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546A -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546A
KR20080020546A KR20070087253A KR20070087253A KR20080020546A KR 20080020546 A KR20080020546 A KR 20080020546A KR 20070087253 A KR20070087253 A KR 20070087253A KR 20070087253 A KR20070087253 A KR 20070087253A KR 20080020546 A KR20080020546 A KR 2008002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network device
external server
addresses
mf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8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721B1 (ko
Inventor
가오리 시즈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76Update or notification mechanisms, e.g. Dyn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9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92Address allocation by self-assignment, e.g. picking addresses at random and testing if they are already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의 조합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이용가능하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드레스로부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드레스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외부 서버, 호스트, DNS 서버

Description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 방법{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통신의 처리에 의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이용의 간편성을 높이기 위해,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자(自)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와 자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의 조합을 DNS 서버에 등록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IP 어드레스와 호스트명의 조합을 DNS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이용의 간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안이, 예컨대 후술하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350133호에 개시되어 있다. 위 문헌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호스트명을 고려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호스트명을 지정하는 것은, DNS 서버로부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를 취득가능하게 하고, 그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개시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DNS 서버에 등록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모든 IP 어드레스가 DNS 서버에 등록되고, 호스트명에 맵핑이 행해지고 있었다.
향후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보급에 의해, 단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IP 어드레스를 갖는 환경이 상정된다. 이 경우, 반드시 디바이스가 갖는 모든 IPv6 어드레스를 호스트명에 맵핑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는 광역 네트워크(WAN)에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가 호스트명에 맵핑되어 있다면,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호스트명을 사용하여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경우에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가 취득될 수 있다. 그 결과, 결국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게 된다.
또한,향후에 보안 기술이 발달하고, 일부의 통신이 차단(disconnect)되는 방식으로 운용이 이루어질 경우도 상정된다. 예를 들면, 그 특정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 통신 상대가 DNS 서버로부터 특정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그 특정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통신의 확립을 시도한다면, 불필요한 처리가 수행된다. 즉, 호스트명으로부터 해결된 IP 어드레스와의 통신을 시도하지만, 패킷은 파기되어버릴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관점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복수의 어드레스 중에서, 외부 서버에 등록되어야 할 어드레스들의 선택을 허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부 서버에 등록될 어드레스들의 선택을 허가함으로써, 외부 서버에 특정 어드레스들의 등록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의 조합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되는 어드레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어드레스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의 조합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 상기 선택 공정에서 선택된 어드레스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어드레스를 외부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에 특정 어드레스들의 등록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해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네트워크 접속 기능이 제공되는 MFP(복합기)가 인터넷에 접속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MFP(101)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네트워크 인쇄 서비스 및 네트워크 스캐닝 서비스를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제공한다. 또한, MFP(101)는 라우터(105)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104)에 접속되고, 네트워크 인쇄 서비스 및 네트워크 스캐닝 서비스를 다른 네트워크(104)에 접속된 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네트워크(100) 및 다른 네트워크(104) 상에서 IPv6 기반 통신을 행하기 위해, MFP(101)에 의해서는 이하 4개의 어드레스 스코프가 이용가능하다.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IPv6 stateless address)(108),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IPv6 manually set address)(109), IPv6 스테이트풀 어드레스(IPv6 stateful address)(110), 및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
전술한 어드레스 외에, MFP(101)에는, MFP(101)를 식별하기 위한 호스트명(112)이 부여되어 있다.
네트워크(100)에 접속되어 있는 DNS 서버(102)는 네트워크(100)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호스트명과 IP 어드레스의 맵핑을 행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통신 단말기(103)는 네트워크(100)에 접속하여 MFP(101)과 통신하는 범용 퍼스널 컴퓨터이며, MFP(10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서비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다른 네트워크(104)에 접속되어 있는 DNS 서버(106)는 다른 네트워크(104)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호스트명과 IP 어드레스의 맵핑을 행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통신 단말기(107)는 통신 단말기(103)와 같은 범용 퍼스널 컴퓨터이다. 통신 단말기(107)는 다른 네트워크(104)에 접속되고, 또한 라우터(105)를 통해 MFP(101)와 통신하며, MFP(10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서비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에서, MFP(101)는 네트워크(100)에 접속되는 DNS 서버(102) 및 다른 네트워크(104)에 접속되는 DNS 서버(106)에 자디바이스의 호스트명과 IPv6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이 때, MFP(101)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DNS 서버(102) 및 DNS 서버(106)에 등록되는 자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MFP(101)가 다음의 방식으로 설정이 행해진다는 것을 유념 해야 한다. 이 설정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설정이 반드시 행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란 것을 유념해야 한다.
