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311A -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311A
KR20080015311A KR1020060076847A KR20060076847A KR20080015311A KR 20080015311 A KR20080015311 A KR 20080015311A KR 1020060076847 A KR1020060076847 A KR 1020060076847A KR 20060076847 A KR20060076847 A KR 20060076847A KR 20080015311 A KR20080015311 A KR 2008001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support plate
frame
wa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264B1 (ko
Inventor
김경섭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264B1/ko
Priority to US11/555,538 priority patent/US7367288B2/en
Publication of KR2008001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6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2Supports for cleaning appliances, e.g. fram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관 및 상기 전열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관지지판을 세정할 수 있는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납실 내에 위치하는 증기발생기의 일측 상부 핸드홀에 설치되는 마운팅 픽스쳐와, 상기 마운팅 픽스쳐에 이송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마운팅 픽스쳐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일측 하부 핸드홀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이 수직으로 세워져 구동할 때 상기 승하강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승하강수단에 연결되고, 이 승하강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며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세정하는 세정장치와, 증기발생기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장치에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세정장치에서 분사한 물을 흡입 및 여과하여 다시 반복적으로 세정장치에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와, 증기발생기 주변 현장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재, 승하강수단, 회전부재, 세정장치 및 물 공급장치를 콘트롤하는 현장제어장치 및 상기 격내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재, 승하강수단, 회전부재, 세정장치 및 물 공급장치를 콘트롤하는 원격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는 프레임을 안내하고, 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가이드수단; 물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 및 상기 프레임과 분사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수단를 왕복 회전시키는 힌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이다.
증기발생기, 전열관, 세정, 분사, 노즐, 실린더, 힌지

Description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A tube support plate of the steam generator and tube wash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이 증기발생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세정장치과 승하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분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분사장치의 배럴과 제1모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힌지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힌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힌지 유닛의 기어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수평이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프레임에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 : 증기발생기
1 : 마운팅 픽스쳐 2 : 가이드레일
3 : 이송부재 4 : 승하강수단
5 : 회전부재 6 : 지지부재
7 : 세정장치 8 : 물 공급장치
9-1 : 현장제어장치 9-2 : 원격제어장치
10 : 프레임 20 : 가이드수단
30 : 분사수단 40 : 힌지 유닛
50 : 수평이송수단 50 : 파이프
본 발명은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관 및 상기 전열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관지지판을 세정할 수 있는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송되며, 수직으로 이송가능한 승하강수단에 세정장치을 설치하여 다수개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상부 다발까지 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증기발생기 관지지판 및 전열관 상부 다발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원자력발전소 중에서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는 고리2,3,4호기 및 영광1,2호기에 설치되어있고, 원자력발전소에서 운전되고 있는 증기발생기는 터빈 발전기의 구동원인 증기를 생산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원자로에서 발생한 고온고압의 열에너지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이 수 천 개의 전열관 내부를 관통하면서 전열관 외부를 흐르고 있는 비방사성 물을 열교환을 통해 증기로 변환시킨다.
이렇게 전열관을 사이로 전열관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방사성 물이 외부로는 비방사성 물이 흐르기 때문에 전열관 손상이 있을 경우 전열관 내부를 관통하는 물이 외부로 누설되면서 비방사성 물과 혼합되면서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해 비방사성 물이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영역 전체가 방사능 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 열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일은 방사능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이다.
