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887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887B1
KR100904887B1 KR1020070056296A KR20070056296A KR100904887B1 KR 100904887 B1 KR100904887 B1 KR 100904887B1 KR 1020070056296 A KR1020070056296 A KR 1020070056296A KR 20070056296 A KR20070056296 A KR 20070056296A KR 100904887 B1 KR100904887 B1 KR 10090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operation unit
display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913A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887B1/ko
Priority to US11/944,351 priority patent/US8233942B2/en
Priority to DE102007056829A priority patent/DE102007056829B4/de
Priority to TW096145013A priority patent/TWI386010B/zh
Publication of KR2008010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887B1/ko
Priority to US13/557,085 priority patent/US858886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장착된 조작부의 조작 시에 신호 표시 유닛이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신호 세트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 유닛에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일 변형예에 따른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라인(Ⅷ-Ⅷ)을 따라 취한 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제2 입력 유닛이 작동하는 경우에 입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제1 입력 유닛이 작동하는 경우의 입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하우징 20,70,120: 조작부
30,130: 신호 표시 유닛 40,50,140,150: 입력 유닛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 또는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알맞은 무게 및 사이즈를 가진 채로 무선 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를 말한다. 상기 무선 통신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일정한 신호 또는 명령을 입력해야 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는 여러 타입을 포함하기에,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표현하는 부분에는 여러 종류가 함께 표현되게 된다. 이는 상기 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를 어렵게 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가 표현되는 부분을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안에 의하면, 단말기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사용자의 휴대성을 제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유닛, 조작부 및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입력 가능한 신호 세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신호 세트들과 다른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된 신호 세트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부에 대한 터치를 입력 받는 터치 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부에 대한 누름 조작 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개시되었을 뿐이고, 본 발명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한 신호의 입력이 필요한 휴대용 전자기기라면 PDAs, 휴대용 게임기기,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계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은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12)와 리시버(13) 및 카메라(14)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6)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 또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20)와, 마이크(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6)의 배면에는 배터리(17) 및 사이드키(18) 등이 장착되며, 나아가 카메라(14)와 다른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2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부(2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플락스틱 소재 등으로 사출되어 형성되며, 제1 바디(11)의 키홀(11a) 들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키 또는 키탑(21)을 가진다. 상기 키탑(21)의 적어도 일 단부 측은 상부보다 연장된 플랜지부(22)로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2)는 제1 바디(11)의 키홀(11a)을 형성하는 부분에 인접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11b)에 걸려서, 조작부(20)가 제1 바디(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조작부(20)의 하부의 면은 대체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20)의 하측에는 신호 표시 유닛(30) 및 입력 유닛(40)이 배치된다.
신호 표시 유닛(30)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호 세트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호 표시 유닛(30)은 엘씨디(LCD), 오엘이디(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메인 보드(5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세트들은 적어도 하나의 숫자, 기호, 이미지의 조합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언어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들의 조합(예를 들어, 알파벳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신호 세트들에는 각종 메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신호 표시 유닛(30)의 상측에는 입력 유닛(40)이 조작부(20)에 대응하여 배 치된다. 