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215A -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215A
KR20080005215A KR1020077024104A KR20077024104A KR20080005215A KR 20080005215 A KR20080005215 A KR 20080005215A KR 1020077024104 A KR1020077024104 A KR 1020077024104A KR 20077024104 A KR20077024104 A KR 20077024104A KR 20080005215 A KR20080005215 A KR 2008000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connector
board
flexible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코이케
마사토 타카키
켄 미나가와
시게루 미쯔즈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6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2945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249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027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34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416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562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34460A/ja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Abstract

Non-ZIF 타입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확실한 잠금과, 부드러운 발거를 양립하고, 플렉시블 기판의 폭을 넓히지 않고, 따라서 커넥터의 실장 점유면적도 늘리지 않고, 게다가 원 액션으로의 삽발을 손상하지 않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제공한다. Non-ZIF 타입의 커넥터(4)에 삽발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11)는,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부의 한쪽 면에 보강판(1)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와,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보강판(1)에 설치된 피계합부(6)와, 커넥터(4)의 기판 삽입구(43)에 설치된 계합부(5)를 갖추고,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기판 삽입구(43)에 삽입했을 때,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가 휨으로써 피계합부(6)가 계합부(5)와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Locking Structure of Flexible Board}
기술분야
본 발명은, FPC(플렉시블·프린트·서킷)나 FFC(플렉시블·플랫·케이블) 등의 소위 플렉시블 기판을 Non-ZIF 타입의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의 잠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플렉시블 기판을 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ZIF 타입의 커넥터나 Non-ZIF 타입의 커넥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ZIF 타입의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실장(實裝)한 커넥터 본체의 삽입부분에 플렉시블 기판 또는 보강판 부착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한 후, 커넥터 본체에 설치된 회동(回動)부재나 접동(摺動)부재를 작동시키고,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 본체에 설치한 단자에 내리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삽입부분에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대략 0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삽입 작업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ZIF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삽입한 플렉시블 기판을 단자에 누르기 위해, 회동부재나 접동부재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를 위한 작업 스페이스가 회로기판 위에 필요한데다가,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을 수 없어, 고비용 이 된다. 게다가,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에 장착하는데는,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삽입부분에 삽입하고, 이어서 회동부재나 접동부재를 조작하는, 최소한 투 액션(Two-Action)이 필요하다.
한편, Non-ZIF 타입의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의 삽입부에 플렉시블 기판 또는 보강판 부착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 본체에 설치한 단자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꽂는 구조로 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싼데다가, 원 액션(One-Action)으로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우수하고, 회로기판 위의 작업 스페이스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Non-ZIF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의 탄성력만으로 삽입된 플렉시블 기판을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이 빠지기 쉬운 결점이 있어, 그 대책으로서 잠금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이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에 관한 발명으로서, 일본 특허청 발행의 특개평11-191326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부에 보강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양쪽 끝에 칼자국을 넣어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때문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커넥터 내에서 탄성 변형하여 잠금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효과는 얻어지지만, 이것을 빼낼 경우에는 강인하게 뽑아내는 것 외에 방법이 없어, 돌출부에 손상을 초래하여 재사용(재삽입)이 불가능한데다가, 보강판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폭이 넓어지고, 따라서 그 커넥터도 폭을 넓히지 않을 수 없어,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회로기판에의 실장 점유면적이 증대해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일본 특허청 발행의 특개평11-329621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2)에는, 보조부재(부호 10)에 플렉시블 기판을 감아 커넥터에 끼우게 하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발명은, 상기 보조부재의 양쪽 끝에 훅(hook)을 갖춘 래치 암(latch arm)이 준비되어 있어, 끼울 때, 상기 훅이 커넥터에 걸려 잠금 기능을 발휘하고, 그리고 빼낼 때에는 동 래치 암의 자유단을 조작하여 상기 걸림을 풀고, 커넥터로부터 보조부재 및 플렉시블 기판을 부드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극히 복잡한 구조의 보조부재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비용이 높아지고, 또 미리 상기 보조부재에 플렉시블 기판을 감아두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원 액션으로의 삽입은 불가능하였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11-19132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11-32962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이와 같은 점에서, 많은 장점을 갖지만, Non-ZIF 타입의 커넥터의 빠지기 쉬운 결점을 우려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런 타입의 커넥터의 채용에 소극적이게 하는 경향을 짐작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로서, 플렉시블 기판의 확실한 잠금과, 부드러운 발거(拔去)를 양립(兩立)하고,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의 폭을 넓히지 않고, 따라서 커넥터의 실장 점유면적도 늘어나는 일이 없고, 게다가 원 액션으로의 삽발(揷拔:삽입과 발거)을 손상시키지 않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Non-ZIF 타입의 커넥터에 삽발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부의 한쪽 면에 보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와,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의 상기 보강판에 설치된 피계합(被係合)부와, 상기 커넥터의 기판 삽입구에 설치된 계합(係合)부를 갖추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의 선단부를 상기 기판 삽입구에 삽입했을 때,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가 휨으로써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서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대하여 고착되어 있는 고착부와 고착되어 있지 않는 비고착부를 갖고, 상기 피계합부는 상기 비고착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는 상기 보강판의 전면(全面)을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고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계합부는 상기 보강판의 상단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의 단차(段差)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상기 보강판은, 그 표면과 이면을 연결하여 통하는 흠손부(欠損部)를 갖고, 상기 흠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흠손부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Non-ZIF 타입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로서, 플렉시블 기판의 확실한 잠금과, 부드러운 발거를 양립하고, 게다가 플렉시블 기판의 폭을 넓히지 않고, 따라서 커넥터의 폭이 증가하여 그 실장 점유면적이 늘어나는 일도 없고, 게다가 원 액션으로의 삽발을 손상시키지 않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반대쪽에서 본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에 이용되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의 선단부를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 사시도이다.
도4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를 구성하는 보강판, 피계합부 및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6은,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7은,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8은,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9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의 제5 실시형태로서, 특히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를 개변(改變)한 것의 일부 파단 종단면도이다.
도10은,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의 제6 실시형태로서, 특히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를 개변한 것의 일부 파단 종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12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반대쪽에서 본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1의 ⅩⅢ-ⅩⅢ선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1의 ⅩⅣ-ⅩⅣ선 단면도이다.