상기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는 수 천 개의 U자형 전열관이 다발형태를 이루면서 전열관 다발 최하부의 관판(Tube Sheet)에 전열관 양단이 고정되고 약 1m 간격으로 전열관 상부까지 7단으로 구성된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운전 연수가 지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 또는 생성되는 불순물이 전열관 외부표면에 스케일이 되어 열교환력을 저하시키고 전열관과 관지지판 사이에서 슬러지로 침적되어 점차 고형화되면 관지지판과 전열관 사이에 덴팅을 유발하여 전열관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열관 표면의 스케일 제거와 관지지판의 슬러지를 제거는 증기발생기 효율과 전열관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증기발전기의 핸드홀를 통해 세정장치를 삽입하거나, 가이드레일에 세정장치를 장착하여 전열관이 고정되어 있는 관판 부분에 대한 슬러지 제거를 위한 세정만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의 상부 다발까지의 세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이송이 가능한 승하강수단을 증기발생기의 일측 상부 핸드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이송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승하강수단 에 세정장치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승하강수단을 구동하여 다수개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상부 다발을 세정할 수 있는 위치까지 세정장치을 이동시켜 증기발생기 관지지판 및 전열관을 세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특징은, 수납실 내에 위치하는 증기발생기의 일측 상부 핸드홀에 설치되는 마운팅 픽스쳐와, 상기 마운팅 픽스쳐에 이송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마운팅 픽스쳐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일측 하부 핸드홀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이 수직으로 세워져 구동할 때 상기 승하강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승하강수단에 연결되고, 이 승하강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며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세정하는 세정장치와, 증기발생기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장치에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세정장치에서 분사한 물을 흡입 및 여과하여 다시 반복적으로 세정장치에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와, 증기발생기 주변 현장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재, 승하강수단, 회전부재, 세정장치 및 물 공급장치를 콘트롤하는 현장제어장치 및 상기 격내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재, 승하강수단, 회전부재, 세정장치 및 물 공급장치를 콘트롤하는 원격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딜리버리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는 프레임을 안내하고, 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가이드수단; 물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 및 상기 프레임과 분사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수단를 왕복 회전시키는 힌지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이 증기발생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세정장치과 승하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분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분사장치의 배럴과 제1모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힌지 유닛을 나타낸 도 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힌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힌지 유닛의 기어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수평이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프레임에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실 내에 위치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G)의 일측 상부 핸드홀(J)에 설치되는 마운팅 픽스쳐(1)와, 상기 마운팅 픽스쳐(1)에 이송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과, 상기 마운팅 픽스쳐(1)와 상기 가이드레일(2)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부재(3)와, 상기 가이드레일(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수단(4)과, 상기 가이드레일(2)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4)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5)와, 상기 증기발생기(G)의 일측 하부 핸드홀(H)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4)이 수직으로 세워져 구동할 때 상기 승하강수단(4)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와, 상기 승하강수단(4)에 연결되고, 이 승하강수단(4)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며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세정하는 세정장치(7)과, 증기발생기(G)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장치(7)에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세정장치(7)에서 분사한 물을 흡입 및 여과하여 다시 반복적으로 세정장치(7)에 공 급하는 물 공급장치(8)와, 증기발생기(G) 주변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3), 승하강수단(4), 회전부재(5), 세정장치(7) 및 물 공급장치(8)를 콘트롤하며, 모니터와 조작패널이 구비된 현장제어장치(9-1) 및 상기 수납실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부재(3), 승하강수단(4), 회전부재(5), 세정장치(7) 및 물 공급장치(8)를 콘트롤하며, 모니터와 조작패널이 구비된 원격제어장치(9-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재(3)는 상기 마운팅 픽스쳐(1)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송모터(3a)와, 상기 이송모터(3a)의 축에 설치되는 피니언(3b)과, 상기 가이드레일(2)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3b)과 치합되는 랙(3c)으로 이루어지며, 이송모터(3a)의 구동 시 랙(3c)과 피니언(3b)에 의해 가이드레일(2)을 왕복 이송한다.
상기 승하강수단(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4a)와, 상기 베이스(4a)에 설치되며 이송축(4b)에 설치되는 세정장치(7)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4c)와, 상기 베이스(4a)에 설치되고 구동시 이송축(4d) 끝단부에 설치된 지지블록(4e)이 가이드레일(2)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재(6)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4a)를 지지하는 지지실린더(4f)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실린더(4c) 및 지지실린더(4f)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며, 승하강실린더(4c)는 세정장치(7)을 높은 위치까지 승강시켜야함으로 이송축(4b)이 안테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5)는 상기 가이드레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에는 핸들(5a)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나산산(미도시함)이 구비된 샤프트(5b)와,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샤프트(5b)의 자전 시 왕복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5c)과, 상기 이송블록(5c)과 상기 승하강수단(4)의 베이스(4a)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블록(5c)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승하강수단(4)의 베이스(4a)를 90도 회전시키는 바(5d)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6)는 상기 가이드수단(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증기발생기(G)의 하부 핸드홀(H)에 설치되는 몸체(6a)와, 상기 몸체(6a)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증기발생기(G)의 관판과 밀착되어 상기 몸체(6a)를 지지하는 수직프레임(6b)과, 상기 몸체(6a)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승하강수단(4) 및 세정장치(7)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6c)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 공급장치(8)는 증기발생기(G) 일측에 설치되는 물 탱크(8a)와, 상기 물 탱크(8a)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8a)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미도시함)와, 일단부는 상기 물 탱크(8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세정장치(7)에 물이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세정장치(7)으로 공급하는 제1호스(8b)와, 일단부는 증기발생기(G)의 관판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상기 물 탱크(8a)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구동 시 전열관 및 관지지판의 세정을 완료한 구정물을 흡입하는 제2호스(8c) 및 상기 제2호스(8c)와 물 탱크(8a) 사이에 설치되며, 제2호스(8c)를 통해 유입되는 구정물을 여과하여 여과기(미도시함)로 이루어진다.
