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539B1 -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539B1
KR100739539B1 KR1020050066734A KR20050066734A KR100739539B1 KR 100739539 B1 KR100739539 B1 KR 100739539B1 KR 1020050066734 A KR1020050066734 A KR 1020050066734A KR 20050066734 A KR20050066734 A KR 20050066734A KR 100739539 B1 KR100739539 B1 KR 10073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heet
pattern
plate
plast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972A (ko
Inventor
박철
박동준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5006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53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제 층 및 버튼 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을 구비한다. 버튼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키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얇은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얇은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 간의 결속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개인휴대단말기, 버튼 플레이트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TTON PLATE}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버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버튼 시트와 유사한 다른 버튼 시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버튼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버튼 플레이트 110:버튼 시트
112:버튼 패턴 120:플라스틱 필름
132:누름 돌출부 134:간격 지지부
200:개인휴대단말기 216:키패드 홀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 입력부의 버튼을 누른다. 휴대폰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키 입력부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입력하기 위해서 키 입력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휴대폰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적용되고 있다.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1)에서 키 입력부는 버튼(12)이 형성된 키 패드(10), 돔 스위치(22)가 형성된 접착 시트(20), 및 원형의 전극(32)이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30)을 포함한다.
키 패드(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키 패드(10)의 상면에는 휴대폰의 버튼(12)이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키 패드(10)와 일체로 형성되 어 있다. 키 패드(10)에서 버튼(12)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된 버튼(12)은 휴대폰의 상부 케이스(2)에 형성된 홀(4)를 통해서 각각 노출될 수가 있다.
키 패드(10)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22)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20)가 제공된다. 돔 스위치(22)는 금속을 재질로 형성되며, 돔(dome) 형태의 스위치가 평평하게 눌러지면서 전극(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여 전극(32)을 다시 분리시킬 수 있다. 돔 스위치(22)는 접착 시트(3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
PCB 기판(30)은 원형의 전극(32)를 포함하며, 전극(32)은 버튼(12) 및 돔 스위치(22)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전극(32)은 동심원의 원형 구조를 가지며, 돔 스위치(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패드(10)는 상부 케이스(2)의 하부에 위치하며, 버튼(12)은 상부 케이스(2)의 홀(4)을 통해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키 입렵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2) 및 키 패드(10)를 겹쳐서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키 입력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
또한, 상부 케이스(2)에 홀(4)을 형성하여야 하며, 각 홀(4)에 대응하도록 버튼(12)을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조립을 통한 제작이 복잡하며 키 입력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도 많다.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버튼(12)이 키 패드(1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키 패드(10)의 저면에는 간격 지지부(16) 및 누름 돌출부(14)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면, 누름 돌출부(14)가 돔 스위치(22)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22)가 변형되면서 돔 스위치(22) 하부에 위치한 전극(32)을 연결할 수가 있다. 전극(32)이 연결됨에 따라 버튼(12)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극(32)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12)의 면적이 누름 돌출부(14)의 면적보다 훨씬 크므로, 버튼(12)을 누르는 힘이 모아져서 누름 돌출부(14)에 전해질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돔 스위치(22)를 용이하게 누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두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열악하기 쉬운 경도 및 키감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입력부의 두께뿐만 아니라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도 감소시킬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번에 제조가 가능하고,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디자인 및 색채의 표현이 용이하여 제품으로 서도 우수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버튼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필름,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제1 접착제 층 및 러버 패드층을 포함한다. 제1 접착제 층은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며, 필름 및 시트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튼 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서 플라스틱 필름과 용이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실제로 플라스틱 필름과 버튼 시트를 상호 부착시키는 경우, 버튼 시트의 이격 슬릿을 통해서 러버 패드층과 플라스틱 필름이 상호 결속되기는 하지만, 플라스틱 필름이 부분적으로 들떠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버튼 시트와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프라이머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고, 필름과 시트를 상호 접착시킴으로써 필름의 들뜨는 부분을 없앨 수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 간의 상호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다. 버튼 영역은 플라스틱 필름 상에 인쇄될 수 있으며, 디자인에 따라 버튼 영역의 표시는 다양한 모양 및 색체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접착제 층에 의해서 버튼 시트는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에 부착된다. 버튼 시트는 금속 또는 고경도 플라스틱과 같은 고경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를 판 형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버 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변으로 이격 슬릿이 형성되어 버튼 패턴을 정의할 수 있으며, 버튼 패턴은 버튼 시트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누름에 대응하여 돔 스위치를 누를 정도로 이동할 수가 있다. 러버 패드층은 버튼 시트 및 플라스틱 필름과 일체로 연결되며, 각 버튼 패턴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버튼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키 입력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에는 버튼 플레이트를 장착하기 위한 키패드 홀이 형성되어 버튼 플레이트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 센서부는 돔 스위치 및 전극으로 구성된 구조 외에도 적용되는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키입력 센서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맞게 변경될 수가 있다.
