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519A -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519A
KR20080021519A KR1020070085966A KR20070085966A KR20080021519A KR 20080021519 A KR20080021519 A KR 20080021519A KR 1020070085966 A KR1020070085966 A KR 1020070085966A KR 20070085966 A KR20070085966 A KR 20070085966A KR 20080021519 A KR20080021519 A KR 20080021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center
distance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6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image moments or centre of gra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게,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나타내는(이하, 절출(disclose)이라고 칭함)것으로서,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는, 원화상에 포함되는 얼굴의 화상 등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한다. 전체중심 계산부(92)는,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한다. 절출 영역 결정부(93)는,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그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예를 들면 황금비 등의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값이 되도록 그 영역을 결정하며,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미디어, 광학계, 이미저, 신호 처리부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게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절출(disclose)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사진)을 데이터로서 기록(기억)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이용하여 무심하게 촬상된, 이른바 기념사진, 집합사진, 스냅사진, 또는 풍경사진 등의 사진을 후에 보면, 매우 구도가 좋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사진의 대부분은, 인물이나 동물이나 정물 등의 피사체 화상이, 그 사진 중의 바람직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절출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사 진이 된다. 이 절출의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에 일단 화상의 데이터(이하, 화상 데이터라고 칭한다)를 받아들여서, 퍼스널 컴퓨터에 절출의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행하여진다.
종래의 카메라에는, 촬상 유닛이 촬영 방향을 전환하여 카메라가 피사 영역을 분할한 각 단위 측거(側距) 영역에 관해 측거를 행하고, 가까운 거리를 나타내는 영역을 주(主)피사체 영역으로 간주하고, 주피사체 영역이 화면의 중앙에 오도록 촬상 유닛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동시에, 피사체가 일정 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줌잉(zooming)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0-98456호 공보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절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각종의 번거로운 조작을 행하여야 되었다.
또한, 원래의 사진으로부터 어떻게 절출하면 적절한지의 판단에 망설이는 경우가 있어 매우 많은 수고를 들이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판단은, 이른바 미적(美的)인 센스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간단하게,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는,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 중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과,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edge)중의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美感)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한다.
화상 처리 장치에,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영역의 화상을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절출하여, 새로운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또한 마련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에,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새로운 화상의 화소수를, 소정의 화소수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또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직사각형의 상기 영역의 상하 또는 좌우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직사각형의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상기 원화상의 애스펙트비와 같은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의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상기 원화상에서의 최대의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상기 비율이 1 : 1 내지 1 : 2.2의 어느 하나의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상기 비율이 1 : 2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상기 원화상에서의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상기 비율이 1 : 2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상기 비율이 황금비(黃金比)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 수단에는, 상기 원화상에서의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상기 비율이 황금비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검출 수단에는,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주목도(注目度)를 검출시키고, 상기 계산 수단에는,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주목도를 무게로 하여, 상기 전체중심을 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방법은,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 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고,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고,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프로그램은,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고,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고,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촬상 장치는,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과,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는,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이 검출되고,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이 계산되고,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간단하게,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절출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요건과,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실시의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의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의 형태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역으로, 실시의 형태가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요건 이외의 구성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는,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과,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전체중심 계산부(92))과,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절출 영역 결정부(93))을 구비한다.
화상 처리 장치에,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영역의 화상을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절출하여, 새로운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화상 절출 생성부(94))을 또한 마련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에,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새로운 화상의 화소수를, 소정의 화소수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화소수 변환 엔진(54))을 또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방법은,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고(예를 들면, 도 5의 스텝 S14),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고(예를 들면, 도 5의 스텝 S15),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예를 들면, 도 5의 스텝 S16)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프로그램은,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고(예를 들면, 도 5의 스텝 S14),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고(예를 들면, 도 5의 스텝 S15),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예를 들면, 도 5의 스텝 S16)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촬상 장치는,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과,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전체중심 계산부(92))과,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절출 영역 결정부(93))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의 정지화상인 화상(사진)을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기록)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된 화상의 구도를 보정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을 내장하는 메모리 카드 등의 매체인 미디어(11)로서, 장착된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기록)되어 있는 화상의 구도를 보정한다. 미디어(11)에는, 디지털 카메라(1) 또는 다른 디지털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기록)되어 있다.
또한, 미디어(11)는, 반도체 메모리 등을 내장하는 메모리 카드로 한정하지 않고,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이라도 좋다. 또한, 미디어(11)는, 착탈 가능한 것이라도, 디지털 카메라(1)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1)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광학계(31), 이미저(32), 신호 처리부(33), RAM(Random Access Memory)(34), 표시부(35), 및 입력부(36)로 구성된다.
