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722A - 주형 분리형 삽입체 - Google Patents

주형 분리형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722A
KR20080023722A KR1020087000043A KR20087000043A KR20080023722A KR 20080023722 A KR20080023722 A KR 20080023722A KR 1020087000043 A KR1020087000043 A KR 1020087000043A KR 20087000043 A KR20087000043 A KR 20087000043A KR 20080023722 A KR20080023722 A KR 2008002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mold
channel
refrigerant channel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드 뒤뷔
마뛰 뜨뤼스나흐
마르꼬 두아르떼
Original Assignee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2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2033/042Meander or zig-zag shaped cooling channels, i.e. continuous cooling channels whereby a plurality of cooling channel sections are oriented in a substantial paralle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20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ed articles
    • B29C2045/7264Cooling or heating the neck portion of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적층 조립체에서 사용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그리고 구체적으로 병 주형 예비 성형체를 제작하는 사출 성형 적층 조립체에서 사용하는 예비 성형체 주형 네크 링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삽입체는 성형 표면이 그 상에 구성된 상태의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형 삽입체는 구획부가 그 내에 배열된 상태로 본체 내에 구성되는 냉매 채널을 포함한다. 구획부는 냉매 채널의 일부를 제1 및 제2 분지부로 분할한다. 전달 냉매 채널이 분지부들 사이에 구성된다.
주형 분리형 삽입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사출 주형, 본체, 성형 표면, 냉매 채널, 구획부

Description

주형 분리형 삽입체 {A MOLD SPLIT INSER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성형 적층 조립체에서 사용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병(bottle)으로 중공 성형될 수 있는 형태의 플라스틱 예비 성형체(plastic preform) 또는 패리슨(parison)의 네크 부분의 외부 표면을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예비 성형체 주형 네크 링 삽입체(preform mold neck ring insert)에 적용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상에 배치되는 성형 표면의 일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효 냉매 채널(effective coolant channel)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냉매 유동을 구성하기 위한 분리형 삽입체의 냉매 채널 내에서의 구획부(partition)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주형 분리형 삽입체는 그렇지 않으면 그 내에 포획되는 성형 물품의 일부(예컨대, 나사, 돌기, 링 그리고 다른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특징부)를 성형하기 위해 그 상보적 쌍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성형 표면의 일부는 상보적 쌍의 분리형 삽입체들 사이에서 대개 절반으로 분리되고, 여기에서 성형 물품을 탈형하는 단계는 상보적 분리형 삽입체를 분리함으로써 성취된다.
특정한 제한 없이, 후속적으로 플라스틱 병으로 중공 성형되는 형태의 사출 성형 예비 성형체의 제작을 위해 성형 적층 조립체 내에서 분리형 삽입체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 조립체에서, 분리형 삽입체는 성형 물품의 네크 부분을 형성할 때의 이들의 역할 때문에 네크 링 삽입체로서 주지되어 있다.
플라스틱 예비 성형체의 제작을 위한 전형적인 사출 주형은 1개 이상의 성형 공동을 포함한다. 각각의 성형 공동은 일반적으로 주형 삽입체의 적층 조립체 내에 구성된다. 사출 주형에서, 적층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한 세트의 수냉 판(water cooled plate) 및 핫 러너(hot runner)를 포함하는 주형 슈(mold shoe) 내에 배열된다. 핫 러너는 성형 공동 내로 성형 기계의 사출 유닛으로부터 수용되는 사출된 플라스틱 용해물의 유동을 분배한다.
도1을 참조하면, 사출 주형(1)의 일부를 따른 단면도가 주형 슈 내에 배열되는 전형적인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50)를 도시하고 있다.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50)는 그 상에 배치되는 한 세트의 성형 표면을 따라 성형 공동(61)을 제공할 때에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네크 링 삽입체 쌍(52), 주형 공동 삽입체(54), 게이트 삽입체(56), 로킹 링(locking ring)(58) 및 코어 삽입체(60)를 포함한다. 주형 슈는 공동 판(62), 코어 판(64), 스트리퍼 판(stripper plate)(66) 및 활주 쌍(68)을 포함한다. 물론, 많은 다른 스타일의 사출 주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50)가 있다. 예컨대, 로킹 링 없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50)를 구성하는 것은 드물지 않으며, 여기에서 코어 삽입체는 로킹 링의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공동 삽입체(54)는 공동 판(62) 내의 상보적으로 구성된 보어(bore) 내에 배열되고, 한편 게이트 삽입체(56)는 공동 삽입체(54)의 상 부 부분 내에 구성되는 보어 내에 배열된다. 공동 판(62)은 냉매 공급원 및 싱크(sink)(도시되지 않음)와 공동 및 게이트 삽입체(54, 56) 주위에서 구성되는 냉매 채널(55, 57)을 연결하는 냉매 채널(72, 74)을 포함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비 성형체의 본체 및 단부 부분에 대응하는 성형 공동(61)의 외측 표면의 상당한 부분은 각각 공동 및 게이트 삽입체(54, 56) 상에 배치된 성형 표면 부분(90, 92)을 따라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코어 삽입체(60)는 코어 판(64)의 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고, 로킹 링(58)에 의해 그 상에 보유된다. 또한, 코어 판(64)은 냉매 공급원 및 싱크(도시되지 않음)와 코어 삽입체(60) 내에 구성되는 냉매 채널을 연결하는 냉매 채널(76, 77, 78)을 포함한다. 코어 냉매 채널은 코어 삽입체(60)의 상당한 길이를 따라 구성되는 보어의 내측 표면과 그 내에 배열되는 코어 냉각 튜브(80) 사이에 제공된다. 대체예에서, 유동 구획부가 1986년 2월 18일자로 블랭크 등에게 허여된 제US 4,571,171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코어 냉매 채널을 상호 연결된 채널들로 분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비 성형체의 내측 표면에 대응하는 성형 공동(61)의 내측 표면은 코어 삽입체(60)를 따라 배치된 성형 표면 부분(91)을 따라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예비 성형체의 상부 부분에 대응하는 성형 공동(61)의 상부 표면은 로킹 링(58) 상에 배치된 성형 표면 부분(94)을 따라 제공된다.