버튼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를 하부 금형 상에 차례로 적층하고,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버튼 시트의 상면에 도포한다. 액상의 수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성을 가짐으로써 버튼 시트 상에서 겔(gel) 또는 반 응고 상태로 있는다. 하부 금형 상에 상부 금형이 내려와 액상의 수지를 압축하게 되고, 약 100~200℃ 정도의 고온 및 압력을 가하여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을 성형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성형을 이용해서 러버 패드층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사출성형이나 기타 수지를 이용한 성형방법으로 러버 패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버튼 시트 및 플라스틱 필름 간의 결속 또는 버튼 시트 및 러버 패드층 간의 결속을 위해서 버튼 시트의 상면, 저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 시트와 주변 필름 또는 패드층과의 결속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특히,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필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튼 시트 및 누름 돌출부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그 사이에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더 도포할 수가 있다.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시트 간의 액상 수지는 러버 삽입층을 형성하며, 러버 삽입층은 버튼 플레이트의 편평도를 좋게 할 수 있다. 특히, 버튼 시트 상에 EL 발광시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EL 발광부에 의해서 버튼 플레이트는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질 수 있는데, EL 발광부 상에 러버 삽입층을 형성함으로써 버튼 플레이트의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를 설 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버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200)은 단말기 본체(210), 버튼 플레이트(100) 및 키입력 센서부(23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210)는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내외 부품 및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폰의 경우 단말기 본체(210)는 단말기 케이스, 키 입력부,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배터리,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단말기 본체(210)는 바(bar)의 형상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는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스윙형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타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210)는 전면 케이스(212) 및 후면 케이스(214)를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212)의 전면 상부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전면 하부에는 키 입력부를 장착하기 위한 키패드 홀(216)이 제공된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전면 케이스(212)의 내면에 장착되며, 버튼 플레이트(100)의 안쪽으로는 키입력 센서부(230)가 제공된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키패드 홀(216)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키패드 홀(216)에 장착됨으로써 단일벽을 형성하는 키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고, 버튼 플레이트(100)는 키 입력부와 함께 키패드 홀(216)을 차단하는 벽면을 제공할 수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 플레이트(100)는 버튼 패턴(1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110), 버튼 시트(110) 상에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110) 및 플라스틱 필름(120)의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버튼 플레이트(100) 자체도 약 0.05~0.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110)는 스테인리스 스틸(SUS)과 같은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버튼 플레이트(100)의 평판 구조 및 경쾌한 버튼감을 유지할 수 있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키패드 홀(216)에 장착됨으로써 한번에 키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100) 하나로 기존의 케이스 벽면 및 돌출된 키패드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100)의 외곽을 따라 위치 가이드 홈(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케이스(212)에서 키패드 홀(216)의 내면에는 위치 가이드 홈(124)에 대응하는 위치 가이드 돌기(217)가 형성된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전면 케이스(212)에 고정될 수 있지만, 최초로 버튼 플레이트(100)를 키패드 홀(216)에 맞게 정위치 시키기 위해서 위치 가이드 돌기(217) 및 위치 가이드 홈(124)이 사용될 수 있다.
