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533A -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533A
KR20080022533A KR1020070090529A KR20070090529A KR20080022533A KR 20080022533 A KR20080022533 A KR 20080022533A KR 1020070090529 A KR1020070090529 A KR 1020070090529A KR 20070090529 A KR20070090529 A KR 20070090529A KR 20080022533 A KR20080022533 A KR 20080022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ckaging container
container
lid memb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로 야스이케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68Means for reclosing the cover after its first opening
    • B65D77/2096Adhe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66Means on, or attached to, container flange facilitating opening, e.g. non-bonding region, cut-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포장 용기 (1) 는, 내용물이 오목부에 수납되는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용기 본체 (2) 를 구비하고, 이 용기 본체 (2) 는, 그 중심부에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21) 을 막기 위해 뚜껑재 (3) 가 개구부 (21) 의 주연에 배치된 플랜지부 (22) 에 히트 시일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22) 와 뚜껑재 (3) 의 히트 시일은 시일부 (23) 에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 (22) 는, 4 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넓게 형성되고, 시일부 (23) 의 면보다 1 단 낮아져 장출부 (24) 로 되어 있다. 이 장출부 (24) 상에는, 용기 본체 (2) 와 뚜껑재 (3) 가 부분적으로 시일된 개봉 시인부 (4) 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PACKAGING CONTAINER,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 등의 포장 형태의 하나로서 포장 용기를 이용한 밀봉 포장이 있다. 이러한 밀봉 포장은, 당해 식품 등을 용기에 수납 내지 충전한 후,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연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필름 형상의 뚜껑재를 히트 시일하여 밀봉한다. 이러한 포장 용기에서는, 뚜껑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수납된 식품 등을 꺼낸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밀봉 용기에 있어서는, 한번 개봉한 후라도, 내용물의 건조 방지나 누설 방지를 위해 용기를 재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히트 시일층/점착층/기재층의 다층 시트로 형성된 용기와 뚜껑재의 히트 시일에 의해 밀봉되고, 이것을 개봉하면, 점착층이 노출되어 재밀봉 가능한 형태가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0-37598호) 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재밀봉 가능한 편리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내용물이 교환되거나 이물 등이 혼입되어 재밀봉되었다 하더라도 눈치채지 못한 채 상품으로서 진열 되고마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개봉 후에 재밀봉한 상태에서는, 박리된면이 거칠어지거나 계면 내에 기포를 포함하거나 하여, 한번 개봉한 것을 시인할 수 없는 것도 아니지만, 명확한 판단은 곤란하였다.
그래서, 개봉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개봉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착 수지층에 착색제를 함유시킨 형태가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6878 호)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점착층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면, 개봉전과 개봉후에는 색조가 전혀 달라진다는 점에서 개봉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박리 표시를 기재층에 인쇄해, 개봉후에는 이 박리 표시를 노출시키는 기술이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3953호) 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2 의 방법에서는, 어떤 색이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가를 판단하기가 일반 소비자에게는 곤란하고, 또한, 색조를 확인하기 위해 뚜껑재의 히트 시일부는 투명하게 해 두지 않으면 안되므로, 디자인이 제한된다. 게다가 점착 수지층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면, 별도로 점착력을 해치지 않는 특수한 착색제 마스터 배치를 필요로 하거나, 직접 압출기에 투입한다고 해도 압출기 내가 오염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문헌 3 에서는, 인쇄 작업이 발생하여, 제조 공정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개봉 시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를 용이하고 또한 염가로 할 수 있는, 재밀봉 가능한 포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음과 함께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를 시일부에 의해 시일된 뚜껑재를 구비하고, 개봉된 상기 뚜껑재를 상기 용기 본체에 재밀봉하기 위한 점착층이
상기 플랜지부 또는 상기 뚜껑재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된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시일부의 개봉 개시 위치로부터 외측을 향한 영역의 부분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재가 부분적으로 시일된 중앙부와, 이 중앙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절결부를 갖는 개봉 시인부가 형성되고, 이 개봉 시인부는, 개봉시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재의 적어도 일방이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형성된 시일부의 개봉 개시 위치로부터 외측을 향한 영역의 부분에, 개봉 시인부가 형성된다. 개봉 시인부는, 용기 본체와 뚜껑재가 부분적으로 시일된 중앙부와, 중앙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절결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포장 용기를 개봉할 경우에는, 절결부가 절단 개시 위치가 되고, 뚜껑재나 용기 본체가 절단되어 변형된다. 