현장제어장치(9-1)는 증기발생기 주변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3), 승하강수단(4), 회전부재(5), 세정장치(7) 및 물 공급장치(8)를 콘트롤하며, 모니터와 제어패널로 구성된다.
원격제어장치(9-2)는 상기 격내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부재(3), 승하강수단(4), 회전부재(5), 세정장치(7) 및 물 공급장치(8)를 콘트롤하며, 모니터와 제어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언급한 마운팅 픽스쳐(1), 가이드레일(2), 이송부재(3), 승하강수단(4), 회전부재(5), 지지부재(6), 물 공급장치(8), 현장제어장치(9-1) 및 원격제어장치(9-2)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상기 세정장치(7)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승하강수단(4)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는 프레임(10)을 안내하고, 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가이드수단(20)과, 물 공급장치(8)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로 분사시키는 분사 수단(30) 및 상기 프레임(10)과 분사수단(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수단(30)를 왕복 회전시키는 힌지 유닛(40)으로 구성되며, 승하강수단(4)에 의해 승강하여 전열관 및 상기 전열관을 지지하는 관지지판을 세정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소정 길이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이 몸체에 후술할 각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수단(2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가이드실린더(21)와, 상기 가이드실린더(21)에 왕복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홈(22)이 형성된 피스톤(23)과, 상기 가이드실린더(21)의 양측에 설치되고 그 외측면이 전열관에 밀착되어 프레임(10)을 안내 및 지지하는 패드(24)와, 일단은 패드(24)에 타단은 가이드실린더(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24)를 전열관에 밀착되게 구동하는 복수 개의 제1링크(25)와, 일단은 제1링크(25)에 타단은 피스톤(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실린더(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링크(25)와 연동하여 상기 패드(24)를 전열관에 밀착되게 하는 제2링크(26)와, 상기 가이드실린더(21)의 일단에 설치되고, 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27a)가 상기 피스톤(23)의 홈(22)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베이스(27)와, 상기 피스톤(23)과 스프링베이스(27) 사이에 개재되며, 가이드실린더(21)에 공급된 압력의 차단 시 상기 피스톤(23)을 원위치시키는 제1스프링 (28) 및 상기 피스톤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는 제1센싱수단(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센싱수단(29)은 피스톤(2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마그네틱(29-1)과, 상기 가이드실린더(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틱(29-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마그네틱센서(29-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실린더(21)는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강할 때 관지지판의 슬롯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슬롯에 근접했을 때 가이드실린더(21)에 공급된 압력이 차단되고, 통과한 후 압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현장제어장치(9-1), 원격제어장치(9-2) 중의 어느하나에 프로그래핑된다.
