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282A -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282A
KR20080007282A KR1020077030630A KR20077030630A KR20080007282A KR 20080007282 A KR20080007282 A KR 20080007282A KR 1020077030630 A KR1020077030630 A KR 1020077030630A KR 20077030630 A KR20077030630 A KR 20077030630A KR 20080007282 A KR20080007282 A KR 2008000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rolled steel
ductility
hot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451B1 (ko
Inventor
리키 오카모토
히로카즈 다니구치
마사시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10T29/49988Metal casting
    • Y10T29/49991Combined with ro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되는 자동차 저면 부품 등을 대상으로 하고, 1.0 내지 6.0 mm 정도의 판 두께로, 980N/mm2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과 화성 처리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질량%로, C:0.01 내지 0.09%, Si:0.05 내지 1.5%, Mn:0.5 내지 3.2% 이하, Al:0.003 내지 1.5%, P:0.03% 이하, S:0.005% 이하, Ti:0.10 내지 0.25%, Nb:0.01% 내지 0.05%를 함유하고, C, Ti, Nb, Mn가 0.9≤48/12×C/Ti<1.7 ...<1>, 50227×C-4479×Mn>-9860...<2>, 811×C+135×Mn+602×Ti+794×Nb>465 ...<3>의 모든 식을 만족하고, 또한 나머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이다.
구멍 확장성, 고강도 열연 강판, 자동차 저면 부품

Description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EXCELLING IN BORE EXPANDABILITY AND DUCT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로 프레스 가공되는 자동차 저면 부품 등을 대상으로 하고, 1.0 내지 6.0mm 정도의 판 두께로, 980N/mm2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환경 문제를 계기로 연비 개선 대책으로서의 차체 경량화, 부품의 일체 성형화, 가공 공정의 합리화에 의한 비용 절감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져,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열연 강판의 성형으로서는 연성과 구멍 확장성이 중요하고,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28768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138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200351호에 590 내지 780 N/mm2의 강도 레벨의 강판에 대하여 Ti, Nb와 C, S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구멍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더욱 경량화할 필요가 있어 980N/mm2를 초과하는 고강도 강판의 개발이 필요하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고강도화에 따라, 연신율 및 구멍 확장성 모두 열화되고, 또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은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기술에서는 연신율과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980N/mm2 레벨의 강판의 제조는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980N/mm2 이상의 고강도화에 수반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의 열화를 막고, 고강도를 가지면서 높은 구멍 확장성과 연성을 가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멍 확장성, 연성 및 화성 처리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질량%로,
C:0.01% 이상, 0.09% 이하,
Si:0.05% 이상, 1.5% 이하,
Mn:0.5% 이상, 3.2% 이하,
Al:0.003% 이상, 1.5% 이하,
P:0.03% 이하,
S:0.005% 이하,
Ti:0.10% 이상, 0.25% 이하,
Nb:0.01% 이상, 0.05%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0.9≤48/12×C/Ti<1.7 <1>
50227×C-4479×Mn>-9860 <2>
811×C+135×Mn+602×Ti+794×Nb>465 <3>
의 모든 식도 만족하고, 또한 나머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으로서, 강도가 980N/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2)질량%로,
C:0.01% 이상, 0.09% 이하,
Si:0.05% 이상, 1.5% 이하,
Mn:0.5% 이상, 3.2% 이하,
Al:0.003% 이상, 1.5% 이하,
P:0.03% 이하,
S:0.005% 이하,
Ti:0.10% 이상, 0.25% 이하,
Nb:0.01% 이상, 0.05%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Mo:0.05% 이상, 0.40% 이하,
V:0.001% 이상, 0.10% 이하 중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고, 또한,
0.9≤48/12×C/Ti<1.7 <1>’
50227×C-4479×(Mn+0.57×Mo+1.08×V)>-9860 <2>’
811×C+135×(Mn+0.57×Mo+1.08×V)+602×Ti+794×Nb>465 <3>’
중 모든 식을 만족하고, 한편 나머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으로서, 강도가 980N/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3) 질량%로 또한, Ca, Zr, REM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0.0005% 이상, 0.01% 이하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4) 질량%로 또한, Mg:0.0005% 이상, 0.01% 이하 함유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5) 질량%로, 또한,
Cu:0.1% 이상, 1.5% 이하,
Ni:0.1% 이상, 1.0%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6) 압연 종료 온도를 Ar3 변태점으로부터 950℃로 하여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650 내지 80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0.5초 이상, 15초 이하 공냉한 후, 추가로,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내지 600℃로 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고강도 열연 강판에 있어서, 고강도화에 따라 연신율, 구멍 확장성 모두 열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은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C, Mn, Ti의 성분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고강도이고 또한 연성과 구멍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TiC의 석출 강화의 최대한의 이용과 Mn, C에 의한 조직 강화가 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관계식을 도출하고,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하, 강 조성의 각 원소의 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C는 0.01이상, 0.09% 이하로 한다. C는 탄화물을 석출하여 강도를 확보하는데 필요한 원소이며 0.01% 미만에서는 소망하는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0.09%를 넘으면 강도 상승의 효과가 없어지고 연성도 열화되기 때문에 상한을 0.09%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C는 구멍 확장성을 열화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0.07% 이하가 바람직하다.
