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292B1 -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292B1
KR101004292B1 KR1020100009861A KR20100009861A KR101004292B1 KR 101004292 B1 KR101004292 B1 KR 101004292B1 KR 1020100009861 A KR1020100009861 A KR 1020100009861A KR 20100009861 A KR20100009861 A KR 20100009861A KR 101004292 B1 KR101004292 B1 KR 10100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rail
heat transfer
right ends
transf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파워
김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파워, 김만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파워
Priority to KR102010000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3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되는 증기 발생기의 내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세정장치가 이동하면서 전열튜브를 청소하도록 하는 증기 발생기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증기 발생기의 하우징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열튜브 사이로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다수 개를 구비하되, 좌우 단부에는 상호 대응하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좌우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레일이 돌출된 연결체;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설치되며, 좌우 단부 중 어느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즐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이 연결된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전열튜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증기 발생기용 세정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Automatic washing device for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되는 증기 발생기의 내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열튜브를 청소하도록 하는 증기 발생기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핵심 설비로서 증기 발생기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증기 발생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부에 다수개의 전열튜브(12)가 밀집되어 있고, 상기 전열튜브의 주위에는 물이 채워져 있다.
이때, 상기 전열튜브(12) 주위의 물은 계속해서 순환하기 때문에 물에 포함된 침전물이 상기 하우징(11)과 전열튜브(12)의 외면에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 발생기(10)는 보통 18개월 정도를 주기로 상기 전열튜브에 달라붙은 침전물을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과 전열튜브(12)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하우징 상부로부터 하부로 세정수를 빠르게 통과시켜 침전물을 제거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11) 내부로 세정장치를 투입하여 상기 세정수가 미치지 못하는 부분의 침전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투입한 세정장치의 이동이 안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전열튜브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전열튜브와 충돌하여 파손이 발생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용 세정장치는 증기 발생기의 하우징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열튜브 사이로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다수 개를 구비하되, 좌우 단부에는 상호 대응하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좌우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레일이 돌출된 연결체;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설치되며, 좌우 단부 중 어느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즐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이 연결된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은 상기 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랙 기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출입구가 관통된 실린더 홀; 상기 실린더 홀의 전후로 번갈아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되, 상기 실린더 홀로부터 좌우 단부로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압 공급로; 및 상기 실린더 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출입구를 출입하도록 형성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체는 좌우 단부 중 어느 일측에 요입되는 수용 홈; 좌우 단부 중 다른 일측에 요입되는 걸림 홈; 상기 수용 홈으로부터 연결체를 관통하여 축 결합되고, 수용 홈에 위치하는 끝단에는 상기 걸림 홈으로 출입하도록 캠 돌기가 형성된 레버; 및 상기 레일 하부에 요입되어 연결시 상기 레버를 은폐시키도록 형성된 은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용 세정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 레일을 설치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열튜브를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전열튜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용 세정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 레일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분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용 세정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증기 발생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증기 발생기와 종래 세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증기 발생기와 본 발명이 적용된 세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정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정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정장치의 실린더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정장치의 페스너 작용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체(100)와 상기 연결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세정수를 전열튜브 뭉치의 중앙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이동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체(100)는 증기 발생기(10)의 하우징(11)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열튜브(12) 사이로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둥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체(100)는 다수 개를 연결했을 때 하우징(11)의 벽을 따라 반원형 또는 원형이 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체(100)는 다수 개를 연결하도록 좌우 단부에 상호 대응하는 결합 돌기(110)와 결합 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110)와 결합 홈(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넣거나 끌어당길 때 서로 빠지지 않도록 상하로 끼우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체(100)의 상부에는 연결했을 때 좌우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레일(130)이 돌출된다.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체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체(200)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드 홈(2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220)이 설치되며, 좌우 단부 중 어느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즐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30)이 연결된다. 상기 노즐(220)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면 되는데,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체(100)의 레일(130)과 이동체(200)의 슬라이드 홈(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과정에서 빠지지 않도록 좌우로 끼우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체(200)가 연결체(10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의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00)의 외면에는 랙 기어(14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200)에는 구동모터(24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40)의 회전축에는 상기 랙 기어(140)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250)가 결합된다.
