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35B1 -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35B1
KR101991935B1 KR1020180097850A KR20180097850A KR101991935B1 KR 101991935 B1 KR101991935 B1 KR 101991935B1 KR 1020180097850 A KR1020180097850 A KR 1020180097850A KR 20180097850 A KR20180097850 A KR 20180097850A KR 101991935 B1 KR101991935 B1 KR 10199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case
case body
portable termina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아
Original Assignee
이연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아 filed Critical 이연아
Priority to KR102018009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35B1/ko
Priority to PCT/KR2019/010659 priority patent/WO20200405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면서 임의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터치로 인한 원하지 않은 앱의 실행을 방지함은 물론 앱 실행상태에서 불필요한 정보의 클릭 및 잘못된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도록 가장자리부위가 휴대단말기의 측면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과 대응되는 부위 또는 전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몸체(1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내측 가장자리에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에 접촉 지지되게 형성되어 가장자리를 제외한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나머지 부위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25)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지지턱(2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일측에 종횡방향으로 설정된 개수로 배열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가압시에만 표면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입력버튼(30); 상기 입력버튼(30)의 표면에 구비되어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전층(4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타측에 종 또는 횡방향으로 절개되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상하 또는 좌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스크롤안내홀(50);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는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대응부위는, 상기 지지턱(20)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과 이격공간(25)이 형성되게 구비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탄성공간(13)이 형성되게 이격된 버튼가압부(14)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가압부(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부(12)를 관통하여 복수개의 상기 입력버튼(30)과 연결되어 상기 버튼가압부(14)의 가압 시 입력버튼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게 하는 연결기둥(32)이 복수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탄성공간(13)에는 상기 연결기둥(3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버튼가압부(14)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입력버튼(30)을 터치스크린에서 이격시키도록 하는 스프링(60)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Portable device case for blind}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면서 임의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터치로 인한 원하지 않은 앱의 실행을 방지함은 물론 앱 실행상태에서 불필요한 정보의 클릭 및 잘못된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액정표시장치(LCD)의 비중이 커지면서 액정표시장치에 터치패널(Touch Panel)이 결합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위치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터치스크린을 통한 정보의 입력이 시각과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간단한 정보의 입력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폰 등의 보호를 위하여 가죽, 천,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한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케이스에는 시각 장애인의 사용 편의를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못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예로서, 시각장애인이 휴대폰의 터치스크린에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이 어디에 있는지 인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터치스크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터치로 인해 원하지 않은 어플의 실행 등 터치오류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68651호(시각 장애인을 위한 단말기 케이스)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1368651호는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노출한 상태에서 테두리를 감싸는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제1점요소부와 제2점요소부를 형성하여 시각장애인이 액정화면을 보지 않고서도 임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노출된 상태임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부주의 또는 휴대단말기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쉽게 터치되어 터치오류로 인해 자신이 원하지 않는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원하지 않은 어플 등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8651호(2014.02.24,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단말기 케이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494호(2015.03.20,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8883호(2015.06.22,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하게 제작되어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함은 물론, 터치로 인한 오류(앱 실행, 정보클릭, 오탈자 입력 등)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롤버튼을 구비하여 해당페이지에서 터치스크린상에서 출력되는 출력화면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몸체를 하부케이스와 상부터치부로 구성하여 상부터치부를 하부케이스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나 기호 등의 기재가 가능하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도록 가장자리부위가 휴대단말기의 측면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과 대응되는 부위 또는 전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몸체(1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내측 가장자리에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에 접촉 지지되게 형성되어 가장자리를 제외한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나머지 부위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25)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지지턱(2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일측에 종횡방향으로 설정된 개수로 배열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가압시에만 표면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입력버튼(30); 상기 입력버튼(30)의 표면에 구비되어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전층(4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타측에 종 또는 횡방향으로 절개되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상하 또는 좌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스크롤안내홀(50);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는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대응부위는, 상기 지지턱(20)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과 이격공간(25)이 형성되게 구비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탄성공간(13)이 형성되게 이격된 버튼가압부(14)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가압부(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부(12)를 관통하여 복수개의 상기 입력버튼(30)과 연결되어 상기 버튼가압부(14)의 가압 시 입력버튼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게 하는 연결기둥(32)이 복수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탄성공간(13)에는 상기 연결기둥(3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버튼가압부(14)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입력버튼(30)을 