또한, 지지부재(6)의 카메라(6c)를 통해 상기 가이드실린더(21)를 모니터하여 상기 현장제어장치(9-1), 원격제어장치(9-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실린더(21)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수단(20)은 상기 세정장치(7)의 프레임(10)을 효과적으로 안내할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측에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가이드수단(10)의 하부에는 승하강수단(4)의 승하강 실린더(4c) 이송축(4b)과 빠르게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퀵커넉터(Q)가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퀵커넥터(Q)는 2축의 편심을 이용한 편심 캠 원리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물품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상기 분사수단(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분사되도록 사면에 다수개의 구멍(31)이 형성된 서포트 프레임(32)과, 내부에 유로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배럴(34)과, 상기 유로공(33)과 연통되고 상기 배럴(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물 공급장치(8)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35)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럴(34)을 정/역회전시키고 그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제1모터(36)로 구성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터(36)의 회전축에는 제1기어(37)가 형성되고, 상기 배럴(34)의 일측부에는 제2기어(38)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32)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기어(37)와 제2기어(38) 사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어, 제1모터(36)의 동력을 배럴(34)로 전달하는 제3기어(3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35)의 물 분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수단(30)의 서포트 프레임(32)의 일측에 노즐 모니터링 카메라(NMC)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노즐(35)에서 고압의 물이 분사될 때 분사수단(30)가 흔들리지 않도록 분사수단(30)의 서포트 프레임(32) 자유단측에 가이드수단(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수단(30)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20)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수단(30)가 승하강수단(4)과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승하강수단(4)에 의해 승강할 때 전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전방감시카메라(38)와, 조명을 제공하는 제1 발광부재(39)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장치(7)의 프레임(10) 일측에 측면을 감시하는 측면감시카메라(10-1) 및 조명을 제공하는 제2발광부재(10-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유닛(4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41a)이 관통되고, 이 수용공(41a)과 연통되게 제1유로공(41b)이 관통되며, 일측부에 기어수납공간(41c)이 구비된 고정케이스(41)와, 몸체(42a)의 일측면에 상기 수용공(41a)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수용홈(42b)이 구비된 원형 돌출부(42c)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42c)에는 상기 수용홈(42b)과 연통되게 제2유로공(42d)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42a)의 외측에는 분사수단(30)와 체결되는 체결판(42e)이 형성되고, 이 체결판(42e)에는 제2유로공(42d)과 분사수단(30)의 유로공(33)을 연통시키는 제3유로공(42f)이 형성된 회동케이스(42)와, 상기 회동케이스(42)의 돌출부(42c) 타측면에 설치되며, 회동케이스(42)의 회전각도를 체크하는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43)와, 상기 회동케이스(42)의 돌출부(42c) 타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포텐시오미터(43)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44)과, 상기 고정케이스(41)의 수용공간(41a)에 설치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45) 및 상기 세정장치(7)의 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 어셈블리(45)를 구동하여 회동케이스(4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4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케이스(42)는 좌우로 180도 왕복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41)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동케이스(42) 및 캡(44)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케이스(41)와 회전케이스(42) 사이 및 고정케이스(41)와 캡(44) 사이에 베어링(4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로공(33)을 통해 분사수단(30)으로 공급되는 물이 새지 않도록 제2유로공(42d)을 중심으로 돌출부(42c)의 양측 외주연에 오링(48)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동케이스(42)가 180도 회전하면서 분사수단(30)이 물을 분사함으로 상기 제2유로공(42d)은 회전케이스(42) 돌출부(42c)의 수용홈(42b)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45)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모터(46)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수용공간(41c)에 위치하는 구동 베벨기어(45a)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45a)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베벨기어(45a)에 의해 연동하는 종동 베벨기어(45b)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45b)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는 아이들 기어(45c)와, 상기 아이들 기어(45c)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 기어(45c)와 치합되어 연동하고, 일정 압력이상 동력이 작용하면 몸체(45d-1)와 회전축(45d-2)이 서로 헛돌아 기어를 보호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분사수단(30)에 외압을 작용하여 수동으로 분사수단(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크 리미트(Torque limit)(45d)와, 상기 회동케이스(42)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링 기어(45e) 및 상기 토크 리미트(45d)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링 기어(45e)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제2모터(46)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링 기어(45e)가 설치된 회동케이스(42)를 회전 시키는 드라이빙 기어(45f)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 도 6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장치(7)의 프레임(10)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프레임(10)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평이동수단(50)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블록(51)과, 상기 제1블록(51)에 설치되는 수평이송실린더(52)와, 상기 수평이송실린더(52)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가이드수단(20)이 설치되는 제2블록(53)과, 상기 제2블록(53)을 관통하고, 끝단부가 상기 제1블록(51)에 체결되는 볼트(54) 및 상기 볼트(54)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볼트 헤드와 제2블록(53)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블록(53)을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55) 및 상기 제2블록의 이송 상태를 체크하는 제2센싱수단(5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센싱수단(56)은 상기 제2블록(53)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마그네틱(56a)와, 상기 제1블록(51)의 상면에 매설되며 상기 제2마그네틱(56a)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마그네틱센서(56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송실린더(52)의 스트로크를 동일하게 제한하도록 상기 제1블록(51)에 스토퍼(57)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장치(7)의 프레임(10)에는 상기 물 공급장치(8)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사수단(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파이프(60)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이 파이프(60)는 물 공급장치(8)에서 공급되는 물이 고압으로 분사수단(30)에 공급됨으로 고압을 견딜 수 있는 고압파이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60)의 일단부는 힌지 유닛(40) 고정케이스(41)의 제1유로공(41b)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물 공급장치(8)의 제1호스(8b)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60)의 타단부와 물 공급장치(8)의 제1호스(8b) 일단부에는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커플링(61)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 전열관 및 관지지판 세정시스템을 세팅한 상태에서,
먼저, 이송부재(3)의 이송모터(3a)를 구동하여 가이드레일(2)을 증기발생기(G)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회전부재(5)의 핸들(5a)을 돌리면, 상기 핸들(5a)과 연동하는 샤프트(5b), 이송블록(5c) 및 바(5d)에 의해 승하강수단(4)이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런 다음, 가이드수단(20)의 가이드실린더(21)가 구동하며, 이 가이드실린더(21)와 연동하는 패드(24)가 외향으로 이동하여 전열관 틈새에 위치된다.