Si는 고용강화에 의하여 강도를 상승시키는 원소인 이외에 유해한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페라이트 생성을 촉진하고, 연신율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중요하고, 이것에 의하여 강도와 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얻기 위하여 0.05%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첨가량이 증가하면 Si 스케일에 기인하는 디스케일링성, 화성 처리성의 저하를 수반하기 때문에 1.5%를 상한으로 한다. 또한, Si의 범위를 0.9 내지 1.3%로 하는 것이 구멍 확장성과 연성을 효과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Mn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원소의 하나로, 강도의 확보에 필요한 원소이지만, 연신율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강도의 확보가 가능하다면 첨가량은 적은 것이 좋다. 특히, 3.2%를 넘어 다량으로 첨가하면 마이크로 편석, 매크로 편석이 일어나기 쉬워, 구멍 확장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기 때문에 상한을 3.2%로 한다. 특히, 연신율이 중요시되는 경우,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Mn은 구멍 확장성에 유해한 S를 MnS로서 무해화하는 작용이 있다. 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는 0.5%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Al은 탈산재로서 유효하고, Si와 같이 유해한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페라이트 생성을 촉진하고, 연신율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중요하고, 이것에 의하여 강도와 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탈산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0.003% 이상의 첨가를 필요로 한다. 한편, 1.5%를 넘으면 연성 개선 효과가 포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1.5%를 상한으로 한다. 단, 다량의 첨가는 강의 청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P는 페라이트에 고용되어 그 연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함유량은 0.03% 이하로 한다. 또한, S는 MnS를 형성하여 파괴의 기점으로서 작용하고 현저하게 구멍 확장성과 연성을 저하시키므로 0.005% 이하로 한다.
Ti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소의 하나이며, TiC의 석출에 의하여 강도를 확보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Mn에 비하여 연신율의 열화도 적기 때문에 유효하게 이용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하여는 0.10%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한편, 다량으로 첨가하면 열연 가열 중에 TiC 석출이 진행되기 때문에 강도에 기여 하지 않게 되어 현행의 가열 온도 상한으로부터 첨가량의 상한은 0.25% 이하로 한다.
Nb는 Ti 첨가와 같이, NbC 석출로 강도를 확보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Mn에 비하여 연신율의 열화도 적기 때문에 유효하게 이용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하여는 0.01%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단, Nb 첨가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는 0.05% 초과를 첨가하여도 효과는 포화되기 때문에 상한을 0.05%로 한다.
Mo는 Mn과 마찬가지로, 강도 상승에 기여하는 원소이지만, 연신율을 열화 시키기 때문에 강도 확보가 가능하면 첨가량은 적은 것이 좋다. 특히, 0.40%를 넘으면 연성의 저하가 크기 때문에 상한을 0.4%로 한다. 한편, Mn의 일부 대체로 첨가함으로써 Mn 편석을 완화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얻으려면 0.05%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V는 Mo, Mn과 마찬가지로 강도 상승에 기여하는 원소이지만, 연신율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강도 확보가 가능하면 첨가량은 적은 것이 좋다. 또한, 0.10%를 넘으면 주조시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한을 0.10%로 한다. 한편, Mn의 일부 대체로 첨가함으로써 Mn 편석을 완화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얻으려면 0.001%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Ca, Zr, REM은 황화물계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여 구멍 확장성의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형태 제어 효과를 유효하게 하기 위하여 Ca, Zr, REM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0.0005%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량의 첨가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조대화를 초래하여 청정도를 악화시키고 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 라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0.01%로 한다.
