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745A - 지폐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745A
KR20080015745A KR1020070081803A KR20070081803A KR20080015745A KR 20080015745 A KR20080015745 A KR 20080015745A KR 1020070081803 A KR1020070081803 A KR 1020070081803A KR 20070081803 A KR20070081803 A KR 20070081803A KR 20080015745 A KR20080015745 A KR 2008001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pping
banknote
accommodation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이토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65H2301/4191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놓여진 지폐를 수취하기 위한 호핑부(hopping part)(101); 호핑부(101)에 의해 수취되는 지폐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202); 운반부(202)에 의해 운반되는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부(104); 호핑부(101)로부터 수취되는 지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201); 호핑부(101)로부터 수취되는 지폐를 수용하고(accommodates), 수용된 지폐를 방출할 수 있는 수용/방출부(103)(placing and running out part); 및 호핑부(101), 운반부(202), 복수의 적재부(104), 식별부(201) 및 수용/방출부(103)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부(300)는 식별부(201)의 식별 결과에 따라 복수의 적재부(104) 중에서 목적지 적재부(destination stacking part)를 결정하도록 호핑부(101), 운반부(202), 복수의 적재부(104), 식별부(201) 및 수용/방출부(103)를 제어하고, 지폐가 결정된 목적지 적재부에 적재될 수 없는 경우, 제어부(300)는 지폐를 수용/방출부(103)로 운반하도록 호핑부(101), 운반부(202), 복수의 적재부(104), 식별부(201) 및 수용/방출부(103)를 제어한다.
지폐 처리 장치, 디노미네이션, 지폐 적재, 위조 지폐, 거래 코드

Description

지폐 처리 장치{BIL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적재부를 갖고, 복수의 디노미네이션(denominations)이 혼재하는 지폐를 정렬하고, 지폐를 소정의 적재부로 운반하며 지폐의 총량을 카운팅하는 지폐 처리 장치, 보다 특히 지폐가 목적지 적재부에 적재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지폐를 유지할 수 있는 지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은행 업무 시스템 등은, 대량의 지폐가 진짜 지폐인지 또는 위조 지폐(counterfeit bills)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각각의 디노미네이션으로 지폐를 분류하고, 지폐를 카운팅하고, 지폐를 다발로 묶는 지폐 처리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는 복수의 디노미네이션의 지폐를 정렬하여 소정의 적재부로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적재부의 수 또는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5-165806호는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5-165806호에 기재된 지폐 처리 장치에 따르면, 호 퍼(11)에 놓여진 지폐가 순차적으로 수취되고, 이들 지폐는 각각의 디노미네이션의 적재기(121 내지 123)로 운반되고, 하나의 적재기가 지폐로 가득 차는 경우, 지폐 처리 장치는 자동적으로 일시 정지하고(단계(S23))), 오퍼레이터는 가득 찬 적재기를 제거하고(단계(S24)), 지폐 처리 장치를 재개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는 "시작/정지" 키(241)를 푸시한다(단계(S25))(단락 [0026] 및 도6 참조). 지폐가 운반된 이후에(단계(S10)) 지폐가 카운팅된다(단계(S11)).