도15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잠금 구조에 이용되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나타 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17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반대쪽에서 본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6의 ⅩⅧ-ⅩⅧ선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6의 ⅩⅨ-ⅩⅨ선 단면도이다.
도20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에 이용되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ⅩⅩⅠ-ⅩⅩⅠ선 단면도이다.
도22는, 도20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를 반대쪽에서 본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최적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도1∼도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11)는, 주로 Non-ZIF 타입의 커넥터(4)의 기판 삽입구(43)에 설치된 계합부(5)와, 커넥터(4)에 삽발되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보강판(1)에 설치된 피계합부(6)로 구성된다.
커넥터(4)는,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하우 징(41)과, 하우징(4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단자(40)와, 하우징(41)의 바깥쪽에 장착되고,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쉘(42)로 이루어진다.
하우징(41)은, 주로 키가 높은 후벽부(41a)와, 키가 낮은 전벽부(41b)와, 후벽부(41a) 및 전벽부(41b)를 접속하는 측벽부(41c)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단자(40)는, 후벽부(41a)와 전벽부(41b)와의 사이에 형성된 압입 홈(41d)에 압입(壓入)되는 압입부(40b)와, 플렉시블 기판(2)의 도체(2f)에 탄접(彈接:탄성접촉)되는 접촉부(40a)와,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납땜질되는 테일(tail)부(40c)를 갖는다.
쉘(42)은, 하우징(41)을 구획 형성하는 후벽부(41a)의 바깥쪽에 밀착되는 후벽 쉘(42a)과, 하우징(41)의 전벽부(41b)의 바깥쪽에 밀착되는 전벽 쉘(42b)과, 하우징(41)의 측벽부(41c)에 밀착되고 후벽 쉘(42a) 및 전벽 쉘(42b)을 접속하는 측벽 쉘(42c)을 갖는다. 쉘(42)을 구성하는 후벽 쉘(42a), 전벽 쉘(42b) 및 측벽 쉘(42c)은, 금속판을 박아내어 형성되고, 도2에 나타낸 걸림 훅(42d)으로 연결되고, 전벽 쉘(42b)에 설치한 다리부(脚部)(42e)를 통하여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어스(earth)되어 있다.
도1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쉘(42)의 전벽 쉘(42b)은, 하우징(41)의 전벽부(41b)를 덮는 전벽 쉘(42b)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전벽 쉘(42bl)과, 상기 하부 전벽 쉘(42bl)의 상단에서 하우징(41)의 후벽부(41a) 쪽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고, 접촉부(40a)에서 소정 간격을 두도록 하여 다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후벽 쉘(42a)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까지 위쪽으로 연장된 상부 전벽 쉘(42bu)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상부 전벽 쉘(42bu)과 후벽부(41a)와의 사이에, 기판 삽입공간(44)이 구획 형성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쉘(42)의 상부 전벽 쉘(42bu)에는, 판부(板部)(42f)가 위쪽으로 연출(延出)되어 형성되어 있고, 판부(42f)에는, 계합부(5)로서 깍지부(42g)가 잘라 일으켜져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커넥터(4)에 삽입했을 때,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보강판(1)에 피계합부(6)로서 설치된 창부(窓部)(1g)가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주로 플렉시블 기판(2)과,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부(2a)의 한쪽 면(2b)에 적층된 보강판(1)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2)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베이스 필름(2g, 2g)과, 그들 사이에 끼워지고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 도체(2f)와, 보강판(1)이 장착되는 쪽의 베이스 필름(2g)의 표면에 이것을 덮어 코팅된 도전성 금속막(구리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드(shield)(2h)를 갖는다. 실드(2h)가 코팅되지 않은 쪽의 베이스 필름(2g)은, 그 선단부가 제거되어, 도체(2f)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도체(2f)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4)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커넥터(4)의 단자(40)의 접촉부(40a)와 탄접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한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부(2a)의 한쪽 면(2b)(실드(2h)가 코팅된 쪽 면)에는, 보강판(1)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보강판(1)은, 적당한 강성과 요성(橈性)을 겸비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판(1)은, 플렉시블 기판(2)의 폭에 맞추어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2)의 한쪽 면(2b)의 삽입방향 앞쪽 부분(2c)에 고착되는 고착부(1b)와, 플렉시블 기판(2)에 대하여 고착되지 않은 비고착부(1c)를 갖는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부(1b)는 플렉시블 기판(2)과 함께 커넥터(4)에 삽입되고, 이 때 비고착부(1c)는 커넥터(4)의 삽입구(43)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노출해 있다.
보강판(1)의 비고착부(1c)에는, 피계합부(6)로서 창부(1g)가 개구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보강판(1)과 플렉시블 기판(2)이 적층된 부분)가 커넥터(4)의 삽입구(43)에서 삽입공간(44)으로 삽입되면,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에 설치된 피계합부(6)로서의 창부(1g)가 커넥터(4)에 설치된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계합은, 보강판(1)의 비고착부(1c)가 깍지부(42g)에 올라타 탄성 변형하고, 피계합부(6)로서의 창부(1g)가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에 계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비고착부(1c)가 깍지부(42g)에 올려질 때, 깍지부(42g)도 약간 탄성 변형한다. 또, 그 후 보강판(1)의 비고착부(1c)를 플렉시블 기판(2)의 적층방향으로 왜곡시킴으로써, 피계합부(6)로서의 창부(1g)를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판(1)은 고착부(1b)의 표면에 코팅된 금속막(10)을 갖는다. 금속막(10)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고착부(1b)의 정면(플렉시블 기판(2)이 접착되는 쪽 면)에 형성된 정면 금속막(10a)과, 고착부(1b)의 이면(裏面)에 형성된 이면 금속막(10b)과,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양 금속막(10a, 10b)을 접속하는 측부 금속막(10c)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판(1)의 정면 금속막(10a)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2)의 실드(2h) 부분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실드(2h)는 도전성 접착제, 정면 금속막(10a) 및 측부 금속막(10c)을 통하여 이면 금속막(10b)과 도통(導通)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서술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부(2a)의 한쪽 면(2b)에, 보강판(1)의 고착부(1b)를 접착함과 동시에, 그 위쪽에 비고착부(1c)를 돌출시켜 노출시킨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구성했기 때문에, 비고착부(1c)가 플렉시블 기판(2)에서 이간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비고착부(1c)를 조작 손잡이로서 기능시켜 선단부(3a)를 커넥터(4)에 삽발할 수 있어, 그 작업성이 높아진다.