변형이란, 예를 들어, 뚜껑재나 용기 본체가 파단되거나 구멍이 뚫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한번 개봉하면 뚜껑재나 용기 본체가 변형되어 구멍 등이 형성되므로, 포장 용기가 재밀봉된 경우에도 개봉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소비자도 구멍이 뚫린 상태라는 것이 이미 개봉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기 쉽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절결부는, 뚜껑재 필름이 절단된 절단부와 뚜껑재 필름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재 필름이 절단된 절단부와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를 포함하므로, 포장 용기를 개봉할 때에는 접속부만을 절단하면 된다. 따라서, 포장 용기를 개봉하는 힘으로 개봉 시인부 주변을 파단할 수 있어 개봉 용이성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절단부는 상기 중앙부의 외주를 따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단부의 단부와 단부 사이에 있고, 상기 중앙부 외주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부의 외주를 따라 절단부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절단부의 단부와 단부 사이가 접속부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가 원형인 경우에는, 평면이 대략 반원호형상인 절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절단부의 단부와 단부 사이가 접속부가 되어, 중앙부 외주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포장 용기를 개봉할 때에는, 대향하는 접속부만을 절단하면 되므로, 포장 용기를 개봉하는 힘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상기 개봉 시인부는, 상기 대향하는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포장 용기를 개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 시인부는 대향하는 접속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포장 용기를 개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포장 용기를 개봉했을 때, 접속부에 힘이 가해지기 쉬워, 접속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절결부는, 뚜껑재 필름이 박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결부는, 용기 본체와 뚜껑재가 시일된 중앙부의 외주를 따라 박육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절결부가 절단되기 쉽다. 따라서, 박육된 절결부로부터 절단이 개시되어 개봉 시인부 주변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양호한 개봉 용이성성을 위해서는 중앙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박육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뚜껑재가 상기 플랜지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뚜껑재의 위에서부터 선단이 뾰족한 히트 시일 날을 가압함으로써 개봉 시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 시인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뚜껑재와 용기 본체를 겹쳐서 뚜껑재의 위에서부터 히트 시일 날을 가압하기만 하면 되므로, 특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제조 장치는, 상기 뚜껑재가 상기 플랜지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뚜껑재의 위에서부터 가압함으로써 개봉 시인부를 형성하는 히트 시일 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 시인부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 시일 날을 갖춘 제조 장치를 사용하므로, 용이하게 개봉 시인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시일 날은, 그 가압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외주부는 전체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뾰족한 형상이거나 혹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체적으로 뾰족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트 시일 날의 외주부가 부분적으로 뾰족한 형상이므로, 이 히트 시일 날로 시일하면, 외주부의 뾰족한 부분에 닿는 뚜껑재 필름에 압력이 집중되어, 뚜껑재 필름이 부분적으로 파단되어, 절결부가 형성된다. 한편, 오목부에 의해 뚜껑재와 용기 본체가 시일되어, 개봉 시인부가 형성된다.
또한, 히트 시일 날의 외주부의 형상이 전체 둘레에 걸쳐 일체적으로 뾰족한 경우에는, 외주부에 닿는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어, 개봉 시인부의 외주를 따라 뚜껑재 필름이 얇아진 절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히트 시일 날을 가압하여 맞닿게 하는 것만으로 시일 부분과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어, 하나의 공정으로 개봉 시인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개봉 시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를 용이하고 또한 염가로 할 수 있는, 재밀봉 가능한 포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재는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하게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a 및 도 1b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a 는 밀폐된 상태의 포장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 는 일부가 개봉된 상태의 포장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 에 있어서, 포장 용기 (1) 는, 내용물이 오목부에 수납되는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용기 본체 (2) 를 구비하고, 이 용기 본체 (2) 에는, 그 중심부에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21) 를 막기 위한 뚜껑재 (3) 가, 개구부 (21) 의 주연에 배치된 플랜지부 (22) 에 히트 시일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22) 와 뚜껑재 (3) 의 히트 시일은 시일부 (23) 에 의해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 (2) 의 플랜지 (22) 는, 4 개의 모서리 중, 개봉 개시 위치 (S) 를 갖는 하나의 모서리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넓게 형성되고, 시일부 (23) 의 면보다 1 단 낮아져 장출(張出)부 (24) 로 되어 있다.
개봉 개시 위치 (S) 로부터 장출부 (24) 의 외주까지의 영역에는, 용기 본체 (2) 와 뚜껑재 (3) 가 부분적으로 시일된 개봉 시인부 (4) 가 형성된다.
도 2a 는, 본 실시형태의 개봉 시인부 (4) 주변의 확대도, 도 2b 는 상기 도 2a 의 B-B 단면도이다.
