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030A -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030A
KR20080018030A KR1020060080069A KR20060080069A KR20080018030A KR 20080018030 A KR20080018030 A KR 20080018030A KR 1020060080069 A KR1020060080069 A KR 1020060080069A KR 20060080069 A KR20060080069 A KR 20060080069A KR 20080018030 A KR20080018030 A KR 2008001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ound insulation
resin
build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293B1 (ko
Inventor
박성찬
김철환
이충화
김준엽
김성찬
강헌성
신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8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2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발포 폼을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은 0.1 ㎛ ~ 20 ㎛ 굵기의 초극세사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망상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망상구조에 의해, 상기 수지 발포 폼은 비체적 및 소음 전달 경로가 증가되어,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충격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시켜 층간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 및 완충성을 위해 건축물의 바닥시공 자재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건축물, 바닥, 층간, 발포 폼, 셀, 차음, 완충

Description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FLOOR IMPACT NOISE ISOLATOR/SHOCK-ABSORBER FOR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발포 폼의 발포 구조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발포 폼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수지 발포 폼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지 발포 폼 12 : 초극세사
14 : 공간 20 : 방수 시트
30 : 발포체 31 : 셀막
32 : 셀 35 : 요철
36 : 완충구 40 : 단열재
50 : 보드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 발포 폼을 포함하되,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발포 구조가 초극세사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망상구조로 구성되어, 단열성 및 완충성이 우수함은 물론,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소진(분산)시켜 층간의 소음 차단성 및 완성성이 우수한 층간 차음/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예를 들어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 주택식의 빌라형 건축물, 내부에 많은 임대 사무실을 가지는 빌딩형 건축물, 그리고 아파트, 학교, 병원, 기숙사 등의 공동 집합형 등의 다층 건축물에는 벽면이나 바닥 등에 흡음(차음)재가 설치되고 있다.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이러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하층 사람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재, 그리고 소음을 소진하기 위한 차음재는 건축물의 바닥공사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66993호에는 바닥기초 슬라브 위에 고무재를 깔고, 그 위로 PE발포스폰지를 깔아 상기 고무재와 PE발포스폰지에 의해 차단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차단층인 PE발포스폰지 위로 바닥층(바닥재)을 접착 형성한 바닥충격음 방지 바닥구조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8862호에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재(흡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5 내지 200배의 발포 배율을 가지며, 10 내지 3,000㎛ 직경의 발포 셀을 가지는 열가소성 난연성 발포체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들에서와 같이 소음 방지를 위한 부재로서 수지 발포 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지 발포 폼은 단열의 목적이나 충격 완충의 목적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베이스 수지에 발포제가 첨가되어 발포 제조되고 있는데, 이때 종래의 수지 발포 폼은, 그 발포 구조가 셀(cell) 구조로 이루어져 흡음성(차음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지 발포 폼은, 그 발포 구조가 오픈 셀(open cell)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의 혼용으로 이루어진 셀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셀들은 셀막(cell wall)에 의해 구획된다. 이에 따라,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이나 진동이 셀막에 의해 흡수, 분산(소진)되지 못하여 향상된 흡음성(차음성)을 갖지 못하는 문 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건축물의 층간 차음/완충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지 발포 폼을 포함시켜 구성하되,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발포 구조를 초극세사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망상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소성), 분산(소진)되게 하여 우수한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 발포 폼을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발포 구조가 0.1 ㎛ ~ 20 ㎛ 굵기의 초극세사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망상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지 발포 폼은 2 kg/㎥ ~ 12 kg/㎥의 밀도를 가지는 초경량의 발포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동탄성 계수는 1 MN/㎥ ~ 20 MN/㎥, 바람직하게는 1 MN/㎥ ~ 10 MN/㎥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두께는 20 ㎜ ~ 8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는 적어도 상기의 수지 발포 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을 기재로 하되, 이 기재의 한 면 또는 양면에는 별도의 기능성 부재들이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의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발포 폼의 발포 구조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차음성 및 완충성을 위한 기재로서 수지 발포 폼(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발포 폼(10) 단독으로 구성된 단층구조를 갖거나, 또는 상기 수지 발포 폼(10)을 차음/완충의 기재로 하되, 상기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별도의 기능성 부재가 접합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에 방수 시트(20)가 접합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접합"이란 고형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열, 초음파, 양면 접착테이프 등의 결합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 재(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상호간이 결합되어지되, 맞닿는 모든 면이 결합되거나, 또는 모든 면이 결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지 발포 폼(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그 발포 구조가 초극세사(12)에 의해 형성된 3차원적인 망상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셀막을 가지는 셀 구조와는 달리, 초극세사(12)가 입체적 3차원적인 망상구조로 결집되고, 공간(14)은 차단됨이 없이 모두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초극세사(12)에 의해 형성된 3차원적인 망상구조에 의해 수지 발포 폼(10)은 비체적(㎥/kg)이 넓어지고, 소음 전달 경로가 길어져 우수한 흡음성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단열성 및 완충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수지 발포 폼(10)으로 전달된 소음은 초극세사(12)를 따라 긴 경로로 소성화(小聲化)됨과 동시에 넓은 공간(14)으로 흡수, 분산(소진)되어 특히 충격에 의한 소음이 효과적으로 소진된다. 그리고 넓은 공간(14)으로 충분한 공기가 포집되어 단열성 등이 향상된다.