상기 랙 기어(140)와 피니언 기어(250)는 이동체(200)의 슬라이드 홈(210)을 연결체(100)의 레일(130)에 밀어 끼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치합되고, 치합된 상태에서 원격 조정에 의해 구동모터(240)를 작동시키면 이동체(200)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40)의 원격조정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가능하고, 구동모터(2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이동체(200) 내부의 배터리 또는 전선으로 연결되는 상용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100)를 하우징(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기는 한편, 하우징(11)에 긴밀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100) 내부에는 후방으로 출입구가 관통된 실린더 홀(150)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홀(150)의 전후로 번갈아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면서 상기 실린더 홀(150)로부터 좌우 단부로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압 공급로(160)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홀(150)에는 유압에 의해 출입구를 출입하도록 형성된 실린더(17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후의 유압 공급로(160)를 통해 유압을 번갈아 공급함으로써 실린더(17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구동수단을 설치한 경우 상기 구동수단이 하우징(11)의 벽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 연결체(100)는 좌우 단부 중 어느 일측에 요입되는 수용 홈(180a)이 형성되고, 좌우 단부 중 다른 일측에 요입되는 걸림 홈(180b)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용 홈(180a)으로부터 연결체(100)를 관통하여 축 결합되면서 상기 수용 홈(180a)에 위치하는 끝단에는 상기 걸림 홈(180b)으로 출입하도록 캠 돌기(191)가 형성된 레버(190)가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00)의 좌우 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110)와 결합 홈(120)을 통해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190)를 돌려 캠 돌기(191)가 걸림 홈(180b)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된 연결체(100)를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190)을 돌려 캠 돌기(191)이 걸림 홈(180b)로부터 빠진 상태에서는 전후 연결체(1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130) 하부에는 연결시 상기 레버(190)를 은폐시키도록 요입된 은폐구(19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체(200)는 전열튜브(12)의 세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26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200)의 전면으로부터 좌우 단부로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에 완충롤러(270)를 축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롤러(270)는 이동체(200)가 전열튜브(12)에 충돌할 경우 상기 완충롤러(270)가 전열튜브(12)에 먼저 접촉되면서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전열튜브(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제어부를 설치하여 상기 카메라(260)에 의한 감시와 노즐(220)을 통해 분사하는 세정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고 구동수단을 통한 이동체(200)의 전진과 후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11) 내부에 레일(130)을 설치한 상태에서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열튜브(12)를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전열튜브(12)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1) 내부에 레일(130)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분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1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변형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증기 발생기 11: 하우징
12: 전열튜브
100: 연결체 110: 결합 돌기
120: 결합 홈 130: 레일
140: 랙 기어 150: 실린더 홀
160: 유압 공급로 170: 실린더
180a: 수용 홈 180b: 걸림 홈
190: 레버 191: 캠 돌기
192: 은폐구
200: 이동체 210: 슬라이드 홈
220: 노즐 230: 공급관
240: 구동모터 250: 피니언 기어
260: 카메라 270: 완충롤러

Claims (4)

  1. 삭제
  2. 세정로봇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증기발생기의 전열튜브(관)의 표면 및 전열관 허부지지판의 상부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에 있어서,
    증기 발생기의 하우징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열튜브 사이로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다수 개를 구비하되, 좌우 단부에는 상호 대응하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좌우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레일이 돌출된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출입구가 관통된 실린더 홀; 상기 실린더 홀의 전후로 번갈아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되, 상기 실린더 홀로부터 좌우 단부로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압 공급로; 및 상기 실린더 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출입구를 출입하도록 형성된 실린더;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설치되며, 좌우 단부 중 어느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즐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이 연결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은, 상기 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랙 기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전열튜브의 외부에서 내부 중앙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좌우 단부 중 어느 일측에 요입되는 수용 홈;