공동 및 코어 삽입체(54, 60)들 사이에는 네크 링 삽입체 쌍(52)이 배열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비 성형체의 네크 부분에 대응하는 성형 공 동(61)의 외측 표면의 잔여 부분은 네크 링 삽입체 쌍(52)의 내측 표면을 따라 배치된 성형 표면 부분(96)을 따라 제공된다. 네크 링 삽입체 쌍(52)은 활주 쌍(68)의 인접한 활주부 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를 포함한다. 활주 쌍(68)은 스트리퍼 판(66)의 상부 표면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트리퍼 판(66)은 코어 판(64)의 상부 표면 상에 배열되고, 로킹 링 및 코어 삽입체(58, 60)를 위한 구멍을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그리고 예컨대 2004년 10월 5일자로 마이 등에게 허여된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6,799,962호에서 대체로 기재된 바와 같이, 주형이 개방 구성으로 배열될 때, 스트리퍼 판(66)은 코어 판(61)에 대해 연장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 활주 쌍(68) 그리고 그 상에 장착된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는 성형 공동(61)으로부터의 성형된 예비 성형체의 해제를 위해 캠 배열부(cam arrangement)(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측면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활주 쌍(68)은 냉매 공급원 및 싱크(도시되지 않음)와 각각의 네크 링 삽입체 내에 구성되는 냉매 채널(17)을 연결하는 입구 및 출구 냉매 채널(70)(이들 중 1개만이 도시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네크 링 삽입체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플랜지 부분(5)의 상부 및 저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돌출 부분(4)을 포함하는 본체를 갖는다. 돌출 부분의 외부 부분은 전형적으로 그와 네크 링 삽입체 쌍을 정렬하기 위해 인접한 공동, 로킹 링 또는 코어 삽입체(54, 58, 60) 상의 상보적 암형 테이퍼(female taper)와 협력하는 수형 테이퍼(male taper)로서 구성된다. 물론, 인접한 삽입체와 네크 링 삽입체를 정렬하는 다른 수단 예컨대 인접한 삽입체의 수형 및 암형 테 이퍼를 바꾸는 것, 테이퍼 로크의 사용 등이 주지되어 있다. 플랜지 및 돌출 부분은 전형적으로 공구강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경질 내구성 재료로 구성되는 일체형 본체 상에 구성된다.
네크 링 냉매 채널(17)은 전형적으로 그 중심 부분 내에 2개의 교차하는 원통형 채널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각각의 네크 링 삽입체의 플랜지 부분(5) 내에 (예컨대, 드릴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위의 냉각 배열은 전도를 통해 돌출 부분(4) 그리고 그 상에 배치된 성형 표면을 냉각하는 플랜지 부분(5)의 냉각을 제공한다.
그러나, 점점 활동적인 성형 사이클 그리고 그로 인한 주형 냉각 시간 면에서의 감소와 관련하여, 성형된 예비 성형체 내의 어떤 결함의 발생원일 수 있는 온도 구배가 성형 표면 주위에서 부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이 최소 상태에 있는[즉, 성형 표면이 냉각 채널(17)까지 최대 거리에 있는] 네크 링 삽입체들 사이에서의 결합 인터페이스에 근접한 각도 위치로 비교적 두꺼운-벽의 예비 성형체 특징부[예컨대, 예비 성형체 지지 레지(preform support ledge)(98) 또는 절취 방지 밴드(pilfer proof band)(99)] 내에서 불균질한 냉각의 효과가 국소 '싱크 마크(sink mark)'(즉, 작은 오목부)로서 나타날 수 있다.
전술된 네크 링 냉각 구성에 대한 대체예가 1997년 2월 4일자로 젤러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99,567호('567) 그리고 2004년 1월 27일자로 젤러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RF38, 396호('396)를 참조하여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들 참조 문헌은 성형 표면 부분 주위에서 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효 채널을 포함하는 냉매 채널 구성을 포함하는 네크 링 삽입체를 기재하고 있다.
'567 특허는 그 상에 배치되는 곡선형 내부 성형 표면 주위에서 연장하는 곡선형 내부 채널을 포함하는 폐쇄형 냉매 채널(enclosed coolant channel)을 갖는 네크 링 절반부(neck ring half)를 기재하고 있다. 참조 문헌은 네크 링 삽입체 쌍을 구성하는 수단에 대해 완전히 침묵하고 있지만, 그 내에서의 냉매 채널 구성의 형성은 종래의 금속 기계 가공 방법의 사용을 배제한다는 것이 명확하다.
'396 특허는 내부 부분이 종래의 기계 가공 방법보다 오히려 주조에 의해 제작되는 외부 플랜지 부분 내에 끼워지는 내부 원통형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크 링 삽입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내부 부분은 2개의 냉매 채널의 내부 부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그 내에 홈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외부 표면을 갖는다. 각각의 냉매 채널은 네크 링 삽입체들 중 하나의 곡선형 내부 표면 주위에서 연장한다. 외부 플랜지 부분은 내부 원통형 부분의 외부 표면 주위에서 끼워지는 내부 표면을 갖고 냉매 채널까지 연장하는 그 내에 구성되는 각각의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그를 통한 개구를 포함한다. 외부 플랜지 부분 및 내부 원통형 부분은 별개로 형성되고, 그 다음에 함께 납땜된다. 그 다음에, 일체로 접합된 내부 및 외부 부분은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 쌍을 형성하기 위해 중심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절반으로 절단된다.
