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494A -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494A
KR20150030494A KR20130109826A KR20130109826A KR20150030494A KR 20150030494 A KR20150030494 A KR 20150030494A KR 20130109826 A KR20130109826 A KR 20130109826A KR 20130109826 A KR20130109826 A KR 20130109826A KR 20150030494 A KR20150030494 A KR 20150030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portable terminal
plate
touch screen
displa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환
Original Assignee
송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환 filed Critical 송경환
Priority to KR2013010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494A/ko
Publication of KR2015003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정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쪽에 결합되는 배면부; 및 배면부에서 이어지고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정면부를 포함하고, 정면부는,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창; 및 도전성으로 이루어지고,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되 가압시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입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및 정면을 덮도록 이루어져 보호케이스의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면서, 정면부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표시창을 통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도전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키가 구비됨으로써 터치스크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지 않더라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가압방식을 통하여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FOR PORTABLE DEVICE HAVING INPUT KEY}
본 발명은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보호케이스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박막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크기가 작고 얇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사전 등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에는, 단말기에 상대방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래픽 등의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의 부가와 소형화라는 양대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별도의 키패드가 필요없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음성입력 방식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전자제품은 대체로 가격이 고가이고, 사용빈도가 높아 외형상의 손상 내지는 마모가 빨리 이루어질 수 있어서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품 자체를 보호하거나 제품의 외형적인 이미지를 새롭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호 케이스가 소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462호는 "다이어리형 휴대폰 단말기 수납케이스"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바닥판과, 바닥판 가장자리에 빙둘러 에워싸는 측벽으로 이뤄지고,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휴대폰 단말기가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와, 바닥판에 연장형성되며, 제1접힘부에 의해 케이스 본체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와, 힌지부에 연장형성되며, 제2접힘부에 의해 힌지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를 구비하며, 이에 의할 때 케이스 본체에 휴대폰 단말기를 수용하여 휴대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고, 휴대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스크래치됨을 방지하며, 케이스 본체로부터 휴대폰 단말기를 분리하지않고도 사용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다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462호에서 개시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케이스는, 휴대폰의 정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덮개에 의하여 정면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정보의 확인 또는 입력을 위하여는 덮개를 반드시 개방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덮개의 존재가 오히려 사용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등록실용특허 제20-0463462호(공고일: 2012.11.06)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보호케이스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입력할 수 있으며, 정보 입력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에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정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쪽에 결합되는 배면부; 및 상기 배면부에서 이어지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정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창; 및 도전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되 가압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입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키는, 정면 쪽으로 돌출된 정면돌출부; 및 상기 정면돌출부에서 일체로 이루어지고, 배면 쪽으로 돌출된 배면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면부는, 상기 배면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판;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키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판 앞쪽에 밀착되는 탄성고무층; 상기 정면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무층 앞쪽에 밀착되는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 및 상부판은 상기 탄성고무층보다 경질(硬質)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 또는 상부판에는 상기 표시창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고무층은,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평면부; 상기 입력키를 둘러싸며 상기 평면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입력키를 연결하고, 상기 정면돌출부 및 평면부보다 얇게 이루어지는 연결부; 및 상기 입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제2관통홀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서, 상기 배면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하부판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지되,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면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제1 관통홀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 안쪽 면적은 상기 터치스크린보다 크거나 같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과 테두리가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고무층을 둘러싸며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하부판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표시창에 대응된 위치에서 관통형성된 제1 개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표시창에 대응된 위치에서 관통형성된 제2 개구홀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서, 상기 정면부는, 직물 천, 비직물 천, 편물 천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창 및 입력키를 노출시키며 정면을 덮는 정면덮개층; 및 직물 천, 비직물 천, 편물 천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창 및 입력키는 노출시키며 배면을 덮는 배면덮개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및 정면을 덮도록 이루어져 보호케이스의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면서, 정면부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표시창을 통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도전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키가 구비됨으로써 터치스크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지 않더라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가압방식을 통하여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서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고무층이 개재되어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입력키의 움직임에 따라 다른 부분의 입력키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여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탄성고무층을 둘러싸는 중간판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탄성고무층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균일한 두께의 정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정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성고무층과 중간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정면부(2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탄성고무층(220)과 중간판(23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보호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 체결되는 것이며,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란 통상의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사전과 같은 제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측 면에 정지영상 내지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박막형태의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11)(touch screen)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1)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가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10)에서 터치스크린(11)은 감압식(感壓式)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압식 터치스크린은 투명한 재질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Layer)으로 구성된다. 최상단에 유연하고 얇은 층이 형성되고, 액정 화면과 맞닿아 전기를 통하지 않는 안정층과, 터치 지점을 감지하는 전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정층은 액정 화면에 흐르는 전류가 터치스크린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터치시 액정이 함께 눌려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안정층은 주로 유리로 이루어지거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치 지점을 감지하는 전도층은 전기적인 저항성과 전도성이 있는 두 개의 전도성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층 사이에 공기로 채워진 절연 상태의 공간이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누르면 두 개의 전도성 층이 접촉한다. 이 경우 저항값과 전류의 변화가 발생되며, 터치스크린의 제어부에서 신호를 인식해 눌린 지점의 좌표를 측정한다.
