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004A -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004A
KR20080009004A KR1020070072821A KR20070072821A KR20080009004A KR 20080009004 A KR20080009004 A KR 20080009004A KR 1020070072821 A KR1020070072821 A KR 1020070072821A KR 20070072821 A KR20070072821 A KR 20070072821A KR 20080009004 A KR20080009004 A KR 20080009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tion
music
uni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무까이야마
스스무 이지찌
사또시 아라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4Variable rate codecs, e.g. for generating different qualities us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such as hierarchical encoding or layered en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79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ion ratio or quality level being adapted to circumstances, e.g. to the available recording spa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11B2020/10981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when the data rate or the relative speed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is vari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불필요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영역을 극력 저감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특정하고, 각각을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로 변환하여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해당 프로그램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 중,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한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해당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보다도 데이터량이 저감하도록 변환하여 기록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일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남기면서, 나중에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극력 적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해 둘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불필요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영역을 극력 저감할 수 있다.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형식 변환부, 기록부, 제어부, 구간 특정부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PROGRAM}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라디오의 방송국(이하, 이를 라디오국으로 칭함)에 의해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기록 장치는, 라디오국으로부터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수신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데이터에는, 해당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로서의 음악 데이터의 구간의 선두부터 후미에 걸쳐서 그 음악 데이터에 관련되는 문자 정보가 연속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다중화되어 있는 문자 정보와의 비교용으로 원하는 키워드가 미리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키워드를 프로그램 데이터에 다중화되어 있는 문자 정보와 비교하여,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키워드와 일치하는 문자 정보가 다중화되어 있는 구간을 검출함과 함께,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구간의 데이터(이하, 이를 구간 데이터로 칭함) 를 잘라내어 기록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 기술의 문헌 정보>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51337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데이터 기록 장치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검출한 구간 데이터밖에 기록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 그 외에도 원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키워드가 없으면 검출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데이터 기록 장치는, 최종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확실하게 기록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해당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검출한 구간 데이터뿐만 아니라,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한 남은 구간도 포함시켜,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체를 그대로 기록해 두는 것이 고려된다.
그런데, 데이터 기록 장치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해당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체를 그대로 기록한 것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분명하여 최종적으로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부분의 기록에 대해 많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불필요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영역을 극력 저감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실현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부와,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와,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의해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혼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변환될 때,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혼재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해당 혼재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 및 다른 부분 구간 중,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한 쪽의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해당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보다도 데이터량이 저감하도록 변환하여 기록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일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남기면서, 장래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극력 적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혼재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해당 혼재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 및 다른 부분 구간 중,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한 쪽의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해당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보다도 데이터량이 저감하도록 변환하여 기록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일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남기면서, 장래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극력 적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해 둘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불필요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영역을 극력 저감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제1 실시 형태의 개요
도 1에서, 부호 1은 전체로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데이터 기록 장치(1)의 구간 특정부(2)는,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의 데이터 형식 변환부(3)는,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의 기록부(4)는,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혼재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의 제어부(5)는,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변환될 때, 구간 특정부(2)에 의해 혼재 데이터 중에서 특정된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데이터 형식 변환부(3)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 기록 장치(1)는, 혼재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해당 혼재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 및 다른 부분 구간 중,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한 쪽의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해당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보다도 데이터량이 저감하도록 변환하여 기록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일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남기면서, 장래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극력 적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해 둘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불필요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영역을 극력 저감할 수 있다.
(1-2)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상세 구성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상세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라디오 수신부(11)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국이 선국되어 라디오 프로그램의 출력이 요구되면, 복수의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 중,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 송파를 추출하여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4)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부(14)는, 라디오 수신부(11)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및 이퀄라이징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이러한 프로그램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라디오 프로그램 중에서 흐른 음악에 대응하는 음악 부분이나, 회화에 대응하는 회화 부분 등이 혼재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4)는, 해당 생성한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처리부(14)는, 이러한 아날로그 처리에 따라서 프로그램 신호를 얻고, 이를 출력부(15)에 송출함으로써, 그 출력부(15)로부터 프로그램 신호에 기초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음성을 출력시켜 유저에게 청취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유저에 대해 원하는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들려줄 수 있다.
또한 라디오 수신부(11)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국이 선국되고,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이 요구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여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4)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부(14)는, 라디오 수신부(11)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부(16)에 송출한다. 기록부(16)는,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원하는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녹음할 수 있다.
