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457A - 키패드 - Google Patents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457A
KR20080023457A KR1020060087377A KR20060087377A KR20080023457A KR 20080023457 A KR20080023457 A KR 20080023457A KR 1020060087377 A KR1020060087377 A KR 1020060087377A KR 20060087377 A KR20060087377 A KR 20060087377A KR 20080023457 A KR20080023457 A KR 2008002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utton
film member
rubber layer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017B1 (ko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6008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1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5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avoid damage by deformation of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키패드가 개시된다. 키패드는 버튼시트,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버튼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와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러버층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키패드는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시트 및 필름부재는 접착시트를 매개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탄성시트에 부착될 수 있다.
키패드, 버튼시트, 필름부재, 러버층, 접착시트, 탄성시트

Description

키패드{KEYPAD}
도 1은 종래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로서, 버튼편 및 필름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본체 200,300,400,500,600 : 키패드
210,310,410 : 버튼시트 220,320,420,520,620 : 필름부재
230,330,430,530,630 : 러버층 240,340,440,540,640 : 접착시트
250,350,450,550,650 : 탄성시트
본 발명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절첩되며 본체부(10)의 내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20)의 내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11) 및 리어케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13)이 수용되어 있고, 프론트케이스(11)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14a)를 갖는 키패드(14)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에는 배터리(1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의 상면에는 누름조작시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위 메탈돔이라고 하는 복수개의 누름조작스위치(17) 및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14)는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3)의 상측에 배치되는 패드본체(14b), 누름조작 가능하게 본체부(10)의 각 키홀(1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 누름조작스위치(17)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키(14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패드본체(14b)의 저부면에는 각 키(14a)를 누르는 힘이 각 누름조작스위치(17)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누름돌기(1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는 본체부(10)의 프론트케이스(11) 및 키패드(14)의 각 키(14a)가 경도가 낮은 재질(플라스틱, 고무, 합성수지 등)로 형성됨에 따른 재질의 특성상 일정한 형상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두 께를 유지해야 하므로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슬림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10)에 키패드(14)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케이스(11)에 형성된 각 키홀(11a)에 대응하도록 키패드(14)의 각 키(14a)를 위치시킨 후 결합해야 했던 바, 이에 따라 키패드(14)의 조립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그에 따른 조립공수의 증가로 원가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에 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버튼시트 및/또는 필름부재를 탄성시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는 버튼시트,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버튼시트의 저면 에 제공되며 버튼시트와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러버층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 러버층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탄성시트가 서로 직접 접착될 경우 각각의 고유한 특성에 의해 각 부품간의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러버층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탄성시트 간의 접착이 접착시트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키패드는 통상의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로서는 폴더형, 바형, 슬라이드형 등의 타입으로 이루어진 PDA, 스마트 폰, 핸드헬드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는 버튼시트,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버튼시트와 필름부재의 사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와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버튼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
버튼시트로서는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슬릿이 관통 형성된 금속시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시트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시트(또는 금속재질의 버튼편) 대신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시트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러버층은 버튼시트(또는 필름부재)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과 압 력을 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러버층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와 필름부재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러버층이 형성될 때 버튼시트, 필름부재 및/또는 접착시트가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가 형성된 필름부재, 필름부재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 필름부재와 접착시트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와 접착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한다.