감압식 터치스크린은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접촉을 감지하기 때문에 표면에 묻은 먼지나 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떠한 물체로든 터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가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10)에서 터치스크린(11)은 정전식(靜電式)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인듐과 산화 주석의 전도성 화합물로 코팅된 유리로 구성되며, 유리의 네 모서리에 센서가 부착되어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 유리에는 지속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센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정밀하게 전하를 축적한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표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우 반응을 하게 되는데, 신체는 전도성을 띠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누르게 되면 유리에 흐르던 전자가 신체로 이동하게 되고, 센서는 이러한 전자의 변화를 감지해 좌표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하는 경우와 같이 전도체 물질로 접촉하는 경우 반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크게, 배면부(100)와 정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뒤쪽, 즉 터치스크린(11)이 형성된 반대쪽 면에서 휴대용 단말기(10)에 결합된다. 배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정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앞쪽, 즉 터치스크린(11)이 형성된 쪽에서 휴대용 단말기(10)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정면부(200)는 배면부(100)에서 힌지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 등에 의해 배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에서 정면부(200)에는 표시창(212) 및 입력키(224)가 형성된다.
표시창(212)은 터치스크린(11)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표시창(212)은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입력키(224)는 도전성으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로 구비된다. 정면부(200)가 터치스크린(11)에 밀착되는 경우에도 입력키(224) 자체는 터치스크린(11)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며 인위적인 가압시 터치스크린(11)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1)을 통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정면부(200)는 다수의 층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하부판(210), 탄성고무층(220), 중간판(230) 및 상부판(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정면부(200)는 정면덮개층(250) 및 배면덮개층(2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판(210)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판(210)에는, 입력키(224)에 대응된 위치에서 관통 형성된 다수의 제1 관통홀(211)이 구비된다. 또한 하부판(210)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스피커에 대응된 위치에 별도의 관통홀(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고 물리적인 키(key)에 대응된 위치에 또 다른 관통홀(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판(210)은 휴대용 단말기(10)의 정면 모양에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하부판(210)의 테두리 안쪽 면적은 터치스크린(11)보다 크거나 같게 이루어진다. 즉, 하부판(210)에서 제1 관통홀(211) 등이 형성된 면적을 포함하여 하부판(210)의 바깥 테두리 안쪽이 차지하는 면적은 휴대용 단말기(10)의 정면 모양과 같거나, 적어도 터치스크린(11)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이루어진다.
탄성고무층(220)은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고, 평면부(221), 테두리부(222), 연결부(223) 및 입력키(224)로 구분되며, 전체 구성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탄성고무층(220)은, 탄성 고무에 금속이나 탄소 등 도전재료를 배합된 것으로서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고무층(220)은, 하부판(210)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 또는 터치스크린(11)의 모양에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터치스크린(11) 내부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탄성고무층(220)은 다수의 숫자, 문자, 도형, 기호 등이 표시된 입력키(224)가 행과 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터치스크린(11)의 하단 일부를 차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탄성고무층(220)의 입력키(224)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터치스크린(11) 자체에서 표현되는 입력버튼 이미지의 위치 및 내용과 일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부(221)는, 평면도상 탄성고무층(220)의 전체적인 모양을 이루며 각 입력키(224)를 연결시킨다.