    좌우 단부 중 다른 일측에 요입되는 걸림 홈;
    상기 수용 홈으로부터 연결체를 관통하여 축 결합되고, 수용 홈에 위치하는 끝단에는 상기 걸림 홈으로 출입하도록 캠 돌기가 형성된 레버; 및
    상기 레일 하부에 요입되어 연결시 상기 레버를 은폐시키도록 형성된 은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KR1020100009861A 2010-02-03 2010-02-03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KR101004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61A KR101004292B1 (ko) 2010-02-03 2010-02-03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61A KR101004292B1 (ko) 2010-02-03 2010-02-03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292B1 true KR101004292B1 (ko) 2011-01-03

Family

ID=4361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861A KR101004292B1 (ko) 2010-02-03 2010-02-03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2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140B1 (ko) * 2010-10-25 2012-02-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핑거 그립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검사로봇
KR101120428B1 (ko) 2011-12-05 2012-03-13 배용한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세척장치용 분리형 환형 레일장치
KR102064120B1 (ko) * 2019-06-21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열관 검사 장치
EP3548712A4 (en) * 2016-12-06 2020-08-26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ENGINE MAINTENANCE TOOL
KR20210056138A (ko) * 2019-11-08 2021-05-18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492A (ja) * 1998-07-30 2000-02-18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用スケール除去装置
JP2001013288A (ja) * 1999-07-01 2001-01-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ケール除去装置
KR100708889B1 (ko) * 2005-08-26 2007-04-17 한국전력공사 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492A (ja) * 1998-07-30 2000-02-18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用スケール除去装置
JP2001013288A (ja) * 1999-07-01 2001-01-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ケール除去装置
KR100708889B1 (ko) * 2005-08-26 2007-04-17 한국전력공사 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140B1 (ko) * 2010-10-25 2012-02-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핑거 그립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검사로봇
KR101120428B1 (ko) 2011-12-05 2012-03-13 배용한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세척장치용 분리형 환형 레일장치
EP3548712A4 (en) * 2016-12-06 2020-08-26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ENGINE MAINTENANCE TOOL
US11067002B2 (en) 2016-12-06 2021-07-20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engine maintenance tool
US11739695B2 (en) 2016-12-06 2023-08-29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engine maintenance tool
KR102064120B1 (ko) * 2019-06-21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열관 검사 장치
KR20210056138A (ko) * 2019-11-08 2021-05-18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 시스템
KR102282161B1 (ko) * 2019-11-08 2021-07-28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292B1 (ko) 증기 발생기용 자동 세정장치
CN100531936C (zh) 使用高压水喷射方式的蒸汽发生器的清洗装置
KR100662606B1 (ko) 포구자동청소기
KR100829264B1 (ko) 웨스팅하우스 f형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세정시스템
KR101535266B1 (ko) 원유저장탱크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KR100708889B1 (ko) 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KR100970436B1 (ko)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를 세정하는 수압구동 전열관 다발 부분 삽입형 세정장치
JP5921937B2 (ja) 回転自走式管内洗浄機
EP2608898A2 (en) Mobile cleaning device for solar panels
RU2692748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зоны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US20080229644A1 (en) Apparatus for cleaning gun barrel
KR102159558B1 (ko) 한국형 증기발생기의 환형공간 세정로봇
KR20130139097A (ko) 화력발전용 물분사 세척 장치
US20080022948A1 (en) System for cleaning, inspection and tooling delivery in the secondary side of a steam generator
CN103261788A (zh) 用于挠性喷枪的引导装置
KR101147356B1 (ko) 증기발생기 튜브시트 전구간 세정용 세정로봇
KR102450530B1 (ko) 저장소 청소 장치
JP6129583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装置
KR20020032131A (ko) 증기발생기 슬러지 세정 장비
KR100497972B1 (ko) 증기발생기 슬러지 세정 및 이물질 제거장치
JP2930538B2 (ja) 蒸気発生器の洗浄装置
KR200254505Y1 (ko) 다기능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JP2012083022A (ja) 冷却塔ルーバの洗浄装置
KR101501846B1 (ko)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세정장치
JP3702199B2 (ja) 窓や壁面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