터치스크린에서 이격시키도록 하는 스프링(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크롤안내홀(50)에는 스크롤안내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어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표출정보의 화면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크롤버튼(55)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상기 케이스몸체(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벽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 상부 가장자리에 레일(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a)와, 상기 하부케이스(10a)의 상부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커버한 상태로 상기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에 상기 입력버튼(30)이 형성된 상부터치부(1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켜 줌은 물론, 시각장애인의 부주의나 임의 터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원하지 않은 앱 실행, 정보클릭, 오탈자 입력이 방지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에게 사용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터치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터치스크린의 일부(키보드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한글, 영문 등)나 기호 등의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버튼의 배열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결합된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안내홀에 스크롤버튼이 구비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에서 다른 실시예의 입력버튼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터치부를 하부케이스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이하, '케이스'라 한다}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여 터치스크린의 외부노출을 차단하여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면서도 시각장애인이 임의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터치오류에 따른 오동작(앱 실행, 정보클릭, 오탈자 입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공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로서, 정전식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단말기이며, 정보입력시마다 음성으로 정보를 출력해주도록 된 시각장애인용으로 출시된 휴대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크게 케이스몸체(10), 지지턱(20), 입력버튼(30), 도전층(40), 스크롤안내홀(5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몸체(10)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전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위가 절곡되어져 형성되는 것이고, 가장자리부위가 휴대단말기의 측면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몸체(10)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과 대응되는 부위 또는 전체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지고, 전체가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거나, 상기 입력버튼(3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딱딱하거나 일정 경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력버튼(30)의 형성부분과 입력버튼(30)을 유연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몸체(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된 터치안내홀(1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치안내홀(15)은 휴대단말기의 일측(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하측)에 설치된 메뉴버튼이나 홈버튼 또는 뒤로가기 버튼 등을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터치안내홀(15)은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턱(20)은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내측 가장자리에 휴대단말기의 전면 가장자리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턱(20)에 의해 케이스몸체(1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25)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입력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케이스몸체(10) 상에 구비된 입력버튼(30)이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된 상태에 있는 것이고,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으로 입력버튼(30)을 가압하는 경우에 그 가압력에 의해 입력버튼 형성부분이 이동되면서 입력버튼의 표면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것이며, 가압력이 없어지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어 진다.
상기 입력버튼(30)은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일측에 종횡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고, 이는 케이스의 제작시 사전에 설정된 개수로 배열되게 구성하여 케이스몸체(10)와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예로서, 상기 입력버튼(30)은 터치스크린 상에 배열되는 어플의 배열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게 형성할 수 있고, 입력버튼의 크기도 어플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하여 터치스크린에 배치된 어플의 실행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종횡방향으로 각각 5개와 3씩 형성하여 총 15개의 입력버튼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별도 구획선을 형성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입력버튼은 형성위치의 확인을 위해 별도의 구획선 등에 의해 구획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버튼(30)이 형성된 케이스몸체의 대응부위 외표면에는 한글, 영어, 숫자, 기호나 그에 해당하는 점자를 표기한 표시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의 형성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은 상기 입력버튼(30)의 형성위치를 인식하도록 함은 물론 각 입력버튼이 어떤 버튼인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의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전층(40)은 상기 입력버튼(30)의 표면에 구비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케이스몸체를 가압하여 입력버튼을 터치스크린에 접촉시킨 경우에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동작을 위해 상기 입력버튼(30)의 표면에 도전층(40)이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도전층(40)은 입력버튼(30)의 표면 중앙에만 형성되거나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입력버튼(30)의 표면 모든 부위에 도전층(4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스크롤안내홀(50)은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스몸체(10) 자체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일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시각장애인이 스크롤안내홀(50)을 통해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출력정보를 상하 또는 좌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크롤안내홀(50)의 형성으로 인해,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출력화면에서 시각장애인이 임의로 정보의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스크롤안내홀을 통해 출력화면을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버튼(30)을 통해 정보입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롤안내홀(50)에는 스크롤안내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스크롤버튼(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버튼(55)은 가압시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표출정보의 화면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스크롤버튼(55)의 위치에 따라 현재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표출정보의 화면이 위쪽인지 중간쯤인지 아래쪽인지를 대략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몸체(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벽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 상부 가장자리에 레일(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a)와, 상기 하부케이스(10a)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는 상부터치부(10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터치부(10b)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에는 상기 입력버튼(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첨부 도면에서는 케이스몸체의 상면 전체를 상부터치부로 구성하였다.