키입력 센서부(230)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며, 누름 센서는 돔 스위치(232) 및 접점 전극(234)을 이용한 구조를 갖는다. 버튼 플레이트(100)의 각 버튼에 대응하도록 버튼 패턴(112)이 제공되며, 각 버튼 패턴(112)의 하부에는 키입력 센서부(230)의 돔 스위치(232) 및 접점 전극(234)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플 레이트(110)의 버튼을 누르면, 누르는 힘은 버튼 패턴(112)를 통해 돔 스위치(232)로 전달되며, 돔 스위치(232)는 일시적으로 변형되어 접점 전극(23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가 있다. 접점 전극(234)의 연결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가 생성되며, 각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특정되어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100)에는 플라스틱 필름(120),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버튼 시트(110)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110)의 버튼 패턴(112)은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버튼 패턴(112)은 플라스틱 필름(1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이외에도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120)보다 경도가 높은 다른 합성수지 등으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
버튼 패턴(112)은 키 입력부에서 버튼이 위치하는 버튼 영역에 배치되며, 버튼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버튼 패턴(112)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인접한 다른 버튼 패턴과 연결되어 하나의 버튼 시트(110)를 형성할 수 있다.
버튼 시트(110)에는 버튼 패턴(1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버튼 패턴(112)은 좌우 양측에 형성된 이격 슬릿(116)에 의해서 정의된다. 따라서 버튼 패턴(112)은 이격 슬릿(116)에서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패턴(112)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소정의 범위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이격 슬릿(116)의 형상 및 크기를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버튼 패턴(112)이 돔 스위치와 같은 누름 센서를 작동시킬 만큼 충분한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인접한 버튼 패턴(112)들이 그 사이에 위치한 이격 슬릿(116)을 공유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경도 버튼 패턴을 구성하는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지만, 구리나 구리합금,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 금속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 패턴(112)은 약 0.05mm에서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버튼 패턴(112)은 플라스틱보다도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게 휘어지지 않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키 입력부 구조와 비교해도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는 물론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 상에는 플라스틱 필름(120)이 적층된다. 플라스틱 필름(120)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120)은 약 10㎛ ~ 1mm의 두께로 가진다.
플라스틱 필름(120)은 버튼 패턴(112)에 부착되어 버튼 패턴(112)을 상호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버튼 패턴(1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영역을 누른 후, 돔 스위치의 복원력 및 플라스틱 필름(120)의 복원력에 의해서 버튼 패턴(112) 및 플라스틱 필름(120)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러버 패드층(130)은 버튼 패턴(112)의 하부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13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132)의 주변으로는 버튼 패턴(112) 또는 버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 지지부(134)가 제공된다.
버튼 시트(112)는 도 6에 도시된 버튼 시트 외에도 버튼 시트 및 버튼 패턴의 형상은 다양하게 조절될 수가 있다. 도 7은 도 6의 버튼 시트와 유사한 다른 버튼 시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들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a)에는 버튼 패턴(11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버튼 패턴(112a)은 좌우 양측에 분리되어 형성된 이격 슬릿(116a)에 의해서 정의된다. 버튼 패턴(112a) 역시 이격 슬릿(116a)에서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각각 독립적인 이격 슬릿(116a)을 포함한다. 이격 슬릿(116a)에 의해서 버튼 패턴(112a)은 돔 스위치와 같은 누름 센서를 작동시킬 만큼 충분한 거리로 유동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b)에는 버튼 패턴(112b)의 상하로 이격 슬릿(116b)이 형성된다. 하나의 버튼 패턴(112b)이 3~4개의 버튼 영역에 대응하며, 각 버튼 영역에 누름으로써 원하는 버튼 영역의 돔 스위치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가 있다. 하나의 버튼 패턴(112b)이 가로로 누운 브릿지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을 유지하면서 버튼 영역을 충분히 구분하여 변형할 수가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버튼 패턴(112c)의 4면 모서리에 대응하여 4개의 이격 슬릿(116c)이 형성되며, 그 결과 버튼 패턴(112c)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튼 패턴(112a)의 4개 꼭지점에 해당하는 면들이 버튼 시트(110c)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4개 모서리에 해당하는 면들이 버튼 시트(110c)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버튼 패턴(112c)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돔 스위치와 같은 누름 센서를 작동시킬 만큼 충분한 거리로 유동할 수 있다.
