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532U - 락카용 문 쇄정장치 - Google Patents

락카용 문 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532U
KR20080005532U KR2020070008126U KR20070008126U KR20080005532U KR 20080005532 U KR20080005532 U KR 20080005532U KR 2020070008126 U KR2020070008126 U KR 2020070008126U KR 20070008126 U KR20070008126 U KR 20070008126U KR 20080005532 U KR20080005532 U KR 200800055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astener
locking
case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2766Y1 (ko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2020070008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6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with transverse, i.e. vertically movable bolt or drop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2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using toothed wheels or geared s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문틀과 문 사이로 도구를 넣어 벌리는 방법으로는 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이러한 방법에 의해 발생하는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잠금쇠의 잠금 및 잠금해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락카용 문 쇄정장치는, 문틀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이구멍을 가지는 걸이쇠와, 문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이쇠의 걸이구멍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한 잠금쇠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설치되어 잠금쇠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잠금쇠구동수단과, 키실린더에 형성된 키삽입구가 문의 바깥면에 노출되어 외부에서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키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락카용 문 쇄정장치{DOOR LOCKING APPARATUS FOR LOCKER}
도 1은 종래의 락카용 문 쇄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도 4는 도 3b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틀 11 : 걸이쇠
11a : 걸이구멍 12 : 문
20 :케이스본체 21 : 잠금쇠
30 : 키조립체 41 : 피니언
42 : 래크 51 : 요동아암
52 : 슬라이드판 57 : 탄성부재
본 고안은 락카용 문 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의 걸이쇠에 문의 잠금쇠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유지되는 것에 의해 도난방지를 가능하게 하고 여닫이 타입의 문은 물론, 양문 여닫이 타입 또는 미닫이 타입의 문에도 적용가능하며 잠금쇠의 동작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카는 대중 목욕탕, 사우나, 찜질방 등의 탈의실 또는 도서관, 학교, 지하철 등의 물품보관소 등에서 여러 사람이 사용하므로, 물품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락카의 문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종래의 쇄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카의 문틀(1)에 걸이홈(2a)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브라켓(2)을 구비하고, 문(3)의 대응위치에는 잠금쇠구동부(4)를 구비하며, 잠금쇠구동부(4)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잠금쇠(5)가 브라켓(2)의 걸이홈(2a)에 삽입 및 이탈하는 것에 의해 문(3)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잠금쇠구동부(4)에는 문의 바깥면으로 키삽입구(6a)가 노출된 키조립 체(6)가 설치되고, 키조립체(6)의 실린더축(6b)에는 요동아암(7)이 고정되어 키를 키삽입구(6a)에 넣어 실린더축(6b)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잠금쇠(5)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문(3)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잠금쇠(5)가 걸이홈(2a)에 수평방향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되는 구성은, 문틀(1)과 문(3) 사이에 도구를 넣어 문틀(1)과 문(3) 사이를 강제로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잠금쇠(5)가 걸이홈(2a)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문(3)을 쉽게 잠금해제 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도난방지 대책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잠금쇠(5)가 수평방향으로 동작하여 걸이홈(2a)에 잠금 및 잠금해제 되는 구성은, 양문 여닫이 타입인 경우, 반드시 한쪽의 문은 고정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부가적으로 마련되어야 적용가능하고, 미닫이 타입인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틀과 문 사이로 도구를 넣어 벌리는 방법으로는 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이러한 방법에 의해 발생하는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잠금쇠의 잠금 및 잠금해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편문 여닫이 타입은 물론, 양문 여닫이 타입 및 미닫이 타입의 문에도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락카용 문 쇄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시 탄성부재에 의해 잠금쇠를 탄력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잠금 및 잠금해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문틀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이구멍을 가지는 걸이쇠와, 문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내에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이쇠의 걸이구멍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한 잠금쇠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설치되어 잠금쇠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잠금쇠구동수단과, 실린더축에 형성된 키삽입구가 문의 바깥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키조립체를 포함하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이, 