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089A -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089A
KR20080004089A KR1020060062593A KR20060062593A KR20080004089A KR 20080004089 A KR20080004089 A KR 20080004089A KR 1020060062593 A KR1020060062593 A KR 1020060062593A KR 20060062593 A KR20060062593 A KR 20060062593A KR 20080004089 A KR20080004089 A KR 2008000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rbon dioxide
solid refrigerant
liquefied carbon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3547B1 (ko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이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혁 filed Critical 이재혁
Priority to KR102006006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5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50Carbon dioxide
    • C01B32/55Solid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하여 고체 냉매를 제조하는 냉매 제조장치에 있어서, 하부플레이트를 갖는 본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소정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내부가 빈 중공부를 갖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성형틀; 상기 성형틀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 장착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액화탄산가스가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도록 상기 분사노즐 및 상기 액화탄산가스탱크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액화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밸브를 갖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부재; 상기 성형틀로 공급된 상기 액화탄산가스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고체 냉매가 생성되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위치 및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하단에 밀착 삽입되는 하부유압실린더와, 상기 성형틀에서 소정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시키도록 그 일면이 상기 성형틀의 상단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부유압실린더와, 상기 성형틀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를 외부로 취출시키도록 상기 성형틀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는 취출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밸브 또는 상기 실린더부재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밸브 및 실린더부재를 사용하여, 고체 냉매 제조시 자동생산이 가능하고, 인 건비가 절약되며,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증가하며, 다양한 크기의 고체 냉매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액화탄산가스, 성형틀, 공급부재, 실린더부재

Description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Refrigerant from LCO2}
도 1은 종래 냉매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도시한 내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도시한 내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의 유압실린더가 작동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하부플레이트
13: 이동용 바퀴 14: 지지프레임
15: 상부플레이트 16: 지지플레이트
17: 가이드프레임 20: 성형틀
22: 배출수단 30: 공급부재
32: 분사노즐 34: 공급관
40: 실린더부재 42: 전기모터
44: 하부유압실린더 46: 상부유압실린더
48: 취출유압실린더 50: 슈트
60: 커버 70: 제어부
본 발명은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밸브 및 실린더부재를 사용하여, 고체 냉매 제조시 자동생산이 가능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 아이스(Dry Ice)등의 고체 냉매는 이산화탄소를 냉각하여 고체로 만든 것으로서, 상압에서는 액화하지 않고 즉시 승화하며, 승화점은 영하 78.5℃이다.
이러한 드라이 아이스는 얼음처럼 녹아서 액체가 되지 않고, 바로 기체가 되어 어떠한 잔류물도 남기지 않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식료품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물건을 냉각시키는 데 쓰일 뿐만 아니라, 탄산나트륨, 요소 등의 제조에도 대량으로 사용되고, 청량음료, 용접, 주물 등에도 사용된다.
한편, 아이스크림이나 수산물 등은 냉동 또는 냉장의 저온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얼음 또는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고체 냉매를 아이스용기에 넣고 운반 및 보관하곤 한다.