광학계(31)는, 렌즈 및 조리개 등으로 이루어지고, 피사체의 광학적인 화상을 이미저(32)의 수광부에 결상시킨다. 이미저(3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광부에 결상된 광학적인 피사체의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전기 신호를 신호 처리부(33)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33)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마련된 기판으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시스템 IC(Integrated Circuit) 등으로서 구성되고, 이미저(32)로부터 공급된 화상의 전기 신호에 각종의 신호 처리를 적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3)는, 화상 데이터에 각종의 신호 처리를 적용한다. RAM(34)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고, 신호 처리부(33)에서의 신호 처리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표시부(3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고, 신호 처리부(33)의 제어에 응하여, 각종의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부(36)는, 버튼, 스위치, 또는 표시부(35)에 겹쳐서 마련되는 터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신호 처리부(33)에 공급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3)는, 장착된 미디어(1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거 나, 또는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기록)시킨다.
또한, 신호 처리부(33)는,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엔진(52),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 화소수 변환 엔진(54), 화상 표시용 엔진(55), 제어용 CPU(Central Processing Unit)(56), 화상 신호용 버스(57), 제어 신호용 버스(58),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 입력 인터페이스(60), 및 데이터 버스(61)로 구성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 JPEG 엔진(52),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 화소수 변환 엔진(54), 화상 표시용 엔진(55), 제어용 CPU(56), 데이터 버스(61), 및 RAM(34)은, 화상 데이터의 신호인 화상 신호가 전송되는 화상 신호용 버스(57)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 JPEG 엔진(52),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 화소수 변환 엔진(54), 또는 화상 표시용 엔진(55)은, 각각,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를 통하여 RAM(34)에 공급하고, 화상 데이터를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거나, 또는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를 통하여 RAM(34)으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 JPEG 엔진(52),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 화소수 변환 엔진(54), 화상 표시용 엔진(55), 및 제어용 CPU(56)는,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제어 신호용 버스(5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용 CPU(56)는,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취득하고 공급함으로써,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 JPEG 엔진(52), 주목 화상 검출 엔 진(53), 화소수 변환 엔진(54), 또는 화상 표시용 엔진(55)의 각각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용 CPU(56),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 및 입력 인터페이스(60)는, 데이터 버스(6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용 CPU(56)는,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를 제어하고,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에, 화상 신호용 버스(57) 및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에 기억시키거나, 또는 미디어(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로부터 판독시킨다.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은,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한 제어용 CPU(56)의 제어하에, 이미저(32)로부터 공급된 화상의 전기 신호에,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노이즈 제거, 또는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 등의 각종의 신호 처리를 적용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은, 신호 처리를 적용하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JPEG 엔진(52)은,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한 제어용 CPU(56)의 제어하에,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으로부터 공급되고,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RAM(34)으로부터 판독하여, JPEG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JPEG 엔진(52)은,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 및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에 공급한다. 이 경우,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는, J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에 기억(기록)시킨다.
또한, JPEG 엔진(52)은,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한 제어용 CPU(56)의 제어하에,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에 의해, 미디어(11)로부터 판독된, JPEG 방식으 로 부호화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 및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취득하여, JPEG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복호한다. JPEG 엔진(52)은,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한 제어용 CPU(56)의 제어하에,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를 통하여 RAM(34)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에 포함되는 주목 화상을 검출한다. 즉,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화상 데이터로서 판독된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을 검출한다. 주목 화상은, 인물이나 눈에 띄는 피사체 등, 주목하는 자(者) 또는 주목하는 물(物)(주목물)의 화상이다.
환언하면,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 눈에 띄는 화상, 사람 눈을 끄는 화상인 주목 화상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을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다른 화상과 형상이 다르거나, 색이 다르거나, 크기가 다르거나, 또는 모양이 다른 화상인 주목 화상을 검출한다.
또한, 소정의 피사체의 화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화상중의, 눈에 띄는 영역, 사람 눈을 끄는 영역의 화상이 주목 화상으로서 검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36)에의 조작에 의해 주목 화상을 직접 지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에서의 주목 화상의 범 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 또는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하여 제어용 CPU(56)에 공급한다.
화소수 변환 엔진(54)은,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한 제어용 CPU(56)의 제어하에,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를 통하여 RAM(34)으로부터 판독하여, 화상의 화소수의 변환의 처리를 화상 데이터에 적용한다. 화소수 변환 엔진(54)은, 화소수가 변환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를 통하여 RAM(34)에 공급하고,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화상 표시용 엔진(55)은,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한 제어용 CPU(56)의 제어하에, RAM(34)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를 통하여 RAM(34)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35)에 응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부(35)에 공급함으로써,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응한 화상을 표시부(35)에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 표시용 엔진(55)은, 제어용 CPU(56)의 제어에 응하여,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화상을 표시부(35)에 표시시킨다.
제어용 CPU(56)는, 조립형의 CPU로 구성되거나, 또는 시스템 IC에 내장되어 있는 CPU로서 구성된다. 제어용 CPU(56)는, 내장되어 있는 ROM(Read Only Memory) 또는 RA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60) 및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공급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부(36)로부터의 신호에 응하여,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취득하고 공급함으로써,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 JPEG 엔진(52),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 화소수 변환 엔진(54), 화상 표시용 엔진(55),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 및 입력 인터페이스(60)를 제어한다.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의 데이터의, 장착된 미디어(11)에의 기억(기록)을 제어함과 함께, 장착된 미디어(11)에 기억(기록)되어 있는 각종의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한다. 또한, 미디어(11)가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인 경우,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브가 마련되고,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는, 그 드라이브에 의한 미디어(11)에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판독을 제어한다.
