듈(20)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점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표시광원(40)은 소모전력이 적은 LED와 같은 발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광원(40)은 발광원 한 개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발광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발광원을 포함하는 표시광원(40)으로 에러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 시각적 효과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의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캐닝 장치(1)에 전원이 공급되어 스캐닝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스캐닝 모듈(20)은 시작위치에 위치하고 표시광원(40)이 온 된다. 표시광원(40)이 온 되면, 표시창(30)의 시작단(30a)에 불이 들어온 상태가 된다. 도 3과 같이 대기 창(32)이 마련된 본체(10)의 경우에는 스캐닝 장치(1)가 스캐닝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대기창(32)의 뒤에 위치한 표시광원(40)이 온 되므로 대기창(32)이 밝게 빛나게 된다.
사용자가 커버(15)를 열어 원고대(13)에 원고를 놓고 스캐닝 작업을 시작하면, 스캐닝 모듈(20)이 일측으로 이동하며 원고를 읽어 들이게 된다. 이때, 스캐닝 모듈(20)의 일측에 설치된 표시광원(40)도 스캐닝 모듈(2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스캐닝 모듈(20)이 이동하면, 사용자는 표시창(30)을 통해 표시광원(40)이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스캐닝 작업 시작시에는 표시광원(40)은 표시창(30)의 시작단(30a)에 위치하고, 스캐닝이 진행됨과 함께 표시광원(40)은 표시창(30)의 끝단(30b) 쪽으로 이동한다. 스캐닝이 완료되면 표시광원(40)은 표시창(30)의 끝단(30b)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창(30)을 통해 표시광원(4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스캐닝 작업의 진행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스캐닝 장치(1)에 전원은 공급되는 상태이나, 스캐닝 장치(1)에 에러가 발생하여 스캐닝 작업을 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에는 표시광원(40)이 점멸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창(30)을 통해 점멸하는 표시광원(40)을 보는 것만으로 스캐닝 장치(1)에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는 표시창(30')이 스캐닝 장치(1')의 상면(12), 즉, 본체(10')의 상면(12)에 원고대(13, 도 1 참조)의 일측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와 상이하다. 이때, 표 시창(30')은 스캐닝 모듈(20, 도 1 참조)의 이동방향으로 스캐닝 모듈(20)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치되며, 커버(15')로 덮이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표시광원(40)이 스캐닝 광원과 동일하게 상측으로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표시광원(40)의 빛이 스캐닝 작업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체(10')의 내측에 표시광원(40)과 스캐닝 모듈 (20) 사이에는 표시광원(40)의 빛이 스캐닝 모듈(20) 쪽으로 가는 것을 막는 차단막(미도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의 스캐닝 모듈(20), 표시광원(40), 커버(15') 및 그 작용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50)는 본체(60)와, 스캐닝 모듈(70), 및 표시광원(80)을 포함한다.
본체(60)는 원고를 놓을 수 있는 원고대(63)를 구비하며, 내측에는 스캐닝 모듈(70)을 직선이동시키는 이동유닛(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6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의 본체(1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캐닝 모듈(70)은 원고대(63)에 놓인 원고를 읽어들이는 것으로서, 본체(60)의 내측에 원고대(63)의 아래에 설치되며 이동유닛에 의해 직선이동을 한다. 스캐닝 모듈(70)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의 스캐닝 모듈(2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광원(80)은 복수 개의 발광원(81)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발광원(81)은 본체(60)의 전면(61)에 스캐닝 모듈(70)의 이동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16개의 LED(81)가 본체(60)의 전면(61)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69)는 스캐닝 모듈(70)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원(81)의 위치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69)는 스캐닝 작업시 스캐닝 모듈(70)의 현재위치를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69)는 스캐닝 모듈(70)이 대기 상태일 때는 복수 개의 발광원(81) 중 시작단에 위치한 발광원(81a)을 온시키고, 다른 발광원(81)은 오프된 상태로 한다. 또한, 제어부(69)는 스캐닝 모듈(70)이 이동하면, 스캐닝 모듈(70)이 통과하는 위치에 발광원(81)이 있으면, 그 발광원(81)을 온 시킨다. 이때, 새로운 발광원(81)을 온 시킬 때는 스캐닝 모듈(70)이 이미 지나온 발광원(81)은 오프(OFF) 시키도록 제어부(69)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발광원(81)을 온 시킬 경우에도 이미 지나온 발광원(81)은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광원(80)을 보호하기 위해 표시광원(80)의 상측으로 본체(60)의 전면(61)에 투명/반투명재료로 형성된 표시창(9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50)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캐닝 장치(50)에 전원이 공급되어 스캐닝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스캐닝 모듈(70)은 시작위치에 위치하고 표시광원(80)이 온(ON) 된다. 