이하,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금형(I)에 버튼 플레이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플라스틱 필름(120)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버튼 시트(110)가 차례로 적층된다. 플라스틱 필름(120)에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인쇄되어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120)의 저면으로는 버튼 패턴(1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110)가 올려진다. 버튼 패턴(112)은 각 버튼 영역에 대응하도록 조절된 위치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버튼 플레이트를 한번에 제작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한번에 제작한 후 버튼 플레이트의 크기에 맞게 버튼 플레이트를 재단하여 각각 제조할 수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 위로 액상 실리콘(130-1)이 도포된다. 액상 실리콘은 겔 상태와 같이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압력을 받아 금형 내에서 유 동할 수가 있다. 하부 금형(I)의 상부로는 상부 금형(II)이 제공되며, 상부 금형(II)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32) 및 간격 지지부(134)를 성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성형한 후, 하나의 원판을 재단함으로써 각각의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버튼 시트 상에서 겔 상태의 실리콘 수지를 여러 지점에서 분사하여 도포할 수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II)이 아래로 이동하여 액상 실리콘(130-1)을 압축한다. 압력을 받은 액상 실리콘(130-1)은 버튼 시트(110)의 이격 슬릿(116) 또는 측면으로 진입하며, 하부 금형(I) 및 상부 금형(II) 사이에서 버튼 플레이트(100)가 성형될 수 있다.
압축된 상태에서 약 100~200℃의 열을 가함으로써, 액상 실리콘(130-1)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130-1)은 누름 돌출부(132) 및 간격 지지부(134)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13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압축성형에 의해서 러버 패드층을 형성하지만, 사출성형이나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하여서도 러버 패드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일 예로, 플라스틱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를 하부 금형(I)에 배치시킨 후, 하부 금형(I) 상에 상부 금형(II)을 덮고, 상부 및 하부 금형(I, II) 사이에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러버 패드층을 제조할 수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1의 버튼 플레이트는 이전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 사이에 제1 접착층(140)이 제공된다. 제1 접착층(140)은 버튼 시트(110) 또는 플라스틱 필름(12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 8과 같이 플라스틱 필름(120)과 버튼 시트(110)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도 4에서 플라스틱 필름(120)은 이격 슬릿(116)을 통해서 러버 패드층(130)과 면접하고 있으며, 실리콘 재질의 러버 패드층(130)과 플라스틱 필름(120)이 상호 점착되어 버튼 시트(110)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버튼 시트(110)와 수지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120)이 상호 접착된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들뜨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1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 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120)의 버튼 영역 및 버튼 시트(110)의 버튼 패턴(112)을 접착시킬 수가 있다. 이로써 버튼 영역의 필름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를 안정된 제품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2의 버튼 플레이트도 이전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라스틱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 사이에 제1 접착층(140)이 제공되며,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 사이에서도 제2 접착층 (145)이 제공된다. 제1 접착층(140)은 버튼 시트(110) 또는 플라스틱 필름(12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 8과 같이, 플라스틱 필름(120)과 버튼 시트(110)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45)은 버튼 시트(11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 시트(11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일정시간을 기다리는 것과 같이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접착제가 도포된 버튼 시트(110)를 플라스틱 필름(120) 위에 올리고, 그 위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여 러버 패드층(130)을 성형할 수가 있다.
버튼 시트의 버튼 패턴에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 또는 빛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홀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이때 홀에도 액상 실리콘이 진입하여 안정된 결속관계를 형성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홀이 없는 경우에는 러버 패드층(130) 및 버튼 시트(110) 간의 결속력이 약해질 수 있는데, 이때 제2 접착층(145)을 이용하여 시트 및 패드층 간의 결속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시트(310), 플라스틱 필름(320), 러버 패드층(330), 제1 접착층(340), 제2 접착층(345), 발광부(350) 및 러버 삽입층(36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튼 플레이트는 단말기 본체의 키패드 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키입력부 및 측벽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 시트(310)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310)의 버튼 패턴(312)은 이격 슬릿(316)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버튼 패턴(312)은 키 입력부에서 버튼이 위치하는 버튼 영역에 배치되며, 버튼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패턴(312)은, 도 6과 같이,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패턴(312)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버튼 패턴(312)은 약 0.05mm에서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플라스틱 필름보다 우수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휘어지지 않으면서 정해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키 입력부 구조와 비교해도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는 물론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버튼 시트(3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버튼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버튼 시트(310) 상에는 유기EL 또는 무기EL을 이용한 발광부(350)가 제공된다. 발광부(350)는 각 버튼 패턴(3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의 전원극과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빛을 발할 수가 있다. 발광부(350)는 하부 전극, 발광층 및 투명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버스 전극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빛을 스스로 발생시킬 수가 있다.