Mg는 첨가에 의하여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을 형성하지만, 이 때 형성되는 MgO 또는 MgO를 포함하는 Al2O3, SiO2, MnO, Ti2O3의 복합 산화물의 미세화는 Mg를 첨가하지 않는 종래 강에 비하여, 개개의 산화물의 사이즈가 작고, 균일하게 분산된 분산 상태가 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었다. 강 중에 미세 분산된 이러한 산화물은 명확하지 않지만, 타발 가공시에 미세 보이드를 형성하고, 응력의 분산에 기여하고, 응력 집중을 억제함으로써 조대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구멍 확장성의 향상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단, 0.0005%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으로 0.01%를 초과하여 함유시켜도 개선 효과는 포화되고, 비용 증가로 연결되기 때문에 0.01%를 상한으로 한다.
Cu, Ni는 담금질성을 높이는 원소로, 조직 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특히 냉각 속도가 낮을 때에 첨가함으로써 제2상 분율을 확보하여 강도를 얻기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 효과를 유효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는 Cu는 0.1% 이상, Ni는 0.1% 이상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단, 다량의 첨가는 연성의 열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상한을 Cu는 1.5%, Ni는 1.0%로 한다.
불가피한 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N:0.01% 이하, Cu:0.1% 미만, Ni:0.1% 미만, Cr:0.3% 이하, Mo:0.05% 미만, Co:0.05% 이하, Zn:0.05% 이하, Sn:0.05% 이하, Na:0.02% 이하, B:0.0005% 이하로 함유하고 있어도, 본 발명을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C, Mn, Ti의 성분의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고강도를 가지면서 연신율과 구멍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TiC 석출 강화의 최대한의 이용과 Mn, C에 의한 조직 강화의 재질에게 미치는 영향을 명확화함으로써 아래의 3개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이하에 설명한다.
Ti에 비하여 C의 첨가량이 적으면 고용 Ti의 증가에 의하여, 연신율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0.9≤48/12×C/Ti로 한다. 한편, C가 Ti에 비하여 너무 많으면 열연가열 중에 TiC가 석출되어 강도 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것 이외에 제2상 중의 C량의 증가에 의한 구멍 확장성의 열화를 수반한다. 따라서 48/12×C/Ti<1.7로 한다. 즉, 식 <1>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구멍 확장성을 중시하는 경우, 1.0≤48/12×C/Ti<1.3인 것이 바람직하다.
0.9≤48/12×C/Ti<1.7 <1>
Mn의 첨가량의 증대에 따라, 페라이트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2상 분율이 증대되고, 강도의 확보는 용이하게 되지만 연신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C는 제2상을 경(硬)하게 함으로써 구멍 확장성의 열화는 수반되나 연신율을 개선한다. 이에 980N/mm2 초과에 요구되는 연신율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식 <2>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50227×C-4479×Mn>-9860 <2>
이 때, Mo, V의 효과로서는 각 원자 당량에 의하여 정해지기 때문에 Mo, V를 첨가한 조건에서는 식 <2>는 식 <2>’이 된다.
50227×C-4479×(Mn+0.57×Mo+1.08×V)>-9860 <2>’
가공성을 확보하려면 상기 2개의 식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780N/mm2 레벨의 강판이면, 강도를 확보하면서 상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980N/mm2초과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멍 확장성을 열화시키는 C나, 연신율을 열화시키는 Mn의 첨가는 불가피하다. 980N/mm2 초과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는 상기 2개의 식을 만족하면서 식<3>을 만족하는 범위로 성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811×C+135×Mn+602×Ti+794×Nb>465 <3>
이 때, Mo, V의 효과로서는 각 원자당량에 의하여 정해지기 때문에 Mo, V를 첨가한 조건에서는 식 <3>은 식 <3>’이 된다.