그러나 얼음을 사용하게 되면, 약 2℃ 내지 8℃ 정도로 밖에 보관할 수 없어서 사용상에 제한이 따르고, 운반하는 동안 쉽게 녹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 주어야하며, 얼음이 녹게 되면 보관된 저장물품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냉동 또는 냉장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고체 냉매는, 그 고유 특성상 실온에서 쉽게 기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냉매를 자주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 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매가 필요한 장소에서 직접 냉매를 생산할 수 있는 이동형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0003810호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냉매를 제조할 수 있는 냉매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상기 특허에서 사용된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냉매 제조장치는 탄산가스탱크(미도시)와 연결된 공급배관(미도시)과, 이 공급배관에 연결된 탄산가스주입기(미도시)를 갖추되, 이 탄산가스주입기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를 갖추고서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설치된 주입관(미도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 및, 상기 주입관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성형틀(100)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틀(100)은 상부틀(110) 및 하부틀(120)로 분할형성되며, 이들 상부틀(110)과 하부틀(120)에는 각각 다수의 배기공(112a, 122a)을 갖춘 상부수용부(112)와 하부수용부(122)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112a, 122a)과 접하도록 필터(미도시)가 부착되며, 상기 하부수용부(122)의 일측에 분사 노즐(130)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종래 냉매 제조장치는, 냉매를 필요로 하는 현장까지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요량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냉매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냉매 제조장치는, 상부틀(110)과 하부틀(120)을 개폐시킬 때, 수동으로 개폐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상부틀(110)과 하부틀(120)을 서로 긴밀하게 밀착시키기가 어려우므로, 냉매를 제조하는 동안에 성형틀(100) 내로 공급되는 고압의 액화탄산가스가 상부틀(110)과 하부틀(120)의 서로 접촉되는 면을 통해 배출된다. 그 결과, 배출되는 고압의 액화탄산가스로 인해 작업자가 탄산가스에 중독 및 상해를 입을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매의 두께가 상부틀(110)과 하부틀(120)을 갖는 성형틀(100)의 사이즈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냉매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제어되는 밸브 및 실린더부재를 사용하여, 고체 냉매 제조시 자동생산이 가능하고, 인건비가 절약되도록 할 수 있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체 냉매 제조시 고압의 액화탄산가스가 작업장 내로 배출되지 않도록 성형틀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액화탄산가스로 인해 작업자가 중독 및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한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화탄산가스의 성형틀의 부피를 임의로 조절하여, 고체 냉매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하여 고체 냉매를 제조하는 냉매 제조장치에 있어서, 하부플레이트를 갖는 본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소정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내부가 빈 중공부를 갖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성형틀; 상기 성형틀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 장착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액화탄산가스가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도록 상기 분사노즐 및 상기 액화탄산가스탱크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액화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밸브를 갖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부재; 상기 성형틀로 공급된 상기 액화탄산가스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고체 냉매가 생성되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위치 및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하단에 밀착 삽입되 는 하부유압실린더와, 상기 성형틀에서 소정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시키도록 그 일면이 상기 성형틀의 상단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부유압실린더와, 상기 성형틀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를 외부로 취출시키도록 상기 성형틀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는 취출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밸브 또는 상기 실린더부재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틀에서 상기 고체 냉매가 제조되는 동안 기화되어 잔류하는 탄산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성형틀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틀에서 외부로 취출되는 고체 냉매가 수용되도록 상기 성형틀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는 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틀에서 생성되는 상기 고체 냉매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성형틀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상기 하부실린더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도시한 내부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도시한 내부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화탄산가스탱크(미도시)의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1)는 본체(10), 성형틀(20), 배출수단(22: 도 5 도시), 공급부재(30: 도 5 도시), 실린더부재(40), 슈트(5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소정 넓이를 갖는 하부플레이트(12), 상기 하부플레이트(12)의 상면의 네 모서리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4) 및 상기 지지프레임(14)에 지지되어 하부플레이트(12)의 상면에서 소정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상부플레이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2)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이동용 바퀴(13)가 장착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5)와 하부플레이트(12) 사이에는 후술하는 하부유압실린더(44) 및 후술하는 가이드프레임(17)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16)가 위치 및 장착된다.
가이드프레임(17)은 일측은 지지플레이트(16)의 네 모서리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부플레이트(15)에 관통되어, 후술하는 상부유압실린더(46)가 후술하는 성형틀(20)의 상단에 소정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가이드 한다.
성형틀(20)은 액화탄산가스를 주입하여 고체 냉매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부플레이트(12)의 상면에서 소정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상부플레이트(15) 상에 설치되며, 상기 고체 냉매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부(미도시)를 갖고, 후술하는 하부유압실린더(44) 및 상부유압실린더(46)가 삽입되도록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틀(20)의 일측면에는 성형틀(20)에서 상기 고체 냉매가 제조되는 동안에 기화되어 잔류하는 탄산가스를 배출하도록 하나 이상의 배출수단(22: 도 5 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수단(22)은 가스배출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재(30: 도 5 도시)는 분사노즐(32: 도 5 도시) 및 공급관(34: 도 5 도시)을 포함하는데, 먼저 분사노즐(32)은 상기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 장착되어 액화탄산가스를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로 분출시킨다.