입력 인터페이스(60)는, 입력부(36)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입력한 신호를 정형하고, 소정의 방식으로 하는 등으로, 입력부(36)로부터의 신호를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제어용 CPU(56)에 공급한다.
도 4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용 CPU(56)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용 CPU(56)에 의해, 화상 판독부(71), 구도 보정부(72), 화소수 변환 제어부(73), 표시 제어부(74), 및 기억 제어부(75)가 실현된다.
화상 판독부(71)는, 촬상된 화상 또는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화상인, 구도의 보정의 대상이 되는 원화상을 판독한다.
구도 보정부(72)는, 판독된 원화상의 구도를 보정한다. 즉, 구도 보정부(72)는, 판독된 원화상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절출한다.
구도 보정부(72)는,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 전체중심 계산부(92), 절출 영역 결정부(93), 및 화상 절출 생성부(94)를 포함한다.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는, 판독된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한다. 전체중심 계산부(92)는,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한다.
절출 영역 결정부(93)는, 전체중심을 기초로, 원화상중,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의 영역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출 영역 결정부(93)는,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영역을 결정한다.
화상 절출 생성부(94)는, 결정된 영역의 화상을, 원화상으로부터 절출하여, 새로운 화상을 생성한다.
구도 보정부(72)는, 생성된 새로운 화상, 즉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절출된 화상을 화소수 변환 제어부(73)에 공급한다.
화소수 변환 제어부(73)는, 화소수 변환 엔진(54)에,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된 화상의 화소수를, 소정의 화소수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면, 화소수 변환 제어부(73)는, 화소수 변환 엔진(54)에,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된 화상의 화소수를, 원화상의 화소수와 같게 변환시킨다.
표시 제어부(74)는, 화상 표시용 엔진(55)을 제어하여, 표시부(35)에, 원화 상 또는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되어 화소수가 변환된 화상을 표시시킨다.
기억 제어부(75)는,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를 제어하여,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되어 화소수가 변환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구도의 보정의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화상 판독부(71)는, 구도의 보정의 대상이 되는 원화상을 판독한다.
즉, 예를 들면, 촬상된 화상의 구도를 보정하는 경우, 화상 판독부(71)는,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51)으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RAM(34)의 기억 영역중, 구도의 보정의 대상이 되는 원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특정한 기억 영역에 격납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인 원화상을 판독한다.
또한, 예를 들면, 미디어(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의 구도를 보정하는 경우, 화상 판독부(71)는,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에, 미디어(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로부터 판독시킨다. 판독한 화상 데이터가 JPEG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 화상 판독부(71)는, JPEG 엔진(52)에 그 화상 데이터를 복호시킨다. 화상 판독부(71)는, 이와 같이 미디어(11)로부터 판독 화상 데이터를, RAM(34)의 기억 영역중, 구도의 보정의 대상이 되는 원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특정한 기억 영역에 격납함에 의해, 원화상을 판독한다.
스텝 S12에서, 표시 제어부(74)는, 화상 표시용 엔진(55)을 제어하여, 표시부(35)에 원화상을 표시시킨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표시부(35)는, 원화상(101) 을 표시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면(面)중, 표시부(35)가 마련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1)의 면에는, 구도 보정 버튼(102), 상방향의 버튼과 하방향의 버튼과 우방향의 버튼과 좌방향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십자 버튼(103), 결정 버튼(104), 및 메뉴 버튼(105)이 배치되어 있다. 구도 보정 버튼(102), 십자 버튼(103), 결정 버튼(104), 및 메뉴 버튼(105)은, 입력부(36)를 구성한다.
스텝 S13에서, 구도 보정부(72)는, 입력 인터페이스(60) 및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공급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부(36)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구도 보정 버튼(102)이 가압되어,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3에서, 구도 보정 버튼(102)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4로 진행하고, 구도 보정부(72)의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는, 원화상(101)상의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에 관해, 중심 및 주목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주목도란, 주목 화상이 눈에 띄는 정도 또는 사람 눈을 끄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스텝 S14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는,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에, 원화상(101)에 포함되는 주목 화상을 검출시키고, 원화상(101)에서의 주목 화상의 범위 및 주목 화상의 특징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화상 신호용 버스(57) 또는 제어 신호용 버스(58)를 통하여 제어용 CPU(56)에 공급시킨다.