네트워크 보안을 고려하여, a)MFP(101)는 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에 어드레스되는 패킷을 수신하지 않고, b)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는 네트워크(100)에서만 사용가능한 어드레스로 한다. MFP(101)는 네트워크(100) 이외의 네트워크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로 송신되는 패킷들은 수신하지 않는다.
네트워크(100)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기(103)는 DNS 서버(102)에 액세스하고, MFP(101) 의 호스트명을 지정하고, MFP(101)의 IPv6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또한, 네트워크(104)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기(107)은 DNS 서버(106)에 액세스하고, MFP(101)의 호스트명을 지정하고, MFP(101)의 IPv6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FP(101)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스캐너 I/F 제어부(201)는 스캐너(213)를 제어한다. 또한,프린터 I/F 제어부(206)는 프린터(212)를 제어한다.
CPU(202)는 프린터(212) 및 스캐너(213) 등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MFP(101)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판독 전용 메모리인 R0M(203)은 MFP(101)의 부팅 프로그램, 프린터(212), 및 스캐너(213)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고정 파라미터 등을 저장한다.
RAM(204)은 CPU(202)가 MFP(101)를 제어하는 경우에 일시적인 데이터의 저장등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다. HDD(205)는 인쇄 데이터의 저장 등의 다 양한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다. NVRAM(207)은 프린터(212), 스캐너(213) 등의 각종의 설정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MFP(101)에 할당되는 복수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는 NVRAM(207) 및 HDD(205)에 저장된다.
패널 컨트롤러(208)는 LCD 표시부(215)를 구비하는 오퍼레이팅 패널(214)을 제어하고,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사용자에 의한 지시의 입력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I/F 제어부(209)는 네트워크(100)와의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한다. 스캐너 I/F 제어부(201), CPU(202), R0M(203), RAM(204), HDD(205), 프린터 I/F 컨트롤러(206), NVRAM(207), 패널 컨트롤러(208), 네트워크 I/F 제어부(209) 등은 버스(210)에 의해 접속된다. 즉, 이는, CPU(202)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각 유닛들 간의 데이터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버스이다.
도 3은 DNS 서버(102, 106) 및 통신 단말기(103, 107)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들은 범용 서버이며, 범용 퍼스널 컴퓨터에 기초한 컴퓨터 시스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연산 유닛으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가 제공된다. 또한, 기억 유닛으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302), R0M(Read 0nly Memory)(303), HDD(Hard Disk Drive)(304)가 제공된다. 또한, 외부 기억 유닛으로서 CD-R0M(Compact Disc Read-0nly Memory) 드라이브(305)가 제공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NIC(Network Interface Card)(306),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307)가 제공된다. 이들 하드웨어 장치 및 주변 장치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버스(308)가 제공된다. 또 한, 본체에 접속되는 주변 디바이스로서, 마우스(309) 및 키보드(310)가 입력 인터페이스(311)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LCD 디스플레이(312)가 표시 인터페이스(313)를 통해 접속된다.
이들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0S(0perating System)을 포함하고,서버용의 소프트웨어,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및 전자 메일용 소프트웨어 등이 용도에 따라 인스톨되어 있다. 0S 에는, 그 기능으로서 인쇄 데이터를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100, 104)를 경유하여 프린터(도시하지 않음) 및 MFP(101)에 송신하기 위한 포트 모니터가 제공되어 있다. 물론, 통신 단말기(103, 107)는 IPv6-기반 통신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101)의 소프트웨어의 구성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트롤러(401)는 사용자 조작에 관련된 기능들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이 모듈은 패널 컨트롤러(208)를 제어하고, LCD 표시부(215)가 구비된 조작 패널(214)을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사용자에의 출력을 관리한다.
