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018A -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018A
KR20080018018A KR1020060080043A KR20060080043A KR20080018018A KR 20080018018 A KR20080018018 A KR 20080018018A KR 1020060080043 A KR1020060080043 A KR 1020060080043A KR 20060080043 A KR20060080043 A KR 20060080043A KR 20080018018 A KR20080018018 A KR 2008001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ody
load
passenger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8018A/ko
Publication of KR2008001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strai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트랙에 고정되고 두께가 폭에 비해 작은 센서 바디와,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하중이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하중집중유도 브래킷과, 상기 센서 바디의 타측면에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과 대향되도록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미세 유동이 거의 없고, 상기 센서 바디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에 의해 스트레인 게이지에 집중될 수 있어 오차가 거의 없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충돌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한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승객, 승객감지,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시트, 시트 트랙

Description

차량의 승객감지장치{PASSENGER'S CLASS SETTING SENSING APPARATUS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중 센서 바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중 센서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시트 트랙 4 : 볼트
10 : 센서 바디 10a: 볼트 홀
10b: 하중 집중 홈 10c: 보스
10d: 가이드 홀 20 :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
30 : 스트레인 게이지 40 : 상부 브래킷
42 : 하부 브래킷 50 : 상부 댐퍼
52 : 하부 댐퍼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서 바디가 낮고 넓게 형성되되, 상기 센서 바디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이 구비된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사고시 쿠션 작용을 이용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로서, 에어백이 설치된다.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백으로는 운전석에 승차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운전석용 에어백(DAB)과, 조수석에 승차한 조수석 승객을 보하기 위하여 조수석 앞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조수석용 에어백(PAB)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은 고압의 전개 가스에 의해 순간적으로 부풀기 때문에 그 전개압이 과하면 오히려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바, 신체 조건에 따른 승객 유형에 따라 적정 전개압으로 전개되어 다양한 신체 조건의 승객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도록 승객감지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는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트랙(100)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는 승객 감지 센서(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객 감지 센서(110)는 상하방향으로 길고 폭이 좁은 수직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승객 감지 센서(110)에는 상기 시트 트랙(100)에 직접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112)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는 상기 승객 감지 센서(110)가 수직 구조이기 때문에 불안정하여 미세하게나마 흔들리기 때문에 유동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되어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충돌 안정성이 낮으며,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센서 바디가 낮고 넓게 형성되되, 상기 센서 바디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이 구비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에 의해 하중이 집중될 수 있어 오차가 거의 없는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는 시트 트랙에 고정되고, 두께가 폭에 비해 작은 센서 바디와;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하중이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하중집중유도 브래킷과; 상기 센서 바디의 타측면에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과 대향되도록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바디의 상,하측에는 각각 상기 시트 트랙에 결합되기 위한 상.하부 브래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바디의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 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바디에는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이 구비되는 일측면에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이 끼워질 수 있는 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바디와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에는 각각 상호 합치될 수 있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중 센서 바디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중 센서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는 시트 트랙(2)에 고정되는 센서 바디(10)와, 상기 센서 바디(10)의 상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바디(10)에 전달되는 하중이 한 곳에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하중집중유도 브래킷(20)과, 상기 센서 바디(10)에 가해진 하중을 센싱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바디(10)의 하측면에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20)과 상하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 바디(10)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도록 상하방향으로 그 두께(10T)는 낮음은 물론, 상기 센서 바디(10)의 두께(10T)가 상기 센서 바디(10)의 전후방향의 폭(10L) 및 좌우방향의 폭(10W)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작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센서 바디(10)는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성되는 것은 물론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센서 바디(10)에는 상기 시트 트랙(2)과의 체결을 위해 여러 유형의 체결부재 중 하나인 볼트(4)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 홀(10a)이 형성된다. 상기한 센서 바디(10)의 중앙에는 상기 센서 바디(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상하로 개구된 하중 집중 홈(10b)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바디(10)의 하중 집중 홈(10b)에는 그 중앙에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20)이 견실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보스(10c)가 상기 센서 바디(10)의 상측 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센서 바디(10)의 보스(10c)의 중앙에는 상기 센서 바디(10)의 조립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홀(10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바디(10)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30)의 센싱 결과가 차량의 전자제어유닛(32)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제어유닛(32)과 커넥터(34)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20)은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은, 물론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집중 유도 브래킷(20)은 상기 센서 바디(10)의 하중 집중 홈(10b)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센서 바디(10)의 하중 집중 홈(10b)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하중 집중 유도 브래킷(20)의 중앙에는 상기 센서 바디(10)의 보스(10c)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보스 홀(20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 바디(10)의 상,하측에는 각각 상기 시트 트랙(2)에 결합되기 위한 상,하부 브래킷(40)(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브래킷(40)(42)에는 각각 상기 센서 바디(10)의 볼트 홀(10a)과 상하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볼트 홀(40a)(42a)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브래킷(40)(42)에는 각각 상기 센서 바디(10)와의 조립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바디(10)의 가이드 홀(10d)과 상하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가이드 홀(40b)(4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 바디(10)의 상,하측에는 각각 상기 센서 바디(10)의 완충을 위해 상,하부 댐퍼(50)(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50)는 상기 센서 바디(10)와 상부 브래킷(4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 댐퍼(52)는 상기 센서 바디(10)와 하부 브래킷(4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상,하부 댐퍼(50)(52)에는 각각 상기 센서 바디(10)의 볼트 홀(10a)과 상하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볼트 홀(50a)(52a)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댐퍼(50)(52)에는 각각 상기 센서 바디(10)와의 조립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바디(10)의 가이드 홀(10d)과 상하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가이드 홀(50b)(52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는 하중을 받으면, 상기 차량의 승객감지장치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20)에 의해 상기 센서 바디(10)의 중앙에 집중되고, 상기 센서 바디(10)의 중앙에 집중된 하중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30)에 의해 센싱되게 함으로써, 승객 착석 여부 및 착석한 승객의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차량의 승객감지장치는 센서 바디가 낮고 넓게 형성되되, 상기 센서 바디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이 구비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미세 유동이 거의 없고, 상기 센서 바디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에 의해 스트레인 게이지에 집중될 수 있어 오차가 거의 없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충돌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시트 트랙에 고정되고, 두께가 폭에 비해 작은 센서 바디와;
    상기 센서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하중이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하중집중유도 브래킷과;
    상기 센서 바디의 타측면에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과 대향되도록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의 상,하측에는 각각 상기 시트 트랙에 결합되기 위한 상.하부 브래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의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 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에는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이 구비되는 일측면에 상기 하중집중 유도 브래킷이 끼워질 수 있는 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에는 상기 센서 바디의 조립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KR1020060080043A 2006-08-23 2006-08-23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KR20080018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43A KR20080018018A (ko) 2006-08-23 2006-08-23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043A KR20080018018A (ko) 2006-08-23 2006-08-23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18A true KR20080018018A (ko) 2008-02-27