버튼 시트(310) 및 발광부(350)의 상하로는 제1 접착층(340) 및 제2 접착층(345)이 상하로 형성된다. 발광부(350)를 이용하기 때문에 버튼 패턴(312)은 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하지 않으며, 홀이 없는 상태에서는 러버 패드층(330)과 버튼 패턴(312)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버튼 시트(310)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러버 패드층(330)을 형성하여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310) 역시 발광부(350)에 의해서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며, 울퉁불퉁한 표면으로는 플라스틱 필름(320)과 안정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시트(310) 및 발광부(350) 상에 제1 접착층(340)을 형성하고, 러버 삽입층(360)과 버튼 시트(310) 간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즉, 러버 삽입층(360)은 고르지 못한 표면을 갖는 버튼 시트(310) 및 플라스틱 필름(320) 사이에 개재되며, 러버 삽입층(360)은 발광부(350) 및 기타 요철에 의한 표면을 메움으로써 편평도가 좋은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 압축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 러버 삽입층(360) 및 러버 패드층(330)은 일체로 연결되며,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라스틱 필름(320) 및 버튼 시트(310)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버튼 시트(310) 상에는 플라스틱 필름(320)이 적층된다. 플라스틱 필름(320)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320)는 약 10㎛ ~ 1mm의 두께로 가진다.
러버 패드층(330)은 버튼 패턴(312)의 하부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33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332)의 주변으로는 버튼 패턴(312) 또는 버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 지지부가 제공된다.
이하, 도 13의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부 금형(I)에 버튼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플라스틱 필름(320)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버튼 시트(310)가 차례로 적층된다. 플라스틱 필름(320)에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인쇄되어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320)의 저면으로는 버튼 패턴(3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310)가 올려진다. 이때 버튼 패턴(312)의 상면에는 각각 발광부(350)가 형성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310) 및 발광부(350)의 외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310)를 올리기 전에 플라스틱 필름() 상으로 러버 삽입층(36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액상 실리콘(360-1)을 도포한다. 제1 액상 실리콘(360-1)은 겔 또는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도포되며, 한 지점 또는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310) 위로 제2 액상 실리콘(330-1)이 도포된다. 제2 액상 실리콘(33-1)은 제1 액상 실리콘(360-1)과 같이 유동이 가능한 상태 이며, 압력을 받아 금형 내에서 유동할 수가 있다. 하부 금형(I)의 상부로는 상부 금형(II)이 제공되며, 상부 금형(II)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332) 및 간격 지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성형한 후, 하나의 원판을 재단함으로써 각각의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버튼 시트 상에서 겔 상태의 실리콘 수지를 여러 지점에서 분사하여 도포할 수가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II)이 아래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1, 330-1)을 압축한다. 압력을 받은 액상 실리콘은 버튼 시트(310)의 상하에서 이격 슬릿(316) 또는 측면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하부 금형(I) 및 상부 금형(II) 사이에서 버튼 플레이트가 성형될 수 있다.