DNS 컨트롤러(40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DNS 및 동적 DNS의 프로토콜 제어를 행하는 모듈이다. 네트워크 통신 드라이버(404)는 네트워크 I/F 제어부(209)를 제어하고, 네트워크(100)와의 데이터의 송신/수신의 제어를 행한다. TCP/IP 프로토콜 컨트롤러(403)는 TCP/IP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모듈을 구비하고,네트워크 통신 드라이버(404)를 사용하여 TCP/IP 프로토콜에 기초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의 제어를 행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MFP(101)의 LCD 표시부(215)에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설정 화면의 일례이다. 도 5의 GUI에는 이하의 버튼들에 대한 화상들이 제공된다.
동적 DNS 기능의 동적 갱신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0); 동적 DNS 기능의 동적 갱신이 인에이블인 경우,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를 지정된 DNS 서버에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1); 동적 DNS 기능의 동적 갱신이 인에이블인 경우, 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를 지정된 DNS 서버에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2); 동적 DNS 기능의 동적 갱신이 인에이블인 경우,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풀 어드레스를 지정된 DNS 서버에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3); 및 동적 DNS 기능의 동적 갱신이 인에이블인 경우, 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를 지정된 DNS 서버에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4)이다.
도 5에 도시된 "0N" 버튼은 그 버튼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DNS 서버에 등록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0FF 버튼은 그 버튼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DNS 서버에 등록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에이블된 버튼에는 해칭이 적용되어 있다. 인에이블된 버튼의 지시에 기초하여, MFP(101)는 0N 버튼이 인에이블되어 있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DNS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 스코프로서 선택한다.
LCD 표시부(215)로 합체되는 터치 패널(도시하지 않음)은 GUI 상의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반드시 터치 패널 구성일 필요는 없고, 조작 패널(214)상에 제공되는 키 또는 트랙볼(trackball) 등이, 커서를 이동하고 원하는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을 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에 이용되는 DNS의 처리 시퀀스를 나타낸다. 이는, MFP(101)가 자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로서 유지하는 모든 어드레스 스코프의 IP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한 경우의 MFP(101), DNS 서버(102), 및 통신 단말기(103)의 동작을 나타낸다.
우선,단계 S601에서, MFP(101)는 자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로서, 유지하는 모든 어드레스 스코프의 IP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보안의 고려로 인해, MFP(101)는 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에 어드레스되는 패킷들을 수신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즉,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에의 액세스는 허용되지 않는다.
다음,단계 S602에서, 통신 단말기(103)는 MFP(101)에 대응하는 호스트명을 지정하고, IP 어드레스 리스트를 요구한다. 그 후,단계 S603에서, DNS 서버(102)는 MFP(101)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를 포함하는 IP 어드레스 리스트를 통신 단말기(103)에 전달한다.
통신 단말기(103)에서는,IP 어드레스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1개의 IP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단계 S604에서 통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DNS 서버(102)에 의해 통신되는 IP 어드레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에의 액세스를 시도한다. 그러나, 이 경우, MFP(101)는 그 액세스를 거부하고(단계 S605), 통 신 단말기(103)는 MFP(101)와의 통신을 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불필요한 통신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 9는 다른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MFP(101)는 통신 단말기(103)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0)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한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1)은 인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MFP(101)는 통신 단말기(103)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0)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한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2)은 인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MFP(101)는 통신 단말기(103)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0)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풀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한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풀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3)은 인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그러나, MFP(101)는 통신 단말기(103)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0)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4)은 디스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도 9에서 디스에이블된 버튼에 해칭을 적용하였다.
도 8은 MFP(101)가 일부의 어드레스 스코프의 IP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는 경우의 MFP(101), DNS 서버(102), 및 통신 단말기(103)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가 DNS 서버(102)에 등록되는 것이 방지된다.