상기 초극세사(12)의 굵기는 0.1 ㎛ ~ 20 ㎛이다. 이때, 초극세사(12)의 굵기가 0.1 ㎛ 미만으로서 너무 얇은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복원 탄성력이 약하여 완충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20 ㎛를 초과하여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비체적이 작아져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양호한 흡음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초극세사(12)의 굵기는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100 정도를 가지면 좋다.
또한, 상기 수지 발포 폼(10)은 비체적이 양호하도록 2 kg/㎥ ~ 12 kg/㎥의 밀도(벌크 밀도)를 가지는 초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도 범위에서 흡음성, 그리고 기계적 물성과 완충성에서 상호 보완적인 물성을 갖는다. 즉, 밀도가 너무 낮으면 흡음성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이나 완충성에서는 불리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밀도가 너무 높으면 기계적 물성이나 완충성에서 유리할 수 있으나 흡음성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지 발포 폼(10)의 동탄성 계수는 1 MN(메가 뉴튼)/ ㎥ ~ 20 MN/㎥, 바람직하게는 1 MN/㎥ ~ 10 MN/㎥인 것이 좋으며, 손실계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0.03 ~ 0.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동탄성 계수와 손실계수는 KS F 2868에 준하는 표준 KS 규격에 의한 값이다.
상기 수지 발포 폼(10)은 베이스 수지에 적어도 발포제가 포함된 발포성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이때, 발포 배율은 적어도 50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의 발포 배율을 갖는다. 상기 수지 발포 폼(10)의 재료로 사용되는 발포성 수지에는 인계, 할로겐계 등의 난연제, 색상안료, 충전제로서의 무기물 그리고 분산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기타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이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수지 단독이거나, 또는 멜라민 수지에 다른 수지를 혼합 것,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에 페놀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의 수지를 혼합한 멜라민 혼합 수지가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발포 폼(10)은 상기 나열한 수지를 재질로 한 것으로서,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및 멜라민 혼합 발포 폼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멜라민 혼합 발포 폼은 멜라민 수지에 다른 수지가 혼합되어 발포된 것, 구체적으로 멜라민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페놀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5~100중량부가 혼합되어 발포된 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멜라민은 3차원 망상구조의 형성이 자유로우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다. 또한, 열전도율이 0.036kca/mh℃ 이하로서 우수한 단열성 및 난연 방염성을 가지며, 150~180℃의 높은 온도 범위에서도 연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내열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발포제는, 위와 같은 베이스 수지를 발포시켜 3차원적인 망상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지드 등의 술포닐하이드라지드,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이소프틸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니트로소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발포제 중탄산나트륨, 중탄산 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 발포제 그리고 물, 이산화탄소, 불황성 가스(질소, 공기, 헬륨, 네온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를 보인 것으로,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윗면)에 방수 시트(20)가 접합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방수 시트(20)는 수지 발포 폼(10)의 상하 양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시트(20)는 방수성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액체 불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부직포에 합성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되어 방수성을 가지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수 시트(20) 대신에 종이, 철판, 양면 점착 필름이 접합되거나, 또는 점착제가 코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의 층구조를 보여준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라서,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셀(32)을 가지는 셀 발포체(30)가 더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셀 발포체(30)는 발포 구조가 3차원적인 망상구조를 가지는 상기 수지 발포 폼(10)과는 달리 셀막(31)과 셀(32)을 가지는 합성수지 발포체이다. 이때, 상기 셀 발포체(30)는 3배 이상의 발포 배율,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200배의 발포 배율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여기에 형성된 상기 셀(32)은 오픈 셀(open cell)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셀 발포체(30)는 흡음성, 단열 성, 충격 완충성, 그리고 제품의 기계적 물성 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합성수지 발포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상기의 셀 발포체(30)가 더 접합된 구조를 가지되, 상기 셀 발포체(30)는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된 요철(35)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요철(35)이 하향 돌출되어, 그의 말단이 수지 발포 폼(10)에 접합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요철(35)은 이들 사이에 완충구(36)가 마련되게 하여 충격 완충성 및 단열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셀 발포체(30)가 접합되고, 상기 셀 발포체(30)의 표면에 방수 시트(20)가 더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셀 발포체(30)에 요철(35)이 더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단열재(40)가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40)는 단열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단열재(40)는 시트 상의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글라스울, 락울, 미네랄울 및 부직포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층 간 차음/완충재(100)는 수지 발포 폼(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보드(50)가 접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드(50)는 강도를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보드(50)는 플라스틱 보드, 무기물 모드(석고 보드 등), 목재 합판, 목분 압착 보드, 목분과 무기물의 혼합 보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드(50)는 육각형 단위(55)가 집합된 벌집 형태 등의 허니컴 보드를 포함한다. 