볼록부는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각 버튼패턴의 경계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볼록부는 전체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필름부재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또는 가로 방향 등을 따라 볼록부와 평탄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각 버튼패턴 중 일부에만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는 필름부재의 일부를 성형하여 필름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름부재와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볼록부는 오목부를 갖는 금형에서 필름부재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는 필름부재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되는 러버층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시트 역시 볼록부 및 러버층이 형성될 때 접착시트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탄성시트 상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발광부로서는 통상의 무기이엘시트(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또는 유기이엘시트(In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부재 및 접착시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가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0)와, 버튼시트(210), 필름부재(220), 러버층(230), 접착시트(240) 및 탄성시트(250)를 포함하며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키패드(2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서는 최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로 전개 및 절첩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 및 폴더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과 액정표시장치가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상기와 같은 바형 단말기의 입력버튼 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을 구비한 플립형 개인휴대단말기, 본체부에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본체(100)로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본체부(110)와 이 본체부(110)에 절첩되며 본체부(1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부(120)의 하단부에는 본체힌지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120)의 내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1) 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111) 및 리어케이스(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113)이 수용되어 있고, 프론트케이스(111)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112)에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111)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30)가 설치되는 바, 상기 키패드(130)는 프론트케이스(111)에 형성되는 키패드 홀(1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200)는 버튼시트(210), 상기 버튼시트(210)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220), 상기 버튼시트(210)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230), 상기 러버층(230)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240), 상기 접착시트(240)의 저면에 부착되는 탄성시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시트(210)는 경도가 우수한 통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시트(210)로서는 구리나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시트는 플라스틱보다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기 휘어질 수 있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시트(210)로서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버튼영역이 정의되도록 소정 패턴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 슬릿(211)이 관통 형성된 금속시트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슬릿(211)은 소정 버튼 영역을 형성하도록 대략 'ㄷ'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버튼영역이 외팔보(cantilever) 형상으로 버튼시트(210)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버튼영역은 버튼시트(210)에 대해 두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어느 한곳의 버튼영역이 누름 조작될 시 그에 이웃하는 다른 버튼영역으로 움직임이 전달되며 연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이와 같은 구조는 버튼영역의 클릭감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210)에 형성되는 슬릿(211)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슬릿(211)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슬릿(211)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210)로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시트가 적용된 예를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시트 대신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시트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튼시트(210)의 버튼영역에는 숫자, 문자, 기호 등에 해당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을 통해 버튼시트(210)의 투광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시트(21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정의되는 투광영역을 통해 버튼시트(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명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220)는 버튼시트(210)의 상면에 밀착되게 제공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부재(220)는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필름부재(220)에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버튼패턴이 배제된 상태로 필름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러버층(230)은 버튼시트(210)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230)은 통상의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가 러버층(30)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필름부재(220)는 버튼시트(210)의 주연부를 감싸도록 버튼시트(210)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러버층(230)은 도 5와 같이 금형(710,720) 내부에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를 배치하고, 버튼시트(21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230a)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러버층(230)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210)와 필름부재(2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240) 및 탄성시트(250) 역시 러버층(230)이 형성될 때 러버층(2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시트(240)는 러버층(230)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가 접착시트(240)를 매개로 탄성시트(2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2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러버층(230)이 형성될 때 금형(710,720)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러버층(2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240)는 러버층(230)과 탄성시트(250)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와 일체로 연결된 러버층(230)이 직접 탄성시트(2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2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탄성시트(250)는 접착시트(240)의 저면에 접착되며 버튼시트(210) 및 필름부재(2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2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2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2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250)는 접착시트(240)를 매개로 러버층(2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의 상면에는 키패드의 누름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위치(11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시트(2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각 스위치(113a)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113a)에 대응되게 누름돌기(25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변형예로서, 