이 후,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기록부(16)는, 조작부(12)를 통해 프로그램 데이터의 재생이 요구되면, 해당 재생이 요구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를 데이터 처리부(14)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부(14)는, 기록부(16)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디지털 처리를 실시한 후, 이 디지털 처리한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처리부(14)는, 이러한 아날로그 처리에 따라서 프로그램 신호를 얻고, 이를 출력부(15)에 송출함으로써, 그 출력부(15)로부터 프로그램 신호에 기초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출력시켜 유저에게 청취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유저에 대해 녹음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들려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표시부(17)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나 기록부(16)로부터 읽어낸, 라디오 프로그램의 출력이나 녹음 등의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라, 라디오 프로그램의 출력이나 녹음 등에 관한 각종 화면을 표시하여 유저에게 시각적으로 확인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 외에 데이터 기록 장치(10)에는, 구간 특정부(18)가 설치되어 있다. 구간 특정부(18)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시, 데이터 처리부(14)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 혼재하고 있는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도록 이루어 져 있다. 또한 구간 특정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특정한 다른 부분 구간 중에서, 회화 부분에 상당하는 회화 부분 구간과, 예를 들면 CM(Commercial)이나 뉴스, 교통 정보 등의 부분(즉 남은 부분)에 상당하는 잔여 부분 구간을 특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에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시, 데이터 처리부(14)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데이터 형식이라 함은, 프로그램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규정하는 것으로, 이 데이터 형식을 변환함으로써, 비트 레이트나 샘플링 레이트, 압축율, 음향 방식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데이터 기록 장치(10)에는, 제어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부(20)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시, 구간 특정부(18)가 특정한 프로그램 데이터 중 각 구간을, 해당 구간마다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시, 구간 특정부(18)에서 특정한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구간을,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서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부(16)에 기록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나 샘플링 레이트, 압축율, 음향 방식 등으로 녹음할 수도 있다.
(1-3) 라디오 프로그램의 구간마다의 녹음
이하,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특정함과 함께, 특정한 각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로 녹음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라디오 수신부(11)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국이 선국되고,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로 녹음하는 것이 요구되면,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를 개시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여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4)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부(14)는, 라디오 수신부(11)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를 소정의 처리 단위의 데이터(예를 들면, 라디오 프로그램의 몇 초 정도의 프로그램 데이터에 상당하고, 이하 이를 처리 단위 데이터로 칭함)마다 구간 특정부(18)에 송출한다.
구간 특정부(18)는,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공급받은 처리 단위 데이터가, 어느 만큼 음악(즉 곡)다운지를 수치화하여 나타내는 곡다움(music likeness)을 검출하도록 하고, 이러한 곡다움의 검출을 프로그램 데이터 전체에 대해 실행한다. 이 곡다움의 검출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구간 특정부(18)는, 곡다움의 검출 결과로서의 곡다움 값을, 미리 선정된 소정의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해당 곡다움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이때 구간 특정부(18)는, 비교한 곡다움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러 한 처리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음악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음악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 처리 단위 데이터(이하, 이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로 칭함)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음악 부분 구간을 특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해 구간 특정부(18)는, 비교한 곡다움 값이 제1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 이러한 처리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다른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다. 다음으로 구간 특정부(18)는, 다른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 처리 단위 데이터(이하, 이를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라 칭함)의 곡다움 값을 미리 선정된 소정의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곡다움 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이때 구간 특정부(18)는, 비교한 곡다움 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러한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회화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회화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이하, 이를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로 칭함)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 지한다.
한편, 구간 특정부(18)는, 비교한 곡다움 값이 제2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 이러한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잔여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잔여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라고 특정한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이하, 이를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로 칭함)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회화 부분 구간과 잔여 부분 구간을 각각 특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처리 단위 데이터를 공급받을 때마다 해당 처리 단위 데이터의 곡다움을 검출함과 함께, 이러한 곡다움의 검출 결과로서의 곡다움 값과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한다. 또한 구간 특정부(18)는, 비교 결과에 따라서 처리 단위 데이터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 중 중 어느 하나로 특정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 중, 어느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하였는지를 제어부(20)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각 구간을 각각 특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어부(20)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시, 조작부(12)를 통해 예를 들면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음악 부분이 미리 요구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구간 특 정부(18)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구간 특정부(18)가 특정한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음악 부분 구간을,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이라고 판별하고, 고음질로 재생 가능한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구간 특정부(18)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구간 특정부(18)가 특정한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회화 부분 구간을,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분명하지만 좋은 음질 그대로 기록해야할 구간이라고 판별하고, 고비트 레이트에 비해 재생 시의 음질은 나빠지지만 데이터량이 작은 중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구간 특정부(18)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구간 특정부(18)가 특정한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잔여 부분 구간을,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불분명하고, 재생 시의 음질에 관계없이, 기록마저 해 두면 좋은 구간이라고 판별하고, 데이터량을 극력 작게 할 수 있는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구간 특정부(18)로부터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공급받으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이러한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구간 특정부(18)로부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공급받게 되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이러한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중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구간 특정부(18)로부터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공급받게 되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이러한 잔여 부분 단위 데 이터를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즉 처리 단위 데이터)를, 기록부(16)에 송출한다. 기록부(16)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받게 되는 처리 단위 데이터를 1개의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함과 함께,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종료가 요구되면, 이러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시, 기록부(16)에 대해, 프로그램 데이터(BD) 중에서 유저에 의해 미리 원하던 음악 부분 구간(MS)을 고음질로 재생 가능한 고비트 레이트(HB)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함과 함께,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개시의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확한 회화 부분 구간(TS) 및 잔여 부분 구간(RS)을, 고비트 레이트에 비해 데이터량이 저감하는 중비트 레이트(MB) 및 저비트 레이트(LB)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한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회화 부분 구간(TS) 및 잔여 부분 구간(RS)을 확실하게 남기면서, 그 한편으로 장래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이 회화 부분 구간(TS) 및 잔여 부분 구간(RS)을 극력 적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할 수 있다.