상기 상부터치부(10b)를 하부케이스(10a) 상에서 슬라이딩이동되게 구성한 이유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휴대단말기가 제공하는 문자 등이 기재된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케이스는 터치스크린의 불필요한 터치를 차단하면서 어플 등의 실행을 위해 구비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터치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키보드가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어플의 실행은 물론, 필요한 경우 상부터치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터치스크린의 키보드가 제공되는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기재나 문자발송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버튼(30)은 케이스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이 케이스몸체의 터치스크린 대응부위를 가압하는 경우에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예로서 도 3 또는 도 5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 대응부위가 단층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입력버튼(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도 5는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 대응부위가 복층으로 형성되고, 복층 중 아래층 내측면에서 입력버튼이 분리된 상태로 윗층에 연결기둥(32)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 것이다.
도 5의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는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대응부위가 복층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턱(20)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과 이격공간(25)이 형성되게 구비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탄성공간(13)이 형성되게 이격된 버튼가압부(1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 대응부위가 상기 지지부(12)와 버튼가압부(14)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지지부(12)는 버튼가압부(14)에 비해 더 플랙시블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가압부(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부(12)를 관통하여 복수개의 상기 입력버튼(30)과 연결되게 연결기둥(32)이 복수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기둥(32)에 입력버튼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버튼가압부(14)의 해당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연결기둥으로 연결된 해당 입력버튼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탄성공간(13)에는 상기 연결기둥(3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버튼가압부(14)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6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60)을 구비한 이유는 버튼가압부(14)의 해당 부위를 가압하여 입력버튼(30)을 터치스크린에 접촉되게 한 후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입력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표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케이스몸체의 버튼가압부를 장기간동안 수십 내지 수만번 사용하여도 처짐현상으로 인해 입력버튼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몸체(10)에 지지부(12)와 버튼가압부(14)가 형성되어 입력버튼(30)이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의 형성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버튼(55)도 상기 입력버튼(30)과 같이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비되어 스크롤버튼의 가압시에만 터치스크린에 접촉되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터치스크린의 표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에 케이스가 씌워져 있는 상태에서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어플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은 해당 어플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입력버튼을 선택한 후 외표면을 가압하면 터치스크린에 이격된 상태에서 해당 입력버튼이 가압력에 의해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게 되고, 터치스크린의 접촉에 의해 해당 어플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휴대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된 어플의 종류와 어플위치는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야 하고, 실제 시각장애인의 대부분은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된 어플 등의 프로그램을 모두 인지하고 있다.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이 실행되면,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어플의 정보를 음성출력하게 된다.
