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83A -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83A
KR20150068883A KR1020140056753A KR20140056753A KR20150068883A KR 20150068883 A KR20150068883 A KR 20150068883A KR 1020140056753 A KR1020140056753 A KR 1020140056753A KR 20140056753 A KR20140056753 A KR 20140056753A KR 20150068883 A KR20150068883 A KR 2015006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button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ublication of KR2015006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4Key guid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 상에 구비되되 입체감 있는 터치가 가능하여 터치의 오류로 인해 오탈자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덮개를 열지 않고도 자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자판과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키패드{KEY PAD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 상에 구비되되 입체감 있는 터치가 가능하여 터치의 오류로 인해 오탈자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덮개를 열지 않고도 자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태블릿 PC등 다양한 전자정보단말기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스마트폰 (Smart Phone)은 단순히 전화 기능을 넘어 PC처럼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손안의 컴퓨터처럼 이용할 수 있어 그 사용자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CDMA방식의 디지털 휴대폰에 초소형 PC를 결합해 휴대폰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휴대형 PC로도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도 무선으로 인터넷, PC통신 및 팩스전송 등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태블릿PC 등의 전자정보단말기의 발달과 더불어 입력장치 역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왔다.
입력장치란 음성(육성 또는 기계음)외에 기기 또는 장치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매체로부터 읽어 들이는 장치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로,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트랙볼(Trackball;위로드러난 볼을 손가락으로 돌리는 장치), 포인트 스틱(Point Stick), 터치패드(Touch Pad, 노트북용), 조이스틱(Joystick), 스캐너(Image Scanner) 등이 있다. 최근에는 그 사용 방법이 매우 편리하고 손쉬운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이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는 스마트폰에 적극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는 스크린 상에 압력을 인식하도록 하는 감압식, 스크린 표면에 흐르는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를 신체의 정전반응을 이용해 인식되도록 하는 정전식, 터치펜을 이용해 특정 거리 이내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는 전자유도식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정전식은 자판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작은 크기로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원하는 자판의 키가 아닌 그 인근의 키가 잘못 터치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입력을 위해 부득이하게 양손을 이용한 입력이 아닌 한 손을 이용해 입력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그 덮개를 반드시 열어야 자판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이나, 또는 휴대단말기를 파지하지 않은 다른 한 손이 자유롭지 않은 경우 문자입력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100209호(2007.10.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 상에 구비되되 입체감 있는 터치가 가능하여 터치의 오류로 인해 오탈자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덮개를 열지 않고도 자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패드의 버튼부에 시각장애인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자판과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가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키패드부재는 버튼부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버튼부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버튼부는 그 표면이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가 각각 표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개폐되되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개방구 내에 위치되되 상기 덮개부재 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재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회동 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판에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가 제공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키패드부재는 버튼부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버튼부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버튼부는 그 표면이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가 각각 표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판에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가 제공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키패드부재는 버튼부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버튼부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버튼부는 그 표면이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가 각각 표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 상에 구비되되 입체감 있는 터치가 가능하여 터치의 오류로 인해 오탈자가 입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덮개를 열지 않고도 자판 입력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패드의 버튼부에 점자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감압식 터치스크린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시각장애인이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용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점자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버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와 종단면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다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다른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는 터치스크린(11)이 구비된 휴대단말기(10)와 상기 터치스크린(11)에서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자판과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22)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2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10)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하되 정전식 터치스크린(11)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휴대단말기(10)의 터치스크린(11)에서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는 키패드부재(2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 키패드부재(20)는 자판이 디스플레이된 터치스크린(11) 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문자, 기호, 숫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11)을 터치하는 대신 입체감을 갖는 키패드부재(20)를 터치함으로써 오탈자 입력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키패드부재(20)는 터치스크린(11)의 자판과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22)가 형성되어 이 버튼부(22)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입력된다. 이때, 휴대단말기(10)는 제조사마다 자판의 입력방식이 상이하고(예를 들면 QWERTY 자판, 천지인 자판), 숫자 입력이나 특수기호 입력용 자판이 상이한바 이에 맞는 키패드부재(2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버튼부(22)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돌출 형성되지는 않지만 구분 가능한 구획이 버튼부(22)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버튼부(22) 마다 특유의 음각 또는 양각 표식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키패드부재(20)는 버튼부(22)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데, 어두운 곳에서 키패드부재(20)의 버튼부(22) 식별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11)의 조명이 투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버튼부(22) 중앙에는 버튼부(22)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11)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23)가 구비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11)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버튼부(22)를 통해 사용자의 압력이 그대로 터치스크린(11)에 전달될 수 있어 감압식 터치스크린(11)에서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키패드부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의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터치스크린(11) 상에 안착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키패드부재(2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터치스크린(11) 상에 점착고정 가능한 점착패드(21)가 마련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튜브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버튼부(22)가 터치스크린(11) 상에 위치되도록 휴대단말기(10) 측에 탄성에 의해 압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키패드부재(20)는 도 2에 도시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10)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태블릿 피씨형 휴대단말기(10)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키패드부재(20)가 별도로 구비되거나 케이스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추후 휴대단말기(10) 내부에 인, 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버튼부(22) 측에 별도의 점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22)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전술한 버튼부(2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한글, 영어, 글자가 형성됨에 따라 버튼부(22)의 표면에는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50)가 각각 표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하나의 버튼부(22)에 2개의 영역을 구획한 후 각 영역에 "ㄱ", "ㅋ", "4"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50)를 형성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하나의 버튼부(22)를 누를 때 3개의 문자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체(23)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ㅋ"의 점자인식돌부(50)가 형성된 영역 중앙에는 버튼부(22)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11)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2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정전식 터치스크린(11)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ㄱ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자인식돌부(50)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꼭지점이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비교적 면적이 좁은 상기 버튼부(22)의 표면에 손가락을 접촉할 때 점자 인식률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는 터치스크린(11)이 구비된 휴대단말기(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30)와, 상기 케이스부재(3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11)이 개폐되되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방구(41)가 형성되는 덮개부재(40)와, 상기 개방구(41) 내에 위치되되 상기 덮개부재(40) 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재(40)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회동 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11)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판에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22)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20)가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에서 전술한 키패드부재(20)는 버튼부(22)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22)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22)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11)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2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버튼부(22) 측에 별도의 점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22)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전술한 버튼부(2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한글, 영어, 글자가 형성됨에 따라 버튼부(22)의 표면에는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50)가 각각 표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하나의 버튼부(22)에 2개의 영역을 구획한 후 각 영역에 "ㄱ", "ㅋ", "4"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50)를 형성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하나의 버튼부(22)를 누를 때 3개의 문자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체(23)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ㅋ"의 점자인식돌부(50)가 형성된 영역 중앙에는 버튼부(22)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11)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2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정전식 터치스크린(11)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자인식돌부(50)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꼭지점이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비교적 면적이 좁은 상기 버튼부(22)의 표면에 손가락을 접촉할 때 점자 인식률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는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구비되는 케이스부재(30)와 이 케이스부재(30) 일측에 연결되되 터치스크린(11) 상에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개방된 덮개부재(40)와 이 덮개부재(40)의 개방된 측에 키패드부재(20)가 구비되되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40)와 동시에 회동 되어 사용될 수 있고,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40)와는 별도로 회동 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와 동일 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40)와 동시에 회동 되어 사용될 경우에는 덮개부재(40)를 열지 않고도 휴대단말기(10) 내에 문자 입력이 가능한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는 터치스크린(11)이 구비된 휴대단말기(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30)와, 상기 케이스부재(3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11)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판에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22)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20)가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에서 전술한 키패드부재(20)는 버튼부(22)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22)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22)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11)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2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버튼부(22) 측에 별도의 점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22)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전술한 버튼부(2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한글, 영어, 글자가 형성됨에 따라 버튼부(22)의 표면에는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50)가 각각 표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하나의 버튼부(22)에 2개의 영역을 구획한 후 각 영역에 "ㄱ", "ㅋ", "4"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50)를 형성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하나의 버튼부(22)를 누를 때 3개의 문자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체(23)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ㅋ"의 점자인식돌부(50)가 형성된 영역 중앙에는 버튼부(22)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11)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2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정전식 터치스크린(11)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자인식돌부(50)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꼭지점이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비교적 면적이 좁은 상기 버튼부(22)의 표면에 손가락을 접촉할 때 점자 인식률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는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구비되는 케이스부재(30)와 이 케이스부재(30) 일측에 연결되되 터치스크린(11) 상에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키패드부재(20)가 안착 구비되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키패드부재(20)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이를 케이스부재(30) 측으로 회동한 다음 벨크로, 스냅단추, 자성체 등을 이용해 케이스부재(30)에 위치고정시킨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와 동일 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 1" :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10 : 휴대단말기
11 : 터치스크린
20 : 키패드부재
21 : 점착패드
22 : 버튼부
23 : 도전체
30 : 케이스부재
40 : 덮개부재
41 : 개방구
50 : 점자인식돌부