개봉 시인부 (4) 의 형상은 평면이 원형이고, 장출부 (24) 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개봉 시인부 (4) 의 중앙에 있는 중앙부 (41) 는 용기 본체 (2) 와 뚜껑재 (3) 가 시일되어 있고, 또한, 중앙부 (41) 의 외주를 따라 절결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 (42) 는, 뚜껑재 필름이 절단된 절단부 (421) 와, 뚜껑재 필름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 (422) 로 구성되고, 절단부 (421) 는 평면 대략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속부 (422) 는, 절단부 (421) 의 단부와 단부 사이의 부분으로서, 중앙부 (41) 외주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개봉 시인부 (4) 는, 대향하는 접속부 (422) 를 연결하는 직선이, 포장 용기 (1) 를 개봉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용기 본체 (2)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 본체 (2) 는, 히트 시일층 (251), 점착층 (252) 및 기재층 (253) 을 적층한 다층 시트 (25) 로 성형된다.
히트 시일층 (251) 에는, PP (폴리프로필렌), PE (폴리에틸렌), PET-G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PB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 (252) 에 사용되는 점착재는, 수소 첨가물도 포함하는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 및 가소제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수소 첨가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블록과 비닐-폴리이소프렌 블록이 결합한 블록 공중합체, 폴리 스티렌 블록과 에틸렌-프로필렌 블록이 결합한 블록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블록과 에틸렌-부타디엔 블록이 결합한 블록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블록과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이 결합한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수첨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수 첨가 테르펜계 수지, C5·C6 계 지방족 석유 수지, 지환족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또는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석유계 탄화수소), 합성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 (252) 은,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및 가소제 등을 혼련 용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소제는 1 축 압출기에서 도중에 주입하여 제조한다.
가소제를 1 축 압출기에서 도중에 주입하면, 압출기의 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가소제의 주입량을 바꾸는 것만으로 접착 강도의 조절이 용이해 진다.
점착 수지층은, 그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외에, 산화 방지제, 탤크, 탄산칼슘 등의 무기질 필러, 발포제, 산화티탄 등의 착색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 (253) 은, 용기 본체 (2) 의 외부에 나타나는 층으로서, 구성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재료, 및 이들의 블랜드 재료의 단층 시트 또는 적층 시트 나, 또한,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하기 위해, 예를 들어 EVOH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Ny (나일론), PET 등의 수지 재료나 알루미늄 증착 등으로 형성된 가스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 (253) 이 시트를 열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우에는, 그 구성을 다음의 것으로 할 수 있다. PP, P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단층 시트 외에, 이들을 조합한 적층 시트로서 PP/EVOH/PP, PET/PE, PET/EVOH/PE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수지를, 함께 압출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 압출 라미네이션, 압출 코팅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히트 시일층 (251)/점착층 (252)/기재층 (253) 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 (25) 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두께, 수지 선정이나 배합 비율 등에 의해 각 층의 접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뚜껑재 (3) 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예를 들어, PET/Ny/ C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PET/AL (알루미늄박)/CPP, PET/Ny/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투명 증착 PET/L-LDPE, Ny/EVOH/L-LDPE 등의 층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적층 시트의 제조는 공압출하여, 열 라미네이션, 드라이 라미네이션등으로 실시할 수 있고, 나아가, 이들을 단계적으로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포장 용기 (1) 를 개봉하는 방법을 도 2a, 도 2b 및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포장 용기 (1) 를 개봉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포장 용기 (1) 는, 장출부 (24) 의 뚜껑재 (3) 를 파지하여, 그대로 용기 본 체 (2) 와 뚜껑재 (3) 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봉할 수 있다.
포장 용기 (1) 를 개봉할 때, 장출부 (24) 에 형성된 개봉 시인부 (4) 의 중앙부 (41) 는 용기 본체 (2) 와 시일되어 있으므로, 박리되지 않는다. 한편, 중앙부 (41) 의 외주를 따라 뚜껑재 필름이 절단된 절단부 (421) 와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 (422) 로 이루어지는 절결부 (42)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봉할 경우에는, 접속부 (422) 만을 절단하면 된다.
따라서, 뚜껑재 (3) 를 개봉하는 힘으로, 개봉 시인부 (4) 의 외주를 따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개봉 시인부 (4) 의 중앙부 (41) 는 그대로 용기 본체 측에 남고, 뚜껑재 (3) 에는 중앙부 (41) 와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변형되거나 한다.