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커넥터(4)의 삽입구(43)에서 삽입공간(44) 내로 삽입하면, 플렉시블 기판(2)의 도체(2f)가 커넥터(4) 내부의 단자(40)의 접촉부(40a)에 올라타고, 접촉부(40a)가 휨으로써 이와 탄접한다. 이 때,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비고착부(1c)가 도1 및 도2에 나타낸 커넥터(4)의 상부 전벽 쉘(42bu)에 판부(42f)를 통하여 설치된 깍지부(42g)의 경사면부(42i)에 올라 타 휘고, 깍지부(42g)의 하단(42h)이 비고착부(1c)에 설치한 창부(1g)의 안틀 하부(1h)에 충돌하도록 하여 기계적으로 계합된다. 이에 의해, 원 액션으로 플렉시블 기판(2)의 확실한 잠금이 이루어지고, 삽입 작업의 용이함이 확보된다. 이러한 계합(록(lock))은, 비고착부(1c)의 복원력에 의해, 창부(1g)의 깍지부(42g)에 대한 계합이 유지되기 때문에 확실하고, 후술하는 적극적인 해제 작업을 하지 않는 한, 풀리지 않는다.
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커넥터(4)의 삽입공간(44)에 삽입하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의 실드(2h)가 보강판(1)에 설치한 금속막(10)을 통하여 커넥터(4)의 쉘(42)을 구성하는 상부 전벽 쉘(42bu)에 도통하고, 쉘(42)이 다리부(42e)를 통하여 회로기판에 어스되기 때문에, 높은 실드 효과가 발휘된다. 즉, 실드(2h)는, 도전성 접착제, 정면 금속막(10a), 측부 금속막(10c), 이면 금속막(10b), 전벽 쉘(42b) 및 다리부(42e)를 통하여 회로기판에 어스되기 때문에, 실드(2h)에 뛰어 들어온 노이즈를 확실하게 다리부(42e)에서 회로기판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 본체(1a)를 도전성을 갖는 금속제로 하면, 금속막(10)은 생략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삽입공간(44)에서 발거할 때에는, 비고착부(1c)를 잡고 그것을 플렉시블 기판(2)의 적층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삽입구(43)에 경사면 형상 또는 R형상으로 형성된 안내면(43x)에 선단부(3a)를 내리눌러 그 하단을 기점으로 하여 굴곡시키고, 비고착부(1c)에 설치한 창부(1g)의 안틀 하부(1h)(도1 참조)를 커넥터(4)의 깍지부(42g)의 하단(42h)에 서 분리하고, 그리고 그것을 뽑아냄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삽입구(43)의 안내면(43x)은, 위로 넓게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굴곡되는 보강판(1)에 대한 피(被)누름면(面)으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삽입공간(44)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상기 발거 시에는, 비고착부(1c)를 왜곡시키는 것이 아니고, 깍지부(42g)를 도2에서 왼쪽으로 밀어 넣어도 좋고, 또는 이들을 양쪽을 동시에 행해도 좋다. 상기 창부(1g)와 깍지부(42g)와의 계합·해제 시는, 비고착부(1c)의 가요성 및/또는 깍지부(42g)의 탄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 자체에는 하등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고,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예와 같이 발거 시에 보강판이 손상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일은 없다.
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기존의 플렉시블 기판(2)에 보강판(1)을 적층시켜 장착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2) 자체에는 개량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종전의 또는 시판의 플렉시블 기판(2)을 유용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보강판(1)도, 전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한 복잡한 구조의 보조부재(부호 10)로 할 필요가 없고, 평판에 창부(1g)를 설치한 뿐인 극히 단순한 형상의 것이므로,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보강판(1)을 기존의 플렉시블 기판(2)에 적층시켜 장착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플렉시블 기판(2)의 폭을 넓힐 필요가 없고, 따라서 커넥터(4)의 폭이 증가하여 그 실장 점유면적을 늘릴 일도 없어, 커 넥터(4) 쪽도 포함한 잠금 구조 전체로도 저비용이 된다.
또, 노이즈 대책을 위한 쉘(42)(금속제)의 일부에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를 설치했기 때문에, 하우징(41)(수지제)에 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강성이 높은 계합부(5)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쉘(42)을 커넥터(4)에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계합부(5)를 하우징(41)에 설치해도 좋다.
그 외, 상기 잠금 구조(11)는, Non-ZIF 타입의 커넥터(4)의 상기 특징을 하등 손상하지 않는다.
게다가, 하나의 회로기판에 2개의 Non-ZIF 타입의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플렉시블 기판이 회로기판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경우, 커넥터로부터의 플렉시블 기판의 발거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기판을 잡는 것조차 불가능하고, 따라서 종래는 발거가 불가능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고착부(1c)가 커넥터(4)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조작 손잡이로서 기능시켜, 커넥터(4)로부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용이하게 발거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잠금은, 보강판(1)의 비고착부(1c)에 설치한 피계합부(6)가 되는 창부(1g)와 커넥터(4)의 쉘(42)에 형성한 계합부(5)가 되는 깍지부(42g)와의 사이에서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2)의 연장 작업 등으로 플렉시블 기판(2)을 도1에서 오른쪽 윗방향 내지 오른쪽 수평방향으로 인장해도, 피계합부(6)로서의 창부(1g)와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와의 계합이 풀리는 일은 없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제4 실시형태를 도6∼도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11)는,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를 커넥터(4)를 구획 형성하는 하우징(41)에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강판(1)의 비고착부(1c)를 조작 손잡이로서 기능시킴으로써,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커넥터(4)에 삽입하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비고착부(1c)가 커넥터(4)의 깍지부(42g)의 경사면부(42i)에 올라타 휘고, 그 후, 피계합부(6)로서의 창부(1g)가 깍지부(42g)에 계합한다. 발거할 때에는, 비고착부(1c)를 플렉시블 기판(2)의 적층방향(도6 중, 오른쪽)으로 왜곡시킴으로써, 창부(1g)를 깍지부(42g)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도7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11)는, 보강판(1)의 비고착부(1c)의 폭방향 양 단부를 깎아내어 형성된 단차(段差)부(1ga)를 피계합부(6)로 하고, 커넥터(4)의 측벽 쉘(42c)에 형성된 훅(hook)부(42ga)를 계합부(5)로 한 것이다. 이 경우에서도, 보강판(1)의 비고착부(1c)를 조작 손잡이로서 기능시켜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커넥터(4)에 삽입하면, 비고착부(1c)의 양 단부가 커넥터(4)의 훅부(42ga)의 경사면부(42ia)에 올라타 휘고, 단차부(1ga)가 훅부(42ga)에 계합하여 잠긴다. 발거할 때에는, 비고착부(1c)를 잡고, 이것을 플렉시블 기판(2) 적층 쪽과는 반대(도면 중에서 왼쪽)로 왜곡시키면서 빼냄으로써, 단차부(1ga)를 훅부(42ga)로부터 이탈시켜 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7로부터 명백하듯이, 훅부(42ga)를, 도면 중 왼쪽 방향, 즉 보강판(1)의 플렉시블 기판(2) 적층면을 지향하도록 배치하였지만, 역방향(도면 중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지향시켜도 좋다. 이 경우, 발거 시에 비고착부(1c)를 휘게 하는 방향은 반대 가 된다.