테두리부(222)는 입력키(224)를 둘러싸는 부분이며 평면부(221)보다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23)는 테두리부(222)와 입력키(224)를 연결하며, 평면부(221)보다 얇게 이루어지고 입력키(224)보다도 얇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입력키(224)의 자연스러운 가압과 탄성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키(224)는, 정면 쪽(상부판(240) 쪽)으로 돌출된 정면돌출부(224a)와, 정면돌출부(224a)에서 일체로 이루어지고 배면 쪽(하부판(210) 쪽)으로 돌출된 배면돌출부(224b)로 구분된다.
정면돌출부(224a)는 테두리부(222)와 이어지며 입력키(224)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룬다. 정면돌출부(224a)는 표면이 편평하게 이루어지고 표면에 숫자,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정면돌출부(224a)는 테두리부(222)보다 정면쪽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돌출부(224b)는 정면돌출부(224a) 중앙에서 배면 쪽으로 돌출되며 터치스크린(11)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배면돌출부(224b)는 제1 관통홀(211)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하부판(210)과 탄성고무층(220)의 밀착시 배면돌출부(224b)의 일부가 제1 관통홀(211)에 삽입되게 된다. 배면돌출부(224b)의 길이는 하부판(210)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가압되지 않은 상태(사용자가 입력키(224)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배면돌출부(224b)의 단부는 제1 관통홀(211)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며(도 4(a) 참조), 가압된 상태에서 배면돌출부(224b)의 단부가 터치스크린(11)에 접촉하게 된다.(도 4(b) 참조)
중간판(230)은 탄성고무층(220)을 둘러싸며 하부판(210)과 상부판(240) 사이에 개재된다.
중간판(230)의 외형은 하부판(210)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중간판(230)에는 탄성고무층(220)이 끼워지는 탄성고무층 삽입홀(231)이 관통형성된다. 탄성고무층 삽입홀(231)은 탄성고무층(220)이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간판(230)에는 표시창(212)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2 개구홀(232)이 관통형성된다. 제2 개구홀(232)은 표시창(212)과 같은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판(230)은 탄성고무층(220)의 평면부(221)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하부판(210)과 상부판(240) 사이에서 탄성고무층(220)이 적층됨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중간판(230)은 하부판(210)과 결합됨에 있어서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판(240)은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탄성고무층(220) 및 중간판(230) 앞쪽에 밀착되면서 결합되며, 입력키(224)를 노출시키는 제2 관통홀(241)이 관통형성된다. 제2 관통홀(241)은 탄성고무층(220)의 테두리부(222)에 꼭 맞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241)을 통하여 입력키(224), 연결부(223) 및 테두리부(222)가 노출된다.
상부판(240)은 중간판(230)과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판(240)은 중간판(230)과 결합되면서 탄성고무층(220)의 전체적인 이격을 방지하고, 상부판(240)의 제2 관통홀(241)에 테두리부(222)가 꼭 맞게 끼워지게 되어 각 입력키(224)의 작동시 탄성고무층(220)의 다른 부분(입력키(224) 부분)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에서, 하부판(210) 또는 상부판(240)에는 상술한 표시창(212)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하부판(210)에 표시창(212)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판(240)에는 표시창(212)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 개구홀(242)이 관통형성된다. 제1 개구홀(242)은 제2 개구홀(232)과 같은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창(212)이 형성되는 하부판(210)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스티렌, PET, 투명 ABS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판(240) 및 중간판(230) 또한 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판(210) 및 상부판(240)은 탄성고무층(220)보다 경질(硬質)로 이루어지고 탄성고무층(220)과 결합시 정면부(200)의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정면덮개층(250)은 직물 천, 비직물 천, 편물 천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판(240)의 앞쪽에서 결합(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표시창(212) 및 입력키(224)(정면돌출부(224a) 부분)를 노출시킨다. 이를 위하여, 정면덮개층(250)에는, 상부판(240)의 제2 관통홀(241) 및 제1 개구홀(242)와 같은 관통 구멍(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된다. 정면덮개층(250)은 상부판(24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덮개층(260)은 정면덮개층(250)과 같이 직물 천, 비직물 천, 편물 천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판(210)의 뒤쪽에 결합(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표시창(212) 및 입력키(224)(배면돌출부(224b) 부분)는 노출시킨다. 이를 위하여, 배면덮개층(26)에는, 하부판(210)의 제1 관통홀(211)과 상부판(240)의 제1 개구홀(242)와 같은 관통 구멍(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된다. 배면덮개층(260)은 하부판(21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정면덮개층(250)과 같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정면덮개층(250)과 배면덮개층(260)은 테두리 부분에서 서로 결합(접착, 봉제 등의 방법으로 결합)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정면덮개층(250)과 배면덮개층(26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배면부(100)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면부(100)를 기준으로 정면부(200)가 자연스럽게 힌지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1)에 의하면, 정면에 터치스크린(11)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 및 정면을 덮도록 이루어져 보호케이스의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면서, 정면부(20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표시창(212)을 통하여 터치스크린(11)을 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도전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키(224)가 구비됨으로써 터치스크린(11)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지 않더라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가압방식을 통하여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판(210)과 상부판(240) 사이에서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고무층(220)이 개재되어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입력키(224)의 움직임에 따라 다른 부분의 입력키(224)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여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10 : 휴대용 단말기 11 : 터치스크린