(1-4)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수순
여기서, 상술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로 녹음하는 것이 요구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수순(RT1)을 개시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라디오 수신부(11)는, 이러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수순(RT1)을 개시하면, 스텝 SP1에서,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여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4)에 송출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4)는,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를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 구간 특정부(18)에 송출하고, 다음 스텝 SP2로 이행한다.
스텝 SP2에서 구간 특정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의 곡다움을 검출하고, 그 결과 얻어진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의 곡다움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2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 는 곡다움을 검출한 처리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음악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처리 단위 데이터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하고, 다음 스텝 SP3으로 이행한다.
스텝 SP3에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부(16)에 송출하고, 다음 스텝 SP4로 이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P2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곡다움을 검출한 처리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다른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처리 단위 데이터를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고, 스텝 SP5로 이행한다.
스텝 SP5에서 구간 특정부(18)는,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의 곡다움 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5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회화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를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하고, 다음 스텝 SP6으로 이행한다.
스텝 SP6에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중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부(16)에 송출하고, 스텝 SP4로 이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P5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잔여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를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하고, 스텝 SP7로 이행한다.
스텝 SP7에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부(16)에 송출하고, 스텝 SP4로 이행한다.
스텝 SP4에서 기록부(16)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받은 처리 단위 데이터를 1개의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하도록 하여,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스텝 SP8로 이행한다.
스텝 SP8에서 제어부(20)는,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수순을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8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종료가 요구되어 있지 않고, 처리할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이때 스텝 SP2로 복귀하고, 스텝 SP8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P8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종료가 요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다음 스텝 SP9로 옮기고, 이러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수순(RT1)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수순(RT1)에 의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로 녹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1-5) 라디오 프로그램의 분할 녹음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라디오 프로그램을 1개의 데이터 파일로서 녹음할 뿐만 아니라, 라디오 프로그램을 분할하여 녹음할 수도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술한 구성 외에 데이터 기록 장치(10)에는, 분할부(21)(도 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할부(21)는, 상술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가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 다른 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였을 때, 이러한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 중,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끼워진 단독의 처리 단위 데이터나 동일 데이터 형식으로 되는 연속하는 복수의 처리 단위 데이터(즉, 프로그램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또는 잔여 부분 구간)를 각각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또는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로서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분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서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 프로그램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또는 잔여 부분 구간을, 분할부(21)에 의해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또는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로서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분할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분할하여 녹음할 수 있다. 이하,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분할하여 녹음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라디오 수신부(11)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국이 선국되고 라디오 프로 그램을 구간마다 분할하여 녹음하는 것이 요구되면,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를 개시하고, 상술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시와 마찬가지로 하여,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여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4)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부(14)는,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를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 구간 특정부(18)에 송출한다. 구간 특정부(18)는,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처리 단위 데이터를 공급받을 때마다 해당 처리 단위 데이터의 곡다움을 검출함과 함께, 이러한 곡다움의 검출 결과로서의 곡다움 값과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처리 단위 데이터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특정한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 중, 어느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인지를 제어부(20)에 통지한다.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상술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시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이러한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중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즉 처리 단위 데이터)를, 분할부(21)에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분할부(21)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로부터 공급받게 되는 일련의 처리 단위 데이터 중 단독, 및 연속하는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프로그램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을 형성하는 한 묶음의 데이터(이하, 이를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로 칭함)라고 판별하고, 이를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분할하여 기록부(16)에 송출한다. 또한 분할부(21)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로부터 공급받은 일련의 처리 단위 데이터 중 단독, 및 연속하는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프로그램 데이터의 회화 부분 구간을 형성하는 한 묶음의 데이터(이하, 이를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로 칭함)라고 판별하고, 이를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분할하여 기록부(16)에 송출한다. 또한 분할부(21)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로부터 공급받은 일련의 처리 단위 데이터 중 단독, 및 연속하는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프로그램 데이터의 잔여 부분 구간을 형성하는 한 묶음의 데이터(이하, 이를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로 칭함)라고 판별하고, 이를 프로그램 데이터로부터 분할하여 기록부(16)에 송출한다.
기록부(16)는, 분할부(21)로부터 공급받게 되는 각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각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및 각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를, 각각 별도의 데이터 파 일로서 순차적으로 기록하도록 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를 분할하여 기록함과 함께,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종료가 요구되면, 이러한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시, 프로그램 데이터를,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로 분할하여 기록부(16)에 기록한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기록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할 때, 프로그램 데이터의 선두부터 순서대로 재생하여 유저에게 내용을 확인시키는 일 없이, 분할하여 기록되어 있는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에 직접 액세스하여 재생하는 것만으로, 유저에게 내용을 확인시킬 수 있다.
(1-6)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수순
여기서, 상술한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분할하여 녹음하는 것이 요구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수순(RT2)을 개시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라디오 수신부(11)는, 이러한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수순(RT2)을 개시하면, 스텝 SP11에서,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여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4)에 송출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4)는,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를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 구간 특정부(18)에 송출하 고, 다음 스텝 SP12로 이행한다.
스텝 SP12에서 구간 특정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의 곡다움을 검출하고, 그 결과 얻어진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의 곡다움 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2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곡다움을 검출한 처리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음악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처리 단위 데이터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하고, 다음 스텝 SP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P13에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를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분할부(21)에 송출하고, 다음 스텝 SP14로 이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P12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곡다움을 검출한 처리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다른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처리 단위 데이터를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고, 스텝 SP15로 이행한다.
