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900B1 -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 Google Patents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900B1
KR100780900B1 KR1020060062780A KR20060062780A KR100780900B1 KR 100780900 B1 KR100780900 B1 KR 100780900B1 KR 1020060062780 A KR1020060062780 A KR 1020060062780A KR 20060062780 A KR20060062780 A KR 20060062780A KR 100780900 B1 KR100780900 B1 KR 10078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ubstrate
bending
guide plat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6006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빛의 손실을 저감 시킬 수 있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가 개시된다.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는 키패드부, 평기판 및 스위치와 평기판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로면을 제공하는 절곡기판을 구비하는 기판부, 키패드부와 기판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도광판, 도광판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회로면에 장착되어 도광판의 측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케패드부의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는 도광판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절곡기판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측면으로 빛이 직접 조사될 수 있게 하고,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은 손실을 최소화한 상태로 도광판으로 조사될 수 있다.
키패드, 키패드부, 회로기판, 절곡부, 발광소자

Description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STRUCTURE FOR KEYPAD BACK LIGHTING OF KEYPAD}
도 1은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로서, 키패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본체 110 : 본체부
111 : 프론트케이스 111a : 키패드 홀
112 : 리어케이스 120 : 폴더부
130 : 키패드부 131 : 필름
132 : 금속시트 132a : 슬릿
133 : 플라스틱시트 134 : 연성패드
135 : 버튼돌기 140 : 기판부
141 : 평기판 142 : 절곡기판
142a : 수직절곡부 142b : 수평절곡부
143 : 스위치 150 : 도광판
160 : 발광소자 170 : 러버시트
171 : 누름돌기 18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빛의 손실을 저감 시킬 수 있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절첩되며 본체부(10)의 내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20)의 내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 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11) 및 리어케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13)이 수용되어 있고, 프론트케이스(11)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4)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에는 배터리(1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의 상면에는 누름조작시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위 메탈돔이라고 하는 복수개의 스위치(17) 및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14)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3)의 상측에 배치되는 패드본체(14b), 누름조작 가능하게 본체부(10)의 각 키홀(1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 스위치(17)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부착되는 복수개의 키(14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패드본체(14b)의 저부면에는 각 키(14a)를 누르는 힘이 각 스위치(17)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누름돌기(1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는 인쇄회로기판(13)과 키패드(14)의 사이에 발광소자(18)가 설치되기 위한 일정 높이가 확보되어야 했던 바, 이에 따라 본체부(10)의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본체부(10)의 높이 및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키패드(13)의 저부에 발광소자(17)가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키(13a)의 누름 조작시 발광소자(117)의 간섭에 의해 클릭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는 일정 발광범위를 갖는 발광소자가 일정 간격을 두고 대략 6개 내지 12개가 구비되고 이들 발광소자에 의해 키패드의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키패드의 전체적인 밝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키패드의 백라이팅이 최적으로 구현될 수 없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빛의 손실을 저감 시킬 수 있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고휘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는 키패드부, 평기판 및 스위치와 평기판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로면을 제공하는 절곡기판을 구비하는 기판부, 키패드부와 기판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도광판, 도광판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회로면에 장착되어 도광판의 측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로서는 폴더형, 바형, 슬라이드형 등의 타입으로 이루어진 PDA, 스마트 폰, 핸드헬드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절곡기판의 회로면은 평기판에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절곡기판은 평기판의 주연부로부터 이어지는 수직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회로면은 수직절곡부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개의 절곡부로 구성된 절곡기판에 의해 평기판에 수직한 회로면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기판의 회로면은 평기판에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절곡기판은 평기판의 주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수직절곡부 및 수평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회로면은 수평절곡부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수직절곡부 및 수평절곡부로 구성된 절곡기판에 의해 평기판에 평행한 회로면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절곡기판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치환경에 따라 절곡기판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절곡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도광판의 하부에는 스위치에 대응하여 배면에 누름돌기를 갖는 러버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키패드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키패드부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키패드부는 버튼이 인쇄된 필름 및 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슬릿을 통해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한 금속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서 키패드부는 버튼이 인쇄된 플라스틱시 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예로서 키패드부는 연성패드 및 버튼에 대응하여 연성패드 상에 형성되는 버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가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말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키패드부(130), 평기판(141) 및 스위치(143)와 평기판(141)보 다 높은 위치에서 회로면을 제공하는 절곡기판(142)을 구비하는 기판부(140), 키패드부(130)와 기판부(140)의 사이에 개재되는 도광판(150), 도광판(150)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회로면에 장착되어 도광판(150)의 측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6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서는 최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로 전개 및 절첩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부 및 폴더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과 액정표시장치가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상기와 같은 바형 단말기의 입력버튼 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을 구비한 플립형 개인휴대단말기, 