압축된 상태에서 약 100~200℃의 열을 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1, 330-1)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제2 액상 실리콘(330-1)은 누름 돌출부(332) 및 간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330)으로 전환되고,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러버 패드층(330)과 러버 삽입층(360)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다시 13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310)와 발광부(350) 상에 제1 접착층(340)이 형성되어 러버 삽입층(360)과 견고한 접착관계를 유지하며, 불규칙한 표면으로 성형되는 러버 삽입층(360)과 안정된 결속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버튼 시트(310)와 수지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320)은 상호 접착된 상 태를 이루지 못하고 들뜰 수 있으며, 불규칙한 표면의 러버 삽입층(360)과 발광부(350) 역시 잦은 상하 이동에 서로 분리될 수가 있다. 하지만, 도 13에서와 같이, 버튼 시트(310) 및 발광부(350)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 시트(310) 및 발광부(350)를 러버 삽입층(360)에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러버 삽입층(360) 및 플라스틱 필름(320)은 상호 수지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없이도 상호 견고한 결속 상태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버튼 시트(310) 및 러버 패드층(330) 사이에서도 제2 접착층(345)이 제공된다. 제2 접착층(345)은 버튼 시트(31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을 도포한 후 압축성형 및 열 경화를 통해서 러버 패드층(330)과 견고한 접착을 이룰 수 있다. 특히, 버튼 패턴(312)의 상면에 발광부(350)를 형성하기 때문에 버튼 패턴(312)에 빛 투과홀을 만들 필요가 없으며, 금속과 면접하는 버튼 패턴(312)은 러버 패드층(330)과 쉽게 분리될 수가 있다. 하지만, 제2 접착층(345)을 이용함으로써 버튼 시트(310)와 러버 패드층(330) 간의 접착된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패턴(4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410)는 포함하며, 버튼 시트(410)의 외곽부가 약 0.2mm 정도로 절곡되어 외곽 보강부(418)를 제공한다. 외곽 보강부(418)는 버튼 시트(410)의 외곽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되며, 외곽 보강부(418)는 버튼 플레이트의 외곽을 지지하는 외곽 간 격 지지부(435)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외곽 보강부(418)에 의해서 버튼 시트(410) 및 버튼 플레이트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얇은 버튼 플레이트의 형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패턴(5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510)는 포함하며, 버튼 시트(510)의 외곽부가 오목하게 굴곡되어 요철 형상의 외곽 보강부(518)를 제공한다. 외곽 보강부(518)는 프레스 공법에 의해서 버튼 시트(510)의 외곽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곽 보강부(518)는 버튼 플레이트의 외곽을 지지하는 외곽 간격 지지부(535)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외각 보강부(518)는 프레스 공법에 의해 길거나 짧은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행하거나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역시 외곽 보강부(518)에 의해서 버튼 시트(510) 및 버튼 플레이트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얇은 버튼 플레이트의 형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참고로, 도 19에는 버튼 플레이트 중 버튼 시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결과물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9의 (e)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610)는 저면으로 편차를 가지도록 식각되어 있다. 따라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며, 얇은 영역은 대체로 버 튼 패턴(612)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며, 버튼 패턴(612)의 중앙부 및 그 주변부가 편차 식각되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높은 유동성을 갖는다. 대신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은 버튼 시트(610)의 평판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버튼 시트(610)의 전/후면에 플라스틱 필름 및 러버 패드층을 형성한 후, 부분적으로 수축되어 버튼 플레이트가 전체적으로 굽을 수가 있는다. 이렇게 버튼 시트(610)의 프레임 부분을 두껍게 하고, 버튼 패턴(612) 부분을 얇게 하여 버튼 플레이트의 휨을 방지하는 동시에 우수한 키감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두께 차이를 갖는 버튼 시트(610)를 형성하기 위해서 식각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SUS 시트(610-1)가 제공된다. SUS 시트(610-1)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다. SUS 시트(610-1)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격자 배열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큰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식각을 위한 감광액을 이용하여 SUS 시트(610-1)의 양면에 제1 감광액 층(621) 및 제2 감광액 층(625)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감광액 층(621)은 플라스틱 필름이 제공되는 SUS 시트(610-1)의 전면에 형성되며, 제2 감광액 층(625)은 러버 패드층이 제공되는 SUS 시트(610-1)의 후면에 형성된다.
도 19의 (c)를 참조하면, 제1 감광액 층(621) 및 제2 감광액 층(625)을 각각 다른 패턴에 노광시킨 후, 제1 마스크 패턴(622) 및 제2 마스크 패턴(626)을 형성 한다. 제1 마스크 패턴(622)은 버튼 패턴(612)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마스크 패턴(626)은 제1 마스크 패턴(622)이 형성된 영역과 상대적으로 얇은 깊이로 형성될 영역을 포함한다.