예를 들면,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을 검출하는 경우,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원화상(101)의 화소중, 살색의 소정의 범위의 색상의 화소를 검출하고, 그 화소가 배치되는 영역중, 소정의 크기 이상의 영역의 화상을 특정한다. 또한,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특정된 화상에, 눈의 화상 및 입의 화상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의해, 그 화상이 얼굴의 화상인지를 판정한다.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이와 같이 검출한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용 CPU(56)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면, 이 경우,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주목 화상의 특징량으로서, 얼굴의 화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용 CPU(56)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화상(101)에 7인의 인물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화상(101)에 포함되는 7인의 인물의 얼굴의 화상의 각각인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이 검출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사각의 범위의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이 검출되면,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의 사각의 범위와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제어용 CPU(56)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원화상(101)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다른 화상과 형상이 다르거나, 색이 다르거나, 크기가 다르거나, 또는 모양이 다른 화상인 주목 화상을 검출하는 경우,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는,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에, 원화 상(101)에 포함되는 화상의 윤곽을 검출시키고, 윤곽을 검출한 화상의 각각에 관해, 형상, 색, 크기, 모양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량을 검출시킨다. 그리고,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화상의 각각의 특징량을 기초로, 보다 특징적인 화상인 주목 화상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검출한 특징량과 미리 정한 임계치를 비교하고, 임계치 이상(이하)의 특징량의 화상을 주목 화상으로서 검출한다.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이와 같이 검출한 주목 화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용 CPU(56)에 공급한다.
또한, 이 경우,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은, 주목 화상의 특징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예를 들면, 그 특징량을 정규화한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의 특징량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용 CPU(56)에 공급한다.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는,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으로부터 공급된, 원화상(101)에서의 주목 화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원화상(101)상의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에 관해, 중심을 계산함에 의해, 주목 화상의 중심을 검출한다.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91)는,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으로부터 공급된, 주목 화상의 특징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주목 화상의 주목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계산함에 의해, 주목 화상의 주목도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도시되는, 사각의 범위의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이 검출된 경우,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의 사각의 범위의 중앙의 위치에 상당하는 중심이, 주목 화 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관해 검출된다.
또한,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관해 주목도가 검출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도시되는,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대해, 후술하는 식(3)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균등한(같은 값의) 주목도가 검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관해, 서로 다른 값의 주목도가 검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의 사각의 범위의 크기에 따른 주목도가,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관해 검출된다. 이 경우,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관해,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순서로, 더 눈에 띄는 것을 나타내는, 보다 큰 값의 주목도가 검출되게 된다.
또한, 주목 화상 검출 엔진(53)이,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과 주목도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로 되돌아와, 스텝 S15에서, 구도 보정부(72)의 전체중심 계산부(92)는,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검출된 주목도로 무게를 부여하여, 복수의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한다.
주목 화상의 수가 전부로 N개이고, 원화상(101)의 좌표상의, 주목 화상의 각 각의 중심의 위치를 (xk, yk)(k=1, 2, …, N)로 나타내고, 주목 화상의 주목도를 wk로 나타내면, 원화상(101)에서, 전체중심의 위치(xc, yc)의 x좌표상의 좌표치(xc) 및 y좌표상의 좌표치(yc)는, 식(1) 및 식(2)에 의해 계산된다. 단, 식(1) 및 식(2)에서의 주목도(wk)는, 식(3)에서 도시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
[수식 1]
Figure 112007061968720-PAT00001
[수식 2]
Figure 112007061968720-PAT00002
[수식 3]
Figure 112007061968720-PAT00003
도 8에서 도시되는 예에서,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관한 중심과 주목도로부터, 전체중심(132)의 위치(xc, yc)가 계산되게 된다.
또한, 스텝 S14에서, 주목 화상의 각각의 위치(예를 들면, 주목 화상의 범위) 및 주목도가 검출되고, 스텝 S15에서, 주목 화상의 각각의 위치 및 주목도로부터, 전체중심(132)이 계산되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S16에서, 구도 보정부(72)의 절출 영역 결정부(93)는, 그 영역에서 전체중심(132)이 미리 결정된 위치가 되도록, 원화상(101)으로부터 절출하는 영역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16에서, 절출 영역 결정부(93)는, 원화상(101)에서의 절출하는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와, 절출하는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절출하는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중심(132)을 기초로,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중심(132)의 수평 방향의 위치가 영역(133)의 수평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고, 전체중심(132)의 연직(상하)방향의 위치가 영역(133)의 상단부터 1/2.6의 위치가 되도록, 즉 영역(133)의 상하 방향이 전체중심(132)에 의해 황금률 약 1 : 1.618로 분할되고, 또한, 영역(133)의 애스펙트비가 원화상(101)의 애스펙트비와 동일하게 되고, 게다가, 영역(133)의 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직사각형의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된다.