위의 예의 네크 링 삽입체는 성형 표면 주위에서의 불균질한 냉각의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는 냉매 채널 구성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또한 제조하기 복잡하고 비싸다. 따라서, 그 상에 배치된 성형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실질적으로 균질한 냉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제조하기 비교적 간단하고 더 경제적인 분리형 삽입체에서 사용하는 냉매 채널 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종래 기술의 위에서-확인된 단점들 중 적어도 1개를 제거 또는 완화하는 분리형 삽입체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주형 분리형 삽입체는 성형 표면의 균질한 냉각을 제공하므로 성형 물품 내에서의 싱크 마크의 문제점을 완화하고 또한 제조하기 비교적 간단하고 더 경제적인 냉매 채널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주형 분리형 삽입체가 제공된다. 주형 분리형 삽입체는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서 그 상보적 쌍으로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분리형 삽입체는 성형 표면이 그 상에 구성된 상태의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형 삽입체는 본체 내에 구성되는 냉매 채널을 포함하며, 냉매 채널은 그 일부를 제1 및 제2 분지부(branch)로 분할하도록 냉매 채널 내에 배열되고 분지부들 사이에서의 전달 냉매 채널(transfer coolant channel)을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구획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가 제공된다. 성형 적층 조립체는 그 사이에 성형 공동을 구성할 때에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성형 삽입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성형 삽입체는 상보적 쌍의 분리형 삽입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분리형 삽입체는 성형 표면이 그 상에 구성된 상태의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형 삽입체는 본체 내에 구성되는 냉매 채널을 포함하며, 냉매 채널은 그 일부를 제1 및 제2 분지부로 분할하도록 냉매 채널 내에 배열되고 분지부들 사이에서의 전달 냉매 채널을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구획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사출 주형이 제공된다. 사출 주형은 적어도 1개의 성형 적층 조립체가 그 내에 배열된 상태의 주형 슈를 포함한다. 성형 적층 조립체는 그 사이에 성형 공동을 구성할 때에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성형 삽입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성형 삽입체는 상보적 쌍의 분리형 삽입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분리형 삽입체는 성형 표면이 그 상에 구성된 상태의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형 삽입체는 본체 내에 구성되는 냉매 채널을 포함하며, 냉매 채널은 그 일부를 제1 및 제2 분지부로 분할하도록 냉매 채널 내에 배열되고 분지부들 사이에서의 전달 냉매 채널을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구획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전형적인 예비 성형체 주형 성형 적층 조립체를 통한 단면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크 링 삽입체 쌍의 등각도,
도2B는 도2A의 네크 링 삽입체 쌍의 평면도,
도2C는 도2B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선 C-C를 따라 취해지는 도2A의 네크 링 삽입체 쌍의 단면도,
도2D는 도2A의 네크 링 삽입체 쌍의 측면도,
도2E는 도2D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선 E-E를 따라 취해지는 도2A의 네크 링 삽입체 쌍의 단면도,
도2F는 도2E를 참조하여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은 도2A의 네크 링 삽입체 쌍에서 사용되는 일체로 형성된 구획부를 갖는 플러그(plug)의 등각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크 링 삽입체 쌍의 측면도,
도3B는 도3A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선 A-A를 따라 취해지는 도3A의 네크 링 삽입체 쌍의 단면도,
도3C는 도3B를 참조하여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은 도3A의 네크 링 삽입체 쌍에서 사용되는 구획부의 등각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예비 성형체(도시되지 않음)의 네크 부분을 성형하는 예비 성형체 주형 네크 링 삽입체 쌍(152)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쌍이 도2A를 참조하여 도시되어 있다. 네크 링 삽입체 쌍(152)은 한 쌍의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103, 1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103, 103')는 후속하는 대체 실시예와 관련하여 유사하게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네크 링 삽입체(103)만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2B 및 도2C를 참조하여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 링 삽입체(103)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플랜지 부분(105)의 상부 및 저부 표면(170, 172)으로부터 연장하는 상부 및 하부 돌출 부분(104, 105)을 포함하는 일체형 본체로부터 형성된다. 특정한 제한 없이, 플랜지 부분(105)은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부 및 하부 돌출 부분(104, 106)은 바람직하게는 반-환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플랜지 부분(105)은 후방 표면(160),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부 표면(162, 164), 상부 표면(170), 저부 표면(172) 그리고 전방 표면(174)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돌출 부분(104, 106)은 각각 상부 및 저부 표면(166, 168), 테이퍼형 표면(120, 121) 그리고 플랜지(105)의 전방 표면(174)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전방 표면을 포함한다.
플랜지 및 돌출 부분(104, 106)을 따라 배치된 전방 표면(174)은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103, 103')들 사이에서의 결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의 외부 표면의 특정한 제한 없는 제1 절반부를 형성하는 성형 표면(96)이 돌출 부분(104, 106)의 상부 및 저부 표면(166, 168)들 사이에서 전방 표면(174)을 통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를 따라 배치된다.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의 외부 표면의 제2 절반부를 형성하는 상보적 성형 표면(96')은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103') 상에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부 및 저부 돌출 부분(104, 106) 상의 상부 및 저부 표면(166, 168) 그리고 테이퍼형 표면(120, 121)은 각각 상부 및 하부 수형 결합 테이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결합 테이퍼는 성형 삽입체들 사이에서의 적절한 정렬 및 근접한 끼움을 성취하기 위해 각각 공동 및 로킹 링 삽입체(54, 58)(도1) 상에 제공되는 상보적 암형 결합 테이퍼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대체 구성의 결합 테이퍼 예컨대 인접한 삽입체들 사이에 수형 및 암형 결합 테이퍼를 개재하는 것, 테이퍼 로크의 사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네크 링 삽입체(103)는 사출 주형의 활주 쌍(68)(도1) 상으로의 네크 링 삽입체 쌍(152)의 장착을 가능케 하는 장착 구조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조물은 각각 도웰(dowel) 및 캡 나사(cap screw)와 협력하도록 플랜지 부분(105) 상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정렬 보어(108) 및 캡 나사 카운터 보어(cap screw counter bore)(107)를 포함한다. 물론, 활주부(68) 상의 상보적 표면과 플랜지 부분(105)의 후방 및 측부 표면(160, 162, 164)을 정렬하는 것 그리고 네크 링 플랜지(105)의 상부 표면(170)과 협력하는 클램프(clamp)를 구성함으로써 등의 다른 수단이 활주 쌍(68) 상으로 네크 링 삽입체 쌍(52)을 정렬 및 장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2D 및 도2E를 참조하면, 네크 링 삽입체(103)는 유효 냉매 채널 그리고 그 본체 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결 냉매 채널을 포함하는 냉매 채널 구성을 갖는다.