도 19의 (d)를 참조하면, 제1 마스크 패턴(622) 및 제2 마스크 패턴(626)을 이용하여 SUS 시트(610-1)을 식각한다. 제1 마스크 패턴(622)에 의해서 노출된 부분은 제2 마스크 패턴(626)에 의해서 후면도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식각에 의해서 시트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하지만, 제2 마스크 패턴(626)에만 노출된 부분은 부분적으로 식각되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마스크 패턴(622, 626)을 제거함으로써 도 19의 (e)에 도시된 버튼 시트(610)를 제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버튼 시트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20 및 도 21을 통해 버튼 플레이트 중 버튼 시트가 설명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결과물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710)는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를 서로 맞대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는 얇은 SUS 재질로 제공된다. 제1 버튼 시트(711)는 도 5 및 도 6의 버튼 시트(110)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버튼 패턴(713) 역시 도5의 버튼 패턴(112)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버튼 패턴(713)에 대응하여 제2 버튼 시트(715)이 포개어져 제공되며, 제2 버튼 시트(715)는 복수개의 홀로 구성되는 제2 버튼 패턴(716)을 포함한다. 제2 버튼 패턴(716)은 제1 버튼 패턴(713)을 노출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버튼 시트(710)에서 제1 버튼 패턴(713)이 형성된 부분은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부분인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가 겹쳐지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유지하여 버튼 시트(710)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2를 통해 버튼 플레이트 중 버튼 시트가 설명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결과물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810)는 제1 버튼 시트(811) 및 제2 버튼 시트(815)를 서로 맞대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버튼 시트(811) 및 제2 버튼 시트(815)는 얇은 SUS 재질로 제공된다. 또한, 제1 버튼 시트(811)는 도 5 및 도 6의 버튼 시트(110)와 유사한 패턴 및 홀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 제1 버튼 패턴(813)을 포함하며, 제2 버튼 시트(815)도 역시 버튼 형상의 패턴 및 홀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 제2 버튼 패턴(816)을 포함한다. 다만, 제1 및 제2 버튼 패턴(813, 816)이 서로 배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버튼 시트(811)에서 버튼 형상의 패턴은 1열 및 3열에 형성되어 있으며, 홀 형상의 패턴은 2열 및 4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버튼 시트(815)에서 버튼 형상의 패턴은 2열 및 4열에 형 성되어 있으며, 홀 형상의 패턴은 1열 및 3열에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버튼 시트(810)에서 버튼 형상의 패턴을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버튼이나 홀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2개의 시트가 겹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유지할 수가 있다.
버튼 플레이트는 얇은 고경도 버튼 패턴과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약 0.05~1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버튼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경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 시트 및 플라스틱 필름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 및 버튼 패턴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버튼 영역의 들뜸 현상을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버튼 시트와 플라스틱 필름을 상호 부착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한 번에 제조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를 바로 키패드 홀에 조립함으로써 키 입력부를 바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액상 실리콘을 이용하여 러버 패드층을 버튼 시트의 저면에 성형할 수 있으며, 역시 러버 패드층 및 버튼 시트 사이에도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접착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유기EL 또는 무기EL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버튼 패턴에 홀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 버튼 패턴과 패드층을 상호 접착시켜 버튼 패턴 및 패드층 간의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 및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러버 삽입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러버 삽입층은 러버 패드층과 일체를 이루어 안정된 접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의 키감을 향상시키고, 내부 표면 상태와 무관하게 버튼 플레이트의 표면을 편평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은 종래의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디자인 및 색채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버튼 형상을 일일이 성형해야 하는 종래의 키 입력부 구조보다 훨씬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를 하부 금형 내에 차례로 배치시키는 단계;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상기 버튼 시트의 상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상부 금형을 접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 사이에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상기 버튼 시트 상에서 겔 상태의 실리콘 수지를 여러 지점에서 분사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4.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를 하부 금형 내에 차례로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상부 금형을 덮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 사이에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금속 재질의 판재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 영역의 주변에 이격 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 패턴을 정의하며, 상기 버튼 패턴은 상기 이격 슬릿에 의해서 상기 버튼 시트에 대해 독립된 이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차례로 배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버튼 시트의 상면, 저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차례로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튼 시트의 외곽을 절곡 또는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러버 패드층을 넓게 형성하며, 상기 러버 패드층이 형성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를 상기 버튼 플레이트의 크기에 맞게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차례로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버튼 시트는
    상기 버튼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노출시키는 마스크 패턴을 상기 버튼 시트 상에 형성시키고, 상기 마스크 패턴을 통해 상기 버튼 시트를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버튼 시트에 두께 차이를 갖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과정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차례로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버튼 시트는