즉, 절출 영역 결정부(93)는, 직사각형의 영역(133)의 좌측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와, 그 우측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1 : 1이 되고, 직사각형의 영역(133)의 상측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와, 하측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황금비인 1 : 1.618이 되고, 원화상(101)의 애스펙트비와 같은 애스펙트비이고, 원화상(101)의 범위에서 최대의 면적이 되는 직사각형의 영역(133)을 결정한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중심(132)이 영역(133)의 중심이 되도록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되거나,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영역(133)에서의 전체중심(132)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영역(133)의 좌측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m : 1-m(0≤m≤1)이 되고, 영역(133)에서의 전체중심(132)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영역(133)의 상측의 테두리를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n : 1-n(0≤n≤1)이 되도록,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영역(133)중, 영역(133)의 좌우 방향의 비율이 1 : 1.2 : 1이 되고, 영역(133)의 상하 방향의 비율이 1 : 1.2 : 1이 되는 중심(中心)의 영역(도 12중에서 점선으로 도시되는 영역)에 전체중심(132)이 수속되도록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직사각형의 영역(133)의 상하 또는 좌우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와,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1 : 1 내지 1 : 2.2의 어느 하나의 값이 되도록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절출하는 영역(133)에 포함되는 화상의 구도는, 바람직한 구도가 된다. 예를 들면, 전체중심(132)이 영역(133)의 중심(中心)에 위치하는 경우의 그 영역(133)에 포함되는 화상의 구도는, 소정의 영역중, 그 영역의 좌우 방향의 비율이 1 : 1.2 : 1이 되고, 그 영역의 상하 방향의 비율이 1 : 1.2 : 1이 되는 중심(中心)의 영역으로부터 전체중심(132)이 비어저 나온 위치에 있는 경우의 그 영역에 포함되는 화상의 구도에 비교하면, 좋다고 말할 수 있다. 소정의 영역중, 그 영역의 좌우 방향의 비율이 1 : 1.2 : 1이 되고, 그 영역의 상하 방향의 비율이 1 : 1.2 : 1이 되는 중심의 영역으로부터 전체중심(132)이 비어저 나온 위치에 있는 경우의 그 영역에 포함되는 화상에서, 주목 화상이 너무나 끝(端)에 치우쳐저 버리기 때문이다.
특히, 직사각형의 영역(133)의 상하 또는 좌우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와,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132)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1 : 2의 값이 되도록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되고, 이른바 3분구도(分構圖)로 되면, 그 절출하는 영역(133)의 화상의 구도는, 양호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그 비율이 1 : 2.2를 초과하여 버리면, 그 구도는 불쾌한 것으로 되어 버린다.
도 5로 되돌아와, 스텝 S17에서, 구도 보정부(72)는, 결정된 영역(133)에 주목 화상의 전부가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17에서, 구도 보정부(72)는, 절출하는 영역(133)에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131-1) 내지 주 목 화상(131-7)의 모두가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에서, 결정된 영역에 주목 화상의 전부가 들어가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주목 화상이 빠진 화상을 절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16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 경우, 스텝 S16에서, 절출 영역 결정부(93)는, 원화상(101)에서의 절출하는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절출하는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으로서, 전회의 스텝 S16에 있어서의 값과 다른 값이 되도록 절출하는 영역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목 화상의 전부가 들어간 절출하는 영역(133)을 결정할 수 있다.
스텝 S17에서, 결정된 영역(133)에 주목 화상의 전부가 들어가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8로 진행하고, 구도 보정부(72)의 화상 절출 생성부(94)는, 결정된 영역(133)의 화상을 원화상(101)으로부터 절출하여, 절출 후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절출 후 화상은, 화상 데이터로서 RAM(34)에 기억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화상(101)상의 얼굴의 화상인 주목 화상(131-1) 내지 주목 화상(131-7)의 각각에 관해 중심과 주목도가 검출되고, 전체중심(132)의 위치가 계산되고, 절출하는 영역(133)이 결정되면, 스텝 S18에서, 화상 절출 생성부(94)는, 절출하는 영역(133)의 화상을 원화상(101)으로부터 절출하여,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출 후 화상(151)을 생성한다.
스텝 S19에서, 화소수 변환 제어부(73)는, 화소수 변환 엔진(54)에,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된 절출 후 화상(151)의 화소수를, 원화상(101)의 화소수와 같게 변환시킨다. 이때, 화소수 변환 엔진(54)은, 화소를 보간하는 등을 하여, 절출 후 화상(151)의 세로 및 가로의 각각의 사이즈 및 화소수를, 원화상(101)의 세로 및 가로의 각각의 사이즈 및 화소수와 같게 되도록, 변환한다.
또한, 화소수 변환 제어부(73)는, 화소수 변환 엔진(54)에,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된 절출 후 화상(151)의 화소수를, 미리 결정된 임의의 화소수로 변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화소수 변환 제어부(73)는, 화소수 변환 엔진(54)에,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된 절출 후 화상(151)의 화소수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되어 있는 화소수로 변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S20에서, 표시 제어부(74)는, 화상 표시용 엔진(55)을 제어하여, 절출 후 화상(151)을 표시부(35)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표시부(35)에는, 절출 후 화상(151)이 표시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74)는, 화상 표시용 엔진(55)을 제어하여, 표시부(35)에, 절출 후 화상(151)과 함께,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171) 및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의 취소(절출 후 화상(151)의 파기)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172)을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표시부(35)에 표시되어 있는 절출 후 화상(151)을 보고, 그 절출 후 화상(151)이 마음에 든 경우, 버튼(171)을 조작하고, 그 절출 후 화상(151)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버튼(172)을 조작하게 된다.