도 8에는 허니컴 보드(50)가 접합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적어도 3차원 망상구조의 수지 발포 폼(10)을 가지는 구조로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지 발포 폼(10)이 2층 이상으로 포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이상에서 설명한 층구조가 2회 이상 반복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보인 층구조가 2회 반복하여 접합된 층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요철(35)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셀 발포체(30)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요철(35)는 파형(wave type), 각형 등의 형태로서 방수 시트(20), 단열재(40), 보드(50) 그리고 수지 발포 폼(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차음/완충재(100)는 건축물의 벽면, 천정, 바닥 등에 차음과 완충을 목적으로 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건축물의 층간 차음/완충을 위해 건축물의 바닥시공 자재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때, 바닥시공 자재로 사용 시, 상기 수지 발포 폼(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15㎜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20 ㎜ ~ 8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비체적의 증가로 충격 소음에 대한 흡수, 분산(수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나, 너무 두꺼우면 시공 상의 제약이 따를 수 있고 그 이상의 상승된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5]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멜라민 발포 폼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도 10에 나타내었다. 이때, 초극세사의 평균 굵기는 5 ㎛ ~ 7 ㎛ 범위였으며, 발포 폼의 밀도는 7 kg/㎥였다. 그리고 발포 배율은 3,000%, 발포 폼의 동탄성 계수는 개별측정으로 3.03MN/㎥, 손실계수는 0.05이였다.
< 바닥 충격음 저감 측정 >
상기 멜라민 발포 폼에 대해 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멜라민 발포 폼의 시편은 20㎜(실시예 1), 25㎜(실시예 2), 50㎜(실시예 3), 60㎜(실시예 4 ; 50㎜의 멜라민 발포 폼 양면에 5㎜의 PVC 발포체를 접합한 적층구조)로 하였으며, 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 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C) = 맨슬라브시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A) - 발포 폼 시공후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B)
위 식에서, 맨슬라브시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A)은 콘크리트 기반 위에 발포 폼의 시편을 적층하지 않고 KSF 2810-2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고, 발포 폼 시공 후 바닥충격음 측정 단일값(B)은 콘크리트 기반 위에 각 실시예의 발포 폼의 시편을 적층한 상태에서 KSF 2810-2 측정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비교예 1]
종래의 셀 구조로서 5배(500%)의 발포 배율을 PVC 발포 폼을 본 비교예의 시편으로 적용하였다. 본 비교예의 시편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11에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에 따른 시편의 두께는 50㎜, 밀도는 32 kg/㎥, 동탄성 계수는 31 MN/㎥, 손실계수는 0.18였다. 그리고 본 비교예의 시편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 고 폼의 두께 A B C(=A-B)
실시예 1 20㎜ 49 dB 48 dB 1 dB
실시예 2 25㎜ 49 dB 47 dB 2 dB
실시예 3 50㎜ 49 dB 42 dB 7 dB
실시예 4 60㎜(적층구조) 49 dB 38 dB 11 dB
비교예 1 50㎜ 49 dB 48 dB 1 dB
도 10 및 도 11에 비교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폼(도 10)과 종래의 비교예에 따른 발포 폼(도 11)은 발포 구조에 있어서 현저히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구조(도 11)의 종래의 발포 폼(비교예)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서 초극세사에 의한 3차원 망상구조(도 10)를 가지는 발포 폼(실시예)의 경우 비체적 및 소음 전달 경로가 증가되어 충격에 의한 소음 차단성(중량 충격음 단일값 저감량)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결과로부터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 차단성이 보다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극세사에 의한 3차원 망상구조에 의해 비체적 및 소음 전달 경로가 증가되어 특히 충격에 의해 발생된 소음과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소진)되어 우수한 차음성과 완충성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1)

  1. 수지 발포 폼을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발포 구조가 0.1 ㎛ ~ 20 ㎛ 굵기의 초극세사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망상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밀도는 2 kg/㎥ ~ 12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동탄성 계수는 1 MN/㎥ ~ 10 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발포 배율이 1,000 % ~ 5,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두께는 20 ㎜ ~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재질이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우레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멜라민 혼합 수지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수지 발포 