그 후, 현장제어장치(9-1) 또는 원격제어장치(9-2)를 조작하여 상기 승하강수단(4)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수단(4)의 승하강실린더(4c)는 이송축(4b)에 설치된 세정장치(7)를 승강시키며, 지지실린더(4f)는 이송축(4d)에 설치된 지지블록(4e)을 상기 지지부재(6)와 밀착되도록 이송하여 상기 세정장치(7)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세정장치(7)가 세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힌지 유닛(40)의 제2모터(46)를 정회전시키고, 이 제2모터(46)의 동력을 기어 어셈블리(45)가 회동케이스(42)에 전달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회동케이스(42)와 연결된 분사수단(30)이 상기 세정수단(7)의 프레임(10)과 수직으로 된 위치에서 일측으로 90도 정회전된다.
그런 후에, 분사수단(30)의 서포트 프레임(32) 자유단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을 구동하여, 이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를 전열관 틈새에 위치시켜, 상기 분사수단(30)을 고정한다.
그 후, 물 공급장치(8)의 펌프(미도시함)를 구동하여 펌핑된 물을 제1호스(8b)를 통해 상기 분사수단(30)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분사수단(30)의 배럴(34)은 제1모터(36)에 의해 자전하며, 상기 배럴(34)에 설치된 노즐(35)은 공급된 물을 분사하여 전열관 또는 관지지판을 세정한다.
이때, 일단부가 증기발생기(G)의 관판에 위치한 물 공급장치(8)의 제2호스(8c)는 세정이 완료된 구정물을 흡입하여 물 탱크(8a)로 공급하며, 제2호스(8c)와 물 탱크(8a) 사이에 설치된 여과기(미도시함)는 상기 구정물을 여과하여 물 탱크(8a)로 보낸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작업자는 현장제어장치(9-1) 또는 원격제어장치(9-2)를 조작하여 물 공급장치(8) 및 분사수단(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32) 자유단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에 공급된 공압을 차단하면 이 가이드수단(20')의 제1스프링(28)이 피스톤(23)을 원위치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23)과 연동하는 패드(24)가 전열관의 틈새에서 이탈하여 분사수단(30)의 고정을 해제한다.
계속해서, 힌지 유닛(40)의 제2모터(46)를 역회전시키면, 이 제2모터(46)의 동력을 기어 어셈블리(45)가 회동케이스(42)에 전달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동케이스(42)와 연결된 분사수단(30)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분사수단(30)이 반대편으로 180도 회전된다.
그런 후에, 분사수단(30)의 서포트 프레임(32) 자유단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을 구동하여, 이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를 전열관 틈새에 위치시켜, 상기 분사수단(30)을 고정한다.
그 후, 물 공급장치(8)의 펌프(미도시함)를 구동하여 펌핑된 물을 제1호스(8b)를 통해 상기 분사수단(30)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분사수단(30)의 배럴(34)은 제1모터(36)에 의해 자전하며, 상기 배럴(34)에 설치된 노즐(35)은 공급된 물을 분사하여 전열관 또는 관지지판을 세정한다.