스텝 SP15에서 구간 특정부(18)는,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의 곡다움 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5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회화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다른 부 분 단위 데이터를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하고, 다음 스텝 SP16으로 이행한다.
스텝 SP16에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를 중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분할부(21)에 송출하고, 스텝 SP14로 이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P15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잔여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다른 부분 단위 데이터를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함과 함께, 이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 변환부(19)에 송출한 것을 제어부(20)에 통지하고, 스텝 SP17로 이행한다.
스텝 SP17에서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를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분할부(21)에 송출하고, 스텝 SP14로 이행한다.
스텝 SP14에서 분할부(21)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로 분할하고, 이를 기록부(16)에 송출하고, 스텝 SP18로 이행한다.
스텝 SP18에서 기록부(16)는, 각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각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및 각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를, 각각 별도의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하도록 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를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스텝 SP19로 이행한다.
스텝 SP19에서 제어부(20)는,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수순을 종료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9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종료가 요구되어 있지 않고, 처리할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이때 스텝 SP12로 복귀하고, 스텝 SP19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에 대해, 스텝 SP19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조작부(12)를 통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종료가 요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다음 스텝 SP20으로 옮기고, 이러한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수순(RT2)을 종료한다.
이러한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수순(RT2)에 의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분할하여 녹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1-7) 곡다움 검출
여기서,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시 및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시에 이용한 곡다움의 검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구간 특정부(18)에 의한 곡다움의 검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2 종류 있다. 이들 2 종류의 곡다움 검출 방법 중 한쪽의 곡다움 검출 방법은, 사람의 소리의 주파수 성분이 비교적 저역측으로 분포되고, 또한 악기 등의 음의 주파수 성분이 비교적 고역측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한쪽의 곡 다움 검출 방법은, 처리 단위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곡다움을 검출하는 것이다. 또 다른 쪽의 곡다움 검출 방법은, 일반적으로 음성 데이터가 사람의 소리의 생성 기구를 모델화하여 인코드 처리(즉, 압축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악곡 등의 소리 이외의 부분의 데이터를 인코드 처리한 경우에 그 데이터의 원래의 파형과, 해당 데이터를 코덱 처리(즉, 일단 인코드 처리한 후 디코드 처리)하여 얻어진 처리 결과 데이터의 파형과의 차분(이하, 이를 인코드 오차로 칭함)이, 소리의 부분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인코드 오차에 비해 커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다른 쪽의 곡다움 검출 방법은, 처리 단위 데이터의 인코드 오차에 기초하여 곡다움을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간 특정부(18)에는, 이들 2 종류의 곡다움 검출 방법 중 어느 한쪽이 적용되어 있음으로써, 이하에는 이들 2 종류의 곡다움 검출 방법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구간 특정부(18)에 대해 한쪽의 곡다움 검출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구간 특정부(18)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미리 기억하고 있는 곡다움 검출 프로그램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RT3)을 개시한다.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RT3)을 개시하면, 스텝 SP21에서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공급받게 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처리 단위 데이터(예를 들면,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중의 시각이 타임 코드로서 부가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해당 타임 코드로서의 임의의 시각(t)을 기점으로 한 해당 시각(t)의 경과 측에의 1024 샘플들의 데이터로 됨)를 취득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그 처리 단위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 Fast Fourier Transfer)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해당 처리 단위 데이터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분해하여, 다음 스텝 SP22로 이행한다.
스텝 SP22에서 구간 특정부(18)는, 주파수 스펙트럼(sp)을 예를 들면 8 [㎑]의 주파수를 경계로 하여 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spn)과 고역의 주파수 스펙트럼(spn)으로 나눈다. 덧붙여서 프로그램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가 44.1 [㎑]인 경우, 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spn)은 sp0 내지 sp185로 되고, 고역의 주파수 스펙트럼(spn)은 sp186 내지 sp511로 된다. 또한 구간 특정부(18)는, 저역의 파워 스펙트럼(a)을 수학식 1
Figure 112007052757535-PAT00001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sp0 내지 sp185)의 크기 성분을 제곱하여 산출함과 함께, 고역의 파워 스펙트럼(b)을 수학식 2
Figure 112007052757535-PAT00002
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역의 주파수 스펙트럼(sp186 내지 sp511)의 크기 성분을 제곱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저역의 파워 스펙트럼(a)과 고역의 파워 스펙트럼과의 비율(이하, 이를 파워 스펙트럼 비율로 칭함)(Rt)을 수학식 3
Figure 112007052757535-PAT00003
에 따라서 산출하여, 다음 스텝 SP23으로 이행한다.
스텝 SP23에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동 평균값의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이 시점까지 구한 합계 n개의 파워 스펙트럼 비율(Rt-n)의 이동 평균의 수치(x)를 수학식 4
Figure 112007052757535-PAT00004
에 따라서 구하고, 그 이동 평균의 수치(x)를 곡다움을 나타내는 수치(이하, 이를 곡다움 값으로 칭함)로 하고, 다음 스텝 SP24로 이행한다.