811×C+135×(Mn+0.57×Mo+1.08×V)+602×Ti+794×Nb>465 <3>’
고강도 열연 강판을 열간 압연에 의하여 제조함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는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여 구멍 확장성을 양호하게 하기 때문에 Ar3 변태 점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너무 고온으로 하면 조직의 조대화에 의한 강도 및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는 95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압연 종료 직후에 강판을 급속 냉각하는 것은 높은 구멍 확장성을 얻기 위하여 중요하고, 그 냉각 속도는 20℃/sec 이상을 필요로 한다. 2O℃/sec 미만에서는 구멍 확장성에 유해한 탄화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 후, 본 발명에서는 강판의 급속 냉각을 일단 정지하고 공냉을 실시한다. 이것은 페라이트를 석출시켜 그 점유율을 증가시키고 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러나, 공냉 개시 온도가 650℃ 미만에서는 구멍 확장성에 유해한 펄라이트가 조기에 발생한다. 한편, 공냉 개시 온도가 8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페라이트의 생성이 늦어, 공냉 효과를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후의 냉각 중에 있어서의 펄라이트의 생성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공냉 개시 온도는 650℃ 이상, 800℃ 이하로 한다. 또한, 공냉 시간이 15초를 넘어도 페라이트의 증가는 포화될 뿐만 아니라, 그 후의 냉각 속도, 권취 온도의 제어에 부하가 걸린다. 따라서, 공냉 시간은 15초 이하로 한다. 또한, 공냉 시간이 0.5초 미만에서는 페라이트 생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성 개선의 효과가 나오지 않는다. 공냉 후에는 재차 강판을 급속 냉각하지만, 그 냉각 속도는 역시 20℃/sec 이상을 필요로 한다. 20℃/sec 미만에서는 유해한 펄라이트가 생성되기 쉽기 때문이다.
이 급냉의 정지 온도, 즉 권취 온도는 300 내지 600℃로 한다. 권취 온도가 300℃ 미만에서는 구멍 확장성에 유해한 경질의 마르텐사이트가 발생하기 때문이고, 한편, 600℃를 넘으면 구멍 확장성에 유해한 펄라이트, 세멘타이트가 생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성분과 열연 조건의 조합에 의하여 980N/mm2 를 초과하는 강도를 가지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강 판의 표면에 표면처리(예를 들면 아연 도금 등 )가 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가지며 본 발명을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 강도가 980N/mm2 이상의 고강도를 가지고 구멍 확장성과 연성을 양립시킨 고강도 열연 강판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높은 가공성을 가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강도 열연 강판은 차체의 경량화, 부품의 일체 성형화, 가공 공정의 합리화가 가능하고, 연비의 향상,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업적 가치가 큰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표 1 및 표 2(표 1의 계속)에 나타내는 성분의 강을 용제하고, 보통 방식의 연속 주조로 슬라브로 하였다. 부호 A 내지 Z가 본 발명에 따른 성분의 강이며, 부호 a의 강은 Mn 첨가량, b의 강은 Ti 첨가량, d의 강은 C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외이다. 또한, c의 강은 식 <1> 및 식 <3>의 값이 본 발명의 범위 외이다. 이러한 강을 가열로 중에서 125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고, 열간 압연으로 판 두께 2.6 내지 3.2 mm의 열연 강판을 얻었다. 열연 조건에 대하여서는 표 3 및 표 4(표 3의 계속)에 나타내는 표 3 및 표 4(표 3의 계속) 중, C3는 권취온도, J2는 공냉 개시 온도, P3는 마무리 온도, S3는 권취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열연 강판에 있어서 JIS5호 편에 의한 인장 시험, 구멍 확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멍 확장성은 지름 10mm의 타발 구멍을 60˚ 원추 펀치로 눌러 넓히고 크랙이 판 두께를 관통한 시점에서의 구멍 지름(d)과 초기 구멍 지름(do:10mm)으로부터 구멍 확장비λ=(d-do)/do×100로 평가하였다.