도8에 나타낸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11)는, 커넥터(4)의 전벽 쉘(42b)의 폭방향 양 단부에 거꾸로 J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42gb)를 계합부(5)로 하고, 보강판(1)의 비고착부(1c)의 폭방향 양 단부의 상기 걸이부(42gb)와 마주보는 부분(1gb)을 피계합부(6)로 한 것이다. 걸이부(42gb)는, 보강판(1)의 플렉시블 기판(2)이 장착된 면과는 반대쪽인 전벽 쉘(42b)의 상단부에서 위쪽으로 연출된 연출부(42jb)와, 상기 연출부(42jb)의 선단에 플렉시블 기판(2)이 장착된 면 쪽으로 소정 길이 180도 굴곡된 굴곡부(42kb)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커넥터(4)에 삽입한 후, 또는 삽입함과 동시에, 비고착부(1c)를 그 중앙부분이 도면 중 오른쪽으로 볼록해지도록 좌굴(座屈)시켜 휘게 함으로써, 및/또는 좌우의 연출부(42jb, 42jb)를 폭방향 바깥쪽으로 V자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비고착부(1c)의 상기 부분(1gb)을 걸이부(42gb)의 굴곡부(42kb)의 안쪽에 계합시켜 잠글 수 있다. 또, 발거할 때에는, 비고착부(1c)를 조작 손잡이로서 기능시키고, 이것을 계합 시와 동일하게 그 중앙부분이 도면 중 오른쪽으로 볼록해지도록 휘게 하고, 및/또는 연출(延出)부(42jb, 42jb)를 V자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켜, 비고착부(1c)의 상기 부분(1gb)을 굴곡부(42kb)로부터 이탈시켜 빼냄으로써,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커넥터(4)로부터 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도6∼도8에 나타낸 제2∼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5, 제6 실시형태를 도9,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에 이용되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도4 및 도5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보강판(1)의 비고착부(1c)에, 그 판 두께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단차부(1x)를 설치하고, 이것을 피계합부(6)로 한 것이다. 단차부(1x)는, 비고착부(1c)의 플렉시블 기판(2)이 장착된 면과는 반대쪽 면에, 그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보강판(1)은, 두꺼운 판부(1m)와 얇은 판부(1n)를 삽입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접속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접속부분에 단차부(1x)가 형성되어 있다. 피계합부(6)를 형성하는 단차부(1x)에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어진 커넥터(4)에 갖추어진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의 하단(42h)이 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계합하거나, 또는 도6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의 커넥터(4)에 갖추어진 계합부(5)로서의 깍지부(42g)가 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10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에 이용되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도4 및 도5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보강판(1)을, 제1 보강판(1y)과 이보다도 높이가 낮은 제2 보강판(1z)을 그들 하단면을 대략 맞추어 적층하여 구성하고, 제2 보강판(1z)의 상단(1k) 즉 삽입방향 후단면을 상기 단차부로 한 것이다. 제2 보강판(1z)은, 제1 보강판(1y)의 플렉시블 기판(2)이 장착된 면과는 반대쪽 면에 장착된다. 상단(1k)에는, 도9의 것과 동일하게 도1 및 도2에 나타 낸 제1 실시형태의 깍지부(42g)의 하단(42h), 또는 도6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의 깍지부(42g)가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9, 도10에 나타낸 제5,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최초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도1∼도10 중,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기판(2)은, 보강판(1)의 고착부(1b)와 비고착부(1c)와의 경계의 근방에서 거의 직각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있지만, 이것은 단순히 이 방향으로 플렉시블 기판(2)의 타단(他端)이 연접(連接)되는 다른 커넥터 등이 존재하고 있는 이미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굴곡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여, 어떤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며, 거의 수직으로 연장해도 무방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도11∼도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1 및 도12에 있어서, 4는 Non-ZIF 타입의 커넥터, 3은 그것에 끼워지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이다. 커넥터(4)는,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하우징(41)과, 하우징(41)의 내부에 복수 배설된 인청동 등의 금속제의 단자(40)와, 하우징(41)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우징(41)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록(lock)부재(50)를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부재(50)에는 계합부(5)가 설치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보강판(1)을 갖고, 보강판(1)의 상단(1k)이 피계합부(6)로서 기능한다. 또한, 60은, 하우징(41)에 장착된 설치 금구(金具)이고, 하우징(41)을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13 및 도1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하우징(41)은, 거의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삽발하기 위해 윗면에 형성된 가늘고 긴 기판 삽입구(43)와, 기판 삽입구(43)에 연결하여 내부에 형성된 기판 삽입공간(44)과, 단자(40)가 압입되는 압입 홈(41d)과, 단자(40)가 삽입·가이드되는 단자 홈(46)과, 록부재(50)의 감합(嵌合)부(51)가 끼워지는 감합 홈(47)과,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가 충돌하여 그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충돌부(49)를 갖추고 있다. 충돌부(49)의 윗면에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의 하단이 충돌되는 충돌면(49x)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40)는, 하우징(41)의 압입 홈(41d)에 끼워지는 압입부(40b)와, 압입부(40b)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하우징(41)의 단자 홈(46)에 끼워지는 접촉부(40a)와, 압입부(40b)로부터 옆쪽으로 연장되고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테일부(40c)를 갖고 있다.