그리고, 또한 뚜껑재 (3) 를 개봉하면, 히트 시일의 강도, 각 층간의 접착 강도의 상대적 관계에 의해, 강도가 약한 시일부 (23) 의 단부 부근에서 히트 시일층 (251) 이 파단된다. 그리고, 히트 시일층 (251) 과 점착층 (252) 사이에서 층간 박리되거나, 점착층 (252) 도 파단되어 점착층 (252) 과 기재층 (253) 이 층간 박리, 혹은, 점착층 (252) 안의 응집 박리에 의해 박리된다.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박리하여도 점착층 (252) 이 노출되므로, 노출된 점착층 (252) 을 압착함으로써, 포장 용기 (1) 를 재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밀봉된 포장 용기 (1) 의 장출부 (24) 에는, 변형되어 구멍이 뚫린 상태가 된 개봉 시인부 (4) 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 (1) 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포장 용기 (1) 의 제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 에 있어서, 포장 용기 (1) 의 제조 장치 (5) 는, 플랜지부 (22) 의 뚜껑재 (3) 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금형 (51) 과, 이 금형 (51) 의 플랜지부 (22) 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된 플랜지 누름부 (52) 와, 용기 본체 (2) 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개구부 (21) 를 형성하는 플러그 (53) 를 구비하고 있다.
금형 (51) 은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1) 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 (51A)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51A) 의 상단연에는 플랜지부 (22) 를 형성하기 위한 평탄부 (51B) 가 형성되고, 평탄부 (51B) 의 면보다 낮은 위치에 평탄부 (51C) 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2) 를 구성하는 다층 시트 (25) 를 금형 (51) 과 플랜지 누름부 (52) 및 플러그 (53) 사이로 보내고, 이 상태로 플랜지 누름부 (52) 및 플러그 (53) 를 금형 (51) 측에 이동시킴으로써,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 (51A) 와 플랜지부 (22) 가 다층 시트 (25) 에 한번에 성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어시스트 진공 성형, 플러그 어시스트 압공 성형 등의 열성형을 실시함으로써, 평탄부 (51B) 의 형상에 따른 플랜지부 (22) 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53) 나 플랜지 누름부 (52) 를 생략하고, 진공 성형, 압공 성형 등으로 용기 본체 (2) 를 성형해도 되며, 사출 성형을 실시해도 된다.
사출 성형의 경우, 기재층 (253) 으로서 PP, PE, PET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을 사출 성형한 후, 추가로 점착층 (252) 및 히트 시일층 (251) 을 사출 성형하여, 용기 본체 (2) 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 (P) 이 수납된 용기 본체 (2) 의 플랜지부 (22) 의 평면부에 뚜껑재 (3) 를 탑재하고, 이들을 히트 시일한다.
히트 시일의 강도는, 다층 시트의 히트 시일층 (251) 과 점착층 (252) 의 접착 강도보다 강하거나, 또는, 기재층 (253) 과 점착층 (252) 의 접착 강도보다 강하다. 히트 시일의 접착 강도는, 온도, 압력, 시간 등의 히트 시일 조건, 각 층의 두께, 수지 선정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히트 시일은 시일 바 (8) 가 뚜껑재 (3) 위에서부터 플랜지부 (22) 에 대고 누름으로써 행해지고, 히트 시일된 용기 본체 (2) 와 뚜껑재 (3) 사이에는 고리형의 시일부 (23) 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또는 다음의 공정에서, 히트 시일 날 (6) 을 이용하여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히트 시일 날 (6) 의 구성을 도 6 에 나타낸다. 도 6 에는, 히트 시일 날 (6) 의 정면도와 저면도가 나타나 있다. 히트 시일 날 (6) 의 가압면 (6A) 은, 중앙에 오목부 (61) 가 형성되고, 오목부 (61) 의 측면부 (61A) 와 일체화된 외주부 (62) 가 오목부 (61) 의 평면부 (61B)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주부 (62) 상의 대향하는 2 군데에 절결 (63) 을 포함하고 있다. 절결 (63) 의 폭은, 개봉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임의의 길이이면 되는데 예를 들어 각각 1 mm 로 할 수 있다.
외주부 (62) 는,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뾰족한 정도는 임의로 결정해도 되는데 예를 들어, 히트 시일 날 (6) 의 외벽에 대해서 측면부 (61A) 의 경사각을 60°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주부 (62) 의, 평면부 (61B) 로부터의 높이는 150㎛ 로 할 수 있다. 히트 시일 날 (6) 을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봉 시인부 (4) 의 중앙부 (41) 를 확실하게 시일할 수 있음과 함께, 개봉 시인부 (4) 의 외주에는, 부분적으로 파단된 절결부 (42)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히트 시일 날 (6) 에 의해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할 때에는, 히트 시일 날 (6) 의 외주부 (62) 상의 대향하는 절결 (63) 을 연결하는 선이, 포장 용기 (1) 의 개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히트 시일 날 (6) 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개봉 시인부 (4) 는, 보다 용이하게 파단된다.