이때, 일단부가 증기발생기(G)의 관판에 위치한 물 공급장치(8)의 제2 호스(8c)는 세정이 완료된 구정물을 흡입하여 물 탱크(8a)로 공급하며, 제2호스(8c)와 물 탱크(8a) 사이에 설치된 여과기(미도시함)는 상기 구정물을 여과하여 물 탱크(8a)로 보낸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작업자는 현장제어장치(9-1) 또는 원격제어장치(9-2)를 조작하여 물 공급장치(8) 및 분사수단(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32) 자유단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에 공급된 공압을 차단하면 이 가이드수단(20')의 제1스프링(28)이 피스톤(23)을 원위치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23)과 연동하는 패드(24)가 전열관의 틈새에서 이탈하여 분사수단(30)의 고정을 해제한다.
계속해서, 힌지 유닛(40)의 제2모터(46)를 정회전시키면, 이 제2모터(46)의 동력을 기어 어셈블리(45)가 회동케이스(42)에 전달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동케이스(42)와 연결된 분사수단(30)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분사수단(30)이 세정장치의 프레임과 수직되게 90도 회전한다.
그리고, 승하강수단(4)의 승하강실린더(4c)를 구동하여 상기 세정장치(7)를 다음 세정위치까지 승강시킨다.
여기서, 상기 세정장치(7)가 관지지판의 슬롯에 근접하게 되면, 현장제어장치(9-1) 또는 원격제어장치(9-2)에 설치된 프로그래밍에 의해 세정수단(7)의 프레임(10) 상하부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에 공급된 공압을 순차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패드(24)가 상기 관지지판의 슬롯에 걸리지 않도록 전열관의 틈새에서 이탈하여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런 후, 상기 패드(24)가 관지지판의 슬롯을 통과하면 상기 프로그래밍에 의해 현장제어장치(9-1) 또는 원격제어장치(9-2)는 세정수단(7)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에 순차적으로 공압을 공급하여,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가 전열관의 틈새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세정수단(7)을 안내한다.
다음 세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사장치(30)를 회전하여 전열관 또는 관지지판을 세정하고, 세정이 완료되면, 또 다른 세정위치까지 세정수단(7)을 승강시켜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세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열관의 상부다발까지 세정을 하며, 수평이동수단(50)을 이용하여 세정장치(7)를 수평이동하면서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세정할 수 있다.
수평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세정장치를 수평이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분사장치(30)의 물 분사가 종료되고, 이 분사장치(30)의 서포트 프레임(32)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가 전열관 틈새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수평이동수단(50)의 수평이송실린더(52)를 구동하면 이 수평이송실린더(52)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블록(53)이 일정거리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2블록(53)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을 구동하여 이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를 전열관 틈새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런 후에, 세정장치(7)의 프레임(10) 상하부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에 공급된 공압을 차단하여 상기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가 전열관 틈새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송부재(3)의 이송모터(3a)를 구동하여 가이드레일(2)을 일정거리 이동한다.
이때, 상기 수평이송실린더(52)의 구동을 해제하면, 상기 제2블록(53)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이 세정장치(7)을 고정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과, 이 가이드레일(2)에 설치된 승하강수단(4) 및 세정수단(7)의 프레임(10)이 일정거리 이동된다.
그런 다음에,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을 구동하여 이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를 전열관 틈새에 위치시킨다.
그런 후, 분사장치(30)에 물을 공급하여 전열관 또는 관지지판을 세정한다.
또다시 세정장치(7)를 이동하고자하면, 수평이동수단(50)의 제2블록(53)에 설치된 가이드수단(20'')에 공급된 공압을 차단하여 상기 가이드수단(20'')의 패드(24)를 전열관 틈새에서 이탈시킨다.