스텝 S21에서, 기억 제어부(75)는, 입력 인터페이스(60) 및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공급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부(36)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1에서, 기억 제어부(75)는, 표시부(35)에 겹쳐서 마련되어 있는 터치 패널의 영역중 버튼(171)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가 탭되거나, 또는 십자 버튼(103)에 의해 버튼(171)에 포커스가 놓여 있는 상태로 되고 결정 버튼(104)이 가압됨에 의해, 버튼(171)이 조작되면,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1에서, 기억 제어부(75)는, 표시부(35)에 겹쳐서 마련되어 있는 터치 패널의 영역중 버튼(172)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가 탭되거나, 또는 십자 버튼(103)에 의해 버튼(172)에 포커스가 넣어져 있은 상태로 되고 결정 버튼(104)이 가압됨에 의해, 버튼(172)이 조작되면,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의 취소(절출 후 화상(151)의 파기)가 지시되고,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스텝 S21에서,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2로 진행하고, 기억 제어부(75)는,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를 제어하여, RAM(34)에 기억되어 있는, 보다 바람직한 구도로 되어 화소수가 변환된 절출 후 화상(151)의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에 기억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절출 후 화상(151)은, JPEG 엔진(52)에 의해 JPEG 방식으로 부호화되고 나서,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 S21에서, 절출 후 화상(151)의 보존이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2는 스킵되고, 절출 후 화상(151)의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에 기억시키는 일 없이, 그대로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13에서,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구도를 보정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스텝 S14 내지 스텝 S22는 스킵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원화상(101)의 구도를 보정한,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절출 후 화상(151)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고, 절출 후 화상(151)을 보존할 수 있다.
절출 후 화상(151)을 보존함에 의해,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화상(101)과 마찬가지로, 임의로 소망하는 절출 후 화상(151)을 표시부(35)에 표시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절출 후 화상(151)을 임의로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출 후 화상(151)의 화소수를 변환하는 일 없이, 원화상(101)이 결정된 영역(133)으로부터 절출된 절출 후 화상(151)의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미디어(11)에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16은 원화상(101)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원화상(101)으로부터,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도의 보정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절출 후 화상(151)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은, 원화상(101)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원화상(101)으로부터,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도의 보정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절출 후 화상(151)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도가 조금 부족한 원화상(101)으로부터, 간단하게,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절출 후 화상(151)을 절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구도가 나쁘다」고 하여 「실패 사진」으로 되어 있던 사진(원화상(101))은, 때때로 삭제되어 버리는 일이 많았지만, 다시 절출하여 「좋은 구도」로 됨에 의해, 그렇게 말한 모처럼 촬영한 사진(원화상(101))을 버리지 않아도 좋게 된다.
촬상 직후로 한정하지 않고, 촬상된 사진의 구도를 촬영 후에 언제라도, 게다가, 번거로운 선택이나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좋은 구도」의 사진으로 고칠 수 있기 때문에, 촬상할 때에 구도에 마음을 쓸 필요가 없고, 보다 마음 편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원화상(101)에 관해 영역(133)을 결정하고 나서, 영역(133)의 화상을 절출하는 일 없이, 결정하는 영역(133)의 화상을 표시부(35)에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늘리는 일 없이, 원화상(101)을, 보다 좋은 구도의 화상으로서 표시하여 열람시킬 수 있다.
또한,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원화상(101)의 구도를 일괄하여 보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0은, 메뉴 버튼(105)이 가압됨에 의해 표시되는 메뉴의 커맨드가 선택되면 실행되는 구도의 보정의 처리이고,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원화상(101)의 구도를 일괄하여 보정하는 경우의, 구도의 보정의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51에서, 표시 제어부(74)는, 화상 표시용 엔진(55)을 제어하여, 표시부(35)에, 구도의 보정의 지시를 접수하는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스텝 S51에서, 도 2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도 보정 실행합니까?」 등의 문자가 배치되어 있는, 구도의 보정의 지시를 접수하는 화면(201)이 표시부(35)에 표시된다. 화면(201)에는,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202) 및 구도의 보정의 취소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203)이 배치되어 있다.
스텝 S52에서, 구도 보정부(72)는, 입력 인터페이스(60) 및 데이터 버스(61)를 통하여 공급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부(36)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52에서, 구도 보정부(72)는, 표시부(35)에 겹쳐서 마련되어 있는 터치 패널의 영역중 버튼(202)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가 탭되거나, 또는 십자 버튼(103)에 의해 버튼(202)에 포커스가 놓여 있는 상태로 되고 결정 버튼(104)이 가압됨에 의해, 버튼(202)이 조작되면,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52에서, 구도 보정부(72)는, 표시부(35)에 겹쳐서 마련되어 있는 터치 패널의 영역중 버튼(203)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가 탭되거나, 또는 십자 버튼(103)에 의해 버튼(203)에 포커스가 놓여 있는 상태로 되고 결정 버튼(104)이 가압됨에 의해, 버튼(203)이 조작되면, 구도의 보정의 취소가 지시되고,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어 있 지 않다고 판정한다.