또한, 이 히트 시일 날 (6) 을 대고 누르는 하나의 공정에서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포장 용기 (1) 의 제조 공정에 간단하게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 (2) 와 뚜껑재 (3) 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부 (23) 를 형성한 시일 바 (8) 에 이 히트 시일 날 (6) 을 조합하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시일부 (23) 와 개봉 시인부 (4) 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개봉 시인부 (4) 는, 용기 본체 (2) 와 뚜껑재 (3) 가 부분적으로 시일되어 있으므로, 포장 용기 (1) 를 개봉할 때, 개봉 시인부 (4) 의 뚜껑재 필름은 박리되지 않는다. 또한, 개봉 시인부 (4) 의 외주를 따라 절결부 (42) 가 형성 되어 있으므로, 절결부 (42) 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개봉 시인부 (4) 의 뚜껑재 필름은 용기 본체 (2) 에 남고, 뚜껑재 (3) 에는 개봉 시인부 (4) 의 뚜껑재 필름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변형되거나 한다.
따라서, 포장 용기 (1) 를 개봉한 후에 재밀봉하였을 때, 뚜껑재 (3) 에 구멍이 뚫린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한번 개봉되었던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 소비자에게 있어서 구멍이 뚫린 상태라는 것은 이미 개봉된 상태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개봉된 상태인 것을 알리기 위한 유효한 수단이 된다.
(2) 또한, 절결부 (42) 는, 개봉 시인부 (4) 의 외주를 따라 뚜껑재 필름이 절단된 절단부 (421) 와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 (422) 로 형성된다. 절단부 (421) 는 평면이 대략 반원형의 형상이고, 접속부 (422) 는, 절단부 (421) 의 단부와 단부 사이의 부분에서, 개봉 시인부 (4) 외주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봉시에는, 대향하는 접속부 (422) 만을 절단하면 된다. 또한, 개봉 시인부의 방향은, 대향하는 접속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포장 용기 (l) 를 개봉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개봉할 때에는 뚜껑재 (3) 를 파지하여 용기 본체 (2) 와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접속부 (422) 에 힘이 가해지기 쉽다.
따라서, 포장 용기 (1) 를 개봉하는 힘으로, 절결부 (42) 를 용이하게 절단 할 수 있다.
(3) 장출부 (24) 는, 플랜지부 (22) 의 시일부 (23) 의 면보다 낮게 형성되 어 있으므로, 포장 용기 (1) 를 한번 개봉하면, 개봉 시인부 (4) 주변의 뚜껑재 (3) 가 용기 본체 (2) 와 떨어져, 개봉 시인부 (4) 의 구멍을 확인하기 쉽다.
(4)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 시일 날 (6) 의 형상은, 중앙에 오목부 (61) 가 있고, 오목부 (61) 를 둘러싸도록 외주부 (62) 가 형성된다. 외주부 (62) 는 외주를 따라 부분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뾰족한 부분이 닿는 뚜껑재 필름에 큰 압력이 집중되어, 개봉 시인부 (4) 의 외주를 따라 뚜껑재 필름을 부분적으로 파단할 수 있다.
또한, 이 히트 시일 날 (6) 은, 오목부 (61) 의 평면부 (61B) 에 의해 중앙부 (41) 를 확실하게 시일함과 함께 외주부 (62) 에 의해 절결부 (42) 의 절단부 (421) 를 형성하고, 절결 (63) 에 의해 절결부 (42) 의 접속부 (422) 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공정으로 간단하게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포장 용기 (1) 를 제조하는 공정 중에 간단하게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개봉 시인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재밀봉 가능한 포장 용기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개봉 시인부 (4) 의 절결부 (42) 의 형상이 상이한 것 이외에,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7a 는 본 실시형태의 개봉 시인부 (4) 주변의 확대도, 도 7b 는 상기 도 7a 의 B-B 단면도이다.
개봉 시인부 (4) 의 중앙부 (41) 의 외주를 따라 절결부 (42) 가 형성되고, 절결부 (42) 의 뚜껑재 필름은, 중앙부 (41)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박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개봉할 때에는, 박육 상태가 된 절결부 (42) 가 파단되기 쉽다.
이와 같은 형상의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히트 시일 날 (7) 을 이용한다. 도 8 은, 히트 시일 날 (7) 의 정면도와 저면도이다. 히트 시일 날 (7) 은, 히트 시일 날 (6) 의 외주부 (62) 의 형상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히트 시일 날 (6) 과 동일한 구성이다.