버튼편 및 필름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로서 소정 패턴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 슬릿이 관통 형성된 금속시트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버튼시트 대신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여 버튼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300)는 버튼시트(310), 필름부재(320), 러버층(330), 접착시트(340) 및 탄성시트(350)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시트(310)는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312)은 경도가 우수한 통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버튼편(312)은 구리나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재질의 버튼편(312)은 플라스틱보다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기 휘어질 수 있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320)는 버튼시트(310)의 상면에 밀착되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필름부재(320)가 각 버튼편(312)에 대응되게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필름편(322)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필름편(322) 대신 버튼시트(31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하나의 필름(도시하지 않음) 상에 각 버튼편(312)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필름편(322)을 포함하는 필름부재(320)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필름편(322)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필름편(322)에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3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버튼시트(310)를 구성하는 각 버튼편(312)은 최초에 각 버튼편(312)보다 얇은 폭을 갖는 연결선(313)으로 연결된 금속 원판 상태로 제공되며, 필름 원판과 함께 절단되어 각 버튼편(312)이 각 필름편(322)과 함께 쌍을 이루며 버튼 단위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버튼 단위라 함은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이 쌍을 이루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단위를 말하며, 이와 같은 버튼 단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필름편(322)은 대응되는 각 버튼편(312)의 주연부를 감싸도록 버튼편(312)보다 일정 여유를 두고 크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필름 원판과 금속 원판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필름편(322)의 끝단이 버튼 편(312)의 외곽을 둥글게 덮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필름 원판과 금속 원판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필름편(322)의 끝단은 버튼편(312)의 외곽을 둥글게 덮을 수 있으며, 필름편(32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버튼편(312)의 외곽을 깔끌하게 처리할 수 있고, 버튼 단위의 단부를 둥글게 후처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절단된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 쌍에서 각 버튼편(312) 간을 연결하던 연결선(312)의 절단면(ⓐ)은 필름편(322)의 절단면(ⓑ)과 대략 일치한다. 즉, 필름편(322)이 연결선(313)의 절단면(ⓐ)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며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 쌍의 외곽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33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버튼시트(310)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트시트와 필름부재(3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330)은 통상의 러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도 5 참조) 금형 내부에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를 배치하고, 버튼시트(31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러버층(330)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310)와 필름부재(3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340) 및 탄성시트(350) 역시 러버층(330)이 형성될 때 러버층(3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시트(340)는 러버층(330)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가 접착시트(340)를 매개로 탄성시트(3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3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러버 층(330)이 형성될 때 금형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러버층(33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340)는 러버층(330)과 탄성시트(350)의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와 일체로 연결된 러버층(330)이 직접 탄성시트(3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3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탄성시트(350)는 접착시트(340)의 저면에 접착되며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3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3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3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350)는 접착시트(340)를 매개로 러버층(3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350)의 상면에는 소정 패턴으로 고정돌기(35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52)는 각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버튼 단위의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버튼시트(310) 및 필름부재(320)가 탄성시트(350) 상에 배치될 시 각 버튼 단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고정돌기(352)는 버튼편(312) 및 필름편(322)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버튼 단위의 둘레를 구속하며 반복적인 외력 등에 의해 탄성시트(350)에 배치된 각 버튼 단위가 밀려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시트(3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각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에 대응되게 누름돌기(35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패드(400)는 버튼시트(410), 상기 버튼시트(410)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420), 상기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의 사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430), 상기 버튼시트(410)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440), 상기 접착시트(440)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45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시트(410)는 경도가 우수한 통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시트(410)로서는 구리나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시트는 플라스틱보다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기 휘어질 수 있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버튼시트(410)로서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버튼영역이 정의되도록 소정 패턴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 슬릿(411)이 관통 형성된 버튼시트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버튼시트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슬릿(411)은 버튼시트(410) 상에 소정 패턴으로 버튼 영역이 형성되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슬릿(411)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외팔보(cantilever) 형상 및 브릿지(bridge) 형상 등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슬릿(411)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버튼시트(410)의 버튼영역에는 숫자, 문자, 기호 등에 해당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을 통해 버튼시트(410)의 투광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시트(41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의해 정의되는 투광영역을 통해 버튼시트(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명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420)는 버튼시트(410)의 상부에 제공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부재(420)는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기 