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효 냉매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냉매 채널은 입구 채널 세그먼트(110) 및 제1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냉매 채널은 출구 채널 세그먼트(111) 및 제2 결합 채널 세그먼트(113)를 포함한다. 위의 채널 세그먼트(110, 111, 112, 113, 114, 115)는 바람직하게는 드릴링 가공에 의해 특정한 제한 없이 네크 링 삽입체(103)의 본체 내에 형성된다. 물론, 임의의 개수의 냉매 채널 세그먼트가 가능하고, 이들은 다른 수단(예컨대, 전기 방전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냉매 입구 및 출구 채널 세그먼트(110, 111)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제1 및 제2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 113)와 상호 연결하도록 요구되는 깊이까지 플랜지 부분(105)의 저부 표면(172)을 통해 형성된다. 저부 표면(172) 상의 입구 및 출구 채널 세그먼트(110, 111)에 의해 제공된 구멍은 활주 쌍(68) 상의 입구 및 출구 냉매 채널(70)(도1)과 냉매 채널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정한 제한 없이,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 113) 및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부분(105)과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플랜지 부분(105)의 상부 및 저부 표면(170, 172)들 사이에서 네크 링 삽입체(103) 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 113)는 바람직하게는 캡 나사 카운터 보어(107)의 상부 부분과의 임의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저부 표면(172)에 더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는 바람직하게는 저부 표면(172)에 더 근접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 이들은 도2C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지지 레지(98) 및 절취 방지 밴드(99)를 형성하는 성형 표면의 일부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 113)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부분(105)의 후방 표면(160)으로부터 네크 링 삽입체(103)를 통해 형성된다.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 113)는 후방 표면(160)의 중앙부에 대해 근접하게 벌리고 있는 제1 단부를 갖고, 연결 포탈(connecting portal)(116)에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와 상호 연결하도록 요구되는 깊이까지 각각 각각의 측부 표면(162, 164)을 향해 연장한다. 연결 및 유효 냉매 채널 세그먼트(112, 113, 114, 115)들 사이의 연결 포탈(116)은 바람직하게는 전방 표면(174)의 부근에서 향상된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 부분(105)의 제1 및 제2 표면(162, 164)에 인접하게 대응하는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제1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플랜지 부분(105)의 제1 및 제2 측부 표면(162, 164)으로부터 네크 링 삽입체(103)를 통해 형성된다.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표면(174)에 인접하게 제1 단부를 갖고,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플랜지 부분(105)의 중앙-부분 근처에 위치되는 제2 단부(117)에서 교차하도록 요구되는 깊이까지 성형 표면 부분(96)으로부터 [도2에서의 치수(G)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하게 이격된다. 따라서, 유효 냉매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성형 표면 부분의 주연부의 상당한 부분 주위에서 그리고 성형 표면 부분의 주연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리고 특정한 제한 없이, 연결 채널 세그먼트(112, 113)는 측부 표면(162, 164)으로부터 약 70˚ 각도로 형성되어야 하고, 한편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는 측부 표면(162, 164)으로부터 약 60˚ 각도로 형성된다.
냉매 채널을 완성하기 위해, 연결 및 유효 냉매 채널(112, 113, 114, 115)의 제1 단부는 각각 그리고 도2A, 도2E 및 도2F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32, 130)로써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130, 132)는 우선 연결 및 유효 냉매 채널(112, 113, 114, 115)의 제1 단부 내로 배열되고 그 다음에 연결 및 유효 냉매 채널(112, 113, 114, 115)의 제1 단부 내로 납땜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부재이다. 유리하게는, 플러그는 성형 삽입체를 제조하는 주지된 방법에 따라 네크 링 삽입체(103, 103')의 열 처리 단계 중에 납땜될 수 있다. 물론, 대체 수단 예컨대 파이프 플러그(도3B), 용접 등이 구멍을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명확하게 캡 나사 카운터 보어(107)와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 113) 사이의 분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캡 나사 카운터 보어(107)의 위치는 연결 포탈(116)과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제1 단부 사이의 근접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막힌 제1 단부와 연결 포탈(116)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종료 부분(dead-end portion)을 따른 냉매 유체 정체 그리고 그에 따른 각각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종료 부분으로부터의 불량한 열 제거를 피하기 위해, 구획부(136)가 그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2E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종료 부분을 따라 냉매 유동을 재안내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 그에 인접한 성형 표면 부분(96)의 일부의 냉각은 더욱 개선된다. 위의 사항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싱크 마크에 대한 문제 영역인 전방 표면(174)에 인접한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종료 부분의 위치의 관점에서 특히 중요하다.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포탈(116)을 바로 넘어까지 플러그 헤드(plug head)(134)에 인접하게 그 제1 단부들 사이에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를 제1, 제2, 제3 및 제4 분지부(114A, 114B, 115A, 115B)로 분할하도록 배열된다.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분지부(114A 및 114B 그리고 115A 및 115B)들을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헤드(13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그 상에 구성되는 전달 냉매 채널(138)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그 유동 표면이 연결 포탈(116)에 대체로 평행한 상태로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 내에 배열된다. 또한, 구획부(136)는 그 길이 방향 축에 경사진 상태로 각각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를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구획부의 제1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헤드(134)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고, 그 제2 단부는 그 동일측 상의 연결 포탈(116)과 제1 및 제2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들 사이의 교차 영역 사이에 위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및 제4 분지부(114A, 115A)는 전달 냉매 채널(138)로의 연결 포탈(116)들 사이에서의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분지부(114B, 115B)는 전달 냉매 채널(138)들 사이에서의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네크 링 삽입체(103)를 통한 냉매 유동 경로는 입구 채널 세그먼트(110), 제1 결합 채널 세그먼트(112), 연결 포탈(116), 제1 분지부(114A), 전달 냉매 채널(138), 제2 분지부(114B), 제3 분지부(115B), 전달 냉매 채널(138), 제4 분지부(115A), 연결 포탈(116), 제2 결합 채널 세그먼트(113) 및 출구 채널 세그먼트(111)를 도2E에서의 유동 라인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양호한 경로를 따른다.