히트 시일 날 (7) 의 가압면 (7A) 은, 중앙에 오목부 (71) 가 형성되고, 오목부 (71) 의 측면부 (71A) 와 일체화된 외주부 (72) 가, 오목부 (71) 의 평면부 (71B)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주부 (72) 는, 전체 둘레에 걸쳐 일체적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되고 있고, 이 히트 시일 날 (7) 로 시일하면, 외주부 (72) 가 닿는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어, 뚜껑재 필름이 얇아져, 박육 형상이 된 절결부 (42) 가 형성된다. 한편, 평면부 (71B) 가 닿는 부분은 확실히 시일된다.
이러한 구성의 히트 시일 날 (7) 을 이용하면, 대고 누르는 것만의 1 공정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 용기 (1) 의 제조 공정에 간단하게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의 (1), (3) 및 이하의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5)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하기 위한 히트 시일 날 (7) 의 형상은, 중앙에 오목부 (71) 가 있고, 오목부 (71) 를 둘러싸도록 외주부 (72) 가 형성된다. 외주부 (72) 는 전체 둘레에 걸쳐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뾰족한 부분이 닿는 뚜껑재 필름에 큰 압력이 집중되어, 개봉 시인부 (4) 의 전체 둘레에 걸쳐 뚜껑재 필름을 박육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 시일 날 (7) 에 의해, 오목부 (71) 의 평면부 (71B) 에 의해서 중앙부 (41) 를 확실하게 시일함과 함께, 외주부 (72) 에 의해 절결부 (42) 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 공정으로 간단하게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포장 용기 (1) 를 제조하는 공정 중에 간단하게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개봉 시인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재밀봉 가능한 포장 용기를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포장 용기 (1) 의 형상을 평면 직사각 형상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이 원형상이나 그 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개봉 시인부 (4) 의 형상, 수 및 위치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변형예를 도 9a 내지 도 9c 에 나타낸다. 도 9a 에 나타내는 삼각형 이외에, 타원형이나 마름모꼴 등, 개봉에 있어서 파지부가 파단되지 않는 임의의 형상이면 된다.
또한, 도 9b 와 같이 개봉 시인부 (4) 를 2 개 설치해도 된다. 개봉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개봉 시인부 (4) 의 위치는, 장출부 (24) 의 외주로부터 시일부 (23) 상에 이르는 임의의 위치라면 어디에 형성해도 되고, 도 9b 나 도 9c 의 예와 같이, 시일부 (23) 상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봉 시인부 (4) 가 형성된 장출부 (24) 는, 플랜지부 (22) 의 시일부 (23) 의 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었으나, 장출부 (24) 는, 플랜지부 (22) 의 시일부 (23) 의 면과 동일한 높이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개봉 시인부 (4) 의 절결부 (42) 는, 절단부 (421) 가 평면이 대략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개봉성이 손상되지 않으면, 절단부 (421) 의 원호의 길이를 짧게 하여 파선형상으로 복수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개봉 시인부 (4) 를 배치하는 방향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개봉 시인부 (4) 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박육 형상의 절결부 (42) 가 형성되었지만, 박육 형상의 부분이, 개봉 시인부 (4) 의 외주를 따라 파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시일부 (23) 와 개봉 시인부 (4) 를 동시에 시일하여 형성하였으나, 시일부 (23) 를 시일하는 시일 공정 후, 별도의 공정에서 개봉 시인부 (4) 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시일 공정 후, 이 히트 시일 날 (6) 이 장출부 (24) 부근의 임의의 위치로 내려오는 장치를 설치한다. 이 장치는, 시일 공정에 의해 시일부 (23) 를 형성한 시일 바 (8) 와 동일한 것이어도 되지만, 개봉 시인부 (4) 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보다 소형인 것이나 초음파 시일 장치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재밀봉 가능한 포장 용기로서, 용기 본체 (2) 측에 히트 시일층 (251) 과 점착층 (252) 을 형성하였으나, 이들은 뚜껑재 (3) 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뚜껑재 (3) 의 층 구성은, 예를 들어, 히트 시일층/점착층/PET, 히트 시일층/점착층/Ny/PET, 히트 시일층/점착층/CPP/Ny/PET 및 히트 시일층/점착층/CPP/Ny/투명 증착 PET 등과 같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뚜껑재 (3) 를 플랜지부 (22) 에 시일하는 수단으로서 히트 시일을 이용하였으나, 초음파나 접착제 등을 이용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한층 더 자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기재 내용에 어떠한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의 제조]
먼저, 용기 본체에 사용하는 시트를 제조했다. 시트는, 히트 시일층 (A)/점착층 (B)/폴리올레핀 층 (C) 로 이루어지는 3 층의 다층 필름이다.