스텝 S52에서,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예를 들면, 도 2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도 보정 실행 중입니다...」 등의 문자가 배치되어 있는, 구도의 보정의 처리가 실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면(221)이 표시부(35)에 표시되고, 스텝 S53로 진행하고, 화상 판독부(71)는, 미디어(11)로부터 구도의 보정의 대상이 되는 원화상(101)을 판독한다.
예를 들면, 스텝 S53에서, 화상 판독부(71)는, 외부 미디어 컨트롤러(59)에, 미디어(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11)로부터 판독시킨다. 판독한 화상 데이터가 JPEG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 화상 판독부(71)는, JPEG 엔진(52)에 그 화상 데이터를 복호시킨다. 화상 판독부(71)는, 이와 같이 미디어(11)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RAM(34)의 기억 영역중, 구도의 보정의 대상이 되는 원화상(101)을 기억하기 위한 특정한 기억 영역에 격납함에 의해, 원화상(101)을 판독한다.
스텝 S54 내지 스텝 S56은, 각각, 도 5의 스텝 S14 내지 스텝 S16의 각각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57 및 스텝 S58은, 각각, 도 5의 스텝 S18 및 스텝 S19의 각각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59는, 도 5의 스텝 S22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60에서, 구도 보정부(72)는,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를 보정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60에서, 구도 보정부(72)는, 화상 판독부(71)로부터 통지되는,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101)의 총수와, 스텝 S54 내지 스텝 S59의 처리에 의해 구도를 보정한 원화상(101)의 수를 비교함에 의해,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를 보정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0에서,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를 보정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구도를 보정하여야 할 원화상(101)이 아직 있기 때문에, 스텝 S61로 진행하고, 화상 판독부(71)는, 미디어(11)로부터 구도의 보정의 대상이 되는 다음 원화상(101)을 판독하고, 스텝 S54로 되돌아와, 다음의 원화상(101)을 대상으로 하여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60에서,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를 보정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스텝 S52에서, 모든 원화상(101)의 구도의 보정이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구도를 보정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스텝 S53 내지 스텝 S61은 스킵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원화상(101)의 구도를 일괄하여 보정할 수 있다. 즉,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원화상(101)의 각각의 구도를 보정한,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절출 후 화상(151)을 간단하게 절출할 수 있고, 절출 후 화상(151)을 보존할 수 있 다.
이로써, 미디어(11)에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101)의 구도를 보정한 절출 후 화상(151)을, 임의로, 원화상(101)과 마찬가지로 표시부(35)에 표시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절출 후 화상(151)을 임의로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1)로 한정하지 않고, 화상을 촬상하는 기기, 화상을 표시하는 기기, 또는 화상을 보존하는 기기 등 화상을 취급하는 기기에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기, 휴대형의 화상 재생 장치, 거치형의 화상 재생 장치 또는 화상 기록 장치, 촬상한 화상 등을 기억하는 스토리지 장치, 또는 화상을 제공하는 서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은,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동화상인 원화상의 구도를 보정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한 시간 간격의 프레임에 상술한 처리를 적용하여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동화상 상(上)의 시간의 경과에 응하여 영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동화를 절출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원화상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절출하도록 한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고,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고,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 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영역을 결정하도록 한 경우에는, 간단하게, 보다 바람직한 구도의 화상을 절출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23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는, ROM(Read Only Memory)(302), 또는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303)에는,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절히 기억된다. 이러한 CPU(301), ROM(302), 및 RAM(303)은, 버스(3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301)에는 또한, 버스(30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3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307)가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입력부(306)로부터 입력되는 지령에 대응하여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301)는, 처리의 결과를 출력부(30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부(308)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로 이루어지고, CPU(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309)는, 인터넷이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부(309)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기억부(308)에 기억하여도 좋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310)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311)가 장착된 때, 그것들을 구동하고, 그곳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기억부(308)에 전송되고, 기억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인 리무버블 미디어(311),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격납되는 ROM(302)이나, 기억부(308)를 구성하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의 프로그램의 격납은, 필요에 따라 루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인 통신부(309)를 통하여,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용 CPU에 의해 실현된 기능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구도의 보정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원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원화상, 주목 화상, 전체중심, 및 절출하는 영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절출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절출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절출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절출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절출 후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원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절출 후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원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절출 후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구도의 보정의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1은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털 카메라 11 : 미디어
31 : 광학계 32 : 이미저
33 : 신호 처리부 34 : RAM
35 : 표시부 36 : 입력부
51 : 카메라 신호 처리 엔진 52 : JPEG 엔진
53 : 주목 화상 검출 엔진 54 : 화소수 변환 엔진
55 : 화상 표시용 엔진 56 : 제어용 CPU
71 : 화상 판독부 72 : 구도 보정부
73 : 화소수 변환 제어부 74 : 표시 제어부
75 : 기억 제어부 91 : 주목 화상 중심 검출부
92 : 전체중심 계산부 93 : 절출 영역 결정부
94 : 화상 절출 생성부 101 : 원화상
131-1 내지 131-7 : 주목 화상 132 : 전체중심
133 : 영역 151 : 절출 후 화상
301 : CPU 302 : ROM
303 : RAM 308 : 기억부
311 : 리무버블 미디어

Claims (15)

  1.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과,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영역의 화상을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절출(disclose)하여, 새로운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새로운 화상의 화소수를, 소정의 화소수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직사각형의 상기 영역의 상하 또는 좌우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직사각형의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원화상의 애스펙트비와 같은 애스펙트비의 직사각형의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원화상에서의 최대의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비율이 1 : 1 내지 1 : 2.2의 어느 하나의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비율이 1 : 2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원화상에서의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상기 비율이 1 : 2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비율이 황금비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원화상에서의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상하로 마주 보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상기 비율이 황금비가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주목도를 검출하고,