도2F를 참조하면, 플러그(130)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헤드(134) 및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 내에서의 구획부(136)의 양호한 배열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플러그 헤드(134)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본체이다.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최소 두께를 갖는 긴 블레이드(elongate blade)로서 구성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헤드(134)의 저부 표면(144)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그리고 그 길이 방향 축에 경사지게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를 효과적으로 분할하기 위해, 구획부(136)는 바람직하게는 구획부(136)가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내부 표면에 대체로 맞게 하는 윤곽 외부 에지(140)를 갖는다. 전달 냉매 채널(138)은 그 제1 단부에 근접하게 블레이드(136)의 중심 부분을 통한 개구로서 구성된다.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 내에 구획부(136)를 배향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리고 설치되면 플랜지 부분(105)의 각각의 표면(162, 162)과 대체로 동일한 평면 상에 있도록 플러그 헤드의 상부 표면(142)을 구성하기 위해, 플러그 헤드(134)의 상부 표면(142)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표면(162, 164)을 통해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대해 상보적 각도로 플러그 헤드(134)의 길이 방향 축에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획부(136)의 외부 에지(140)의 적어도 일부가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의 내측 표면에 납땜 또는 용접된다.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크 링 삽입체 쌍(232)이 도시되어 있다. 네크 링 삽입체 쌍(232)은 한 쌍의 상보적 네크 링 삽입체(203, 203')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대한 작은 변형예일 뿐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차이점만이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의 네크 링 삽입체(20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냉매 채널 구성에 대한 추가 단순화를 포함한다.
도3B를 참조하면, 입구 및 출구 채널 세그먼트(210, 211), 제1 및 제2 유효 채널 세그먼트(214, 215) 그리고 제1 및 제2 결합 채널 세그먼트(212, 213)의 구성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유 효 채널 세그먼트(214, 215) 내에서의 구획부(236)의 배열은 상이하고, 결과적으로 냉매 유동 경로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구획부(236)는 바람직하게는 유효 채널 세그먼트(214, 215) 내에서 동축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쌍의 평행한 냉매 유동 경로가 그 내에 구성된다. 제1 냉매 유동 경로는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제2 냉매 유동 경로는 도2E에서의 유동 라인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 채널 세그먼트(212, 213)들 사이에 있다.
또한, 도3B에는 유효 및 결합 채널 세그먼트(212, 213, 214, 215)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네크 링 본체 내에 구성되는 여러 개의 나사 장착부(threaded seat)(230)가 도시되어 있다. 나사 장착부(230)는 채널 세그먼트(212, 213, 214, 215)의 단부를 막는 전형적인 파이프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3C를 참조하면, 구획부(236)는 바람직하게는 단순화된 대체로 직사각형의 본체 구성을 갖는다. 이전과 같이, 구획부(236)는 그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그를 통한 개구로서 구성되는 전달 냉매 채널(238)을 포함한다. 또한, 구획부는 유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 내에 구획부(136)를 배향하기 위해 유효 채널 세그먼트(214, 215) 내에 구성되는 상보적 위치 설정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위치 설정 부재(240A, 240B)를 그 상에 포함한다. 위치 설정 부재(240A, 240B)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탭(tab)으로서 그 제1 단부에 인접하게 구획부 본체의 측면의 일부를 따라 구성된다. 구획부 본체의 제1 단부는 유 효 채널 세그먼트(114, 115) 내에 구획부(236)를 보유하기 위해 파이프 플러그의 내부 표면(도시되지 않음)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구획부(236)의 제2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분지부(214B, 215B)들을 연결하기 위해 인접한 구획부(236)의 제2 단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대체예의 구획부(도시되지 않음)에서, 단일 구획부가 제1 및 제2 유효 채널 세그먼트(214, 215)의 양쪽 모두를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전달 냉매 채널은 구획부의 단부와 채널 세그먼트의 단부 사이에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된 것은 그 상의 성형 표면의 실질적으로 균질한 냉각을 제공하는 냉각 구조물을 포함하고 또한 알려진 구성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구현하기 간단하고 비싸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의 주형 분리형 삽입체 쌍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예비 성형체 사출 주형에서 사용하는 네크 링 쌍으로서 구성된 것들이다.
모든 미국 및 외국 특허 문서 그리고 위에서 논의된 항목은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내로 참조로 여기에 합체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거나 블록에 의해 지시된 개별 부품은 모두가 사출 성형 기술에서 주지되어 있고, 이들 특정한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동작 또는 최상 모드에 대해 결정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청구의 범위의 범주는 모든 이러한 변형 및 등가의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이 허용되어야 한다.

Claims (78)

  1.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서 상보적 쌍으로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이며,
    본체와,
    본체 상에 구성된 성형 표면과,
    본체 내에 구성된 냉매 채널로서, 냉매 채널의 일부분을 제1 및 제2 분지부로 분할하도록 냉매 채널 내에 배열되고 분지부들 사이에서의 전달 냉매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구획부를 수용하게 구성된 냉매 채널을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 제1항에 있어서, 냉매 채널은,
    제1 및 제2 단부 그리고 단부들을 개재하는 제1 및 제2 연결 포탈을 가지며, 본체 내에 구성된 유효 냉매 채널과,
    본체의 외부 표면 상의 입구 포탈과 제1 연결 포탈 사이에서 본체 내에 구성된 제1 연결 냉매 채널과,
    제2 연결 포탈과 본체의 외부 표면 상의 출구 포탈 사이에서 본체 내에 구성된 제2 연결 냉매 채널을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3. 제2항에 있어서, 분지부들은 유효 냉매 채널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냉매 유동 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4. 제3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성형 표면의 일부의 주연부의 상당한 부분 주위에서 그리고 성형 표면의 일부의 주연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5. 제4항에 있어서, 분리형 삽입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 물품은 예비 성형체이고, 성형 표면은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을 따라 외부 표면을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6. 제5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의 일부분은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 상의 두꺼운-벽 형상부에 대응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7. 제3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유효 냉매 채널의 제1 및 제2 단부에 인접하게 플러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8. 제7항에 있어서, 전달 냉매 채널은 구획부의 단부와 플러그의 내부 표면 사이에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9. 제7항에 있어서, 전달 냉매 채널은 구획부를 통해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 입체.