히트 시일층 (A) 에는, 주식회사 프라임폴리머 제조 프라임 폴리프로 Y-2045HP 를 사용하고, 폴리올레핀층 (C) 에는, 주식회사 프라임폴리머 제조 프라임 폴리프로 F-704NP 를 사용하였다. 또한, 점착층 (B) 에 사용하는 점착재는,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공중합체 수소 첨가물로서 일본 제온 제조 퀸탁 SL-125 (비중 0.89, 230℃ 에서 MFR=5g/10min, 2.16kg) 30wt% 와, 점착 부여 수지로서 이데미츠흥산 제조 C5-방향족계 공중합 수소 첨가 수지 아이마브 P- 125 (연화점 125℃, 밀도 1.03) 40wt% 를 드라이 블랜드하여 호퍼로부터 투입해 용융 혼련하면서, 가소제로서 이데미츠흥산 제조 프로세스오일 다이아나 프로세스오일 PW-90 (밀도 0.8722) 에 산화 방지제로서, 치바 스페 셜리티 케미컬즈 제조 이르가녹스 1010 을 3 wt% 용해시킨 것을 점착재 총량에 대해 30 wt%가 되도록 압출기에서 도중에 주입하고 압출하여 얻었다.
히트 시일층 (A) 및 폴리올레핀층 (C) 의 재료를 30㎜φ 의 싱글 스크루가 장비된 각 압출기로 압출하고, 점착층 (B) 의 재료를 40㎜φ 의 싱글 스크루가 장비된 압출기로 압출하여, 피드 블록으로 적층한 후, 500㎜ 폭의 T 다이 장치로 캐스트 성형하여 폭 400㎜ 의 재밀봉기능을 갖는 3 층의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점착층 (B) 의 압출기는, 스크루에 혼련을 위한 덜마지가 부착되어 있어, 배럴의 중간부로부터 오일을 도중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히트 시일층 (A) 을 5㎛, 점착층 (B) 을 15㎛, 폴리올레핀층 (C) 을 30㎛로 하였다.
다음으로, 제조한 3 층의 다층 필름의 폴리올레핀층 (C) 측에, 기재층 (D) 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적층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시트 T 다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터치롤로 열 라미네이션 성형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시트의 구성은, 히트 시일층 (A) (5㎛)/점착층 (B) (15㎛)/폴리올레핀층 (C) (30㎛)/기재층 (D) (450㎛m) 이 되었다.
얻어진 시트는, 히트 시일층 (A) 이 내측면이 되도록, 일반적인 플러그 어시스트 진공 압공 성형을 실시하여, 외부 치수가 150mm × 120mm, 깊이 24mm 인 직사 각형 용기를 성형하였다. 또한, 히트 시일 가능한 플랜지부의 폭은, 4 변 모두 20mm 로 하였다.
[뚜껑재의 시일]
뚜껑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12㎛)/나일론 (Ny, 15㎛)/폴리프로필렌 (PP, 50㎛) 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PP 면을 대고 온도 190℃, 면압 2MPa, 시간 1.5 초의 조건으로, PET 면으로부터 히트 시일 날을 대고 눌러 히트 시일을 행하여 접착시켰다.
[개봉 시인부의 시일]
뚜껑재를 용기 본체에 시일한 후, 개봉 시인부를 형성하였다.
개봉 개시부 상에, 히트 시일 날을 대고 눌러 히트 시일하였다.
여기에서 사용한 히트 시일 날은, 단면 형상이 5mmΦ 인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히트 시일 날 (도 8) 이다. 온도 190℃, 면압 2MPa, 시간 1 초의 조건으로 뚜껑재의 PET 면으로부터 히트 시일 날을 대고 눌렀다.