스텝 SP24에서 구간 특정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 전체의 처리 단위 데이터에 대해 곡다움을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구간 특정부(18)는, 아직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처리 단위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는 도중이며, 곡다움의 검출이 완료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21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구간 특정부(18)는, 이 후 스텝 SP24에서 긍정 결과를 얻기까지의 동안, 스텝 SP21 내지 스텝 SP24의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 전체의 처리 단위 데이터에 대한 곡다움의 검출이 완료됨으로써 스텝 SP24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 SP25로 옮기고, 이러한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RT3)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간 특정부(18) 는, 한쪽의 곡다움 검출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수학식 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데이터에서의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으로서 사람의 소리가 지배적인 개소에서는 곡다움 값이 비교적 작아지고, 이에 대해 사람의 소리 이외의 악기의 음 등이 지배적인 개소에서는 곡다움 값이 비교적 커지는 것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 순차적으로 곡다움을 검출한다.
또한 구간 특정부(18)에 대해 다른 쪽의 곡다움 검출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구간 특정부(18)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미리 기억하고 있는 곡다움 검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RT4)을 개시한다. 구간 특정부(18)는, 이러한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RT4)을 개시하면, 스텝 SP31에서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공급받게 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처리 단위 데이터[예를 들면, 프로그램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코드로서의 임의의 시각(t)을 기점으로 한 해당 시각(t)의 경과 측에의 200 샘플의 데이터로 됨]를 취득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그 처리 단위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를 변환하여, 다음 스텝 SP32로 이행한다. 덧붙여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때 처리 단위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를, 나중의 코덱 처리[예를 들면,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방식에 준한 코덱 처리]에서 취급할 수 있는 주파수에 맞추도록 예를 들면 8 [㎑] 또는 16 [㎑]로 변환한다.
스텝 SP32에서 구간 특정부(18)는, 처리 단위 데이터에 대해 코덱 처리(즉, 일단 인코드 처리한 후, 디코드 처리함).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처리 단위 데이터의 원래의 파형(c)과, 그 처리 단위 데이터를 코덱 처리하여 얻어진 예를 들면 원래와 동일한 200 샘플의 데이터로 되는 처리 결과 데이터의 파형(d)으로부터 인코드 오차(Et)를 수학식 5
Figure 112007052757535-PAT00005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샘플끼리의 차분을 구하도록 산출하여, 다음 스텝 SP33으로 이행한다. 덧붙여서 구간 특정부(18)는, 수학식 5로 나타낸 연산을 실행하는 경우, 처리 단위 데이터에 대한 코덱 처리의 개시로부터, 해당 처리 단위 데이터를 코덱 처리하여 처리 결과 데이터를 얻기까지의 지연(delay)을 고려하여 인코드 오차(Et)를 산출하고 있다.
스텝 SP33에서 구간 특정부(18)는, 이동 평균 값의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이 시점까지 구한 합계 n개의 인코드 오차(Et)의 이동 평균의 수치(x)를 수학식 6
Figure 112007052757535-PAT00006
에 따라서 구하고, 그 이동 평균의 수치(x)를 곡다움 값으로 하고, 다음 스텝 SP34로 이행한다.
스텝 SP34에서 구간 특정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 전체의 처리 단위 데이터에 대해 곡다움을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구간 특정부(18)는, 아직 데이터 처리부(14)로부터 처리 단위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는 도중이며, 곡다 움의 검출이 완료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1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구간 특정부(18)는, 이 후 스텝 SP34에서 긍정 결과를 얻기까지의 동안, 스텝 SP31 내지 스텝 SP34의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구간 특정부(18)는, 프로그램 데이터 전체의 처리 단위 데이터에 대한 곡다움의 검출이 완료됨으로써 스텝 SP34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 스텝 SP35로 옮기고, 이러한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RT4)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간 특정부(18)는, 다른 쪽의 곡다움 검출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수학식 5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데이터에서의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으로서 사람의 소리가 지배적인 개소에서는 곡다움 값이 비교적 작아지고, 이에 대해 사람의 소리 이외의 악기의 음 등이 지배적인 개소에서는 곡다움 값이 비교적 커지는 것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 순차적으로 곡다움을 검출한다.
(1-8)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서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간마다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로 녹음하는 것이 요구되면, 추출한 라디오 방송파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처리 단위 데이터마다 곡다움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로서의 곡다움 값과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처리 단위 데이터를 음악 부분 단위 데이터, 회화 부분 단위 데이터 또는 잔여 부분 단위 데이터로 특정한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유저에 의해 미리 원하던 음악 부분 구간을 고 음질로 재생 가능한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함과 함께,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 개시의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한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고비트 레이트에 비해 데이터량이 저감하는 중비트 레이트 및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한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고비트 레이트에 비해,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보다도 데이터량이 작아지는 중비트 레이트 및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확실하게 남기면서, 그 한편으로 장래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이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극력 적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각각 특정하여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였을 때, 프로그램 데이터를, 음악 부분 구간의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와, 회화 부분 구간의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와, 잔여 부분 구간의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로 분할하고, 이 분할한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를 각각 기록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기록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할 때, 프로그램 데이터의 선두부터 순서대로 재생하여 유저에게 내용을 확인시킬 수 있고, 분할하여 기록되어 있는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 회화 부분 구간 데이터 및 잔여 부분 구간 데이터에 직접 액세 스하여 재생하는 것만으로, 유저에게 내용을 확인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였을 때, 다른 부분 구간 중에서, 회화 부분에 상당하는 회화 부분 구간과 남은 부분에 상당하는 잔여 부분 구간을 특정하고, 회화 부분 구간과 잔여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할 때,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면서도 좋은 음질 그대로 기록할 회화 부분 구간을, 고비트 레이트에 비해 재생 시의 음질은 나빠지지만 데이터량이 작은 중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함과 함께,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지 불명하고, 재생 시의 음질에 관계없이 기록마저 해 두면 좋은 잔여 부분 구간을, 데이터량을 극력 작게 한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일지도 모르는 데이터 중에서, 재생 시에 좋은 음질을 요구하는 것이 상정되는 데이터를 비교적 좋은 음질로 남김과 함께, 재생 시의 음질에 구애받지 않는 데이터에 관해서는 데이터량을 극력 작게 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재생 시를 고려한 기록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회화 부분 및 잔여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회화 부분에 상당하는 회화 부분 구간과, 잔여 부분에 상당하는 잔여 부분 구간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해당 프로그램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 중, 그 시점에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불명한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해당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보다도 데이터량이 저감하도록 변환하여 기록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일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남기면서, 장래 불필요할지도 모르는 데이터를 극력 적은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해 둘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불필요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영역을 극력 저감할 수 있다.