덧붙여서, 하우징(41)에 대하여, 단자(40)는, 상기 테일부(40c)가 한 개 마다 왼쪽 옆, 오른쪽 옆의 각각에 분배되도록, 소위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40)는, 상기 테일부(40c)가 도11에서는 25개, 도12에서도 25개 나타내어져 있는 대로, 합 50개가 하우징(41)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40)의 모든 접촉점부(40a)는, 하우징(41)의 내부(기판 삽입공간(44))에 있고 동일방향을 지향·정렬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40)는, 하우징(41)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압입된다.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과,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부(2a)의 한쪽 면(2b)에 전면적으로 고착된 보강판(1)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보강판(1)의 상단(1k)이 피계합부(6)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상단(1k)(피계합부(6))은,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커넥터(4)에 삽입했을 때, 커넥터(4)에 설치된 록부재(50)의 계합부(5)와 계합한다.
플렉시블 기판(2)은, 그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 구리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체(2f)와, 도체(2f)를 끼워 넣고 도체(2f) 사이에 충진되도록 배치된 폴리에스테르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2g)을 갖고, 기판(2)의 선단부에서 보강판(1)이 고착되어 있지 않는 쪽의 베이스 필름(2g)이 제거되어, 그곳에 도체(2f)가 노출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2)에 고착되는 보강판(1)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가요성을 갖고, 전면적으로 플렉시블 기판(2)에 붙여져 있다. 또, 보강판(1) 및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 및 양쪽 끝은 각각 맞추어져 거의 일치해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선단부(3a)의 강성이 플렉시블 기판(2)에 보강판(1)을 적층시킴으로써 높아져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3a)를 상술한 커넥터(4)(Non-ZIF 타입)에 삽입할 때, 단자(40)의 접촉부(40a)를 휘게 하기 위한 삽입 저항이 생겨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상기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에서 도체(2f)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도체(2f)가 단자(40)의 접촉부(40a)에 탄접한다.
록부재(50)는, 도11, 도13 및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기판 삽 입구(43)의 중앙부에 인접시켜 하우징(41)의 윗면에 배치된 본체(52)와, 본체(52)로부터 아래로 늘어지고 하우징(41)의 윗면에 형성된 감합 홈(47)에 계합된 감합부(51)와, 하우징(41)에 형성된 걸이부(48)에 계합하는 훅(55)과, 본체(52)의 상부에서 기판 삽입구(43)의 위쪽을 덮는 방향(옆쪽)으로 연장된 계합부(5)를 갖고 있다. 계합부(5)는, 기판 삽입구(43)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고, 계합부(5)의 아래면에는, 보강판(1)의 상단(1k)이 접하여 계합되는 계합면(5x)이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50)는,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1)과는 별개로 몰드 성형되어 있고, 나중에 감합부(51)를 감합 홈(47)에 삽입함과 동시에 훅(55)을 걸이부(48)에 계합함으로써, 하우징(41)에 확실히 설치되어 일체화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삽입구(43)의 위쪽에 계합부(5)가 돌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도, 하우징(41)을 몰드 성형할 때, 성형 금형이 빠지지 않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일체화된 하우징(41)과 록부재(50)에 있어서, 하우징(41)의 충돌부(49)의 충돌면(49x)과 록부재(50)의 계합부(5)의 계합면(5x)과의 간격(W)(도13 참조)은, 보강판(1)의 높이(H)(도15 참조)에 거의 일치시켜 있다. 바람직하게는, 간격(W)을 높이(H)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하고, 커넥터(4)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가 삽입되었을 때, 보강판(1)이 충돌면(49x)과 계합면(5x)과의 사이에서 약간 압축되어 휘도록 탄성 변형하여 끼워지게 한다.
상술한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제조할 때에, 시판하는 보강판 부착 플렉 시블 기판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보강판(1)의 높이(H)에 맞추어 하우징(41)의 충돌면(49x)과 록부재(50)의 계합면(5x)과의 간격(W)을 설정한 커넥터(4)를 설계하게 된다. 다른 한편, 커넥터(4)의 높이가 제한되는 등의 이유로, 하우징(41)의 충돌면(49x)과 록부재(50)의 계합면(5x)과의 간격(W)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 간격(W)에 합치한 높이(H)의 보강판(1)을 보강판 미적층의 플렉시블 기판(2)에 접착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커넥터(4)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삽입할 때에는, 먼저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도체(2f)가 커넥터(4)의 단자 접촉부(40a)와 마주보도록,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잡는다. 그리고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하우징(41)의 기판 삽입구(43)에서 기판 삽입공간(44) 내로 삽입한다. 이 때, 기판 삽입구(43)의 위쪽에는 록부재(50)의 계합부(5)가 연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피하기 위해, 약간 비스듬하게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삽입하게 된다.
이 때,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는, 보강판(1)의 배면(기판(2)이 접착되어 있지 않는 면)의 선단이 하우징(41)의 내벽(44x)(도13, 도14) 위를 미끄러지면서, 도체(2f)가 단자 접촉부(40a)에 접하여 접촉부(40a)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기판 삽입공간(44) 내에 진입하게 되기 때문에, 소정의 삽입 저항을 받지만, 보강판(1)에 의해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게다가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진입시켜 가면, 보강판(1)의 배면의 선단이 하우징(41)의 내벽(44x)에 접촉하는데다가, 보강판(1)의 배면이 계합부(5)의 선단에도 접하게 되고, 여기에서 약간 삽입력을 늘려 선단부(3a)를 밀어 넣으면, 적당한 강성과 탄성을 겸비한 선단부(3a)가 활과 같이 휘면서 기판 삽입공간(44) 내에 진입한다. 그 후, 보강판(1)의 선단이 하우징(41)의 충돌부(49)의 충돌면(49x)에 접한 순간에, 보강판(1)의 상단(1k)이 계합부(5)의 계합면(5x)의 아래로 잠입하고, 보강판(1)은 계합부(5)를 타넘기 위해 필요로 했던 휨의 대부분이 해소되어, 하우징(41)의 충돌면(49x)과 록부재(50)의 계합부(5)의 계합면(5x)과의 사이에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선단부(3a)의 도체(2f)는 단자 접촉부(40a)에 압접(壓接)하고, 단자(40)가 납땜질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플렉시블 기판(2)과의 사이의 전기접속이 달성된다. 이 때, 단자(40)의 접촉부(40a)는 하부를 기점으로 하여 휘어, 탄성 변형한다.