즉, 표시광 원(80)을 이루는 복수 개의 발광원(81) 중 시작단에 위치한 발광원(81a)이 온 된다. 시작단의 발광원(81a)이 온 되는 것을 보고, 사용자는 스캐닝 장치(50)가 스캐닝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65)를 열어 원고대(63)에 원고를 놓은 후, 스캐닝 작업을 시작한다. 그러면, 스캐닝 모듈(70)이 일측으로 이동하며 원고를 읽어 들이게 된다. 이때, 제어부(69)는 스캐닝 모듈(70)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발광원(81)이 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스캐닝 모듈(70)이 현재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된 발광원(81)이 있으면, 그 발광원(81)을 온 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온되는 발광원(81)을 보고 스캐닝 작업의 진행 상태를 알 수 있다. 즉, 스캐닝 작업 시작시에는 표시광원(80)의 시작단에 위치한 발광원(81a)이 온 되고, 스캐닝이 진행됨과 함께 그 옆의 발광원(81)이 순차로 온 되게 된다. 스캐닝이 완료되면 표시광원(80)의 복수 개의 발광원(81)이 모두 온 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광원(80)의 복수 개의 발광원(81)이 온 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스캐닝 작업의 진행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69)가 현재 스캐닝 모듈(70)이 통과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원(81)만 온 시키고 다른 발광원(81)은 오프 시키는 경우에는, 스캐닝 작업의 진행에 따라 불빛이 표시광원(80)의 시작단에서 끝단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온 된 발광원(81)의 위치로 스캐닝 작업의 진행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스캐닝 장치(5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스캐닝 장치(50)에 에러 가 발생하여 스캐닝 작업을 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에는 표시광원(80)을 구성하는 발광원(81)이 점멸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멸하는 표시광원(80)을 통해 스캐닝 장치(50)에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100)는 한대로 스캐닝, 복사, 인쇄, 팩스의 송수신을 할 수 있는 다기능 장치로서, 스캐닝 장치(110), 인쇄유닛(120), 팩스유닛(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스캐닝 장치(1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캐닝 장치(1)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캐닝 장치(110)의 일측에는 복합기(100)를 제어하여 스캐닝, 복사, 인쇄, 팩스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제어판(150)이 설치되어 있다.
인쇄유닛(120)은 스캐닝 장치(110)의 아래에 일체로 설치되며, 스캐닝 장치(110)로 원고를 스캐닝하여 얻은 인쇄데이터를 용지에 출력하거나, 복합기(100)에 연결된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출력한다. 또는, 수신된 팩스를 출력한다. 이러한 인쇄유닛(120)은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수단(121),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미도시), 및 인쇄가 완료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지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인쇄유닛(120)을 구성하는 급지수단(121), 상형성수단, 배지수단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인쇄유닛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팩스유닛(130)은 복합기(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전화망을 통해 다른 팩시 밀리로 팩스를 송신하고, 다른 팩시밀리가 송신한 팩스를 수신한다. 수신한 팩스는 상술한 인쇄유닛(120)을 통해 용지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팩스유닛(130)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팩스유닛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제어판(150)을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술한 스캐닝 장치(110), 인쇄유닛(120), 팩스유닛(130)을 제어하여, 복합기(100)가 스캐닝, 복사, 인쇄, 팩스 송수신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스캐닝 장치(110), 인쇄유닛(120), 팩스유닛(130)의 상태를 감시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이를 스캐닝 장치(110)의 표시광원을 이용하여 외부로 표시한다. 즉, 제어부(140)는 복합기(100)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스캐닝 장치(110)의 표시광원(40)을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창(30)을 통해 표시광원(40)이 점멸하는 것을 인식하여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합기(100)에서 발생하는 에러가 복수 개일 때는 표시광원(40)의 점멸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발생 에러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유닛(120)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표시광원(40)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고, 용지가 떨어진 경우에는 표시광원(40)을 긴 시간 간격으로 점등시키는 것이다.