필름부재(420)에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버튼패턴이 배제된 상태로 필름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아울러 버튼시트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도 6의 312 참조)을 포함하는 구조가 채용된 경우 필름부재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각 버튼편에 대응되게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필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러버층(340)은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의 사이에 제공되며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430)은 통상의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러버층(430)은 금형(도 5의 710,720 참조) 내부에 버튼시트(410) 및 필름부재(420)를 배치하고, 필름부재(42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러버층(430)이 형성되는 동안 버튼시트(410)와 필름부재(4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시트(440) 및 탄성시트(450) 역시 러버층(430)이 형성될 때 버튼시트(41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시트(440)는 버튼시트(410)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시트(410) 및 필름부재(420)가 접착시트(440)를 매개로 탄성시트(4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4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러버층(430)이 형성될 때 금형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버튼시트(41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440)는 버튼시트(410)와 탄성시트(45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필름부재(420)가 일체로 연결된 버튼시트(410)가 직접 탄성시트(4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4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탄성시트(450)는 접착시트(440)의 저면에 접착되며 버튼시트(410) 및 필름부재(4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4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 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4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4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450)는 접착시트(440)를 매개로 러버층(4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4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각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에 대응되게 누름돌기(45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패드(500)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가 형성된 필름부재(520), 필름부재(520)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540), 상기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520)와 상기 접착시트(54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530), 상기 접착시트(540)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550)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부재(520)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부재(520)는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름부재(520)에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버튼패턴의 형상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부재(520)에는 상기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523)는 각 버튼패턴의 경계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도록 대략 원호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체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필름부재(520)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또는 가로 방향 등을 따라 볼록부와 평탄부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각 버튼패턴 중 일부에만 볼록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볼록부(523)는 필름부재(520)의 일부를 성형하여 필름부재(5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름부재(520)와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볼록부(523)는 원호형 오목부(711)를 갖는 금형(710',720')에서 필름부재(520)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가 배제된 구조에서 필름부재(520)에 볼록부(523)가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필름부재에도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러버층(530)은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러버층(530)은 통 상의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러버층(530)은 금형 내부에 필름부재(520) 및 접착시트(540)를 배치하고, 필름부재(520)의 저면에 액상의 러버를 도포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러버층(530)이 형성되는 동안 필름부재(520)와 접착시트(54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러버층(530)은 전술한 금형(710',720') 안에서 볼록부(523)를 형성하는 동안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시트(550) 역시 볼록부(523) 및 러버층(530)이 형성될 때 접착시트(54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시트(540)는 러버층(530)의 저면에 부착되며 필름부재(520)가 접착시트(540)를 매개로 탄성시트(55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착시트(5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523) 및 러버층(530)이 형성될 때 금형 내부에서 함께 가압되며 버튼시트(510)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시트(540)는 필름부재(520)와 탄성시트(550)의 사이에 개재되어 필름부재(520)가 직접 탄성시트(550)에 접착될 경우보다 더욱 강한 접착력으로 탄성시트(55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탄성시트(550)는 접착시트(540)의 저면에 접착되며 필름부재(520)와 함께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탄성시트(55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통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시트(55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시트(540)와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은 통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550)는 접착시트(540)를 매개로 러버 층(530)에 접착되게 때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550)의 저면에는 키패드를 누르는 힘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각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에 대응되게 누름돌기(55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패드(600)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버튼패턴에 대응되게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623)가 형성된 필름부재(620), 필름부재(620)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640), 상기 필름부재(620)와 접착시트(640)의 사이에 제공되며 필름부재(620)와 상기 접착시트(640)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630), 상기 접착시트(640)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650), 상기 탄성시트(650)의 상면에 형성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66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660)는 키패드의 조명을 위한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얇은 시트 방식의 무기이엘시트(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또는 유기이엘시트(Inorganic Electro luminessence Shee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660)가 키패드와 함께 모듈화를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키패드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의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 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필름부재(620) 및 접착시트(64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발광부(660)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6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착시트(640)의 상면에 차단층(670)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차단층(670)은 인쇄 또는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660)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며 