(1-9)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구간을 비트 레이트가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샘플링 레이트나 압축율, 음향 방식 등이 서로 다르도록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녹음 개시 전에 미리 판명되어 있는 구간에 대해서는, 특히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지 않아도 된다. 이 외에 비트 레이트, 샘플링 레이트 압축율 및 음향 방식 등을 조합하여 변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데이터의 음악 부분 구간을 고비트 레이트로 스테레오 음향 방식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회화 부분 구간을 저비트 레이트로 스테레오 음향 방식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잔여 부분 구간을 저비트 레이트로 모노럴 음향 방식의 데 이터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곡다움 값과 제2 임계값과의 비교의 결과에 따라서 다른 부분 구간으로부터 회화 부분 구간과 잔여 부분 구간을 특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시, 곡 및 회화에 비해, CM 및 교통 정보의 방송 개시의 시점으로부터 방송 종료의 시점까지의 방송 계속 시간이 짧은 것을 이용하여, 다른 부분 구간 중에서 소정의 방송 계속 시간 이상의 구간을 회화 부분 구간으로 특정함과 함께 소정의 방송 계속 시간보다도 짧은 구간(즉, CM이나 교통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잔여 부분 구간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기록 장치(10)는, 예를 들면 라디오 프로그램 중에 단시간 삽입된 만큼의 곡의 일부나, 곡과 곡 사이의 이음으로서의 짧은 회화 부분 등을,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가능성이 낮은 구간(즉 잔여 부분 구간)으로서 특정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불필요한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 영역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 구간,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의 3개의 구간을 특정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특정하는 구간의 종류는, 복수 종류이면 몇 종류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특정하는 구간이 1 종류인 경우라도, 예를 들면 특정한 구간을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특정한 구간 이외를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등으로 하면,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음악 부분 구간을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다른 부분 구간으로서의 회화 부분 구간 및 잔여 부분 구간을, 고비트 레이트보다도 데이터량이 작아지는 중비트 레이트 및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처리 전의 설정에 따라서, 회화 부분 구간이나 잔여 부분 구간을 고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음악 부분 구간을 저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등으로 해도 되고,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구간의 데이터 형식의 변환은, 유저의 설정에 의해 어떻게 해도 가능한 것으로 한다.
(2) 제2 실시 형태
(2-1) 제2 실시 형태의 개요
다음으로, 도 8을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중앙 처리 유닛(CPU : Central Processing Unit)(50)과 각 하드웨어가 버스(51)를 통해 접속되고, 그 중앙 처리 유닛(50)이 ROM(Read Only Memory)(52)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로부터 읽어낸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54)에서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전체를 통괄 제어함과 함께,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50)는, 예를 들면 데이터 기록 장치(100)의 케이스 등에 설치된 조작 키(55)를 통해 라디오국이 선국되어 라디오 프로그램의 출력이 요구되면, 튜너(59)에 대해 복수의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 중,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도록 설정하여 동작시킨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50)은, 이때 데이터 처리부(57)를 라디오 프로그램의 출력용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튜너(59)는, 안테나(60)에 의해 수신된 각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 안에서,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여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57)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부(57)는, 튜너(59)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및 이퀄라이징 처리 등의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처리부(57)는, 이러한 아날로그 처리에 따라서 프로그램 신호를 얻고, 이를 스피커(58)에 송출함으로써 그 스피커(58)로부터 프로그램 신호에 기초하는 프로그램의 음성을 출력시켜 유저에게 청취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50)은, 유저에 대해 원하는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들려줄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50)은, 조작 키(55)를 통해 라디오국이 선국되어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이 요구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튜너(59)를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도록 설정하여 동작시킨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50)은, 이때 데이터 처리부(57)를 라디오 프로그램의 녹음용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튜너(59)는, 안테나(60)에 의해 수신된 각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 중으로부터, 유저에 의해 선국된 라디오국의 라디오 방송파를 추출하여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신호를 데이터 처리 부(57)에 송출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7)는, 튜너(59)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신호에 대해 디지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프로그램 데이터를 중앙 처리 유닛(50)에 송출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50)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에 송출하여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50)은, 원하는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50)은, 조작 키(55)를 통해 프로그램 데이터의 재생이 요구되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로부터 재생의 요구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를 데이터 처리부(57)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부(57)는, 중앙 처리 유닛(50)으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디지털 처리를 실시한 후, 이 디지털 처리한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증폭 처리 등의 아날로그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처리부(57)는, 이러한 아날로그 처리에 따라서 프로그램 신호를 얻고, 이를 스피커(58)에 송출함으로써 그 스피커(58)로부터 프로그램 신호에 기초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음성을 출력시켜 유저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50)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53)에 녹음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들려줄 수 있다.