공급관(34)은 기체를 공급시키는 일반적인 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액화탄산가스탱크(미도시)의 액화탄산가스가 분사노즐(32)을 통해 성형틀(20)로 공급되도록, 그 일측은 분사노즐(32)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액화탄산가스탱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34)의 소정부위에는 공급관(34)을 통해 성형틀(20)로 공급되는 액화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밸브는 후술하는 제어부(70)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부재(4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42)와, 상기 전기모터(42)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유압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유압펌프(미도시)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성형틀(20)의 개방된 하단에 삽입되 어 성형틀(20)에 압력을 가하는 하부유압실린더(44)와, 성형틀(20)의 상부에서 소정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부유압실린더(44)에 의해 성형틀(20)에 압력이 가해질 때, 성형틀(20)에 공급된 액화탄산가스가 성형틀(20)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성형틀(2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상부유압실린더(46) 및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를 외부로 취출시키는 취출유압실린더(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유압실린더(44)는 그 일측은 하부플레이트(12)의 상면에 위치 및 장착되고, 그 타측은 성형틀(20)의 하단에 밀착 삽입되어, 공급부재(30)를 통해 성형틀(20)로 공급되는 상기 액화탄산가스를 압축시킨다.
상부유압실린더(46)는 가이드프레임(17)의 타측에 설치되어, 성형틀(20)에서 상부로 소정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부유압실린더(46)의 일면은 성형틀(20)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하부유압실린더(44)가 성형틀(20)로 공급되는 상기 액화탄산가스를 압축시킬 때, 상부유압실린더(46)의 일면이 가이드프레임(17)에 가이드 되어 상하기복 되면서 성형틀(2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한다.
취출유압실린더(48)는 하부유압실린더(44) 및 상부유압실린더(46)에 의하여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를 외부로 취출시키는 것으로서, 상부플레이트(15) 상에서 성형틀(20)의 상단 일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 및 설치된다.
슈트(Chute)(50)는 상기 취출유압실린더(48)에 의하여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가 외부로 취출될 때, 상기 고체 냉매가 수용되도록 성형틀(20)의 상단 타측에 위치 및 설치된다. 슈트(50)의 일면은 취출되는 고체 냉매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슈트(5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되어 낙하되는 상기 고체 냉매를 수용하도록 수용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하부플레이트(12), 지지프레임(14), 상부플레이트(15), 지지플레이트(16), 성형틀(20) 및 실린더부재(40)를 둘러싸도록 커버(60)가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60)의 소정위치에는 공급부재(30)의 상기 밸브 또는 실린더부재(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70)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미도시), 상기 고체 냉매 제조를 수동 또는 자동 공정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스위치(미도시) 및 수동 공정 시 실린더부재(40)를 제어하여 반자동으로 상기 고체 냉매를 제조하도록 하고, 자동 공정 시 상기 밸브 및 실린더부재(4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상기 고체 냉매를 제조하도록 상기 고체 냉매 제조공정이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의 유압실린더가 작동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화탄산가스탱크(미도시)의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1)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먼저 수동 공정은 제어부(70)의 상기 제어스위치를 제어하여 전원을 온(On)시킨 후, 상기 변환스위치를 수동 상태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시작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전기모터(42)가 작동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유압실린더(44)로 하여금 성형틀(20)의 하단에 밀착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유압실린더(46)로 하여금 성형틀(20)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하여,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성형틀(20)의 하단에 하부실린더(44)가 삽입될 때, 작업자가 제어부(70)를 사용하여, 임의로 하부실린더(44)의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의 밀폐되는 부피가 조절되어,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로 액화탄산가스가 소정시간 동안 분사되도록 작업자가 제어부(70)의 타이머(미도시)의 시간을 임의로 설정한다.
이때, 성형틀(20)로 분사되는 액화탄산가스의 공급량에 따라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를 더욱 견고하게 제조하도록 하여, 고품질의 고체 냉매를 생산할 수 있다.