입력 유닛(40)은 조작부(20)를 터치함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는 형태로서,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정전 용량방식이나 압력 방식 등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며,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형태, 예를 들어 투명한 형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신호 표시 유닛(30)은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선택된 신호 세트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표시된 신호 세트는 입력 유닛(40)을 통과하여 조작부(20)들을 거쳐 외부로 표현되게 된다. 사용자는 조작부(20)들을 통해 표현되는 신호 세트 중 원하는 신호를 표현하는 조작부(20)를 터치하여 상기 원하는 신호를 입력 유닛(40)을 통해 단말기에 입력하게 된다. 도 1에는 신호 표시 유닛(30)에 의해 표시된 숫자들이 조작부(20)를 통해 표현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20)를 조작하여 입력 유닛(40)을 통해 입력된 숫자들이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0)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거나 사이드키(18, 도 1 참조)와 같은 전용키(hot key)를 조작하여 신호 표시 유닛(30)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 세트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숫자 모드가 표현되는 경우에 사이드키(18)를 누르게 되면, 조작부(20)들을 통해 알파벳 또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이드키(18) 등은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신호 세트 입력부로, 메인 보드(55)는 신호 세트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명령에 의해 신호 표시 유닛(30)이 표시할 모드를 결정하여 표시하게 한다는 점에서 신호 세트 결정부라 칭해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20)의 하부가 단차지거나 하지 않고 완만 또는 평탄함에 따라서는 신호 표시 유닛(30)에서 발생한 빛이 조작부(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왜곡되어 표현되지 않게 한다. 그 결과로, 사용자는 조작부(20)를 통해 표현되는 신호 세트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관한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는 이하의 다른 실시예들이나 변형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조작부(20)나 신호 표시 유닛(30)은 앞선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다만, 입력 유닛(50)은 돔 스위치(51)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돔 스위치(51)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금속 등으로 형성되며 각 조작부(20)에 대응한 채로 메인 보드(55) 상에 배치된다. 또한, 신호 표시 유닛(30)은 전자 종이(E-Paper) 및 연성 엘씨디(Flexible LCD)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여서, 조작부(20)에 대한 누름 조작 시에 그 누름력이 돔 스위치(51)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누름력을 전달받은 돔 스위치(51)는 메인 보드(55)와 접촉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이격된 2개의 접점들(미도시)을 통전시켜 신호가 메인 보드(55)에 입력되게 한다.
돔 스위치(51)에 대응하여서는 지지 필름 또는 패드(52)에서 돌출한 가압돌기(5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패드(52)는 신호 표시 유닛(30)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압돌기(53)들은 상기 누름 조작시 돔 스위치(51)를 눌러주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20)에 대한 조작시에 돔 스위치(51)의 복원력에 의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가압돌기(53)들에 의해 상기 클릭감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앞선 제1 실시예에 광원(61)과 광가이드부(62) 및 산란패턴(63)이 추가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광원(61)은 빛을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엘이디(LED)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원(61)에서 발생된 빛은 광가이드부(62)를 통해 조작부(20)들로 안내된다. 광가이드부(62)는 신호 표시 유닛(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62)는 예를 들어, 엠보싱 형태의 산란패턴(63)을 가지는 도광 부재 또는 도광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산란패턴(63)은 조작부(20)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신호 표시 유닛(30)이 자체 발광하지 않거나 자체 발광하더라도 그 빛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 광원(61)에 의한 빛이 이를 보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광원(61)에서 발생된 빛이 광가이드부(62)를 거치고, 특히 산란패턴(63)에 의해 산란되면서 조작부(20)로 안내됨에 따라, 신호 표시 유닛(30)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 세트를 조작부(20)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변 형예는 앞서 도 3에 개시된 변형예에 도 4에 개시된 광원(61), 광가이드(62) 및 산란패턴(63)을 추가함에 따른 것이다.
그 결과로, 본 변형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광원(61)에서 발생한 빛에 의해 신호 표시 유닛(30)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 세트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면서 조작부(20)를 누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누름 조작 시에,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앞선 제2 실시예의 변형예와 달리, 조작부(70)는 키홀(11a)을 통해 노출되는 복수의 키탑(71)을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 패드(72)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70)는 연성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탑(71)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일정한 곡률을 가져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81)에서 발생된 빛을 조작부(70)로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부(62, 도 5 참조)는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지지 패드(72)의 하측에 산란 패턴(82)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패드(72)가 연성을 가짐에 따라 키탑(71)들 중 어느 하나를 누름 조작 시에 그에 대응하는 돔 스위치(51)만이 눌려지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돔 스위치가 눌려져서 신호가 잘못 입력되는 일이 방지된다.