    상기 버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마스크 패턴을 상기 버튼 시트의 일면에 형성하고, 상기 버튼 시트에 두께 차이를 두기 위한 제2 마스크 패턴을 상기 버튼 시트의 타면에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 시트를 부분적으로 식각하는 과정에 의해 제공되는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를 상기 하부 금형 내에 차례로 배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버튼 시트에 상기 버튼 패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서로 평행 또는 서로 교차하는 라인 형상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버튼 시트는
    제1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버튼 시트 및 제2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버튼 시트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버튼 패턴 및 제2 버튼 패턴은 상호 배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시트를 서로 맞대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키 입력부를 제공하는 일체형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플라스틱 필름;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제 층; 및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시트는 금속 재질의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버튼 시트에는 상기 버튼 패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릿은 상기 버튼 패턴의 주변에서 적어도 2면 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릿은 복수의 상기 버튼 패턴의 주변에서 서로 대향하는 2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버튼 패턴을 브릿지 형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릿은 상기 버튼 패턴의 주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0.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키 입력부를 제공하는 일체형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플라스틱 필름;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제 층; 및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시트는 외곽을 따라 절곡 또는 굴곡된 외곽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1.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키 입력부를 제공하는 일체형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플라스틱 필름;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제 층; 및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시트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턴은 상기 버튼 시트 중 상기 얇은 영역 또는 그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유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영역은 편차 식각을 이용한 식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제1 버트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버튼 시트 및 제2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버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시트를 서로 맞대어 상기 버튼 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버튼 패턴 및 제2 버튼 패턴은 서로 배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시트의 맞대는 경우 상기 버튼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 패턴은 모든 상기 버튼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버튼 패턴을 노출시키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5.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키 입력부를 제공하는 일체형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플라스틱 필름;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제 층; 및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시트는 상기 버튼 패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 또는 서로 교차하는 라인 형상의 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KR1020050066734A 2005-07-22 2005-07-2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KR10073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34A KR100739539B1 (ko) 2005-07-22 2005-07-2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34A KR100739539B1 (ko) 2005-07-22 2005-07-2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972A KR20070011972A (ko) 2007-01-25
KR100739539B1 true KR100739539B1 (ko) 2007-07-13

Family

ID=3801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734A KR100739539B1 (ko) 2005-07-22 2005-07-2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017B1 (ko) 2006-09-11 2008-06-20 (주)지엔씨 키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18B1 (ko) * 2006-06-02 2008-02-26 주식회사 엠.지.피 분리된 키를 갖는 서스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0505B1 (ko) * 2007-02-08 2008-11-25 주식회사 소림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0888359B1 (ko) * 2007-03-14 2009-03-11 (주) 태양기전 플레이트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55691B1 (ko) * 2008-05-30 2010-05-03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도파시트 및 도파시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966Y1 (ko) 2005-04-19 2005-07-07 주식회사 모젬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966Y1 (ko) 2005-04-19 2005-07-07 주식회사 모젬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017B1 (ko) 2006-09-11 2008-06-20 (주)지엔씨 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972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285B2 (en) Keypad assembly
EP1995750A1 (en) Key base, key sheet, and method of forming key base
KR100739539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JP2001155586A (ja) 押釦スイッチ装置
KR20080033985A (ko) 박형 키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310040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100538112B1 (ko)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JP4908280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
KR100844441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US6572950B2 (en) Laminate key sheet
US20090065335A1 (en) Multi-functional keypad module for a mobile phone
KR100774611B1 (ko) 통신기기용 일체형 금속 전면커버
KR100925823B1 (ko) 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돔 시트
KR20070091413A (ko) 2중 박판 키패드
JP4499903B2 (ja) キースイッチ
KR200282132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US20100102996A1 (en) Dome array device and a key structure with the dome array device
KR100964208B1 (ko) 일체형 키패드 및 키패드 제조방법
KR200378607Y1 (ko) 메탈 키패드
JP4357254B2 (ja) キーシートと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813622B1 (ko)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버튼플레이트
KR100779066B1 (ko) 키 패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키 패드
KR100847276B1 (ko) 일체형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JP2011159566A (ja) 導光板、プリント配線板、キー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