[개봉 시인성의 평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 용기를 개봉한 결과, 5mmΦ로 파단된 개봉 시인부의 뚜껑재 필름이 용기 본체에 남고, 뚜껑재에는 구멍이 형성되었다. 또한, 포장 용기를 재밀봉한 결과, 용기는 밀봉되었지만, 개봉 시인부는 용기에 접착되는 일 없이, 구멍이 뚫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밀봉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는 상기 도 1 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b 는 상기 도 2a 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개봉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제조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제조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히트 시일 날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b 는 상기 도 7a 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히트 시일 날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9a 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용기의 개봉 시인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도 9b 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용기의 개봉 시인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c 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용기의 개봉 시인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포장 용기
2: 용기 본체
3: 뚜껑재
4: 개봉 시인부
6: 히트 시일 날
25: 다층 시트
42: 절결부
251: 히트 시일층
252: 점착층
253: 기재층
421: 절단부
422: 접속부

Claims (8)

  1. 개구부의 원주 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음과 함께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가 시일부에 의해 시일된 뚜껑재를 구비하고, 개봉된 상기 뚜껑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재밀봉되기 위한 점착층이, 상기 플랜지부 또는 상기 뚜껑재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시일부의 개봉 개시 위치로부터 외측을 향한 영역의 부분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재가 부분적으로 시일된 중앙부와, 이 중앙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절결부를 포함하는 개봉 시인부가 형성되고,
    이 개봉 시인부는, 개봉시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재의 적어도 일방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뚜껑재 필름이 절단된 절단부와, 뚜껑재 필름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중앙부의 외주를 따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단부의 단부와 단부 사이에 있고, 상기 중앙부 외주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시인부는, 상기 대향하는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포장 용기를 개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뚜껑재 필름이 박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6. 제 1 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뚜껑재가 상기 플랜지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뚜껑재의 위로부터 선단이 뾰족한 히트 시일 날을 가압함으로써 개봉 시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뚜껑재가 상기 플랜지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뚜껑재의 위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개봉 시인부를 형성하는 히트 시일 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의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시일 날은, 그 가압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외주부는 전체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뾰족한 형상이거나, 전체 둘레에 걸쳐 일체적으로 뾰족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의 제조 장치.
KR1020070090529A 2006-09-06 2007-09-06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80022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2035A JP4213174B2 (ja) 2006-09-06 2006-09-06 包装容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JP-P-2006-00242035 2006-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533A true KR20080022533A (ko) 2008-03-11

Family

ID=3919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529A KR20080022533A (ko) 2006-09-06 2007-09-06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13174B2 (ko)
KR (1) KR20080022533A (ko)
CN (1) CN101139022A (ko)
TW (1) TW2008231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180A (ko)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휴비스 신율이 우수한 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6982B2 (ja) * 2010-04-08 2014-04-0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容器
JP5562270B2 (ja) * 2011-02-22 2014-07-30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JP6143583B2 (ja) * 2013-07-01 2017-06-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ルヘッドおよび同シールヘッドを用いて封止された容器
JP6449669B2 (ja) * 2015-02-13 2019-01-09 小林製薬株式会社 空気清浄器
JP6449668B2 (ja) * 2015-02-13 2019-01-09 小林製薬株式会社 空気清浄器
JP2020196518A (ja) * 2019-06-04 2020-12-10 坤隆行實業股▲フン▼有限公司 加熱自動排気機能付き食品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フィルム
JP7346604B2 (ja) * 2020-01-30 2023-09-19 株式会社東芝 セラミックス基板の輸送用の梱包容器
KR102593188B1 (ko) * 2021-05-18 2023-10-23 곽금영 재활용 및 재사용 가능한 일회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180A (ko)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휴비스 신율이 우수한 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9022A (zh) 2008-03-12
TW200823109A (en) 2008-06-01
JP4213174B2 (ja) 2009-01-21
JP2008062962A (ja)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2533A (ko)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90021382A (ko) 적층 테이프, 포장체 및 적층 테이프의 제조 방법
EP3230174B1 (en) Re-sealable flexible package with reinforced perimeter
JP6829500B2 (ja) 両面接着が可能な高周波誘導加熱容器封止体及びそれを適用したタンパー機能を有するコンパクト化粧品容器並びにそれを適用したタンパー機能のあるフリップ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KR20080063164A (ko) 포장 용기
EP1902967B1 (en) Packaging container, process for production of inner tape, and inner tape for containers
WO2011126046A1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容器
CN112823127B (zh) 管容器及其制造方法
WO2011115158A1 (ja) 易開封性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79195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US10173809B2 (en) Resealable flexible packages
KR101807647B1 (ko) 양면접착이 가능한 고주파 유도가열 용기봉합체를 적용한 탬퍼기능을 갖는 콤팩트화장품용기
JP2012148784A (ja) 再封機能付き軟包装袋
JP2009202894A (ja) 包装容器、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20160311598A1 (en) Resealable Flexible Packages
JP2006123949A (ja) 液体充填容器
JP2013010557A (ja) 容器
JP2013129436A (ja) ガゼット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01655B1 (ko) 양면접착이 가능한 고주파 유도가열 용기봉합체를 적용한 탬퍼기능을 갖는 플립캡을 갖는 용기
JPH0637224B2 (ja) 易開封性容器
JP2012206734A (ja) 包装容器
JP2020172288A (ja) 包装袋
JP2007284072A (ja) 包装体、それに用いる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6735A (ja) 包装容器
JPH11124156A (ja) 注出口組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