본체부에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단말기 본체(100)로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본체부(110)와 이 본체부(110)에 절첩되며 본체부(1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1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부(120)의 하단부에는 본체힌지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120)의 내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1) 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111) 및 리어케이스(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고, 프론트케이스(111)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112)에는 배터리(11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111)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130)가 설치되는 바, 상기 키패드부(130)는 프론트케이스(111)에 형성되는 키패드 홀(1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부(130)는 버튼이 인쇄된 필름(131), 상기 필름(131)의 저면에 부착되며 버튼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슬릿(132a)을 통해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한 금속시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시트(132)는 구리나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시트(132)는 플라스틱보다도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용이하게 휘어지지 않으면서 딱딱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튼이 형성된 버튼부의 형상 및 구조는 금속시트(132)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슬릿(132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부(130)의 하측에 해당되는 본체부의 내부에는 키패드부(13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스위치(143)를 구비한 기판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판부(140)는 키패드부(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평기판(141), 상기 키패드부(130)의 각 버튼에 대응하여 평기판(141) 상에 구비되어 키패드부(13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는 복수개의 스위치(143), 평기판(141)의 주연부로부터 절곡되며 일체로 연결되는 절곡기판(1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곡기판(142)은 평기판(141)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된다. 아울러 이러한 기판부(140)는 연성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기판(142)의 회로면은 평기판(141)에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절곡기판(142)이 평기판(141)의 일측 주연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며 일체로 이어지는 수직절곡부(142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회로면이 수직절곡부(142a)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수직절곡부(142a)로 구성된 절곡기판(142)에 의해 평기판(141)에 수직한 회로면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개의 절곡부로 구성된 절곡기판에 의해 평기판(141)에 수직한 회로면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은 키패드부(130)와 기판부(140)의 사이에 개재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경로가 키패드부(130)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도광판(150)은 빛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키패드부(130)를 누르는 조작력이 스위치(143)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발광소자(160)는 도광판(15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수직절곡부(142a)의 회로면에 장착되어 도광판(150)의 측면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발광소자(160)로서는 정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램프와 같은 통상의 광원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정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라 함은 발광소자(160)의 설치면 즉, 수직절곡부(142a)의 회로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150)의 하부에는 러버시트(17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러버시트(170)의 배면에는 기판부(140)의 각 스위치(143)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누름돌기(17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누름돌기(171)는 키패드부(130)를 누르는 힘이 각 스위치(143)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누름돌기(171)를 갖는 러버시트(170)가 도광판(150)의 하부에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누름돌기(171)를 갖는 러버시트(170)가 도광판(15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키패드부(13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로서, 키패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키패드부(130)가 필름(131) 및 금속시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다른 형태의 키패드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키패드부(130)의 변형예로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부(130)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연성패드(134) 및 키패드부(130)의 버튼에 대응하여 연성패드(134) 상에 돌출 형성되는 버튼돌기(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튼돌기(135)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연성패드(134)에 부착될 수도 있다.
키패드부(130)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부(130)는 버튼이 인쇄된 플라스틱시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시트(133)는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형상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키패드부(130)의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160)가 도광판(150)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여 도광판(150)의 측면으로 빛이 직접 조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빛의 손실을 저감시키고 키패드부(130)의 백라이팅이 최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즉, 이와 같은 구조는 발광소자(160)의 빛이 도광판(150)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도광판(150)의 측면으로 직접 조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와 같은 별도 광 전달매체의 설치를 배제시킬 수 있게 하고, 빛의 손실 없이 저소비 전력으로 고휘도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발광소자(160)는 키패드부(130)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키패드부(130)와 기판부(140)의 사이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개인휴대단말기의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 게 함은 물론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구조는 키패드부(130)의 누름 조작시 발광소자(160)에 의한 간섭에 의한 키패드부(130)의 클릭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절곡기판(142)의 회로면이 평기판(141)에 대해 수직하게 제공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7과 같이 절곡기판(142)의 회로면이 평기판(141)에 대해 평행하게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기판(142)의 회로면은 평기판(141)에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절곡기판(142)이 평기판(141)의 일측 주연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며 일체로 이어지는 수직절곡부(142a) 및 평기판(141)에 평행하도록 수직절곡부(142a)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수평절곡부(14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회로면이 수평절곡부(142b)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수직절곡부(142a) 및 수평절곡부(142b)로 구성된 절곡기판(142)에 의해 평기판(141)에 평행한 회로면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수직절곡부 및 수평절곡부로 구성된 절곡기판에 의해 평기판(141)에 평행한 회로면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곡기판(142)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치환경에 