그런 다음에,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세정수단을 수평이동시키면서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세정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정장치을 증기발생기의 상부 전열 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승하강수단에 설치함으로써, 전열관의 상부측까지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정장치의 프레임과 분사수단에 가이드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세정장치의 승하강 시 전열관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하며, 분사수단에서 고압의 물을 분사할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사수단가 좌우로 180도 회전 가능함으로 넓은 지역을 세정할 수 있으며, 또한, 수평이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좌우로 이동하면서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효율적으로 세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수납실 내에 설치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및 전열관을 지지하고 관통 슬롯이 형성된 관지지판을 세정하는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납실 내에 위치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일측 상부 핸드홀에 설치되는 마운팅 픽스쳐와, 상기 마운팅 픽스쳐에 이송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마운팅 픽스쳐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왕복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일측 하부 핸드홀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이 수직으로 세워져 구동할 때 상기 승하강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승하강수단에 연결되고, 이 승하강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며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전열관 및 관지지판을 세정하는 세정장치와, 증기발생기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장치에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세정장치에서 분사한 물을 흡입 및 여과하여 다시 반복적으로 세정장치에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와, 증기발생기 주변 현장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재, 승하강수단, 회전부재, 세정장치 및 물 공급장치를 콘트롤하는 현장제어장치 및 상기 격내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재, 승하강수단, 회전부재, 세정장치 및 물 공급장치를 콘트롤하는 원격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수단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는 프레임을 안내하고, 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가이드수단;
    물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로 분사시키는 분사수단; 및
    상기 프레임과 분사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수단를 왕복 회전시키는 힌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닛은 180도 왕복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실린더;
    상기 가이드실린더에 왕복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홈이 형성된 피스톤;
    상기 가이드실린더의 양측에 설치되고 그 외측면이 전열관에 밀착되어 프레임을 안내 및 지지하는 패드;
    일단은 패드에 타단은 가이드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를 전열관에 밀착되게 구동하는 복수 개의 제1링크;
    일단은 제1링크에 타단은 피스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링크와 연동하여 상기 패드를 전열관에 밀착되게 하는 제2링크;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설치되고, 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가 상기 피스톤의 홈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베이스;
    상기 피스톤과 스프링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며, 가이드실린더에 공급된 압력의 차단 시 상기 피스톤을 원위치시키는 제1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는 제1센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서포트 프레임;
    내부에 유로공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배럴;
    상기 유로공과 연통되고 상기 배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노즐;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럴을 정/역회전시키고, 그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제1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의 서포트 프레임 일측에 노즐의 물 분사 상태를 감시하는 노즐 모니터링 카메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이 물을 분사할 때 상기 분사수단이 흔들리지 않도록 분사수단의 자유단측에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닛은
    수용공이 관통되고, 이 수용공과 연통되게 제1유로공이 관통되며, 일측부에 기어수납공간이 구비된 고정케이스;
    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수용공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수용홈이 구비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게 제2유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분사수단와 체결되는 체결판이 형성되고, 이 체결판에는 제2유로공과 분사수단의 유로공을 연통시키는 제3유로공이 형성된 회동케이스;
    상기 회동케이스의 돌출부 타측면에 설치되며, 회동케이스의 회전각도를 체크하는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
    상기 회동케이스의 돌출부 타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포텐시오미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상기 고정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회동케이스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제2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수용공간에 위치하는 구동 베벨기어;
    상기 구동 베벨기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베벨기어에 의해 연동하는 종동 베벨기어;
    상기 종동 베벨기어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는 아이들 기어;
    상기 아이들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와 치합되어 연동하며, 일정 압력이상 작용하면 몸체와 회전축이 서로 헛도는 토크 리미트(Torque limit);
    상기 회동케이스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링 기어; 및
    상기 토크 리미트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링 기어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링 기어가 설치된 회동케이스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빙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를 수평이동시켜 상기 하우징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블록;
    상기 제1블록에 설치되는 수평이송실린더;
    상기 수평이송실린더에 의해 수평이동하고 상면에 가이드수단이 설치되는 제2블록;
    상기 제2블록을 관통하고, 끝단부가 상기 제1블록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볼트 헤드와 제2블록에 맞닫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블록을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블록의 이송 상태를 체크하는 제2센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사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파이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 세정시스템.