각 시험편의 인장 강도 TS, 연신율 E1, 구멍 확장비를 표 3 및 표 4(표 3의 계속)에 나타낸다. 또한, 도 1에 강도와 연성의 관계를, 도 2에 강도와 구멍 확장비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강은 비교강과 비교하여 연성 및 구멍 확장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은 구멍 확장비, 연성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94025944-PAT00001
Figure 112007094025944-PAT00002
Figure 112007094025944-PAT00003
Figure 112007094025944-PAT00004
도 1은 인장 강도에 대한 연신율에 미치는 본 발명강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인장 강도에 대한 구멍 확장비에 미치는 본 발명강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4)

  1. 질량%로,
    C:0.01% 이상, 0.09% 이하,
    Si:0.05% 이상, 1.5% 이하,
    Mn:0.5% 이상, 3.2% 이하,
    Al:0.003% 이상, 1.5% 이하,
    P:0.03% 이하,
    S:0.005% 이하,
    Ti:0.10% 이상, 0.25% 이하,
    Nb:0.01% 이상, 0.05%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Ca, Zr, REM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0.0005% 이상, 0.O1% 이하 함유하고, 또한,
    0.9≤48/12×C/Ti<1.7 <1>
    50227×C-4479×Mn>-9860 <2>
    811×C+135×Mn+602×Ti+794×Nb>465 <3>
    의 모든 식을 만족하고, 또한 나머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으로서, 강도가 980N/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2. 질량%로,
    C:0.01% 이상, 0.09% 이하,
    Si:0.05% 이상, 1.5% 이하,
    Mn:0.5% 이상, 3.2% 이하,
    Al:0.003% 이상, 1.5% 이하,
    P:0.03% 이하,
    S:0.005% 이하,
    Ti:0.10% 이상, 0.25% 이하,
    Nb:0.01% 이상, 0.05%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Mo:0.05% 이상, 0.40% 이하,
    V:0.001% 이상, 0.10% 이하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또한,
    Ca, Zr, REM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0.0005% 이상, 0.O1%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0.9≤48/12×C/Ti<1.7 <1>’
    50227×C-4479×(Mn+0.57×Mo+1.08×V)>―9860 <2>’
    811×C+135×(Mn+0.57×Mo+1.08×V)+602×Ti+794×Nb>465 <3>’
    의 모든 식을 만족하고, 또한 나머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으로서, 강도가 980N/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 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또한 Mg:0.0005% 이상, 0.01% 이하를 함유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또한 Cu:0.1% 이상, 1.5% 이하와 Ni:0.1% 이상, 1.0%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5. 제3항에 있어서,
    질량%로, 또한 Cu:0.1% 이상, 1.5% 이하와 Ni:0.1% 이상, 1.0%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6. 압연 종료 온도를 Ar3 변태점으로부터 950℃로 하여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650 내지 80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0.5초 이상, 15초 이하 공냉한 후, 추가로,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내지 600℃로 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7. 압연 종료 온도를 Ar3 변태점으로부터 950℃로 하여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650 내지 80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0.5초 이상, 15초 이하 공냉한 후, 추가로,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내지 600℃로 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의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8. 압연 종료 온도를 Ar3 변태점으로부터 950℃로 하여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650 내지 80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0.5초 이상, 15초 이하 공냉한 후, 추가로,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내지 600℃로 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항에 의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9. 압연 종료 온도를 Ar3 변태점으로부터 950℃로 하여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650 내지 80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0.5초 이상, 15초 이하 공냉한 후, 추가로,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내지 600℃로 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항에 의한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10. 압연 종료 온도를 Ar3 변태점으로부터 950℃로 하여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650 내지 80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0.5초 이상, 15초 이하 공냉한 후, 추가로,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내지 600℃로 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로,
    C:0.01% 이상, 0.09% 이하,
    Si:0.05% 이상, 1.5% 이하,
    Mn:0.5% 이상, 3.2% 이하,
    Al:0.003% 이상, 1.5% 이하,
    P:0.03% 이하,
    S:0.005% 이하,
    Ti:0.10% 이상, 0.25% 이하,
    Nb:0.01% 이상, 0.05%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0.9≤48/12×C/Ti<1.7 <1>
    50227×C-4479×Mn>-9860 <2>
    811×C+135×Mn+602×Ti+794×Nb>465 <3>
    의 모든 식을 만족하고, 또한 나머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으로서, 강도가 980N/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11. 압연 종료 온도를 Ar3 변태점으로부터 950℃로 하여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650 내지 80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0.5초 이상, 15초 이하 공냉한 후, 추가로, 2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300 내지 600℃로 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로,
    C:0.01% 이상, 0.09% 이하,
    Si:0.05% 이상, 1.5% 이하,
    Mn:0.5% 이상, 3.2% 이하,
    Al:0.003% 이상, 1.5% 이하,
    P:0.03% 이하,
    S:0.005% 이하,
    Ti:0.10% 이상, 0.25% 이하,
    Nb:0.01% 이상, 0.05%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Mo:0.05% 이상, 0.40% 이하,