그러나, 적재부의 수 또는 용량이 증가하는 경우, 지폐 처리 장치의 크기가 증가하고, 지폐 처리 장치의 생산 비용 및 설치 비용도 증가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5-165806호에 기재된 지폐 처리 장치의 경우, 적재기 중 하나가 지폐로 가득 차면, 다른 적재기가 지폐로 가득 차지 않은 경우에도 지폐 처리 장치는 일시 정지한다. 따라서, 처리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부의 수 또는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적재기 중 하나 또는 일부가 지폐로 가득 차는 경우에도 정지하지 않는 지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놓여진 지폐를 수취하기 위한 호핑부; 호핑부에 의해 수취되는 지폐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 운반부에 의해 운반되는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부; 호핑부로부터 수취되는 지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 호핑부로부터 수취되는 지폐를 수용하고, 수용되는 지폐를 방출할 수 있는 수용/방출부; 및 호핑부, 운반부, 복수의 적재부, 식별부 및 수용/방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제어부는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복수의 적재부 중에서 목적지 적재부를 결정하도록 호핑부, 운반부, 복수의 적재부, 식별부 및 수용/방출부를 제어하고, 지폐가 결정된 목적지 적재부에 적재될 수 없는 경우, 제어부는 지폐를 수용/방출부로 운반하도록 호핑부, 운반부, 복수의 적재부, 식별부 및 수용/방출부를 제어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지폐 처리 장치에 따르면, 적재부가 지폐-적재가능 상태 또는 지폐-적재불가능 상태에 있다는 사실에 관계없이,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으면서, 호핑부에 놓여진 지폐는 지폐 처리 장치에 수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래 코드, 수용/방출부에 수용된 지폐의 디노미네이션 및 수용/방출부에 수용된 지폐의 목적지 적재부를 포함하는 수용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수용/방출부로부터 지폐가 방출되는 경우 이러한 수용 정보가 참조되기 때문에, 지폐를 다시 식별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처리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예이고,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지폐 처리 장치는 호핑부(101), 반환부(rejecting part)(102), 수용/방출부(103), 적재부(104), 경보부(105) 및 동작/표시부(106)를 포함한다. 적재부(104)의 수 및 경보부(105)의 수는 2 또는 그 이상이다.
호핑부(101)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폐 처리 장치로 놓여진 지폐를 수취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반환부(102)는 호핑부(101)에 의해 수취되는 지폐를 반환(거부)하기 위한 메 커니즘을 갖는다.
수용/방출부(103)는, 호핑부(101)에 의해 수취되는 지폐를 수용하기 위한 메커니즘, 및 수용 지폐를 적재부(104)로 방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각 적재부(104)는 호핑부(101)에 의해 수취되는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적재부(104)에 대응하여 경보부(105)가 제공되고, 각 경보부(105)는 문자, 소리 또는 빛을 출력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동작/표시부(106)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키, 및 오퍼레이터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을 갖는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지폐 처리 장치는 식별부(201) 및 운반부(202)를 포함한다.
식별부(201)는 호핑부(101)로부터 수취되는 지폐의 "진짜 지폐 또는 위조 지폐" 여부 및 "디노미네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운반부(202)는 호핑부(101), 반환부(102), 수용/방출부(103)와 적재부(104) 사이에 지폐를 운반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또한, 운반부(202)는 복수의 적재부(104)의 각각으로 운반되는 지폐의 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메커니즘도 갖는다.
수용/방출부(103)는 벨트(203), 회전 샤프트(204) 및 2개의 벨트 공급부(205)를 포함한다.
벨트(203)는 2개의 벨트 공급부(205) 둘레에 감겨진다. 2개의 벨트 공급 부(205)는, 벨트(203)가 공급되는 방향으로(도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벨트 공급부(205)로부터 공급되는 벨트(203)에 운반부(202)에 의해 운반되는 지폐가 샌드위치되고, 그 결과 순차적으로 지폐를 수용하게 된다. 2개의 벨트 공급부(205)는, 벨트(203)가 감겨지는 방향으로(도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수용된 지폐를 순차적으로 방출하게 된다. 방출 지폐의 순서는 수용 지폐의 순서와 상반된다.
도3은 호핑부(101), 수용/방출부(103), 적재부(104), 경보부(105), 동작/표시부(106), 식별부(201) 및 운반부(202)를 제어하는 제어부(300)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300)는 호핑부(101), 수용/방출부(103), 적재부(104), 경보부(105), 동작/표시부(106), 식별부(201) 및 운반부(202)로 동작 명령을 제공한다. 호핑부(101), 수용/방출부(103), 적재부(104), 경보부(105), 동작/표시부(106), 식별부(201) 및 운반부(202)는 제어부(300)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부(300)는 결정 수단(301), 허용 수단(302), 메모리 제어 수단(303) 및 메모리(304)를 포함한다.
결정 수단(301)은, 식별부(201)에 의해 식별된 식별 결과 또는 메모리(304)에 저장된 지폐 정보에 기초하여, 적재부(104) 중에서 목적지 적재부를 결정한다.