또한, 표시광원(40)을 팩스유닛(130)으로 전화가 걸려온 것을 표시하는 전화수신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팩스유닛(130)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제어부(140)는 표시광원(40)을 매우 짧은 간격으로 점멸 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팩스유닛(130)으로 전화가 온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가 표시광원(40)을 제어하여 에러나 전화수신을 표시 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ROM과 같은 제어부(140)의 저장수단(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1)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 복합기(10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평판 스캐닝 장치를 사용하는 복사기와 팩시밀리 등에도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적은 광량의 스캐닝 광원을 필요로 하는 CIS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닝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CCD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기에 의하면, 별도로 설치된 표시광원이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므로, 적은 광량의 스캐닝 광원을 사용하는 평판형 스캐닝 장치에서도, 사용자가 스캐닝 작업의 진행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 장치 및 복합기는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 표시광원이 점멸되므로, 사용자는 에러가 발생한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는 전화가 온 것을 표시광원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전화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소음 없이 팩스 수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11)

  1.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이동하며,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듈; 및
    상기 스캐닝 모듈과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광원이 온(ON) 되면, 그 빛을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스캐닝 모듈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표시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대기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광원은 에러가 발생하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5.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이동하며,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듈; 및
    상기 스캐닝 모듈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스캐닝 작업 중에는 상기 스캐닝 모듈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한 개의 발광원이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스캐닝 작업 중에는 상기 스캐닝 모듈이 통과한 위치에 대응되는 발광원은 모두 온(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광원은 에러가 발생하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9. 원고를 스캐닝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스캐닝 장치; 및
    상기 스캐닝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광원은 상기 인쇄유닛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와 일체로 설치되며, 팩스를 송수신하는 팩스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광원은 상기 팩스유닛으로 전화가 오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88163A 2006-09-12 2006-09-12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28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63A KR101281198B1 (ko) 2006-09-12 2006-09-12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684,170 US8294961B2 (en) 2006-09-12 2007-03-09 Scanning apparatus with position indica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7101274136A CN101146164B (zh) 2006-09-12 2007-07-05 扫描装置和具有其的成像装置
US13/623,328 US8559076B2 (en) 2006-09-12 2012-09-20 Scanning apparatus with location indica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63A KR101281198B1 (ko) 2006-09-12 2006-09-12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966A true KR20080023966A (ko) 2008-03-17
KR101281198B1 KR101281198B1 (ko) 2013-07-03

Family

ID=3916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163A KR101281198B1 (ko) 2006-09-12 2006-09-12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294961B2 (ko)
KR (1) KR101281198B1 (ko)
CN (1) CN1011461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7362B2 (en) 2007-06-26 2011-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canning device and multifun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5809B2 (en) * 2002-12-13 2009-02-24 Avision Inc. Scann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starting scanning
CN113610468A (zh) * 2021-08-09 2021-11-05 海尔数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冷链物流运输安全问题标识录入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689Y2 (ko) * 1980-11-26 1987-07-01
JPH1042107A (ja) * 1996-07-22 1998-02-13 Murata Mach Ltd 静止原稿画像読取装置
JPH10271299A (ja) * 1997-03-27 1998-10-09 Ricoh Co Ltd デジタル複合機
US5883728A (en) * 1997-05-20 1999-03-16 Spot Technology Inc. Optical scanner using through holes to show scanning progress
US5900950A (en) * 1997-08-19 1999-05-04 Mustek System Inc. Image scanner with a function of initiating scanning automatically
JP3482110B2 (ja) * 1997-09-09 2003-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2197439A (ja) * 2000-09-22 2002-07-12 Ricoh Co Ltd 文書取込装置、文書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電子文書公証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7065564B2 (en) * 2000-12-22 2006-06-20 Canon Kabushiki Kaisha Network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ntrol program
JP4112196B2 (ja) * 2001-08-24 2008-07-02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通信制御装置
US7418087B2 (en) * 2002-01-04 2008-08-26 Classco Inc. Telephone network messaging
CN2546969Y (zh) 2002-04-26 2003-04-23 刘世英 公共交通自动报站装置
US7075415B2 (en) * 2003-09-30 2006-07-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nversion of light signals to audio
KR100590879B1 (ko) * 2004-03-08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판독기 및 이 화상판독기를 이용한 원고독취방법
US8081849B2 (en) * 2004-12-03 2011-12-20 Google Inc. Portable scanning and memory device
JP4822677B2 (ja) * 2004-07-20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060105758A1 (en) * 2004-11-15 2006-05-18 Maislos Ruben E Method and apparatus to disable function of mobile station
JP2006344172A (ja) * 2005-06-10 2006-12-21 Canon Inc 画像形成制御方法および文書の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98243B2 (ja) * 2005-08-08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7362B2 (en) 2007-06-26 2011-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canning device and multifun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59076B2 (en) 2013-10-15
KR101281198B1 (ko) 2013-07-03
US20080062474A1 (en) 2008-03-13
US20130016406A1 (en) 2013-01-17
US8294961B2 (en) 2012-10-23
CN101146164A (zh) 2008-03-19
CN101146164B (zh)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9077B2 (en) Image scanning device
US6417937B1 (en) Integrated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active transparency adapter
JP6206315B2 (ja) スキャナ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025219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3922379B2 (ja) 画像読取装置
US7978380B2 (en) Image read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101281198B1 (ko)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643909B2 (en) Image reader
CN103491273A (zh) 具有校正功能的馈纸式扫描装置
JP2011137976A (ja)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3127510A (ja) 画像形成装置
JP59207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21964A (ja) 画像形成装置
JP6992324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201575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9756641B (zh) 图像形成装置、记录介质以及控制方法
JP4449855B2 (ja) スキャナ
US20070024917A1 (en) Device access area illumination in an imaging apparatus
US20200128641A1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6211160A (ja) 画像読取装置
JP5572337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72620A (ja) 画像読取装置
JP2021082978A (ja) 原稿送り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5192151A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3219081A (ja) 画像読取/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