우선,단계 S801에서, MFP(101)는 자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로서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 외의 IP 어드레스들을 DNS 서버(102)에 등록한다. 다음, 단계 S802에서, 통신 단말기(103)는 MFP(101)에 대응하는 호스트명을 지정하고, IP 어드레스 리스트를 요구한다. 다음,단계 S803에서, DNS 서버(102)는 MFP(101)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 이외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IP 어드레스 리스트를 통신 단말기(103)에 전달한다.
통신 단말기(103)에서는,IP 어드레스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1개의 IP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단계 S804에서 통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DNS 서버(102)에 의해 전달된 IP 어드레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MFP(101)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108)와의 통신을 시도한다. 단계 S8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는 MFP(101)와 통신 단말기(103) 사이의 통신을 개시한다. 도 6의 예와는 달리,통신 단말기(103)는 사용가능한 IP 어드레스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는, MFP(101)에 의해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는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가 DNS 서버(102)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실제로 사용가능한 IP 어드레스만이 통신 단말기(103)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도 7은 MFP(101)가 IP 어드레스를 DNS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 을 나타낸다. 단계 S701에서, MFP(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트롤러(201)에 의해 제어되는 LCD 표시부(215) 상에 도 5에서 설명한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이 설정 화면에서,사용자는 동적 DNS 기능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에 관한 지시를 발행하거나 또는 DNS 서버에 등록하고자 하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선택한다.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0K 버튼이 눌러지면,단계 S702에서, MFP(101)는 동적 DNS 기능의 인에이블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동적 DNS 기능의 인에이블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 즉 동적 DNS 기능의 디스에이블이 지시되어 있는 경우, DNS 서버에 IP 어드레스를 등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동적 DNS 기능의 인에이블이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단계 S703으로 진행하고, MFP(101)는 복수의 어드레스 스코프의 하나씩 판독한다. 다음, 단계 S704에서,판독된 어드레스 스코프에 관해 그 어드레스 스코프가 DNS 서버에 등록된 어드레스 스코프로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독된 어드레스 스코프가 DNS 서버에 등록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은 단계 S705로 진행하고, MFP(101)는 그 어드레스 스코프에 속하는 IP 어드레스를 DNS 서버에 등록한다.
한편,판독된 어드레스 스코프가 DNS 서버에 등록되도록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그 어드레스 스코프에 속하는 IP 어드레스를 DNS 서버에 등록 하지 않고 단계 S706으로 진행한다. 즉, MFP(101)는 설정 화면에서 0N 버튼이 인에이블되어 있는 어드레스 스코프에 속하는 어드레스를, DNS 서버에 등록할 어드 레스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어드레스를 DNS 서버에 등록한다.
단계 S706에서,MFP(101)는 모든 어드레스 스코프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모든 어드레스 스코프의 처리가 완료된 경우,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나,완료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은 단계 S703으로 복귀하고, 다음 어드레스 스코프가 판독된다.
MFP(101)에는 각 DNS 서버에 대해 다른 설정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도 11은 DNS 서버(106)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MFP(101)에 의해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는 DNS 서버(106)에 등록되지 않는다. 또한,네트워크(100)에만 사용가능한 어드레스인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109)도 DNS 서버(106)에 등록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로 사용가능한 IP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만이 통신 단말기(107)에 전달되고, 통신 단말기(107)는 사용가능한 IP 어드레스와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도 11은 MFP(101)에 의해 DNS 서버(106)에 등록되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GUI 화면이다. 도 9에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디스에이블된 버튼에는 해칭을 적용한다.
MFP(101)는 통신 단말기(107)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4)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한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를 DNS서버(106)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1)은 인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MFP(101)는 통신 단말기(107)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4)상의 네트워크 디바 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를 DNS 서버(106)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2)은 디스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MFP(101)는 통신 단말기(107)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4)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풀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한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풀 어드레스를 DNS 서버(106)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3)은 인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또한,MFP(101)는 통신 단말기(107)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4)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를 DNS 서버(106)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4)은 디스에이블된 0N 버튼을 갖는다.
도 10은 DNS 서버(106)에 등록되는 어드레스 스코프가 도 11과 같이 선택되는 경우에서의 MFP(101), DNS 서버(106), 및 통신 단말기(107)의 동작을 나타낸다.