    V:0.001% 이상, 0.10% 이하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또한,
    0.9≤48/12×C/Ti<1.7 <1>’
    50227×C-4479×(Mn+0.57×Mo+1.08×V)>―9860 <2>’
    811×C+135×(Mn+0.57×Mo+1.08×V)+602×Ti+794×Nb>465 <3>’
    의 모든 식을 만족하고, 또한 나머지가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열연 강판으로서, 강도가 980N/m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질량%로 또한, Mg:0.0005% 이상, 0.01% 이하를 함유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질량%로 또한, Cu:0.1% 이상, 1.5% 이하와 Ni:0.1% 이상, 1.0%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질량%로 또한, Cu:0.1% 이상, 1.5% 이하와 Ni:0.1% 이상, 1.0%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77030630A 2003-03-24 2003-12-26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881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9543 2003-03-24
JP2003079543A JP4313591B2 (ja) 2003-03-24 2003-03-24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768A Division KR100824770B1 (ko) 2003-03-24 2003-12-26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282A true KR20080007282A (ko) 2008-01-17
KR100881451B1 KR100881451B1 (ko) 2009-02-06

Family

ID=330948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630A KR100881451B1 (ko) 2003-03-24 2003-12-26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20057017768A KR100824770B1 (ko) 2003-03-24 2003-12-26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768A KR100824770B1 (ko) 2003-03-24 2003-12-26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28912B2 (ko)
EP (1) EP1607489B1 (ko)
JP (1) JP4313591B2 (ko)
KR (2) KR100881451B1 (ko)
CN (1) CN100378241C (ko)
AU (1) AU2003292718A1 (ko)
CA (1) CA2520022C (ko)
WO (1) WO2004085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328B1 (ko) * 2003-10-17 2008-08-21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박강판
JP4528276B2 (ja) * 2006-03-28 2010-08-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US7846275B2 (en) 2006-05-24 2010-12-07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JP4972771B2 (ja) * 2006-12-05 2012-07-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エアゾール用絞り加工缶の製造方法およびエアゾール用絞り加工缶
CN100491574C (zh) * 2007-01-12 2009-05-27 武汉钢铁(集团)公司 C-Mn-Ti-Nb系热轧高强度高磁感性能钢及其制造方法
CN101265553B (zh) * 2007-03-15 2011-01-19 株式会社神户制钢所 挤压加工性优异的高强度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CA2718098C (en) * 2008-03-26 2012-06-19 Nippon Stee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fatigue properties and stretch-flange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53485B1 (ko) * 2008-12-24 2012-06-11 주식회사 포스코 딥드로잉성이 우수하고 고항복비를 갖는 고강도 냉연강판, 이를 이용한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2051523B (zh) * 2009-11-11 2013-12-25 中国第一汽车集团公司 高强度汽车传动轴管材料与轴管制造方法
BR112013006143B1 (pt) 2010-09-16 2018-12-1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hapa de aço de alta resistência e chapa de aço revestida com zinco de alta resistência que têm excelente ductilidade e capacidade de estiramento-flangeamento e método de fabricação das mesmas
CN102534371B (zh) * 2012-01-04 2013-07-17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含Mg的TMCP型E460超高强船体结构用钢板及其生产方法
US10301698B2 (en) 2012-01-31 2019-05-28 Jfe Stee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for generator ri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637225B2 (ja) * 2013-01-31 2014-12-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バーリング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92147B2 (ja) * 2013-03-29 2016-03-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09087B (zh) * 2014-07-21 2015-11-21 China Steel Corp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DE102014011599A1 (de) * 2014-08-02 2016-02-04 Audi Ag Verfahren zum Fügen zumindest zweier Bauteile
JP6179584B2 (ja) * 2015-12-22 2017-08-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曲げ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821301A (zh) * 2016-04-21 2016-08-03 河北钢铁股份有限公司邯郸分公司 一种800MPa级热轧高强度扩孔钢及其生产方法
CN106399820B (zh) * 2016-06-21 2018-10-0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980MPa级热轧高扩孔双相钢及其制造方法
CN106048433A (zh) * 2016-08-12 2016-10-26 武汉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530MPa级经济型热轧汽车钢及生产方法
CN106521327B (zh) * 2016-12-27 2018-08-21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高扩孔性能的热轧酸洗带钢及其生产方法
KR102209552B1 (ko) 2018-12-19 2021-01-28 주식회사 포스코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04770B1 (ko) 2019-12-20 2022-06-07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비가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03648B1 (ko) 2020-11-17 2022-05-30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열연강판, 열연 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487759B1 (ko) 2020-12-18 2023-01-12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열연강판, 열연 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5096B2 (en) * 1990-08-17 2004-01-14 JFE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steel sheet adapted for press form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H0826433B2 (ja) * 1992-12-28 1996-03-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