조작부(70)를 고무 등으로 형성함에 따라서는 조작부(70)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어서 조작부(70)를 누를 때의 클릭감을 앞선 실시예들의 경우보다 더 향상 시킬 수 있게 되고,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도광 필름과 같은 광 가이드부가 필요하지 않아 단말기의 전체적인 두께는 더욱 슬림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입력 유닛(50)과 달리 앞선 제2 실시예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입력 유닛(40, 도 4 참조)으로 가지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고, 그에 관해서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조작부(70)가 고무 등으로 형성됨에 따라, 입력 유닛(40)으로의 터치 스크린은 압력 방식 이여도 스타일러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조작부(70)를 조작시 터치 스크린이 반응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10)은 제1 커버 또는 상부 커버(111)와 제2 커버 또는 하부 커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11)의 전면의 대부분에는 조작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20)의 양 단부에 인접하게는 조작키(112) 및 마이크(115) 또는 리시버(113) 및 카메라(114)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116)에는 배터리(117) 및 사이드키(118) 등이 장착되며, 나아가 카메라(114)와 다른 촬영 방향을 가지는 제2 카메라(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120)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8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라인(Ⅷ-Ⅷ)을 따라 취한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 면, 조작부(120)는 상부 커버(111)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면적을 갖도록 개구된 조작홀(111a)에 걸리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플랜지부(112)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 영역(121)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20) 역시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연성의 고무 등으로 형성됨에 따라 얇게 형성되면서도 라운드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원(161)에서 발생된 빛을 조작부(120)로 안내하는 산란패턴(162)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조작부(1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원(161)에서 발생한 빛은 산란패턴(163)에 의해 조작부(120)의 각 부분들로 고르게 안내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120) 중 신호 표시 유닛(130)에 의해 원하는 신호가 표현된 부분을 터치하여 입력 유닛(140)에 원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호 표시 유닛(130)은 위와 같이 신호 세트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기타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표시하기에 단말기에 별도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도 1의 디스플레이(12)와 같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이에 따라, 신호 표시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유닛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도 7은 신호 표시 유닛(130)이 상기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 조작부(120)를 거쳐 상기 이미지 등이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 특히 상부 커버(111) 측의 대부분을 조작부(120)가 차지하여 단말기가 전체적으로 깔끔한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변형에서는 앞선 제4 실시예의 입력 유닛(140) 대신에 돔 스위치(151)를 포 함하는 입력 유닛(150)이 배치된다. 상기 입력 유닛(150)의 지지 패드(152) 및 가압돌기(153) 등과, 상기 입력 유닛(150)에 의한 이점 등은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는 제4 실시예에 앞선 일 변형예가 결합된 형태를 이룬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작부(120)의 하측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유닛(140)(제1 입력 유닛)이 배치되고, 제1 입력 유닛(140)을 지지하는 신호 표시 유닛(130)(디스플레이 유닛)의 하측에는 돔 스위치(151)를 포함하는 입력 유닛(150)(제2 입력 유닛)이 배치된다.
사용자가 조작 영역(121)을 작은 힘으로 가압하거나 터치하는 경우에는 제1 입력 유닛(140)만이 반응할 수 있다. 상기 힘이 일정 수준 이상에 이르는 경우에는 제2 입력 유닛(150)까지 작동할 수 있고, 그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정을 위하여, 특정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제1 입력 유닛(140)을 잠그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표시 유닛(130)이 알파벳 모드를 표시하여 영어 단어 등과 같이 정형화된 신호 또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라면(도 11 참조), 메인 보드(155)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제어 유닛이 제1 입력 유닛(140)을 잠그는 것이다. 조작 영역(121)을 조작시에 제2 입력 유닛(150)만이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향상된 클릭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조작 영역(121)에 그림 등을 그 리고자 하는 입력 형태를 선택한 경우라면(도 12 참조), 제2 입력 유닛(150)을 잠궈서 제1 입력 유닛(140)만이 작동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입력 유닛(140)을 활성화시켜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신호 등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입력 유닛(150)을 활성화시키는 경우라면, 정형화된 신호를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 입력 유닛(140 및 150)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신호 세트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표시된 신호 세트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신호 세트만을 인식하면 되게 한다. 