우선,단계 S1001에서, MFP(101)는 자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로서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 및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109) 이외의 IP 어드레스들을 DNS 서버(106)에 등록한다.
다음,단계 S1002에서, 통신 단말기(107)는 MFP(101)에 대응하는 호스트명을 지정하고, IP 어드레스 리스트를 요구한다. 그 후,단계 S1003에서, DNS 서버(106)는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111) 및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109) 이외의 MFP(101)의 IP 어드레스들을 포함하는 IP 어드레스 리스트를 통신 단말기(107)에 전달한다.
통신 단말기(107)에서는,IP 어드레스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1개의 IP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단계 S1004에 있어서의 통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DNS 서버(106)에 의해 전달된 IP 어드레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MFP(101)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108)와의 통신을 시도한다. S10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MFP(101)와 통신 단말기(107) 사이의 통신을 개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MFP(101)가 복수의 호스트명을 갖도록 MFP(101)에 대해 호스트명(112)과는 다른 호스트명(예컨대, 호스트명(1200))을 설정하고, 각 호스트명 단위로 DNS 서버(102)에 등록되는 어드레스 스코프들을 선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12a 및 도 12b는 이러한 경우에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GUI 화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MFP(101)의 호스트명(112)과 MFP(101)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108) 간에 맵핑이 행해진다. 또한, MFP(101)의 호스트명(1200)과 MFP(101)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109) 간에 맵핑 이 행해진다.
도 12a에서, 키(1201)는, 호스트명(112)과의 맵핑이 행해지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GUI 화면이다. 호스트명(112)과 맵핑되는 IP 어드레스로서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만이 사용된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1)은 인에이블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2)은 디스에이블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 트풀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3)은 디스에이블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4)은 디스에이블되어 있다.
도 12b에서 참조번호 1206은, 호스트명(1200)과의 맵핑이 행해지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GUI 화면이다. 호스트명(1200)과 맵핑되는 IP 어드레스로서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만이 사용된다. 따라서,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리스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1)은 디스에이블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자디바이스의 IPv6 수동 설정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2)은 인에이블하게 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자디바이스의 IPv6 스테이트풀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버튼(503)은 디스에이블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자디바이스의 IPv6 링크-로컬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에 등록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504)은 디스에이블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MFP(101)를 DNS 서버(102, 106)에 등록하는 경우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103, 107)의 IP 어드레스를 DNS 서버(102, 106)에 등록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 도 9, 도 11, 및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GUI 화면은, 예컨대 도 3의 LCD 디스플레이(312)에 표시될 것이다. 또한, 마우스(309) 및 키보드(310)를 사용하여 GUI 화면 상에 각 버튼이 선택될 것이다.
또한,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에 의해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것이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0M, CD-R,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카드, R0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0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입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변경들과 균등 구성물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네트워크 접속 이 제공되는 MFP(복합기)가 인터넷에 접속되는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DNS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고 통신이 확립되지 않는 경우의 MFP(복합기)의 DNS 처리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에 의해 DNS 서버에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 도 7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는 MFP(101)의 CPU(202)에 의해 수행됨 -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의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에 서의 DNS 처리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에 의해 DNS 서버에 통신되는 어드레스 스코프(scope)를 선택하는 동안에 설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 하는 GUI 화면을 나타내는 GUI 화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에 의해 다른 DNS 서버에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FP(복합기)에 의해 DNS 서버에 통신되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선택하는 동안에 설정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GUI화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호스트명을 갖는 MFP(복합기)로 하여금 각 호스트명에 대해 개별적으로 DNS 서버에 등록되는 어드레스 스코프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GUI 화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MFP
102: DNS 서버
103: 통신 단말
104: 네트워크
105: 라우터

Claims (14)