JPH06264184A (ja) * 1993-03-11 1994-09-20 Nippon Steel Corp 成形性と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3247194B2 (ja) 1993-03-30 2002-01-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フランジ性及び疲労特性の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
JP3188787B2 (ja) * 1993-04-07 2001-07-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3233743B2 (ja) 1993-06-28 2001-1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
JP3191276B2 (ja) 1993-09-06 2001-07-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ランナーレス金型
US5470529A (en) * 1994-03-08 1995-11-28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formability
JPH07316736A (ja) * 1994-05-26 1995-12-05 Nippon Steel Corp アップセットバット溶接性および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H08143952A (ja) * 1994-11-21 1996-06-04 Sumitomo Metal Ind Ltd 加工性、疲労特性及び表面性状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3276259B2 (ja) * 1995-01-20 2002-04-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抵抗溶接性の良好な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7900B1 (ko) * 1995-03-23 2000-06-01 에모토 간지 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H10237583A (ja) * 1997-02-27 1998-09-08 Sumitomo Metal Ind Ltd 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31177A (ja) * 1997-08-29 1999-05-18 Nippon Steel Corp 溶接後熱処理の省略可能な中常温圧力容器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77477B2 (ja) * 1998-04-27 2008-11-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常温時効性とパネル特性に優れた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541726B2 (ja) * 1999-05-27 2004-07-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延性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45696B2 (ja) * 2000-03-30 2004-07-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364968B1 (en) * 2000-06-02 2002-04-02 Kawasaki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2046486A1 (fr) * 2000-12-07 2002-06-13 Nippon Steel Corporation Tole d'acier laminee a chaud tres resistante possedant d'excellentes caracteristiques d'agrandissement et de ductili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4205893B2 (ja) 2002-05-23 2009-01-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と打抜き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068601B2 (ja) * 2017-03-30 2022-05-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トーン信号検出装置、マルチトーン信号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7489B1 (en) 2013-10-30
KR100824770B1 (ko) 2008-04-24
EP1607489A1 (en) 2005-12-21
JP4313591B2 (ja) 2009-08-12
CA2520022A1 (en) 2004-10-07
US20060231166A1 (en) 2006-10-19
CA2520022C (en) 2013-09-17
KR20050113247A (ko) 2005-12-01
JP2004285420A (ja) 2004-10-14
CN1759198A (zh) 2006-04-12
US7828912B2 (en) 2010-11-09
WO2004085691A1 (ja) 2004-10-07
EP1607489A4 (en) 2006-11-29
AU2003292718A1 (en) 2004-10-18
KR100881451B1 (ko) 2009-02-06
CN100378241C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451B1 (ko)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1716727B1 (ko) 저항복비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6779320B2 (ja) 強度及び成形性に優れたクラッ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36763A (ko)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6233B1 (ko) 고항복비 고강도 냉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KR20130050138A (ko) 온간프레스 성형용 강판, 온간프레스 성형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6858253B2 (ja) 穴拡げ性及び降伏比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0661A (ja) 伸びと穴拡げ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79796B1 (ko) 구멍확장성과 연성(延性)이 뛰어난 자동차용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4315857A (ja) 打ち抜き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66592B1 (ko) 철근 및 그 제조방법
JP4710558B2 (ja) 加工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11510A (ja) 冷間加工性と浸炭熱処理後の靱性に優れる浸炭用鋼板
CN112011746B (zh) 一种热冲压后屈服强度600MPa级的钢材料及其制造方法
JP5320621B2 (ja) 熱間プレス加工性に優れた熱処理強化型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5893B2 (ja) プレス成形性と打抜き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47354B2 (ja)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5977B2 (ja) 熱間加工性および靱性に優れる突起付h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1005B1 (ko)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47015A (ko)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6745A (ko) 구멍 확장성과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박강판
JP3857875B2 (ja)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022825B2 (ja) 冷間成形性に優れた超高強度高延性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9940B2 (ja) 加工性と、焼入れ性、熱処理後の靭性の優れた高炭素鋼板
KR102299558B1 (ko) 내식성이 우수한 핫스탬핑 부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핫스탬핑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