어플 실행후에는 출력된 화면에서 입력버튼과 스크롤안내홀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으면 되며, 입력버튼을 이용한 정보입력시 모든 입력내용은 음성으로 출력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10: 케이스몸체 10a: 상부터치부
10b: 하부케이스 11: 레일
12: 지지부 13: 스프링탄성공간
14: 버튼가압부 15: 터치안내홀
20: 지지턱 25: 이격공간
30: 입력버튼 31: 표시부
32: 연결기둥 40: 도전층
50: 스크롤안내홀 55: 스크롤버튼
60: 스프링

Claims (4)

  1.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도록 가장자리부위가 휴대단말기의 측면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과 대응되는 부위 또는 전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몸체(1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내측 가장자리에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에 접촉 지지되게 형성되어 가장자리를 제외한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나머지 부위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25)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지지턱(2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일측에 종횡방향으로 설정된 개수로 배열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가압시에만 표면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입력버튼(30);
    상기 입력버튼(30)의 표면에 구비되어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전층(40);
    상기 케이스몸체(10)의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 타측에 종 또는 횡방향으로 절개되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상하 또는 좌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스크롤안내홀(50);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커버하는 상기 케이스몸체(10)의 대응부위는, 상기 지지턱(20)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과 이격공간(25)이 형성되게 구비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탄성공간(13)이 형성되게 이격된 버튼가압부(14)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가압부(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부(12)를 관통하여 복수개의 상기 입력버튼(30)과 연결되어 상기 버튼가압부(14)의 가압 시 입력버튼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게 하는 연결기둥(32)이 복수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탄성공간(13)에는 상기 연결기둥(3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버튼가압부(14)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입력버튼(30)을 터치스크린에서 이격시키도록 하는 스프링(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안내홀(50)에는 스크롤안내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어 가압시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표출정보의 화면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크롤버튼(5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벽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 상부 가장자리에 레일(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a)와,
    상기 하부케이스(10a)의 상부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커버한 상태로 상기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과 마주대하는 일면에 상기 입력버튼(30)이 형성된 상부터치부(1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20180097850A 2018-08-22 2018-08-22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99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50A KR101991935B1 (ko) 2018-08-22 2018-08-22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PCT/KR2019/010659 WO2020040551A1 (ko) 2018-08-22 2019-08-22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50A KR101991935B1 (ko) 2018-08-22 2018-08-22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935B1 true KR101991935B1 (ko) 2019-06-21

Family

ID=6705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50A KR101991935B1 (ko) 2018-08-22 2018-08-22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1935B1 (ko)
WO (1) WO202004055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40003985A (ko) * 2012-06-25 2014-01-10 임동춘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101368651B1 (ko) 2013-02-01 2014-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단말기 케이스
KR20150030494A (ko) 2013-09-12 2015-03-20 송경환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50068883A (ko)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뉴빛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20170065109A (ko) * 2015-12-03 2017-06-13 민승연 스마트폰 호환이 가능한 점자 보호 필름 플립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691A1 (ko) * 2014-02-03 2015-08-06 (주)에이티랩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40003985A (ko) * 2012-06-25 2014-01-10 임동춘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101368651B1 (ko) 2013-02-01 2014-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단말기 케이스
KR20150030494A (ko) 2013-09-12 2015-03-20 송경환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50068883A (ko) 2013-12-12 2015-06-22 주식회사 뉴빛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20170065109A (ko) * 2015-12-03 2017-06-13 민승연 스마트폰 호환이 가능한 점자 보호 필름 플립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551A1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8962Y (zh) 手持无线通信设备
CN102576249B (zh) 触觉反馈显示屏覆盖层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CN102214006A (zh) 带有铰接按键和显示功能的键盘
EP2701033B1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080303795A1 (en) Haptic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860695B1 (ko) 터치 센시티브 키패드에 의한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핸드셋
EP3190482B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KR20070091532A (ko) 이동 핸드셋을 사용하는 전화 번호 다이얼링 방법 및 그이동 핸드셋
KR20070091529A (ko) 터치 센시티브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헤드셋
EP28272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04265035A (ja) 入力装置
JP4393280B2 (ja) キー入力装置
JP2014052666A (ja) タッチパネル用入力補助装置
KR101991935B1 (ko)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CN115145446B (zh) 字符输入方法、装置及终端
JP5660611B2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630134B (zh) 电子移动设备无缝按键/显示结构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765218B1 (ko)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US20100216528A1 (en) Folding mobile terminal
KR10136865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단말기 케이스
US9092192B2 (en) Electronic mobile device seamless key/display structure
KR20120010283A (ko)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JP2012243153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