허용 수단(302)은 결정 수단(301)에 의해 결정된 목적지 적재부에 지폐가 적재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메모리 제어 수단(303)은 메모리(304)로부터/로 정보를 판독/기록한다.
메모리(304)에는 거래 정보(transaction information)(401), 수용 정보(accommodation information)(402) 및 적재부 정보(403)가 저장된다.
도4는 메모리(304)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거래 정보(401)는, 각각의 거래에 고유하게 대응하는 거래 코드, 및 각 거래 코드의 총량(호핑부(101)에 의해 수취되는 진짜 지폐의 총량)을 포함한다.
수용 정보(402)는, 거래 코드, 수용/방출부(103)에 수용된 지폐의 디노미네이션, 및 수용/방출부(103)에 수용된 지폐의 목적지 적재부를 포함한다. 수용 정보 세트(402)는, 수용 정보 세트(402)가 수용/방출부(103)에 수용되는 순서로 저장되고, 방출 지폐의 정보 세트는 삭제된다. 도4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지폐는 1만엔 지폐, 2천엔 지폐, 1천엔 지폐 및 5천엔 지폐 순으로 수용된다. 수용 지폐는 역순으로 방출된다. 그러므로, 먼저 5천엔 지폐가 적재부(b)로 방출된다.
적재부 정보(403)는 적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적재부의 적재 조건을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지폐의 수가 FULL(적재부의 최대 적재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적재부(a)는 지폐를 적재할 수 없고, 지폐의 수가 200(사전설정된 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적재부(b)는 지폐를 적재할 수 없고, 지폐의 수가 500(사전설정된 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적재부(c)는 지폐를 적재할 수 없고, 지폐의 수가 1,000(사전설정된 수)에 도달하는 경우에 적재부(d)는 지폐를 적재할 수 없다.
도5는 호핑부(101)에 놓여진 지폐가 적재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어부(30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호핑부(101)에 대한 제어가 시작되고, 놓여진 지폐가 수취된다(단 계(S501)).
다음에, 운반부(202)에 대한 제어가 시작되고, 지폐가 소정의 목적지로 운반된다(단계(S502)).
그런 다음, 수취된 지폐의 디노미네이션을 구별하고, 지폐가 진짜 지폐인지 또는 위조 지폐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식별부(201)가 제어된다(단계(S503)).
그런 다음, 식별부(201)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지폐가 진짜 지폐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504)).
단계(S501) 내지 단계(S504)의 처리 동작은 호핑부(101), 운반부(202) 및 식별부(201)에 대한 제어를 중단하지 않으면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지폐가 진짜 지폐가 아닌 경우에는(단계(S504) : 아니오), 지폐는 반환부(102)로 운반된다(단계(S505)).
그런 다음,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513)).
한편, 지폐가 진짜 지폐인 경우에는(단계(S504) : 예), 거래 정보(401)가 메모리(304)에 저장된다(단계(S506)).
동일한 거래 코드를 갖는 또다른 거래 정보(401)가 메모리(304)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거래 정보가 갱신된다. 그런 다음, 식별부(201)의 식별 결과에 따라 목적지 적재부가 결정된다(단계(S507)).
그런 다음,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를 적재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508)). 이 판정은, 운반부(202)에 의해 카운팅되는 복수의 적재부(104)의 각각에 적재된 지폐의 수를 획득하고, 메모리(304)에 저장된 적재부 정보(403)에 대해 그 지폐의 수를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적재부가 더 이상 지폐를 적재할 수 없는 상태(이하, "지폐-적재불가능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적재된 지폐가 다발로 묶여 적재부로부터 제거되면, 지폐-적재불가능 상태는 해제된다.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를 적재할 수 있는 경우에는(단계(S508) : 예), 지폐는 목적지 적재부로 운반된다(단계(S509)).
그런 다음,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513)).
한편,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를 적재할 수 없는 경우에는(단계(S508) : 아니오), 지폐를 적재할 수 없는 적재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도록 경보부(105)가 제어된다(단계(S510)).