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방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수지 발포 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셀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수지 발포 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셀 발포체와, 상기 셀 발포체의 표면에 접합된 방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수지 발포 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차음/완충재는, 상기 수지 발포 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합된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발포체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발포체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발포체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발포체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발포체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발포체에 형성된 셀은 오픈 셀(open cell)과 밀폐 셀(closed cel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글라스울, 락울, 미네랄울 및 부직포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플라스틱 보드, 무기질 모드, 목재 합판, 목분 압착 보드, 및 목분과 무기물의 혼합 보드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허니컴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2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20060080069A 2006-08-23 2006-08-23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132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69A KR101324293B1 (ko) 2006-08-23 2006-08-23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69A KR101324293B1 (ko) 2006-08-23 2006-08-23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763U Division KR200431428Y1 (ko) 2006-08-24 2006-08-24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30A true KR20080018030A (ko) 2008-02-27
KR101324293B1 KR101324293B1 (ko) 2013-11-01

Family

ID=3938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069A KR101324293B1 (ko) 2006-08-23 2006-08-23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2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833A3 (ko) * 2008-12-04 2010-09-10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재의 제조방법
WO2013125782A1 (ko) * 2012-02-24 2013-08-29 (주)엘지하우시스 강화 페놀 폼 보드
WO2014088222A1 (ko) * 2012-12-06 2014-06-12 (주)엘지하우시스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체로 이루어진 진공단열재용 심재와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55302B1 (ko) 2021-10-25 2022-10-18 배정주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차음용 흡음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74694A (en) * 1993-10-15 1995-05-04 Hoover Universal Inc. Composite fiber material member utilizing reclaimed plastic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4833A3 (ko) * 2008-12-04 2010-09-10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재의 제조방법
WO2013125782A1 (ko) * 2012-02-24 2013-08-29 (주)엘지하우시스 강화 페놀 폼 보드
WO2014088222A1 (ko) * 2012-12-06 2014-06-12 (주)엘지하우시스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체로 이루어진 진공단열재용 심재와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685B1 (ko) * 2012-12-06 2015-05-20 (주)엘지하우시스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체로 이루어진 진공단열재용 심재와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55302B1 (ko) 2021-10-25 2022-10-18 배정주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차음용 흡음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293B1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641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195787B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0773156B1 (ko) 건축용 차음재
KR101133056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324293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IL160806A (en) Soundproofing and thermally insulating structural element
KR200431428Y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TWI585273B (zh) 防音構造以及其施工方法
KR100860061B1 (ko) 소음차단제
KR20060086543A (ko) 소음 방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82999Y1 (ko) 소음 방지재
KR200431427Y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1302282B1 (ko) 차음재
KR20090010378U (ko) 차음재
KR20090121087A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0325813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102139231B1 (ko) 멀티기능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멀티기능형 실내장식용 패널
KR20080074318A (ko)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흡음재
KR100545877B1 (ko) 건축물 층간바닥 저소음 단열 차음 방진재
KR200324848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20100000224U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302304B1 (ko) 시공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KR20220028538A (ko) 흡음 및 차음 기능형 건축용 패널
KR101302290B1 (ko)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