따라 절곡기판(142)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발광소자(160)는 도광판(150)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수평절곡부(142b)의 회로면에 장착되어 도광판(150)의 측면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발광소자(160)로서는 측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램프와 같은 통상의 광원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정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라 함은 발광소자(160)의 설치면 즉, 수평절곡부(142b)의 회로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지칭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절곡기판(142)의 하부에는 밀착되게 지지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80)는 절곡기판(142)이 밀착 지지되며 절곡기판(142)의 절곡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80)는 단말기 본체(100) 상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단말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키패드부(130)의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160)는 도광판(150)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수평절곡부(142b)에 설치되어 도광판(150)의 측면으로 빛이 직접 조사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발광소자(160)의 빛이 도광판(150)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도광판(150)의 측면으로 직접 조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와 같은 별도 광 전달매체의 설치를 배제시킬 수 있게 하고, 빛의 손실 없이 저소비 전력으로 고휘도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에 의하면 빛의 손실 없이 저소비 전력으로 최적의 백라이팅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발광소자(160)로서 측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경우에도 최적의 백라이팅이 구현될 수 있게 하고, 발광소자(160)로서 측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가가 저렴한 정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경우에도 최적의 백라이팅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에 의하면 발광소자가 도광판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여 도광판의 측면으로 빛이 직접 조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빛의 손실을 저감시키고 키패드부의 백라이팅이 최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동일한 광원 조건에서 저소비 전력으로 고휘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공간효율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소자로서 측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되거나 정면 발광형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경우에도 최적의 백라이팅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복수개의 버튼이 형성된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의 하부에 제공되는 평기판, 상기 각 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평기판 상에 형성되는 스위치, 상기 평기판의 주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평기판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로면을 제공하는 절곡기판을 구비하는 기판부;
    상기 키패드부와 상기 기판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로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면은 상기 평기판에 수직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판은 상기 평기판의 주연부로부터 이어지는 수직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면은 상기 수직절곡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면은 상기 평기판에 평행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판은 상기 평기판의 주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수직절곡부 및 수평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면은 상기 수평절곡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판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절곡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는 상기 버튼이 인쇄된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버튼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슬릿을 통해 두께 방향을 따라 누름조작 가능한 금속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는 상기 버튼이 인쇄된 플라스틱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는 연성패드 및 상기 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연성패드 상에 형성되는 버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에 대응하여 배면에 누름돌기를 갖는 러버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KR1020060062780A 2006-07-05 2006-07-05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KR10078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780A KR100780900B1 (ko) 2006-07-05 2006-07-05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780A KR100780900B1 (ko) 2006-07-05 2006-07-05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900B1 true KR100780900B1 (ko) 2008-01-02

Family

ID=3921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780A KR100780900B1 (ko) 2006-07-05 2006-07-05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937A (ja) * 2000-05-16 2001-11-22 Hitachi Ltd 電子機器
JP2003162241A (ja) * 2001-11-29 2003-06-06 Casio Comput Co Ltd 紫外線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651417B1 (ko) 2005-07-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KR20070009495A (ko) * 2006-11-09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937A (ja) * 2000-05-16 2001-11-22 Hitachi Ltd 電子機器
JP2003162241A (ja) * 2001-11-29 2003-06-06 Casio Comput Co Ltd 紫外線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651417B1 (ko) 2005-07-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KR20070009495A (ko) * 2006-11-09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45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EP2541880B1 (en) Mobile terminal
US9029723B2 (en) Keypad apparatus and methods
US7050764B2 (en) Illuminated interchangeable bezel assembly for a cellular telephone
EP1761002B1 (en) Touch ke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US7547857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EP1887597B1 (en) Mobile terminal
JP5100214B2 (ja) 携帯端末機
EP1294161B1 (en) Electronic device
US6744890B1 (en) Keypa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pad module
US20100093409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26741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장치
US8395554B2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780900B1 (ko) 키패드의 백라이팅 구조
KR200415225Y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792585B1 (ko) 키 입력장치
CA2759475C (en) Keypad apparatus and methods
KR100840017B1 (ko) 키패드
KR100631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구조
US20070074965A1 (en) Electronic device
KR100837266B1 (ko) 키 패드
KR100843263B1 (ko) 키 입력장치
KR100870505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0852360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752772B1 (ko)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