그 결과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신호 세트 만이 표현되게 하여 그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원하는 신호를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부가 완만한 면을 가지도록 구성됨에 따라서는, 신호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된 신호가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닛으로서 터치 스크린뿐만 아니라 돔 스위치 등을 채용하고, 나아가 이들을 복합적으로도 채용함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 시에 상이한 느낌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동시 채용시에는 두 가지 형태가 서로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나아가, 광 가이드부 또는 산란 패턴을 직접 조작부에 채용함에 따라서는, 신호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 세트 등에 보다 확실하게 표현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조작부를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소재로 형성함에 따라서는, 조작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조작부의 외관을 볼록한 형태 등으로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입력 가능한 신호 세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신호 세트들과 다른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된 신호 세트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는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부에 대한 터치를 입력 받는 터치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부에 대한 누름 조작 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가압 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면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마주하는 면은 전체적으로 단차지지 않도록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트들은 적어도 하나의 숫자, 기호 또는 이미지의 조합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언어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메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상기 발생된 빛을 상기 조작부를 향해 안내하는 광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산란패턴을 가지는 도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연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광원과 인접한 면 측에 형성되는 산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연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돔 스위치는 복수의 돔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복수의 돔 스위치들이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및 돔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면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표시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되는 신호 세트를 결정하는 신호 세트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트 결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되는 신호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을 받는 신호 세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외면은 완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의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삭제
KR1020070056296A 2007-06-08 2007-06-08 휴대 단말기 KR10090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296A KR100904887B1 (ko) 2007-06-08 2007-06-08 휴대 단말기
US11/944,351 US8233942B2 (en) 2007-06-08 2007-11-21 Mobile terminal
DE102007056829A DE102007056829B4 (de) 2007-06-08 2007-11-26 Mobiles Endgerät
TW096145013A TWI386010B (zh) 2007-06-08 2007-11-27 行動終端機
US13/557,085 US8588861B2 (en) 2007-06-08 2012-07-24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296A KR100904887B1 (ko) 2007-06-08 2007-06-08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913A KR20080107913A (ko) 2008-12-11
KR100904887B1 true KR100904887B1 (ko) 2009-06-29

Family

ID=3994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296A KR100904887B1 (ko) 2007-06-08 2007-06-08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233942B2 (ko)
KR (1) KR100904887B1 (ko)
DE (1) DE102007056829B4 (ko)
TW (1) TWI386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0884B2 (ja) * 2007-12-03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US9049663B2 (en) 2010-12-10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involving multiple sensors
US9866660B2 (en) 2011-03-21 2018-01-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cave displays
US8934228B2 (en)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8816977B2 (en) 2011-03-21 2014-08-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9178970B2 (en) 2011-03-21 2015-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nvex displays
US9400576B2 (en) 2011-07-19 2016-07-26 Apple Inc. Touch sensor arrangement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US8929085B2 (en)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KR20130037909A (ko) * 2011-10-07 201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의 키 입력 장치
US9319044B2 (en) 2012-08-22 2016-04-19 Hyundai Motor Company Switch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10474409B2 (en) * 2014-09-19 2019-11-12 Lenovo (Beijing) Co., Ltd.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DE102019102719A1 (de) * 2019-02-04 2020-08-06 Megatec Electronic GmbH Tastenmodul mit taktiler Betätigungscharakteristi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07U (ko) * 2006-10-09 2006-10-27 임종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을구비한 휴대폰.