키조립체의 실린더축에 고정된 피니언과, 상기 잠금쇠의 일측에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에 이맞물림되는 래크로 구성된 락카용 문 쇄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이, 키조립체의 실린더축에 고정된 요동아암과, 상기 잠금쇠에 일체로 형성되어 요동아암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판으로 구성되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단이 상기 요동아암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스본체측에 고정되어 잠금쇠가 잠금위치로 이동할 때는 잠금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잠금쇠가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때는 잠금해제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더욱 구성된 락카용 문 쇄정장치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걸이구멍(11a)을 형성한 걸이쇠(11)와, 문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제1 커버(20a)와 제2 커버(20b)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케이스본체(20)와, 상기 케이스본체(20)내에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이쇠(11)의 걸이구멍(11a)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한 잠금쇠(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20)내에는 잠금쇠(21)를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잠금쇠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잠금쇠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키조립체(30)는 문(1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실린더축(31)의 일측에 형성된 키삽입구(32)가 문(12)의 바깥면에 노출되어 외부에서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잠금쇠구동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12)의 안쪽면에 고정된 케이스본체(20)내에 잠금쇠(21)가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이쇠(11)의 걸이구멍(11a)에 수직방향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잠금쇠구동수단은, 상기 케 이스본체(20)내에 위치하는 키조립체(30)의 실린더축(31)에 고정된 피니언(41)과, 상기 잠금쇠(21)의 일측에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41)에 이맞물림되는 래크(42)로 구성된다.
따라서, 키조립체(30)의 키삽입구(32)에 키를 넣고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실린더축(31)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써 피니언(41)이 함께 회전하므로 이 피니언(41)과 이맞물림된 래크(42)가 형성된 잠금쇠(21)는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걸이쇠(11)의 걸이구멍(11a)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쇠(21)에는 잠금쇠(21)의 이동방향을 따라 기다란 가이드홈(43)을 형성하고, 케이스본체(20)에는 상기 가이드홈(4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44)를 형성하여 잠금쇠(21)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이쇠(11)의 걸이구멍(11a)으로 잠금쇠(21)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도록 한 잠금구성을 가지게 되므로, 도 4에서와 같이 문(12)을 문틀(10)로부터 이격시키는 화살표 a 방향으로 벌리는 방법으로는 잠금 상태를 절대로 해제시킬 수 없다. 따라서 문틈에 도구를 넣어 문(12)을 벌리는 방법에 의한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이쇠(11)와 잠금쇠(21)의 걸림상태가 화살표 a 방향으로는 해제되지 않는 것에 의해서 미닫이 타입은 물론, 양문 여닫이 타입에도 쇄정장치로서 적용 가능하고, 양문 여닫이 타입에 적용하는 경우, 한쪽의 문에 통상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별도의 문 고정장치가 필요 없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잠금쇠구동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0)내에 위치하는 키조립체(30)의 실린더축(31)에 고정된 요동아암(51)과, 상기 잠금쇠(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요동아암(51)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52)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판(52)에는 요동아암(51)의 끝단과 접촉하는 제1 돌기(52a)와 제2 돌기(52b)가 요동아암(51)의 끝단을 사이에 두고 잠금쇠(21)의 이동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아암(51)의 회전에 의해 요동아암(51)의 끝단이 제1 돌기(52a)에 접촉하게 되면 잠금쇠(21)를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돌기(52b)에 접촉하게 되면 잠금쇠(21)를 잠금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키조립체(30)의 키삽입구(32)에 키를 넣고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실린더축(31)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써 요동아암(51)이 함께 회전하므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아암(51)이 슬라이드판(52)의 제1 또는 제2 돌기(52a,52b)에 접촉하여 슬라이드판(52)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잠금쇠(21)는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걸이쇠(11)의 걸이구멍(11a)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52)에는 잠금쇠(21)의 이동방향을 따라 기다란 가이드구멍(53)을 형성하고, 케이스본체(20)에는 상기 가이드구멍(53)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4)을 형성하여 잠금쇠(21)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52)에는 잠금쇠(21)의 이동방향을 따라 기다란 가이드홈(55)을 가이드구멍(53)과 나란하게 배치하여 형성하고, 케이스본체(20)에는 상기 가이드홈(55)에 끼워지는 기다란 가이드돌기(56)를 형성하여 잠금쇠(21)의 직선이동을 좌우 흔들림 없이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쇠(21)가 잠금위치로 이동할 때는 잠금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잠금쇠(21)가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때는 잠금해제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7)가 더욱 구비된 것으로, 탄성부재(57)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재(57)를 압축시켜 일단은 상기 요동아암(51)측에 연결하고 타단은 케이스본체(20)측의 제2 커버(20b)에 고정된 고정구(58)에 연결한 구성이다.