버튼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투광영역만으로 발광부(660)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버튼시트가 배제된 키패드 구조에서 탄성시트(650)의 상면에 발광부(660)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탄성시트 상에도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버튼시트가 채용된 키패드 구조에서는 버튼시트가 그 본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단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 의하면 얇은 두께 및 일정 형상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버튼시트 및/또는 필름부재가 접착시트를 매개로 탄성시트에 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버튼시트 및/또는 필름부재가 탄성시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러버층과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탄성시 트 간의 접착이 접착시트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반복적인 외력 및 접착력 저하 등에 따른 키패드의 각 구성부품 간의 분리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동작 안정성 저하 및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형상강도 및 결합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키패드가 설치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버튼시트;
    상기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상기 버튼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시트와 상기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상기 러버층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및
    상기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하는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층은 상기 버튼시트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형성되고,
    상기 러버층이 형성될 때 상기 버튼시트, 상기 필름부재 및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3. 버튼시트;
    상기 버튼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필름부재;
    상기 버튼시트와 상기 필름부재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시트와 상기 필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상기 버튼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 및
    상기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하는 키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층은 상기 필름부재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형성되고,
    상기 러버층이 형성될 때 상기 버튼시트는 상기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시트는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소정 패턴으로 슬릿이 형성된 금속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시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각 버튼편에 대응되게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는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각 버튼편 및 필름편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버튼 단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제공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1.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패턴에 대응되도록 상면으로 돌출되게 볼록부가 형성된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의 하부에 제공되는 접착시트;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접착시트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접착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러버층; 및
    상기 접착시트의 저면에 접착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하는 키패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층은 상기 필름부재의 저면에 도포된 액상의 러버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형성되고,
    상기 러버층이 형성될 때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러버층에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필름부재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러버층 및 상기 접착시트와 함께 오목부를 갖는 금형에서 가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제공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 및 상기 접착시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부로부터 발광된 빛 중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KR1020060087377A 2006-09-11 2006-09-11 키패드 KR10084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77A KR100840017B1 (ko) 2006-09-11 2006-09-11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77A KR100840017B1 (ko) 2006-09-11 2006-09-11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57A true KR20080023457A (ko) 2008-03-14
KR100840017B1 KR100840017B1 (ko) 2008-06-20

Family

ID=3939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377A KR100840017B1 (ko) 2006-09-11 2006-09-11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91B1 (ko) * 2008-05-30 2010-05-03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도파시트 및 도파시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361B1 (ko) * 2004-11-25 2006-08-28 (주)예스텔레콤 메탈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98627B1 (ko) * 2005-04-06 2008-01-28 주식회사 모젬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KR200388966Y1 (ko) 2005-04-19 2005-07-07 주식회사 모젬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KR100670192B1 (ko) * 2005-05-20 2007-01-16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보호용 돌기부를 구비하는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5142B1 (ko) 2005-07-08 2007-02-22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작방법
KR100739539B1 (ko) 2005-07-22 2007-07-13 (주)지엔씨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91B1 (ko) * 2008-05-30 2010-05-03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도파시트 및 도파시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017B1 (ko)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AU733239B2 (en)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CN101529545B (zh) 电子装置
US7599709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EP1901321B1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507273B1 (en) Keypad assembly
EP1914964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replaceable keypad cover
WO1998019434A1 (e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ual keypads
KR100904887B1 (ko) 휴대 단말기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GB2344935A (en) Keypad assembly with intermediate element between keymat and switch layer
JP4190568B1 (ja) 携帯端末
CN102568899A (zh) 键盘和电子设备
US20110074608A1 (en) Button-ke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EP2226822B1 (en) A key assembl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one-piece keycap
KR200415225Y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840017B1 (ko) 키패드
KR100837266B1 (ko) 키 패드
KR100792585B1 (ko) 키 입력장치
KR100843263B1 (ko) 키 입력장치
KR20080065397A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870505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0779066B1 (ko) 키 패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키 패드
KR100780900B1 (ko)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KR100852360B1 (ko)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