100 : 배면부 200 : 정면부
210 : 하부판 211 : 제1 관통홀
212 : 표시창 220 : 탄성고무층
221 : 평면부 222 : 테두리부
223 : 연결부 224 : 입력키
224a : 정면돌출부 224b : 배면돌출부
230 : 중간판 231 : 탄성고무층 삽입홀
232 : 제2 개구홀 240 : 상부판
241 : 제2 관통홀 242 : 제1 개구홀
250 : 정면덮개층 260 : 배면덮개층

Claims (10)

  1. 정면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쪽에 결합되는 배면부; 및
    상기 배면부에서 이어지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정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창; 및
    도전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이격되되 가압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입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정면 쪽으로 돌출된 정면돌출부; 및
    상기 정면돌출부에서 일체로 이루어지고, 배면 쪽으로 돌출된 배면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는,
    상기 배면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판;
    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키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판 앞쪽에 밀착되는 탄성고무층;
    상기 정면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무층 앞쪽에 밀착되는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 및 상부판은 상기 탄성고무층보다 경질(硬質)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 또는 상부판에는 상기 표시창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층은,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평면부;
    상기 입력키를 둘러싸며 상기 평면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입력키를 연결하고, 상기 정면돌출부 및 평면부보다 얇게 이루어지는 연결부; 및
    상기 입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제2관통홀에 꼭 맞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하부판의 두께보다 길게 이루어지되,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면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제1 관통홀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테두리 안쪽 면적은 상기 터치스크린보다 크거나 같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과 테두리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는,
    상기 탄성고무층을 둘러싸며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하부판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표시창에 대응된 위치에서 관통형성된 제1 개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표시창에 대응된 위치에서 관통형성된 제2 개구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는,
    직물 천, 비직물 천, 편물 천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창 및 입력키를 노출시키며 정면을 덮는 정면덮개층; 및
    직물 천, 비직물 천, 편물 천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창 및 입력키는 노출시키며 배면을 덮는 배면덮개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109826A 2013-09-12 2013-09-12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50030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826A KR20150030494A (ko) 2013-09-12 2013-09-12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826A KR20150030494A (ko) 2013-09-12 2013-09-12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494A true KR20150030494A (ko) 2015-03-20

Family

ID=5302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826A KR20150030494A (ko) 2013-09-12 2013-09-12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04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935B1 (ko) 2018-08-22 2019-06-21 이연아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935B1 (ko) 2018-08-22 2019-06-21 이연아 시각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4815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nvex displays
US9112956B2 (en) Touch screen cover
US8493364B2 (en) Dual sided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100894277B1 (ko) 휴대 단말기
JP3169346U (ja) キーパッド
US20100238119A1 (en) Touchscreen Keyboard Overlay
JP2014093770A (ja) モバイル機器用の保護カバー
US20110248920A1 (en) Keyboard with hinged keys and display functionality
JP2012018478A (ja) 外付けキーパッド
US10838528B2 (en) Touch panel and design structure provided with same
US20140146445A1 (en) Portable input device
US2014015259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CN110879665B (zh) 远程电容式接口
KR101548738B1 (ko) 휴대용 키보드
KR20150030494A (ko) 입력키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CN102630134B (zh) 电子移动设备无缝按键/显示结构
KR20110075708A (ko) 스크린 디바이스 및 개인휴대단말기
US9092192B2 (en) Electronic mobile device seamless key/display structure
KR20110051871A (ko)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EP2860616B1 (en) Touch screen cover
KR100784488B1 (ko) 일체형 키패드를 이용한 노트북용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