    상기 계산 수단은,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주목도를 무게로 하여, 상기 전체중심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고,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고,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고,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고,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 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5. 원화상에 포함되는 화상중의 주목하는 화상인 주목 화상으로서, 복수의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주목 화상의 전체의 중심인 전체중심을 계산하는 계산 수단과,
    상기 원화상에서의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한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영역의 마주 대하는 테두리 중 다른쪽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전체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미리 정한 값이 되도록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70085966A 2006-09-04 2007-08-27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 KR20080021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8917 2006-09-04
JP2006238917A JP2008061184A (ja) 2006-09-04 2006-09-04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519A true KR20080021519A (ko) 2008-03-07

Family

ID=3918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966A KR20080021519A (ko) 2006-09-04 2007-08-27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06358B2 (ko)
JP (1) JP2008061184A (ko)
KR (1) KR20080021519A (ko)
CN (2) CN101661558A (ko)
TW (1) TW200818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655A (ko) * 2010-02-01 2011-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구도를 유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5765A (zh) * 2008-08-22 2010-02-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利用虚拟方向键进行操作的电子装置及相应的操作方法
CN101546307B (zh) * 2008-09-17 2011-01-12 厦门市美亚柏科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边缘重心特征的图像检索系统及其图像检索方法
KR20100058280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JP6500535B2 (ja) 2015-03-23 2019-04-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4899B2 (ja) * 2015-04-21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光学機器、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8206910B (zh) * 2016-12-20 2021-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像拍摄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284A (ja) 1986-01-22 1987-07-25 Fujitsu Ltd 画像の位置合わせ方式
JPH08110603A (ja) 1994-10-12 1996-04-30 Konica Corp 色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3936351B2 (ja) 1995-01-11 2007-06-27 富士通株式会社 音声応答サービス装置
JP2000098456A (ja) 1998-09-28 2000-04-07 Minolta Co Ltd オート構図機能を有するカメラ
US6654506B1 (en) * 2000-01-25 2003-11-2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cropped and zoomed versions of photographic images
US6545743B1 (en) * 2000-05-22 2003-04-08 Eastman Kodak Company Producing an image of a portion of a photographic image onto a receiver using a digital image of the photographic image
US6748097B1 (en) * 2000-06-23 2004-06-0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varying the number, size, and magnification of photographic prints based on image emphasis and appeal
US7212668B1 (en) * 2000-08-18 2007-05-01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emphasizing a main subject of an image
US6697502B2 (en) * 2000-12-14 2004-02-24 Eastman Kodak Company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etecting human figures in a digital image
US6847733B2 (en) * 2001-05-23 2005-01-25 Eastman Kodak Company Retrieval and browsing of database images based on image emphasis and appeal
JP4405750B2 (ja) 2003-05-28 2010-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
US7574016B2 (en) * 2003-06-26 2009-08-11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JP2005033508A (ja) 2003-07-14 2005-02-03 Minolta Co Ltd 撮像装置
US7382903B2 (en) * 2003-11-19 2008-06-0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selecting an emphasis image from an image collection based upon content recognition
US20080019575A1 (en) * 2006-07-20 2008-01-24 Anthony Scalise Digital image cropping using a blended m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655A (ko) * 2010-02-01 2011-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구도를 유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1565A (zh) 2008-03-12
US8306358B2 (en) 2012-11-06
JP2008061184A (ja) 2008-03-13
TW200818061A (en) 2008-04-16
CN101661558A (zh) 2010-03-03
US20080069468A1 (en)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135B2 (en)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image synthesizing method, and image synthesizing program
KR101795601B1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8428308B2 (en) Estimating subject motion for capture setting determination
JP4902562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0545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110150280A1 (en) Subject tracking apparatus, subject region extra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US20120201427A1 (en) Estimating subject motion between image frames
US20090002509A1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582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20080021519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촬상 장치
JP200530399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629378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017223A (ja) 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これら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89655A (ko) 촬영 구도를 유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8035125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014946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167236B2 (ja) 被写体追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36015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63241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451364B2 (ja) 被写体追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25392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と、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5222429B2 (ja) 被写体追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70965B2 (ja) 画像マッチング装置、およびカメラ
KR101661657B1 (ko) 인물 촬영 장치 및 방법
JP666864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