그런데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50)이 ROM(52)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함과 함께 각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서는, 도 2에 대해 상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데이 터 기록 장치(10)의 기능에 따라서, ROM(52)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중앙 처리 유닛(50) 및 데이터 처리부(57)를,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14)(도 2)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서는, 조작 키(55)를, 상술한 조작부(12)(도 2)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음과 함께, 중앙 처리 유닛(50)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를, 상술한 기록부(16)(도 2)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서는, 중앙 처리 유닛(50), 튜너(59) 및 안테나(60)를, 상술한 라디오 수신부(11)(도 2)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음과 함께, 중앙 처리 유닛(50) 및 표시부(61)를, 상술한 표시부(17)(도 2)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서는, 중앙 처리 유닛(50)을, 상술한 구간 특정부(18)(도 2), 데이터 형식 변환부(19)(도 2), 제어부(20)(도 2) 및 분할부(21)(도 2)의 각각과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58)는, 상술한 출력부(15)(도 2)에 대응한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 장치(100)는, 데이터 기록 장치(10)의 기능에 따라서, ROM(52)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해당 데이터 기록 장치(10)와 마찬가지의 상술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2) 다른 실시 형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8에 대해 상술한 데이터 기록 장치(100)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HDD(Hard Disk Drive) 비디오 레코더, 광 디스크 레코더, 반도체 메모리 타입의 레코더, 라디오 녹음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 라디오 녹음 기능을 갖는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및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이 밖의 다양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부로서, 도 8에 대해 상술한 중앙 처리 유닛(50)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구간 특정 회로 등과 같이, 이 밖의 다양한 구간 특정부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로서, 도 8에 대해 상술한 중앙 처리 유닛(50)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데이터 형식 변환 회로 등과 같이, 이 밖의 다양한 데이터 형식 변환부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의해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혼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로서, 도 8에 대해 상술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3)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 지 않고, 광 디스크 레코더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반도체 메모리 타입의 레코더 등, 이 밖의 다양한 기록 매체에 대해 혼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변환될 때, 구간 특정부에 의해 혼재 데이터 중에서 특정된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데이터 형식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도 8에 대해 전술한 중앙 처리 유닛(50)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변환될 때, 구간 특정부에 의해 혼재 데이터 중에서 특정된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데이터 형식 변환부를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제어 회로 등과 같이, 이 밖의 다양한 제어부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의해,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이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혼재 데이터를, 음악 부분 구간의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와 다른 부분 구간의 다른 부분 구간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부로서, 도 8에 대해 상술한 중앙 처리 유닛(50)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의해, 음악 부분 구간과 다른 부분 구간이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혼재 데이터를, 음악 부분 구간의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와 다른 부분 구간의 다른 부분 구간 데이터로 분할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분할 회로 등과 같이, 이 밖의 다양한 분할부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로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해 상술한 라디오국으로부터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국으로부터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나, 인터넷 상의 음성 콘텐츠 데이터 및 동화상 콘텐츠 데이터 등, 다양한 혼재 데이터를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외에, 다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읽어내어 상술한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되고, 혼재 데이터의 종류 및 취득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라디오국으로부터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프로그램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4는, 라디오 프로그램 구간 녹음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라디오 프로그램 분할 녹음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1).