따라서, 키조립체(30)의 키삽입구(32)에 키를 넣고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잠금쇠(21)가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부재(57)는 항상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키조작시 조작감이 향상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락카용 문 쇄정장치에 의하면, 잠금쇠가 걸이쇠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림 유지되므로 문틀과 문 사이로 도구를 넣어 벌리는 방법으로는 절대 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없어 이러한 방법에 의해 발생하는 도난사고가 방지되고, 잠금쇠의 잠금 및 잠금해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편문 여닫이 타입은 물론, 양문 여닫이 타입 및 미닫이 타입의 문에도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시 탄성부재에 의해 잠금쇠가 탄력적으로 동작됨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 뿐만 아니라 키조작시의 조작감도 향상되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문틀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이구멍을 가지는 걸이쇠와,
    문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내에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이쇠의 걸이구멍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한 잠금쇠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설치되어 잠금쇠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잠금쇠구동수단과,
    실린더축에 형성된 키삽입구가 문의 바깥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키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은,
    키조립체의 실린더축에 고정된 피니언과, 상기 잠금쇠의 일측에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에 이맞물림되는 래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구동수단은,
    키조립체의 실린더축에 고정된 요동아암과, 상기 잠금쇠에 일체로 형성되어 요동아암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 로 하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요동아암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본체측에 고정되어 잠금쇠가 잠금위치로 이동할 때는 잠금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잠금쇠가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할 때는 잠금해제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탄성부재가 더욱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문 쇄정장치.
KR2020070008126U 2007-05-17 2007-05-17 락카용 문 쇄정장치 KR200442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26U KR200442766Y1 (ko) 2007-05-17 2007-05-17 락카용 문 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26U KR200442766Y1 (ko) 2007-05-17 2007-05-17 락카용 문 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532U true KR20080005532U (ko) 2008-11-21
KR200442766Y1 KR200442766Y1 (ko) 2008-12-10

Family

ID=4150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126U KR200442766Y1 (ko) 2007-05-17 2007-05-17 락카용 문 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02695B2 (en) * 2016-04-26 2022-07-28 N2Lok Hardware Trading Pty Ltd Sliding Door L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82Y1 (ko) 2011-04-27 2013-02-25 신종주 사물함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02695B2 (en) * 2016-04-26 2022-07-28 N2Lok Hardware Trading Pty Ltd Sliding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766Y1 (ko)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766Y1 (ko) 락카용 문 쇄정장치
US20110113839A1 (en) Code lock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JP6003461B2 (ja) 電子錠付き扉の非常解錠装置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4464159B2 (ja) 防犯錠
KR101626120B1 (ko) 모티스
KR100773299B1 (ko) 슬라이딩 창문의 잠금장치
KR20044787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JP2001262892A (ja) 家具における鍵の誤作動防止装置
KR102338924B1 (ko) 창호용 열림 보조장치
JP4441346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KR200451041Y1 (ko) 충격에 의한 걸쇠의 강제이동을 방지하는 문 잠금장치
TWI671457B (zh) 閂鎖裝置及其適用之滑門結構
JP2008138487A (ja) 引き違い戸用錠
JP3963992B2 (ja) 錠におけるサムターン軸の係止装置
JPH0624530Y2 (ja) 平面ハンドル装置
JP5120794B2 (ja) 鎌機構を内蔵した扉錠のデッドボルトと鎌の駆動案内機構
JP3075412U (ja) 開閉扉の施錠装置
JP4755701B2 (ja) 機器類の補助ロック装置
KR200433859Y1 (ko) 디지털도어록용 잠금장치
KR20170067113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68503Y1 (ko)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