Claims (12)

  1.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자판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자판과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재는 버튼부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그 표면이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5.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개폐되되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개방구 내에 위치되되 상기 덮개부재 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재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회동 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판에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재는 버튼부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가 구비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그 표면이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9.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판에 대응되는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중 선택된 하나가 가압 되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자판의 키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재는 버튼부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 직물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버튼부 중앙에는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통해 신체 내의 전류가 상기 터치스크린 측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도전체가 구비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11.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인식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그 표면이 세로 또는 가로 또는 대각선 또는 방사형으로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상기 점자인식돌부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20140056753A 2013-12-12 2014-05-12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20150068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69 2013-12-12
KR20130154669 2013-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83A true KR20150068883A (ko) 2015-06-22

Family

ID=5351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753A KR20150068883A (ko) 2013-12-12 2014-05-12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8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836B2 (en) 2016-04-29 2018-09-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991935B1 (ko) 2018-08-22 2019-06-21 이연아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210135143A (ko) * 2020-05-04 2021-11-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836B2 (en) 2016-04-29 2018-09-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991935B1 (ko) 2018-08-22 2019-06-21 이연아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20040551A1 (ko) * 2018-08-22 2020-02-27 이연아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210135143A (ko) * 2020-05-04 2021-11-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048B1 (ko) 키 형성 기법
CN201222239Y (zh) 手持电子装置
US20150109207A1 (en) Keyboard and Mouse of Handheld Digital Device
US20160320810A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04749B1 (ko) 정보입력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패드
US20170329517A1 (en) Keyboard and mouse of handheld digital device
TWI386010B (zh) 行動終端機
GB2516439A (en) Tactile keypad overlay for capacitive touch screen devices
EP2584427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904995A (zh) 手机键盘
JP2007207107A (ja) 携帯端末装置
CN106662891B (zh) 多配置输入设备
US20140184515A1 (en) Thumb Keyboard for the Visually Impaired
US20110260980A1 (en) System for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touch screen devices
KR20150068883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US20150172430A1 (en) Keypad for mobile terminal
US20120075125A1 (en) Handgrip keyboard
WO2012024337A1 (en) Enhanced tablet computer
JP2014052666A (ja) タッチパネル用入力補助装置
JP2012168869A (ja) 携帯端末及びキー操作装置
KR20150071597A (ko) 데이터 실행 장치
TWI760581B (zh) 翻譯機
KR200461301Y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KR20120064739A (ko)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
TWM551297U (zh) 覆層式鍵盤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