Family

ID=3938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043A KR20080018018A (ko) 2006-08-23 2006-08-23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80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2968A (zh) * 2011-11-21 2013-05-2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带减振的附件安装结构
US9630583B2 (en) 2014-10-16 2017-04-25 Hyundai Mobis Co., Ltd.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including bidirectional error moment absorptio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2968A (zh) * 2011-11-21 2013-05-2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带减振的附件安装结构
US9630583B2 (en) 2014-10-16 2017-04-25 Hyundai Mobis Co., Ltd. Passenger identification device including bidirectional error moment absorp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480B2 (en) Roof airbag apparatus with airbag door having limited opening angle
US7695008B2 (en) Sensor setup structure
JP6636130B2 (ja) 自動二輪車
US20050150313A1 (en) Sensor assembly for measuring weight applied to a vehicle seat
KR20100028309A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치
KR920004211A (ko) 차량의 충돌센서 장착구조
JP2007314055A (ja) 車両用衝突物体判別装置
KR20080018018A (ko)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EP3546298A1 (en) Knee-airbag-device attachment structure for a vehicle, a protection system, a vehicle and a method of arranging a knee-airbag-device
JP2005238990A (ja) 加速度センサの取付構造
JP3440904B2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KR20080055006A (ko) 차량의 배플기구
JP3406356B2 (ja) 車両の衝突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JPH09315264A (ja) 車両の側面衝突検出センサの取付構造
KR100337550B1 (ko) 고정 거리 조정 브라켓을 구비한 에어 백
KR100510413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3517059B2 (ja) 車両用衝突検出センサの取付装置
JPH0495548A (ja) 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KR101294949B1 (ko) 에어백
KR100187820B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에어백
KR200141882Y1 (ko) 자동차용 시트 에어백 장착구조
KR19980036367U (ko) 차량용 도어보강장치
KR100537311B1 (ko) 자동차의 무릎보호장치
KR980007675U (ko) 에어백용 에스디엠(sdm)의 가이딩식 고정구조
JP2008168901A (ja) 自動車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