그런 다음, 수용/방출부(103)로 지폐를 운반하도록 운반부(202)가 제어된다(단계(S511)).
다음에, 메모리(304)에 수용 정보(402)가 저장된다(단계(S512)).
그런 다음,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513)).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513) : 예), 호핑부(101)를 정지시키지 않으면서 단계(S501) 내지 단계(S512)의 처리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호핑부(101)에 지폐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513) : 아니오), 호핑부(101)에 대한 제어가 중단된다(단계(S514)).
그런 다음, 운반부(202)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515)).
운반부(202)에 지폐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515) : 예), 운반부(202)를 정지시키지 않으면서 단계(S503) 내지 단계(S512)의 처리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운반부(202)에 지폐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515) : 아니오), 운반부(202)에 대한 제어가 중단되고(단계(S516)), 도5의 흐름이 종료된다.
도6은 수용/방출부(103)에 수용된 지폐가 방출되는 경우의 제어부(30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모든 적재부(104)가 지폐를 적재할 수 있는 상태(이하, "지폐-적재가능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601)). 지폐-적재불가능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단계(S601) : 아니오), 제어부(300)는, 이러한 적재부가 지폐-적재가능 상태로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한다.
모든 적재부가 지폐-적재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단계(S601) : 예), 경보 동작을 해제하도록 경보부(105)가 제어된다(단계(S602)).
그런 다음, 수용/방출부(103) 및 운반부(202)에 대한 제어가 시작된다(단계(S603)). 이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 순서와 반대 순서로 지폐가 방출된다(즉, 최종 수용되는 지폐가 먼저 방출된다).
다음에, 메모리(304)에 저장된 수용 정보 세트(402)가 참조된다(단계(S604)).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순서와 반대 순서로 수용 정보 세트(402)가 참조된다(즉, 수용 정보 세트(402)가 저장되는 메모리(304)의 영역이 FIFO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수용 정보(402)에 포함되는 목적지 적재부에 따라 목적지 적재부가 결정된다(단계(S605)).
그런 다음,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를 적재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 계(S606)). 이 판정은 도5에 도시된 단계(S508)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적재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단계(S606) : 아니오), 통지 동작을 재개하도록 경보부(105)가 제어된다(단계(S607)).
그런 다음, 수용/방출부(103) 및 운반부(202)에 대한 제어가 중단되고(단계(S608)), 절차는 단계(S601)로 복귀한다.
한편,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적재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단계(S606) : 예), 지폐는 목적지 적재부로 운반된다(단계(S609)).
그런 다음, 수용/방출부(103)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610)).
수용/방출부(103)에 지폐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610) : 예), 절차는 단계(S604)로 복귀한다.
한편, 수용/방출부(103)에 지폐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610) : 아니오), 수용/방출부(103)에 대한 제어가 중단된다(단계(S611)).
그런 다음, 운반부(202)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612)).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운반부(202)가 비게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하고(단계(S612) : 아니오), 운반부(202)에 대한 제어가 중단되고(단계(S613), 도6에 도시된 흐름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104)가 지폐-적재불가능 상태로 되는 경우, 적재될 수 없는 지폐는 수용/방출부(103)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적재부(104)가 지폐-적재가능 상태 또는 지폐-적재불가능 상태에 있다는 사 실에 관계없이,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으면서, 호핑부(101)에 놓여진 지폐는 지폐 처리 장치에 수취될 수 있고, 처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복수의 적재부(104) 중 지폐-적재가능 상태에 있는 적재부(104)로 운반되려는 지폐는 적재부(104)로 운반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적재부(104) 중 하나가 지폐-적재불가능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처리 효율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메모리(304)에 수용 정보(402)가 저장되며 수용/방출부(103)로부터 지폐가 방출되는 경우, 수용 정보(402)가 참조된다. 그러므로, 지폐를 다시 식별할(단계(S503)) 필요가 없고, 따라서 처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지폐가 적재부(104)에 적재되기 이전에, 거래 정보(401)가 저장 또는 갱신된다. 그러므로, 지폐가 적재부(104)에 적재되기 이전에, 거래 정보(401)(거래의 총량)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부가하여, 호핑부(101)에서의 지폐의 수취 처리가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어부(30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모든 적재부(104)가 지폐-적재가능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701)).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104)가 지폐-적재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단계(S701) : 아니오),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702)).