  1.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의 조합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되는 어드레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어드레스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의 종류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특정 종류에 속하는 어드레스를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로서 선택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호스트명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의 선택을 상기 외부 서버들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 정보 아이템들을 갖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의 선택을 상기 식별 정보 아이템들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들의 종류의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특정 종류에 속하는 어드레스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의 조합을 관리 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어드레스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의 종류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특정 종류에 속하는 어드레스를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로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호스트명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이용가능하고,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의 선택을 상기 외부 서버들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 정보 아이템들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의 선택을 상기 식별 정보 아이템들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외부 서버에 등록해야 할 어드레스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어드레스들의 종류들의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특정 종류에 속하는 어드레스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070087253A 2006-08-29 2007-08-29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1013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2814 2006-08-29
JP2006232814A JP4810358B2 (ja) 2006-08-29 2006-08-29 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546A true KR20080020546A (ko) 2008-03-05
KR101013721B1 KR101013721B1 (ko) 2011-02-10

Family

ID=3881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87253A KR101013721B1 (ko) 2006-08-29 2007-08-29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088464B2 (ko)
EP (1) EP1895747B1 (ko)
JP (1) JP4810358B2 (ko)
KR (1) KR101013721B1 (ko)
CN (1) CN1011369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2513B2 (ja) * 2008-10-29 2013-11-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61976B2 (ja) * 2009-09-11 2014-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9706B2 (ja) * 2011-03-15 2016-03-08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操作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5890648B2 (ja) * 2011-10-21 2016-03-22 キヤノン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JP6323841B2 (ja) * 2014-03-13 2018-05-16 株式会社Fuji 作業機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184A (ja) 2001-10-30 2003-05-16 Kddi Corp サーバシステム及びそのアドレス管理方法
JP3943465B2 (ja) 2002-08-20 2007-07-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7734745B2 (en) * 2002-10-24 2010-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internet domain name data
JP2004350133A (ja) 2003-05-23 2004-12-09 Canon Inc 接続制御方法、接続制御プログラム、及び、接続装置
KR20050045508A (ko) 2003-11-11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 연결된 프린터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프린터단독으로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그 프린터
JP3959386B2 (ja) * 2003-11-18 2007-08-15 株式会社東芝 名前解決装置、名前解決システム、名前解決方法および名前解決プログラム
JP4001138B2 (ja) * 2004-09-10 2007-10-3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パラメータ設定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パラメータ設定プログラム
JP3979413B2 (ja) * 2004-09-30 2007-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設定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設定管理システム
JP4052298B2 (ja) * 2004-09-30 2008-0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デバイス
JP4016979B2 (ja) * 2004-09-30 2007-1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アドレス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アドレス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20060077984A1 (en) * 2004-10-13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ateway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address management
JP2008050120A (ja) * 2006-08-25 2008-03-06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荷役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88464B2 (en) 2015-07-21
CN101136947B (zh) 2013-01-09
US10164939B2 (en) 2018-12-25
US20080059616A1 (en) 2008-03-06
JP2008060741A (ja) 2008-03-13
US11444917B2 (en) 2022-09-13
EP1895747B1 (en) 2016-06-01
JP4810358B2 (ja) 2011-11-09
KR101013721B1 (ko) 2011-02-10
EP1895747A1 (en) 2008-03-05
US20150271133A1 (en) 2015-09-24
CN101136947A (zh) 2008-03-05
US20190075077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4917B2 (en) Network device, network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83231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4533227B2 (ja) データ処理装置、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62240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810287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7323641A (ja) 電子ドキュメント出力要求処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158646A (ja) データ処理装置、印刷装置、印刷処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CN103218188A (zh)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图像形成系统
US77027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network using DHCP server or client function
CN100407628C (zh) 数据处理装置以及通信方法
JP5225435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42092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21533B2 (ja) 情報処理端末
US20180270372A1 (en) Operation devic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management system
KR100737858B1 (ko) 화상형성장치,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2195957A (ja) 情報処理端末
JP2004153742A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0295311A (ja) 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4153738A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6080716A (ja) 監視システム
US20030088701A1 (en) Establishing network addresses for network devices
JP2004341746A (ja) ブート・サーバ・アドレス検索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1146173A (ja) イメージスキャナ
KR20060039156A (ko) 관리자 연락정보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070074067A (ko) 네트워크 화상형성 시스템 및 그 ip주소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06

Effective date: 201012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