  10. 제9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플러그 헤드를 포함하며, 구획부는 플러그 헤드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1. 제10항에 있어서, 구획부는 플러그 헤드의 길이 방향 축으로 경사지고, 구획부는 유효 냉매 채널의 인접한 내부 표면의 프로파일을 따르는 윤곽 외부 에지를 갖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2. 제9항에 있어서, 구획부는 본체 내에 구성되는 상보적 위치 설정 부재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3. 제3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복수의 채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직선형 채널 세그먼트는 성형 표면에 접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곡선을 따라 연장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7. 제16항에 있어서, 곡선형 채널 세그먼트는 성형 표면과 동심인 분리형 삽입체.
  18. 제13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부 표면, 저부 표면, 후방 표면, 전방 표면, 제1 측부 표면 및 제2 측부 표면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전방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보적 분리형 삽입체를 위한 결합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은 전방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반-원통형 리세스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1. 제20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는 본체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 사이에 그리고 이 표면들에 대체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2. 제20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는 제1 및 제2 측부 표면에 각각 인접한 제1 단부와 본체 내에서 교차하는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채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3. 제22항에 있어서, 본체는 본체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돌출 부분을 더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4. 제23항에 있어서, 본체 돌출 부분의 외부 표면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 분리형 삽입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의 일부분이 돌출 부분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6. 제24항에 있어서, 본체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 분리형 삽입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형 부분을 더 포함하는 주형 분리형 삽입체.
  27. 사이에 성형 공동을 구성하는데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성형 삽입체를 포함하며,
    복수의 성형 삽입체는 상보적 쌍의 분리형 삽입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리형 삽입체는,
    본체와,
    본체 상에 구성된 성형 표면과,
    본체 내에 구성된 냉매 채널로서, 냉매 채널의 일부분을 제1 및 제2 분지부로 분할하도록 냉매 채널 내에 배열되고 분지부들 사이에서의 전달 냉매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구획부를 수용하게 구성된 냉매 채널을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냉매 채널은,
    제1 및 제2 단부 그리고 단부들을 개재하는 제1 및 제2 연결 포탈을 갖는 본체 내에 구성된 유효 냉매 채널과,
    본체의 외부 표면 상의 입구 포탈과 제1 연결 포탈 사이에서 본체 내에 구성된 제1 연결 냉매 채널과,
    제2 연결 포탈과 본체의 외부 표면 상의 출구 포탈 사이에서 본체 내에 구성된 제2 연결 냉매 채널을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분지부는 유효 냉매 채널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냉매 유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성형 표면의 일부분의 주연부의 상당한 부분 주위에서 그리고 성형 표면의 일부분의 주연부에 대체로 인접하게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분리형 삽입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 물품은 예비 성형체이고, 성형 표면은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을 따라 외부 표면을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의 일부분은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 상의 두꺼운-벽 형상부에 대응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3. 제29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유효 냉매 채널의 제1 및 제2 단부에 인접하게 플러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전달 냉매 채널은 구획부의 단부와 플러그의 내부 표면 사이에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5. 제33항에 있어서, 전달 냉매 채널은 구획부를 통해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플러그 헤드를 포함하며, 구획부는 플러그 헤드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7. 제36항에 있어서, 구획부는 플러그 헤드의 길이 방향 축으로 경사지고, 구획부는 유효 냉매 채널의 인접한 내부 표면의 프로파일을 따르는 윤곽 외부 에지를 갖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8. 제35항에 있어서, 구획부는 본체 내에 구성된 상보적 위치 설정 부재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39. 제29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복수의 채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직선형 채널 세그먼트는 성형 표면에 접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2. 제39항에 있어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곡선을 따라 연장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3. 제42항에 있어서, 곡선형 채널 세그먼트는 성형 표면과 동심인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4. 제39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부 표면, 저부 표면, 후방 표면, 전방 표면, 제1 측부 표면 및 제2 측부 표면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5. 제44항에 있어서, 전방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보적 분리형 삽입체를 위한 결합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은 전방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반-원통형 리세스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7. 제46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는 본체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 사이에 그리고 이 표면들에 대체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8. 제46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는 제1 및 제2 측부 표면에 각각 인접한 제1 단부와 본체 내에서 교차하는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채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49. 제48항에 있어서, 본체는 본체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돌출 부분을 더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50. 제49항에 있어서, 본체 돌출 부분의 외부 표면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 분리형 삽입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51. 제50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의 일부분이 돌출 부분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52. 제50항에 있어서, 본체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 분리형 삽입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형 부분을 더 포함하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53. 주형 슈와,
    주형 슈 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적층 조립체를 포함하며,
    성형 적층 조립체는 사이에 성형 공동을 구성하는데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성형 삽입체를 포함하며,
    복수의 성형 삽입체는 상보적 쌍의 분리형 삽입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리형 삽입체는,
    본체와,
    본체 상에 구성된 성형 표면과,
    본체 내에 구성된 냉매 채널로서, 냉매 채널의 일부분을 제1 및 제2 분지부로 분할하도록 냉매 채널 내에 배열되고 분지부들 사이에서의 전달 냉매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구획부를 수용하게 구성된 냉매 채널을 포함하는 사출 주형.
  54. 제53항에 있어서, 냉매 채널은,
    제1 및 제2 단부 그리고 단부들을 개재하는 제1 및 제2 연결 포탈을 갖는 본체 내에 구성된 유효 냉매 채널과,
    본체의 외부 표면 상의 입구 포탈과 제1 연결 포탈 사이에서 본체 내에 구성된 제1 연결 냉매 채널과,
    제2 연결 포탈과 본체의 외부 표면 상의 출구 포탈 사이에서 본체 내에 구성된 제2 연결 냉매 채널을 포함하는 사출 주형.