그런 다음,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702) : 예), 절차는 도5에 도시된 단계(S501)로 시프트된다.
한편, 호핑부(101)에 지폐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702) : 아니오), 절차는 단계(S701)로 복귀한다.
모든 적재부(104)가 지폐-적재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단계(S701) : 예), 단계(S602) 내지 단계(S603)와 동일한 처리 동작이 수행된다. 그런 다음,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703)).
호핑부(101)에 지폐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703) : 예), 수용/방출부(103) 및 운반부(202)에 대한 제어가 중단되고(단계(S704)), 절차는 도5에 도시된 단계(S501)로 시프트된다.
한편, 호핑부(101)에 지폐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703) : 아니오), 도6에 도시된 단계(S604) 내지 단계(S608)의 처리 동작이 수행된다. 그런 다음, 수용/방출부(103)에 지폐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705)).
수용/방출부(103)에 지폐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705) : 예), 절차는 단계(S703)로 복귀한다. 수용/방출부(103)에 지폐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705) : 아니오), 도6에 도시된 단계(S610) 내지 단계(S613)의 처리 동작이 수행되고, 도7에 도시된 흐름이 종료된다.
실시예 2에 따르면, 호핑부(101)로부터 지폐를 우선적으로 수취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3은 제어부(300)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도4는 메모리(304)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어부(30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6은 수용/방출부(103)에 수용된 지폐가 방출되는 경우의 제어부(30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어부(300)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호핑부 102: 반환부
103: 수용/방출부 104: 적재부
105: 경보부 106: 동작/표시부
201: 식별부 202: 운반부
203: 벨트 204: 회전 샤프트
205: 벨트 공급부 300: 제어부
304: 메모리

Claims (12)

  1. 놓여진 지폐를 수취하기 위한 호핑부(hopping part);
    상기 호핑부에 의해 수취되는 지폐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의해 운반되는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복수의 적재부;
    상기 호핑부로부터 수취되는 지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
    상기 호핑부로부터 수취되는 지폐를 수용하고(accommodates), 수용되는 상기 지폐를 방출할 수 있는 수용/방출부(placing and running out part); 및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수용/방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적재부 중에서 목적지 적재부(destination stacking part)를 결정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수용/방출부를 제어하고, 결정된 상기 목적지 적재부에 지폐가 적재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지폐를 상기 수용/방출부로 운반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수용/방출부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방출부는 벨트, 상기 벨트의 일단에 연결된 회전 샤프트 및 상기 벨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벨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상기 벨트 공급부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폐는 샌드위치되고, 상기 벨트가 상기 벨트 공급부에 의해 감겨지는 방향으로 상기 벨트 공급부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폐는 방출되는
    지폐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방출부에 수용되는 지폐에 관한 수용 정보(accommodation information)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수용/방출부로 지폐가 운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수용 정보를 저장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상기 수용/방출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고, 상기 수용/방출부로부터 지폐가 방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수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부 중에서 목적지 적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상기 수용/방출부 및 상 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거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거래 정보에 따라 상기 호핑부에 의해 수취되는 지폐의 총량을 판정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상기 수용/방출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지폐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 지폐가 적재될 수 있다고 판정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수용/방출부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될 수 있는 지폐의 수인
    지폐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를 적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경보부
    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를 적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실을 상기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도록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문자, 소리 또는 빛을 이용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지폐 처리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부를 제어한 이후에 상기 호핑부에 지폐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놓여진 상기 지폐를 수취하도록 상기 호핑부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부를 제어한 이후에 상기 목적지 적재부가 지폐를 적재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방출부에 의해 방출되는 지폐가 상기 목적지 적재부로 운반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수용/방출부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핑부 및 상기 수용/방출부에 지폐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놓여진 상기 지폐를 수취하도록 상기 호핑부를 우선적으로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용/방출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핑부에 지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상기 호핑부, 상기 운반부, 상기 복수의 적재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수용/방출부를 제어하는
    지폐 처리 장치.