그 결과,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는, 록부재(50)의 계합부(5)와 하우징(41)의 충돌부(49)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고, 게다가 탄성 변형한 접촉부(40a)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41)의 내벽(44x)쪽(록부재(50)의 계합부(5)의 반(反)자유단(端) 쪽)으로 눌린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커넥터(4)로부터 빠져 나오는 일은 없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1)의 충돌면(49x)과 록부재(50)의 계합부(5)의 계합면(5x)과의 간격(W)을 보강판(1)의 높이(H)보다도 약간 작게 해두면, 보강판(1)이 약간 탄성 변형한 상태로 간격(W)에 끼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한층 빠지기 어려워진다.
한편, 의사(意思)를 가지고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커넥 터(4)로부터 발거하는 경우는, 도11에 있어서, 기판 삽입구(43)로부터 위쪽으로 노출하고 록부재(50)에 의해 덮이지 않은 보강판(1)의 일부(A) 주위를 손가락 등으로 계합부(5)의 자유단 쪽으로 밀고, 기판 구조체(3)를 탄성 변형시켜 상단(1k)과 계합부(5)와의 계합을 풀고, 상단(1k)을 자유롭게 한 후에 선단부(3a)를 비스듬히 위쪽으로 가볍게 빼냄으로써 달성된다. 즉, 록부재(50) 및 계합부(5)가 가늘고 긴 기판 삽입구(43)의 길이방향의 일부(도면 예에서는 중앙부)에서만 인접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 삽입구(43)로부터 돌출하는 보강판(1)에는 록부재(50) 및 계합부(5)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상기 일부(A))이 생기게 되고, 그 일부(A)를 손가락 등으로 밀음으로써,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판 구조체(3)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보강판의 옆쪽에 돌출부와 같은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판의 폭이 넓어지고, 커넥터의 전폭 즉 기판 실장면적을 증대시키는 일은 없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조부재와 같은 것을 준비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싼 잠금 구조로 할 수 있다.
게다가,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보강판(1)의 상단(1k)을 커넥터(4)의 계합부(5)에 대한 피계합부(6)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2)을 상단(1k)에서 거의 90도 구부림으로써, 선단부(3a)를 커넥터(4)에 삽입했을 때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소형화·박형화 등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는, 슬라이더나 액츄에이터 등의 가동(可動)부재를 갖춘 ZIF 타입이 아니고, 기본적인 구조가 Non-ZIF 타입이므로, 그 특징인 원 액션으 로의 기판 삽입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11∼도15 중,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기판(2)은, 보강판(1)의 상단(1k)의 근방에서 거의 직각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있지만, 이것은 단순히 그 방향으로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타단이 연접되는 다른 커넥터 등이 존재하고 있는 이미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굴곡해 있는 것을 포함하여, 어떤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며, 록부재(50)의 계합부(5)를 피하면서 거의 수직으로 연장해도 무방하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41)의 충돌부(49)(도13, 도14)는, 하우징(41)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단자(40)에 그 역할을 전가할 수도 있다.
또한, 록부재(50)의 계합부(5)의 계합면(5x)은, 단순히 수평으로 형성할 뿐만 아니라, 록부재(50)의 계합부(5)의 자유단 쪽을 향해 약간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하거나, 또는 자유단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조금만 볼록(凸)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여, 보강판(1)의 잠금·걸림(係止)성의 향상을 도모해도 좋다.
또, 록부재(50)의 계합부(5)는, 도11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늘고 긴 기판 삽입구(43)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인접시켜 배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 삽입구(43)의 양 단부나 일단부에 인접시켜 배치해도 좋다. 요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삽입하여 잠갔을 때에, 보강판(1)에 록부재(50) 및 계합부(5)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록을 해제하기 위해 눌리는 부분)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된다.
또, 록부재(50)의 계합면(5x)의 걸림 폭(계합부(5)의 자유단에서 고정단까지 의 길이)을 보강판(1)의 두께에 일치시키도록 하여, 기판(2)이 록부재(50)의 계합면(5x)에 의해 무리하게 꺾여 구부러지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를 도16∼도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6 및 도17에 있어서, 4는 Non-ZIF 타입의 커넥터, 3은 거기에 끼워지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이다. 커넥터(4)는,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41)과, 동 하우징(41)의 내부에 복수개 배설된 인청동 등의 금속제의 단자(40)와, 상기 하우징(41)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것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록부재(50)를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부재(50)에는 계합부(5)가 설치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보강판(1)을 갖고, 보강판(1)에는 피계합부(6)로서 기능하는 흠손부(1p)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는, 도11∼도14를 이용하여 전술한 커넥터(4)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도16∼도19 등에서 동일부품에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도18∼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부(2a)의 한쪽 면(2b)에 고착된 보강판(1)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보강판(1)에는 피계합부(6)로서의 흠손부(1p)가 설치되어 있다. 피계합부(6)로서의 흠손부(1p)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커넥터(4)에 삽입했을 때, 커넥터(4)의 계합부(5)와 계합한다.
플렉시블 기판(2)은,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2f)와 베이스 필름(2g)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2)은, 도15를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형태 의 플렉시블 기판(2)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부품에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기판(2)에 고착되는 보강판(1)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적절한 가요성과 강성을 갖고, 상기 도체(2f)가 노출되지 않는 쪽의 베이스 필름(2g)에 붙여져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플렉시블 기판(2) 및 보강판(1)의 적층부분(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은, 플렉시블 기판(2)의 강성·유연성에 보강판(1)의 강성·유연성이 더해지게 되어, 전체로 적절한 강성·유연성을 갖게 된다. 또, 보강판(1) 및 플렉시블 기판(2)의 선단 및 양쪽 끝은 각각 맞추어져 있어 거의 일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에 보강판(1)을 고착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의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선단부(3a)를 커넥터(4)에 삽입할 때, 단자(40)의 접촉부(40a)를 휘게 하기 위한 삽입 저항이 생겨도, 그것을 극복하고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에서 도체(2f)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도체(2f)가 커넥터(4)의 단자(40)의 접촉부(40a)에 탄접한다.