  55. 제54항에 있어서, 분지부는 유효 냉매 채널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냉매 유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주형.
  56. 제55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성형 표면의 일부분의 주연부의 상당한 부분 주위에서 그리고 성형 표면의 일부분의 주연부에 대체로 인접하게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주형.
  57. 제56항에 있어서, 분리형 삽입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 물품은 예비 성형체이고, 성형 표면은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을 따라 외부 표면을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주형.
  58. 제57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의 일부분은 예비 성형체 네크 부분 상의 두꺼운-벽 형상부에 대응하는 사출 주형.
  59. 제55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유효 냉매 채널의 제1 및 제2 단부에 인접하게 플러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주형.
  60. 제59항에 있어서, 전달 냉매 채널은 구획부의 단부와 플러그의 내부 표면 사이에 구성되는 사출 주형.
  61. 제59항에 있어서, 전달 냉매 채널은 구획부를 통해 구성되는 사출 주형.
  62. 제61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플러그 헤드를 포함하며, 구획부는 플러그 헤드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주형.
  63. 제62항에 있어서, 구획부는 플러그 헤드의 길이 방향 축으로 경사지고, 구획부는 유효 냉매 채널의 인접한 내부 표면의 프로파일을 따르는 윤곽 외부 에지를 갖는 사출 주형.
  64. 제61항에 있어서, 구획부는 본체 내에 구성된 상보적 위치 설정 부재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사출 주형.
  65. 제55항에 있어서, 유효 냉매 채널은 복수의 채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사출 주형.
  66. 제65항에 있어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사출 주형.
  67. 제66항에 있어서, 직선형 채널 세그먼트는 성형 표면에 접하는 사출 주형.
  68. 제65항에 있어서, 유효 채널 세그먼트들 중 하나는 곡선을 따라 연장하는 사출 주형.
  69. 제68항에 있어서, 곡선형 채널 세그먼트는 성형 표면과 동심인 사출 주형.
  70. 제65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부 표면, 저부 표면, 후방 표면, 전방 표면, 제1 측부 표면 및 제2 측부 표면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는 사 출 주형.
  71. 제70항에 있어서, 전방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보적 분리형 삽입체를 위한 결합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되는 사출 주형.
  72. 제71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은 전방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반-원통형 리세스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사출 주형.
  73. 제72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는 본체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 사이에 그리고 이 표면들에 대체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사출 주형.
  74. 제72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효 채널 세그먼트는 제1 및 제2 측부 표면에 각각 인접한 제1 단부와 본체 내에서 교차하는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및 제2 채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사출 주형.
  75. 제74항에 있어서, 본체는 본체의 상부 표면과 저부 표면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돌출 부분을 더 포함하는 사출 주형.
  76. 제75항에 있어서, 본체 돌출 부분의 외부 표면이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 분리형 삽입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주형.
  77. 제76항에 있어서, 성형 표면의 일부분이 돌출 부분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사출 주형.
  78. 제76항에 있어서, 본체는 성형 삽입체 적층 조립체 내에 분리형 삽입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형 부분을 더 포함하는 사출 주형.
KR1020087000043A 2005-06-03 2006-05-12 주형 분리형 삽입체 KR200800237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509181 2005-06-03
CA002509181A CA2509181C (en) 2005-06-03 2005-06-03 A mold split inse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722A true KR20080023722A (ko) 2008-03-14

Family

ID=3748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043A KR20080023722A (ko) 2005-06-03 2006-05-12 주형 분리형 삽입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377767B2 (ko)
EP (1) EP1890856B1 (ko)
JP (1) JP2008542066A (ko)
KR (1) KR20080023722A (ko)
CN (1) CN101189109A (ko)
AT (1) ATE437738T1 (ko)
AU (1) AU2006254662A1 (ko)
CA (1) CA2509181C (ko)
DE (1) DE602006008138D1 (ko)
RU (1) RU2365500C1 (ko)
TW (1) TWI289502B (ko)
WO (1) WO2006128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4928A1 (de) * 2006-02-01 2007-08-16 Mht Mold & Hotrunner Technology Ag Verbesserte Halsbackenkühlung
DE102006021228A1 (de) * 2006-05-06 2007-11-08 Mht Mold & Hotrunner Technology Ag Zweiteiliger Bodeneinsatz
US20080268083A1 (en) * 2007-04-25 2008-10-3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plit Mold Inserts for a Molding System
US7713054B2 (en) 2007-12-12 2010-05-1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plit mold insert and a mold incorporating same
US7762802B2 (en) * 2008-02-21 2010-07-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stack for use in an injection mold and a coupler thereof
EP2271469A4 (en) * 2008-03-26 2011-05-11 Husky Injection Molding DRAWING AND STACKING MOLDS TO PRODUCE THE DRAFT
JP5540861B2 (ja) * 2010-04-21 2014-07-02 東洋製罐株式会社 成形金型の冷却液流路構造および成形金型
EP2603370B1 (en) * 2010-08-12 2016-03-3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apparatus
NL2006712C2 (en) 2011-05-04 2012-11-06 Tooling Holland B V Cavity insert for a preform injection mold.