도 7은, 곡다움 검출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2).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이터 기록 장치
2 : 구간 특정부
3 : 데이터 형식 변환부
4 : 기록부
5 : 제어부
10 : 데이터 기록 장치
11 : 라디오 수신부
12 : 조작부
14 : 데이터 처리부
15 : 출력부
16 : 기록부
17 : 표시부
18 : 구간 특정부
19 : 데이터 형식 변환부
20 : 제어부
21 : 분할부
50 : 중앙 처리 유닛
51 : 버스
55 : 조작 키
57 : 데이터 처리부
58 : 스피커
59 : 튜너
100 : 데이터 기록 장치

Claims (11)

  1.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부와,
    상기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상기 혼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혼재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될 때,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샘플링 레이트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압축율의 상기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혼재 데이터를, 상기 음악 부분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 음악 부분 구간 데이터와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 다른 부분 구간 데이터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음향 방식의 상기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특정부는,
    상기 혼재 데이터의 상기 다른 부분 구간 중에서, 회화 부분에 상당하는 회화 부분 구간과 남은 부분에 상당하는 잔여 부분 구간을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재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될 때,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에,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회화 부분 구간과 상기 잔여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회화 부분 구간 및 상기 잔여 부분 구간을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의, 또한 상기 음악 부분 구간 및 상기 회화 부분 구간과 상기 잔여 부분 구간을 서로 다른 음향 방식의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9.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스텝과,
    상기 혼재 데이터 중에서 특정된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 스텝과,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상기 혼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0.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스텝과,
    상기 혼재 데이터 중에서 특정된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 스텝과,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상기 혼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음악 부분과, 그 음악 부분과는 다른 부분이 혼재하여 형성된 혼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음악 부분에 상당하는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에 상당하는 다른 부분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수단과,
    상기 혼재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 수단과,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된 상기 혼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혼재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형식이 변환될 때,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 수단에 상기 음악 부분 구간과 상기 다른 부분 구간을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KR1020070072821A 2006-07-21 2007-07-20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프로그램 KR20080009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0041A JP2008026662A (ja) 2006-07-21 2006-07-21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JPJP-P-2006-00200041 2006-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004A true KR20080009004A (ko) 2008-01-24

Family

ID=3851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821A KR20080009004A (ko) 2006-07-21 2007-07-20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19541A1 (ko)
EP (1) EP1881498A1 (ko)
JP (1) JP2008026662A (ko)
KR (1) KR20080009004A (ko)
CN (1) CN1011102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6272B2 (en) * 2009-08-14 2014-04-22 Apple Inc. Adaptive encoding and compression of audio broadcast data
CN102340598A (zh) * 2011-09-28 2012-02-01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具有广播音乐捕捉功能的移动终端及其音乐捕捉方法
CN108600223A (zh) * 2018-04-24 2018-09-28 四川精工伟达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NB-IoT网络的识别装置、方法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8376B2 (en) 1999-01-27 2006-06-06 Logan James D Radio receiving,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JP3512098B2 (ja) * 1996-12-13 2004-03-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10222933A (ja) 1997-02-05 1998-08-21 Sony Corp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伝送装置および情報伝送方法
US6311155B1 (en) * 2000-02-04 2001-10-30 Hearing Enhancement Company Llc Use of voice-to-remaining audio (VRA) in consumer applications
US6600908B1 (en) * 1999-02-04 2003-07-29 Hark C. Chan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and receiving audio information and associated audio indexes
JP2000267699A (ja) * 1999-03-19 2000-09-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響信号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音響信号復号装置
US7266501B2 (en) * 2000-03-02 2007-09-04 Akiba Electronics Institut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secondary content remaining audio capability in the digital audio production process
JP4712934B2 (ja) * 2000-03-06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再生装置
JP2002268687A (ja) * 2001-03-07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量変換装置及び情報量変換方法
KR100472904B1 (ko) * 2002-02-20 2005-03-08 안호성 음악 부분을 자동으로 선별해 저장하는 디지털 음악 재생장치 및 그 방법
US6996390B2 (en) 2002-06-26 2006-02-07 Microsoft Corporation Smart car radio
JP2005538634A (ja) * 2002-09-13 2005-12-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コンテンツ提示の方法及び装置
US7149693B2 (en) * 2003-07-31 2006-12-12 Sony Corporation Automated digital voice recorder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synchronization
DE602004017625D1 (de) 2003-09-15 2008-12-1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e und verfahren zum exportieren von digitalem inhalt durch verwendung einer interaktiven fernsehanwendung
US7179980B2 (en) * 2003-12-12 2007-02-20 Nokia Corporation Automatic extraction of musical portions of an audio stream
JP2005227544A (ja) * 2004-02-13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信号記録方法および音声信号記録装置
US7120576B2 (en) * 2004-07-16 2006-10-10 Mindspeed Technologies, Inc. Low-complexity music detection algorithm and system
KR101171304B1 (ko) * 2005-04-28 2012-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데이터 저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0248A (zh) 2008-01-23
US20080019541A1 (en) 2008-01-24
CN101110248B (zh) 2010-10-13
JP2008026662A (ja) 2008-02-07
EP1881498A1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3038B2 (en) Musical piece extraction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JP2009139592A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システム及び音声処理プログラム
KR101063562B1 (ko) 수신 장치, 전송 장치 및 송신 시스템
CN101166033B (zh) 数据记录设备、数据记录方法、以及数据记录程序
JP2006317972A (ja) オーディオデータ編集方法とこれを適用した記録媒体及びデジタル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
JP2008262497A (ja) 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バックアップ装置、バックアップ要求装置、バックアップ方法、バックアップ要求方法、バックアッププログラム及びバックアップ要求プログラム
US9153241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20080009004A (ko)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기록프로그램
JP4743228B2 (ja) デジタル音声信号解析方法、その装置、及び映像音声記録装置
JP3226711B2 (ja) 圧縮情報再生装置および圧縮情報再生方法
JP2008079047A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再生プログラム
JP2006243128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4222250B2 (ja) 圧縮楽音データ再生装置
JP2005227544A (ja) 音声信号記録方法および音声信号記録装置
JP2000347697A (ja) 音声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826942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비트 변환 방법, 이를 수행하는디코더 장치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방법
KR100317064B1 (ko)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JP2003029797A (ja) 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CN117440120A (zh) 通过视频数据传输结构化音频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2135900A (ja) 圧縮オーディオ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
JPH09198796A (ja) 音響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
JP2004334046A (ja) 圧縮音声データ再生装置、カラオケ装置
JP2000224121A (ja) 情報信号送信装置及び情報信号受信処理装置
JPH07153187A (ja) 音楽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259246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