KR1020070081803A 2006-08-16 2007-08-14 지폐 처리 장치 KR20080015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21989 2006-08-16
JP2006221989A JP2008046870A (ja) 2006-08-16 2006-08-16 紙幣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745A true KR20080015745A (ko) 2008-02-20

Family

ID=3890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803A KR20080015745A (ko) 2006-08-16 2007-08-14 지폐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83090B2 (ko)
EP (1) EP1903514A3 (ko)
JP (1) JP2008046870A (ko)
KR (1) KR20080015745A (ko)
CN (1) CN1011271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3874B2 (ja) * 2006-10-24 2013-05-0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計数装置
EP2320391A4 (en) * 2008-07-09 2011-10-12 Glory Kogyo Kk VALUE HANDLING APPARATUS AND VALUE HANDLING METHOD
WO2010032336A1 (ja) 2008-09-22 2010-03-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管理システム、紙葉類管理装置、紙葉類管理方法及び紙葉類管理プログラム
JP2012236281A (ja) * 2011-05-10 2012-12-06 Canon Inc 検品システム、検品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5354B2 (ja) * 2016-07-28 2020-07-1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19082804A (ja) * 2017-10-30 2019-05-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CN110148247B (zh) * 2019-04-18 2021-08-03 济南企财通软件有限公司 票据自动归档方法及实现该方法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7289A (ja) * 1987-01-19 1988-07-21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GB2209518B (en) * 1987-09-10 1991-09-04 Ncr Co Sheet handling apparatus.
JPH03111991A (ja) * 1989-09-26 1991-05-13 Laurel Bank Mach Co Ltd 紙幣区分集積機
JP3578870B2 (ja) * 1996-05-30 2004-10-20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貨幣入出金機
JP4128244B2 (ja) * 1997-04-28 2008-07-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入出金処理システム
EP1004612A1 (en) * 1998-11-25 2000-05-31 Dow Corning Corporation Vinyl ether-functional organopolysiloxanes and their use in radiation-curable silicone compositions
JP3793940B2 (ja) * 1999-10-04 2006-07-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およびその入金処理方法
JP4939695B2 (ja) * 2001-04-19 2012-05-30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JP2003216999A (ja) * 2002-01-22 2003-07-31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4332379B2 (ja) * 2003-07-29 2009-09-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05165806A (ja) 2003-12-04 2005-06-23 Glory Ltd 紙幣仕分け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7136B (zh) 2013-07-10
US20080042343A1 (en) 2008-02-21
EP1903514A3 (en) 2009-02-25
EP1903514A2 (en) 2008-03-26
JP2008046870A (ja) 2008-02-28
CN101127136A (zh) 2008-02-20
US7883090B2 (en)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830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KR20080015745A (ko) 지폐 처리 장치
US82404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ng and/or dispensing at least banknotes having a first denomination and banknotes having a second denomination
US8567585B2 (en) Money handling apparatus
US9150365B2 (en) Money handling system and money handling method
JP5375425B2 (ja) 硬貨処理装置
JP5475875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該動作方法
US10909794B2 (en) Money processing device
EP2341485B1 (en) Banknote processing machine
US10515502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JP6732018B2 (ja) 紙幣処理装置
CN105164734A (zh) 纸张处理系统以及纸张处理方法
JP7242416B2 (ja) 紙幣処理装置
JP5124256B2 (ja) 釣銭作成システム
JP2002342812A (ja) 紙幣整理機
US20160284152A1 (en) Method for handling sheet material
KR20190003261A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JP2672726B2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2011014016A (ja) 硬貨処理装置
JP435800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3211094B2 (ja) 紙幣処理装置
JP6399918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5564301B2 (ja) 紙葉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
JP2003296795A (ja) 循環式紙幣処理装置
JP2018180598A (ja) 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