CN102848521A (zh) * 2011-06-29 2013-01-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用于注塑成型模具的灌嘴及该注塑成型模具
US8845321B2 (en) * 2012-03-01 2014-09-30 Mold-Masters (2007) Limited Split thread insert
US9248597B2 (en) * 2012-04-02 2016-02-02 Progressive Components International Corporation Bubbler base
DE102012209969A1 (de) * 2012-06-14 2013-12-19 Krones Ag VERFAHREN ZUM VERSCHLIEßEN VON KÜHLKANÄLEN EINER GETRÄNKEVERPACKUNGSMASCHINE
US9643349B2 (en) 2013-09-27 2017-05-09 Apple Inc. Insert molded splits in housings
KR102130735B1 (ko) 2014-09-03 202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10148000B2 (en) 2015-09-04 2018-12-04 Apple Inc. Coupl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s
WO2017059116A1 (en) 2015-09-30 2017-04-06 Apple Inc. Multi-part electronic device housing having contiguous filled surface
US10372166B2 (en) 2016-07-15 2019-08-06 Apple Inc. Coupling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s
CN108215069B (zh) * 2016-12-14 2020-10-23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对开式模具插入件以及模具堆叠
WO2018167741A1 (en) * 2017-03-13 2018-09-20 Davies Robert Michael Molding assembly for high temperature composite articles using low temperature inflatable mandrels
US10703020B2 (en) * 2017-04-04 2020-07-07 Dt Inventions Variable thickness preform for a bottle
KR102339155B1 (ko) * 2017-09-08 2021-12-13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금형
RU184442U9 (ru) * 2018-02-05 2018-11-22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Узел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ресс-форм
JP7279025B2 (ja) * 2018-04-26 2023-05-2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に含まれるリップ型並びに射出成形方法
CA3120677A1 (en) 2018-12-11 2020-06-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 directing clamping load through mold stacks
USD958207S1 (en) 2019-06-04 2022-07-1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machine part
US11503143B2 (en) 2019-12-03 2022-11-1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784673B2 (en) 2020-09-16 2023-10-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having a radio-frequency transmissive component
CN113001886B (zh) * 2021-02-24 2022-07-08 浙江庄普模具有限公司 一种具有冷却机构的汽车后车灯模具
US11769940B2 (en) 2021-09-09 2023-09-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antenna
WO2023175081A1 (en) * 2022-03-18 2023-09-21 Sacmi Imola S.C. Device for the injection molding of prefor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2897A (en) * 1919-11-25 Chill-plate
US1078207A (en) * 1910-12-08 1913-11-11 Thomas Michael Hot and cold water applicator.
JPS572740A (en) 1980-06-09 1982-01-08 Hitachi Ltd Die for injection molding
DE3228743C2 (de) * 1982-07-31 1985-11-14 Maschinenfabrik Köppern GmbH & Co KG, 4320 Hattingen Mehrfachspritzgießform zum gleichzeitigen Herstellen mehrerer Formlinge
JPH0531776A (ja) * 1991-07-29 1993-02-09 Wako Sangyo Kk 金型の冷却加熱タンク用仕切り具
CA2126431C (en) * 1994-06-21 2007-03-13 Jobst Ulrich Gellert Injection molding one-piece insert having cooling chamber with radial rib portions
US5632794A (en) * 1995-05-31 1997-05-2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glass pressing plunger
CA2154969C (en) * 1995-07-28 2005-02-01 Jobst Ulrich Gellert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radial vanes
CA2160644C (en) * 1995-10-16 2005-05-24 Jobst Ulrich Gellert Cooled thread split inserts for injection molding preforms
US5830515A (en) * 1996-09-18 1998-11-03 Pleasant Precision, Inc. Mold insert
JPH1142644A (ja) * 1997-07-28 1999-02-16 Saeki M Bii S:Kk バッフルプレート
USRE38396E1 (en) * 1998-07-29 2004-01-27 Jobst Ulrich Gellert Method of making injection molding cooled thread split inserts
CA2244511C (en) 1998-07-29 2008-12-23 Jobst Ulrich Gellert Method of making injection molding cooled thread split inserts
US6799963B1 (en) * 2000-10-31 2004-10-05 Eastman Kodak Company Microlens array mold
US6799962B2 (en) 2001-04-09 2004-10-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tripper assembly
US7159837B2 (en) * 2003-06-20 2007-01-09 Richards Leslie W Plug baffle device for mold
US7234930B2 (en) * 2004-06-14 2007-06-2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oling circuit for cooling neck ring of pre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09181A1 (en) 2006-12-03
US20060283210A1 (en) 2006-12-21
ATE437738T1 (de) 2009-08-15
AU2006254662A1 (en) 2006-12-07
TWI289502B (en) 2007-11-11
EP1890856A4 (en) 2009-01-07
JP2008542066A (ja) 2008-11-27
EP1890856B1 (en) 2009-07-29
US7377767B2 (en) 2008-05-27
EP1890856A1 (en) 2008-02-27
WO2006128275A1 (en) 2006-12-07
CA2509181C (en) 2009-04-28
RU2365500C1 (ru) 2009-08-27
DE602006008138D1 (de) 2009-09-10
TW200706341A (en) 2007-02-16
CN101189109A (zh)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3722A (ko) 주형 분리형 삽입체
KR101155795B1 (ko) 삽입체를 사용하는 몰드 조립체
US6196824B1 (en) Center gating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removable hetero-molding tools
KR101155771B1 (ko) 삽입체를 사용하는 몰드 조립체
CN212948961U (zh) 注塑模具和脱模板组件
JP2000043095A5 (ko)
KR20130060292A (ko) 주조 장치
BRPI0800205B1 (pt) molde de fundição sob pressão
US5762976A (en) Hot runner manifold for thermally sensitive resins
JP2006526521A (ja) 金型スタック内のゲート冷却構造
CN212920269U (zh) 冷却剂分流器、芯冷却管和芯组件
KR100472201B1 (ko) 분리식으로 구성된 사출기 금형용 핫런너 매니폴드와 그제작방법
JP2015516894A (ja) 雄型素子
US7922472B2 (en) Mold for use in injection molding process
CN111300752B (zh) 模具、模具组件和堆叠部件
CN111016100A (zh) 注塑模具的定模镶块冷却装置
KR100838788B1 (ko) 금형조립체
BR112020017063B1 (pt) Moldes com resfriamento após tecnologia de inserção e métodos relacionados
CN215242505U (zh) 多镶块高精度注塑模具
JP2010089390A (ja) 成形金型
JP7317700B2 (ja) 金型装置
WO2021035336A1 (en) Molds, mold assemblies and stack components
JP2020131664A (ja) 成形型
JP2004255792A (ja) ホットランナー式金型のマニホールド装置
TW201028278A (en)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