도20, 도21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보강판(1)에는, 피계합부(6)의 역할을 하는 흠손부(1p)가 설치되어 있다. 흠손부(1p)는 예를 들어, 기판(2)의 선단부의 형상에 맞추어 보강판(1)의 폭(L) 및 높이(H)를 조정할 때, 구멍을 뚫어 개구 성형된다. 상기 보강판(1)은, 흠손부(1p)의 개구를 덮도록 하여, 기판(2)의 한쪽 면(2b)에 붙여진다. 이에 의해, 상기 흠손부(1p)의 개구의 한쪽이 기판(2)으로 막 혀 있다.
록부재(50)는, 도16∼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4)를 구획 형성하는 하우징(41)의 윗면 중앙부에 배치된 본체(52)와, 본체(52)로부터 아래로 늘어지고 동 하우징(41)에 형성된 감합 홈(47)에 계합되는 감합부(51)와, 하우징(41)에 형성된 걸이부(48)에 계합하는 훅(55)과, 본체(52)의 상부에서 커넥터(4)의 기판 삽입구(43)의 위쪽 위치에 차양과 같이 돌설(突設)된(돌출되어 설치된) 계합부(5)를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합부(5)는, 커넥터(4)의 단자(40)의 접촉부(40a)와 마주보는 방향이고, 커넥터(4)의 기판 삽입구(43)로 진입해 오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의 동작을 방해하도록, 차양과 같이 돌설되어 있고, 게다가 계합부(5)는, 삽입구(43)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어, 선단부(3a)를 커넥터(4)에 삽입했을 때, 계합부(5)에는 보강판(1)의 흠손부(1p)가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록부재(50)는, 하우징(41)과는 별도로 몰드 성형되어 있고, 나중에 그 감합부(51)를 감합 홈(47)에 삽입함과 동시에 훅(55)을 걸이부(48)에 계합함으로써 동 하우징(41)에 확실히 설치된다. 이와 같이 록부재(50)를 하우징(41)과는 별체(別體)로 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4)의 기판 삽입구(43)의 위쪽에 계합부(5)가 차양과 같이 쑥 내미는 구조로 되어 있어도, 하우징(41)을 몰드 성형할 때, 성형 금형이 빠지지 않는 현상은 생기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커넥터(4)에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삽입할 때는, 먼저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도체(2f)가 커넥터(4)의 단자 접촉부(40a)를 향하도록,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조작 손잡이로서 기능시켜 잡는다.
이어서,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커넥터(4)의 하우징(41)의 기판 삽입구(43)에서 기판 삽입공간(44) 내로 삽입한다. 이 때, 기판 삽입구(43)의 위쪽에는 록부재(50)의 계합부(5)가 연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약간 비스듬하게 선단부(3a)를 삽입하게 된다.
이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관찰하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는, 보강판(1)의 배면(기판(2)이 접착되어 있지 않는 쪽 면)의 선단이 하우징(41)의 내벽(44x)(도18 및 도19 참조)에, 또 동 배면의 중간이 계합부(5)에, 게다가 선단부(3a)의 내면(상기 도체(2f)가 노출한 쪽 면)이 기판 삽입구(43)에 비스듬히 또는 R형상으로 형성된 안내면(43x)에, 각각 접할 때까지는 거의 무저항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삽입력을 더하여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진입시키면, 그 선단부(3a)는 록부재(50)의 계합부(5)와 안내면(43x)에 접한 채, 보강판(1)의 배면 선단이 하우징(41)의 내벽(44x) 위를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는, 록부재(50)의 계합부(5)와의 접촉점, 안내면(43x)과의 접촉점, 하우징(41)의 내벽(44x)과의 접촉점의 3점에 지지되고, 활 형상으로 휘면서, 기판 삽입공간(44) 내에 진입하게 된다.
이 때, 또는 이에 앞서 또는 그 후,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 의 상기 내면은 단자(40)의 접촉부(40a)에 접하여 그것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진입하기 때문에, 상기 3점에서의 마찰에 더하여 소정의 삽입 저항을 받지만, 상술한 대로 보강판(1) 및 플렉시블 기판(2)에 의해 선단부(3a)의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이 삽입 작업은 극히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를 진입시켜 가면, 보강판(1)의 선단이 충돌부(49)에 접했을 때, 또는 그 직전에, 보강판(1)에 설치한 피계합부(6)가 되는 흠손부(1p)가 록부재(50)의 계합부(5)에 끼워지고, 보강판(1)의 배면의 중간과 록부재(50)의 계합부(5)와의 접촉이 풀리므로, 보강판(1)은 흠손부(1p)의 두께만큼, 그 탄성력으로 복원하여 활 형상의 휨을 해소한다. 이에 의해, 흠손부(1p)가 계합부(5)에 계합하여,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가 커넥터(4)에 지지되게 된다.
흠손부(1p)가 계합부(5)에 끼워질 때, 만곡하여 스프링 력(力)을 축적하고 있던 보강판(1) 및 플렉시블 기판(2)이 복원함으로써, 흠손부(1p)를 막고 있는 플렉시블 기판(2)의 한쪽 면(2b)이 록부재(50)의 계합부(5)의 선단에 충돌하고, 및/또는 보강판(1)의 록부재(50)와 마주보는 부분이 록부재(50)에 충돌하고, 충돌음으로서 딱하고 소리를 내어, 확실한 삽입 클릭(click)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딱하고 소리를 내는」 점, 및 「확실한 삽입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점은, 도16에 기재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잠금 구조(11)에 한한 효과가 아니고, 이미 기술한 도1, 도6, 도7, 도9, 도10, 도11, 도16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따른 잠금 구조(11)에서도 발휘할 수 있는 효과이다.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커넥터(4)에의 삽입이 종료한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는, 커넥터(4)의 단자(40)의 접촉부(40a)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우징(41)의 내벽(44x) 쪽으로 눌리므로, 보다 확실하게 계합부(5)에 피계합부(6)를 구성하는 흠손부(1p)가 계합하고, 특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선단부(3a)가 커넥터(4)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한편, 의사(意思)를 가지고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를 커넥터(4)로부터 발거하는 경우는, 록부재(50)의 바로 윗부분, 즉 플렉시블 기판(2) 및 보강판(1)의 적층부분을 잡고, 그것을 동 록부재(50)와 반대쪽으로 넘어뜨리는 것처럼 휘게 함으로써, 피계합부(6)를 구성하는 흠손부(1p)와 계합부(5)와의 계합이 빠지기 때문에, 그대로 비스듬히 위쪽으로 당김으로써, 가볍게 빼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보강판의 옆쪽에 돌출부와 같은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판의 폭이 넓어지고, 커넥터의 전폭 즉 기판 실장면적을 증대시키는 일은 없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조부재와 같은 것을 준비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싼 잠금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는, 회동부재나 접동부재라는 가동부재를 갖춘 ZIF 타입이 아니고, 전혀 Non-ZIF 타입의 특징을 손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 액션으로의 기판 구조체(3)의 삽입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충돌부(49)(도18, 도19)가 하우징(41)에 설 치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커넥터(4)의 단자(40)에 그 역할을 전가할 수도 있다.