KR20070084875A (ko) * 2006-02-22 2007-08-27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이동통신기기용 키패드
KR100865851B1 (ko) 2007-06-12 2008-10-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클릭감 향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4093A (en) * 1979-02-26 1981-06-16 Technicon Instruments Corporation Keyboard-display combination
US6246862B1 (en) * 1999-02-03 2001-06-12 Motorola, Inc. Sensor controlled user interfa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064886B2 (en) * 1999-08-12 2011-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mechanisms for mobile devices
DE19951218A1 (de) 1999-10-18 2001-04-19 Hossain Ali Bedienelement insbesondere Drucktaste für elektrische Geräte
SE523191C2 (sv) * 2000-09-25 2004-03-30 Ericsson Telefon Ab L M En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med en första och en andra antenn varvid den första antennens strålande del är integrerad med en display i en flerskiktsstruktur
US6636203B1 (en) * 2001-05-17 2003-10-21 Palm, Inc. Keyboard equivalent pad overlay encasement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384993B1 (ko) * 2001-05-22 2003-05-23 주식회사 유일전자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US20040248621A1 (en) * 2001-09-06 2004-12-09 Lennart Scho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special input functionality
US6766994B2 (en) * 2002-04-05 2004-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abilized flat panel touch monitor
DE10223976A1 (de) 2002-05-29 2004-01-08 Siemens Ag Anzeigeeinrichtung mit Eingabemöglichkeit
US7091662B2 (en) 2002-07-23 2006-08-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009987A (ko) 2002-07-31 2004-01-31 한상선 기능성 속옷
US7388571B2 (en) * 2002-11-21 2008-06-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ing a touchscreen within an LCD
KR20040099872A (ko) 2003-05-20 2004-12-02 리차드 정 투명 키패드 장치
KR20040103562A (ko) 2003-05-29 2004-12-09 주식회사 뉴러다임 터치 스크린과 결합된 키패드
KR100536939B1 (ko) * 2003-07-11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20060181517A1 (en) * 2005-02-11 2006-08-17 Apple Computer, Inc. Display actuator
US7231231B2 (en) * 2003-10-14 2007-06-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mobile telephone touch screen
EP1569077A1 (en) 2004-02-26 2005-08-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s
DE102004041895A1 (de) 2004-08-30 2006-03-16 Siemens Ag Mechanische Eingabeeinheit für eine Anzeigeeinheit mit einer druckempfindlichen Oberfläche
WO2006045209A2 (de) 2004-10-26 2006-05-04 Dätwyler I/O Devices Ag Eingabevorrichtung
JP4283269B2 (ja) * 2004-12-24 2009-06-24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接続装置、半導体装置キャリア、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および、プローブカード
KR100692742B1 (ko) 2005-05-1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광층을 갖는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US7603143B2 (en) * 2005-08-26 2009-10-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KR100728789B1 (ko) 2005-11-29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US7996792B2 (en) * 2006-09-06 2011-08-09 Apple Inc. Voicemail manager for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875A (ko) * 2006-02-22 2007-08-27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이동통신기기용 키패드
KR20060000007U (ko) * 2006-10-09 2006-10-27 임종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을구비한 휴대폰.
KR100865851B1 (ko) 2007-06-12 2008-10-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클릭감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49944A (en) 2008-12-16
US8233942B2 (en) 2012-07-31
US8588861B2 (en) 2013-11-19
DE102007056829A1 (de) 2008-12-11
US20120289294A1 (en) 2012-11-15
TWI386010B (zh) 2013-02-11
US20080305838A1 (en) 2008-12-11
KR20080107913A (ko) 2008-12-11
DE102007056829B4 (de)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887B1 (ko) 휴대 단말기
US7280101B2 (en) Fingertip tactile-sense input devic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it
KR100454171B1 (ko) 입력장치
US7056042B2 (en) Cover structure for a keypad
US72770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80174565A1 (en) Touch pad device
KR20030014622A (ko) 입력장치
US20040125078A1 (en) Input device
US20080185281A1 (en) Touch input device
CN104808821A (zh) 数据输入方法及装置
US8253690B2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US20090140982A1 (en) Navigation input mechanism,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thereof
JP2007207107A (ja) 携帯端末装置
US20060146027A1 (en) Keypad and button mechanism having enhanced tactility
KR20160088491A (ko) 가변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50582A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34355A (ko) 키패드
EP20735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154941A1 (en) Enhanced Tablet Computer
JP2012168869A (ja) 携帯端末及びキー操作装置
KR20150068883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US20090051657A1 (en) Display button device
JP2004295716A (ja) 表示機能付電子機器
EP2485132B1 (en) Electronic mobile device seamless key/display structure
TWI755103B (zh) 外接式鍵盤與可攜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