KR1020060076847A 2006-08-14 2006-08-14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KR10082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47A KR100829264B1 (ko) 2006-08-14 2006-08-14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US11/555,538 US7367288B2 (en) 2006-08-14 2006-11-01 Upper bundle cleaning system of steam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47A KR100829264B1 (ko) 2006-08-14 2006-08-14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311A true KR20080015311A (ko) 2008-02-19
KR100829264B1 KR100829264B1 (ko) 2008-05-13

Family

ID=3914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847A KR100829264B1 (ko) 2006-08-14 2006-08-14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67288B2 (ko)
KR (1) KR100829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140B1 (ko) * 2010-10-25 2012-02-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핑거 그립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검사로봇
KR101238948B1 (ko) * 2010-09-29 2013-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협소공간 접근형 초음파 웨이브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899B (fi) * 2006-10-16 2012-08-31 Metso Power Oy Soodakattilan sulakourun puhdistin
US8418662B2 (en) * 2008-07-18 2013-04-16 Korea Plant Service &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 from gap of heat tube bundle in upper part of tube sheet of second side of steam generator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69909B1 (ko) 2011-06-03 2012-08-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튜브 시트 상부 세정 장치
WO2016014626A1 (en) 2014-07-24 2016-01-28 Stoneage, Inc. Flexible tube cleaning lance positioner frame apparatus
US10024613B2 (en) * 2014-07-24 2018-07-17 Stoneage, Inc. Flexible tube cleaning lance positioner frame apparatus
CN108405427A (zh) * 2018-03-15 2018-08-17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第一和第二支撑板间清洗设备及清洗方法
CN109990650A (zh) * 2019-05-07 2019-07-09 徐州硕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传热管内旋转清洗器及其固定装置
US11713932B2 (en) 2020-08-18 2023-08-01 Stoneage, Inc. Flexible tube cleaning lance positioner frame apparatus
CN112902376B (zh) * 2021-02-08 2022-04-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尘装置、空调器及除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298B1 (ko) * 1980-01-30 1984-12-15 웨스팅하우스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증기 발생기용 오염제거장치
US5069172A (en) * 1990-09-26 1991-12-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steam generator sludge lance method and apparatus
US6672257B1 (en) * 1994-05-06 2004-01-06 Foster-Miller, Inc. Upper bundle steam generator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5913320A (en) * 1995-04-11 1999-06-22 Foster-Miller, Inc. Sludge removal system
JP2930538B2 (ja) * 1995-07-12 1999-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発生器の洗浄装置
WO1997050005A2 (en) * 1996-06-14 1997-12-31 R. Brooks Associates, Inc. Inspection device
JP3664882B2 (ja) 1998-07-30 2005-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用スケール除去装置
JP3986172B2 (ja) * 1998-08-06 2007-10-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発生器用スケール除去装置
KR100575110B1 (ko) * 2004-04-23 2006-04-28 한국전력공사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발생기 전열관 검사 및 세정이가능한 랜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948B1 (ko) * 2010-09-29 2013-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협소공간 접근형 초음파 웨이브가이드 장치
KR101109140B1 (ko) * 2010-10-25 2012-02-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핑거 그립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검사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67288B2 (en) 2008-05-06
US20080053382A1 (en) 2008-03-06
KR100829264B1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264B1 (ko)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US9032979B2 (en) Cleaning system having heated cleaning enclosure for cleaning heat exchanger tube bundles
KR101103820B1 (ko)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US9863727B1 (en) Mobile hydro-blasting equipment and tube lancing containment system
JP2000146486A (ja) 蒸気発生器の上側チュ―ブ束のクリ―ニング装置および方法
US11819891B1 (en)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hose reel, for cleaning an oil and gas well riser assembly with multiple tools simultaneously
RU2692748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зоны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CN102305574B (zh) 蒸发器换热管清洗机
KR101004292B1 (ko)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CN110371506B (zh) 一种基于icows的大型原油储罐清洗喷射方法
US11052340B1 (en) Cylindrical filter cartridge cleaning device
JPH09296998A (ja) 移動式バンドル洗浄装置
KR100980118B1 (ko) 변압기 방열판 자동세정장치
JPH06313364A (ja) 原子力施設の構造物切断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77827B1 (ko) 콘크리트 노면 칩핑용 차량
CN211159066U (zh) 一种塔吊喷淋装置
CN217284330U (zh) 一种占地面积小的喷灌装置
CN213588593U (zh) 一种兽医用消毒清洗设备
CN220497235U (zh) 一种不锈钢配药罐清洗装置
CN207547205U (zh) 具有低液位抽液机构的储油罐自动清洗机
CN215201328U (zh) 一种无缝钢管洁净式切割设备
CN214516228U (zh) 一种远程监控装置
JP4915807B2 (ja) 高圧水洗浄装置
CN111360009B (zh) 一种危险废液处置行业吨桶高效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EP4220066A1 (en) Device for cleaning heat exchange tubes of a steam generator of a nuclear power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