또, 록부재(50)의 계합부(5)는, 도시한 예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가늘게 길게 연장하는 기판 삽입구(43)의 중앙부에 2개 배치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동 기판 삽입구(43)의 양 단부에 1개씩 설치하거나 중앙에 1개 설치해도 좋다.
게다가, 계합부(5)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그 자유단 쪽을 향해 약간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하거나, 또는 자유단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조금만 볼록(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여, 보강판(1)의 잠금·걸림성의 향상을 도모해도 좋다.
또, 계합부(5)의 돌출량(차양의 길이)은, 거의 플렉시블 기판(2)과 보강판(1)의 두께를 맞춘 것으로 하는 것이 간편하지만, 보강판(1)의 두께나 그 강성, 또는 상기 계합부(5)의 기판 삽입구(43)로부터의 높이 등에 따라서는, 그보다도 두껍게 하거나, 또는 얇게 해도 좋고, 요는 피계합부(6)를 구성하는 흠손부(1p)가 상기 계합부(5)에 걸리기만 하면 된다.
또한, 도16∼도22 중,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3)의 플렉시블 기판(2)은, 보강판(1)의 상단(1k)의 근방에서 거의 직각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있지만, 이것은 단순히 그 방향으로 플렉시블 기판(2)의 타단이 연접되는 다른 커넥터 등이 존재하고 있는 이미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굴곡해 있는 것을 포함하여, 어떤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며, 상기 흠손부(1p)를 계합부(5)에 걸면서 거의 수직으로 연장해도 무방하다.

Claims (4)

  1. Non-ZIF 타입의 커넥터에 삽발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부의 한쪽 면에 보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의 상기 보강판에 설치된 피계합부; 및
    상기 커넥터의 기판 삽입구에 설치된 계합부;
    를 갖추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의 선단부를 상기 기판 삽입구에 삽입했을 때,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가 휨으로써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대하여 고착되어 있는 고착부와, 고착되어 있지 않는 비고착부를 갖고,
    상기 피계합부는, 상기 비고착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 구조체는, 상기 보강판의 전면을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고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계합부는, 상기 보강판의 상단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의 단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그 표면과 이면을 연결하여 통하는 흠손부를 갖고,
    상기 흠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흠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KR1020077024104A 2005-04-14 2006-04-13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KR20080005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6644 2005-04-14
JP2005116644A JP2006294530A (ja) 2005-04-14 2005-04-14 フレキシブル基板用補強板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構造
JPJP-P-2005-00124948 2005-04-22
JP2005124948A JP2006302750A (ja) 2005-04-22 2005-04-22 フレキシブル基板の抜止構造
JPJP-P-2005-00334091 2005-11-18
JP2005334091A JP2007141663A (ja) 2005-11-18 2005-11-18 ノンジフ式コネクタの抜止構造
JP2006056219A JP2007234460A (ja) 2006-03-02 2006-03-02 フレキシブル基板の抜け止め構造
JPJP-P-2006-00056219 2006-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15A true KR20080005215A (ko) 2008-01-10

Family

ID=3711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104A KR20080005215A (ko) 2005-04-14 2006-04-13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23324A1 (ko)
EP (1) EP1879259A1 (ko)
KR (1) KR20080005215A (ko)
TW (1) TW200642183A (ko)
WO (1) WO2006112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0096A1 (en) 2007-03-29 2008-10-02 Twisted Pair Solutions, Inc. Method, apparatus,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providing distributed convergence nod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JP5289747B2 (ja) * 2007-10-10 2013-09-11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用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配線回路基板
JP5280034B2 (ja) * 2007-10-10 2013-09-04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用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配線回路基板
CA2726887C (en) 2008-07-01 2017-03-07 Twisted Pair Solutions, Inc. Method, apparatus,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reliable low-bandwidth information delivery across mixed-mode unicast and multicast networks
JP4915879B2 (ja) * 2009-08-10 2012-04-11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TWI460933B (zh) * 2010-12-14 2014-11-1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Insertion and Displacement Control Structure of Soft Circuit Cable
TWI474564B (zh) * 2011-07-28 2015-02-21 Dai Ichi Seiko Co Ltd Connector device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6962056U (zh) * 2017-07-26 2018-02-02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9035370A1 (ja) * 2017-08-14 2019-02-21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TWI727689B (zh) * 2020-03-04 2021-05-11 宏致電子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之扣合結構
JP7216685B2 (ja) * 2020-07-27 2023-02-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8185U (ko) * 1986-12-27 1988-07-12
JPH056761U (ja) * 1991-06-28 1993-01-29 株式会社ケンウツド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717365B2 (ja) * 1994-10-11 1998-0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Zifコネクタ装置
JP3501338B2 (ja) * 1997-12-26 2004-03-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
AU2001236859A1 (en) * 2000-02-15 2001-08-27 Miraco, Inc. Printed circuit connector
US6394833B1 (en) * 2001-04-25 2002-05-28 Miraco, Inc.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42183A (en) 2006-12-01
WO2006112363A1 (ja) 2006-10-26
EP1879259A1 (en) 2008-01-16
US20090023324A1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215A (ko)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TWI593174B (zh) Connector
US7238032B2 (en) Connector arrangement between a flat flex cable and a component
US8585433B2 (en)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occurrence of a contact failure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CN107546510B (zh) 连接器
KR20120087817A (ko)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JP5999541B2 (ja) コネクタ
US7351093B2 (en) Connector
JP200629453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補強板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構造
EP1385232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200813026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H07335342A (ja) フレキシブル導体用コネクタ
JP2007311122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60026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6057229B2 (ja) コネクタ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JP6613129B2 (ja) 金属端子
JP2007242393A (ja) ノンジフ式コネクタの組立て体
JP2019046664A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200630275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抜止構造
JP4238001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424707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7280809A (ja) フレキシブル基板
JP200723446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抜け止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