이처럼 성형틀(20)에 상기 액화탄산가스가 공급되면, 성형틀(20)의 하단에 삽입된 하부유압실린더(44)는 상기 소프트웨어부에 의하여 성형틀(20)에 분사된 액화탄산가스를 더욱 압축시켜, 견고한 고체 냉매가 생성되도록 하고, 일부 기화되는 가스는 배출수단(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생성된 상기 고체 냉매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부는 상부유압실린더(46)를 상승시켜 성형틀(20)의 상단을 개방한 후, 하부유압실린더(44)를 다시 상승시켜, 상기 고체 냉매가 성형틀(20)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성형틀(20)의 상단에 위치된 상기 고체 냉매는 슈트(50) 방향으로 전 진되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취출유압실린더(48)에 의해 슈트(50)로 취출 및 수용된다.
이처럼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상기 고체 냉매는 취출유압실린더(48)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작업자가 위험한 성형틀(20)에서 상기 고체 냉매를 취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성형틀(20)에 손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자동 공정은 제어부(70)의 상기 전원스위치를 제어하여 전원을 온(On)시킨 후, 상기 변환스위치를 자동 상태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시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소프트웨어부가 작동하여 전기모터(42)를 작동시켜 하부유압실린더(44)로 하여금 성형틀(20)의 하단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부유압실린더(46)로 하여금 성형틀(20)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하여,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성형틀(20)의 하단에 하부실린더(44)가 삽입될 때, 미리 입력된 상기 소프트웨어부에 의해 하부실린더(44)의 이동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의 밀폐되는 부피가 조절되어,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의 사이즈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미리 입력된 상기 소프트웨어부에 의해 상기 밸브가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고, 액화탄산가스가 분사노즐(32)을 통하여 성형틀(20)의 상기 중공부로 분사된다.
이때 성형틀(20)로 공급되는 액화탄산가스의 공급량에 따라 성형틀(20)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를 더욱 견고하게 제조하도록 하여, 고품질의 고체 냉매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유압실린더(44) 및 상부유압실린더(46)에 의하여 고체 냉매가 생성되는 과정 및 취출유압실린더(48)에 의하여 슈트(50)로 취출되는 과정은 상기 수동 공정과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 공정은 미리 입력된 상기 소프트웨어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고체 냉매가 자동으로 생산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 생산 비용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는 밸브 및 실린더부재를 사용하여, 고체 냉매 제조시 자동생산이 가능하고, 인건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는 밸브 및 실린더부재를 사용하여, 고체 냉매 제조시 자동생산이 가능하고,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는 고체 냉매 제조시 고압의 액화탄산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성형틀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액화탄산가스로 인해 작업자가 중독 및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는 액화탄산가스의 공급량이 임의로 조절됨으로써, 고체 냉매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하여 고체 냉매를 제조하는 냉매 제조장치에 있어서,
    하부플레이트를 갖는 본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소정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내부가 빈 중공부를 갖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성형틀;
    상기 성형틀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 장착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액화탄산가스가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도록 상기 분사노즐 및 상기 액화탄산가스탱크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액화탄산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밸브를 갖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부재;
    상기 성형틀로 공급된 상기 액화탄산가스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고체 냉매가 생성되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위치 및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하단에 밀착 삽입되는 하부유압실린더와, 상기 성형틀에서 소정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시키도록 그 일면이 상기 성형틀의 상단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부유압실린더와, 상기 성형틀에서 생성되는 고체 냉매를 외부로 취출시키도록 상기 성형틀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는 취출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밸브 또는 상기 실린더부재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서 상기 고체 냉매가 제조되는 동안 기화되어 잔류하는 탄산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성형틀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서 외부로 취출되는 고체 냉매가 수용되도록 상기 성형틀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는 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서 생성되는 상기 고체 냉매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성형틀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상기 하부실린더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KR1020060062593A 2006-07-04 2006-07-04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KR10079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593A KR100793547B1 (ko) 2006-07-04 2006-07-04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593A KR100793547B1 (ko) 2006-07-04 2006-07-04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89A true KR20080004089A (ko) 2008-01-09
KR100793547B1 KR100793547B1 (ko) 2008-01-14

Family

ID=3921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593A KR100793547B1 (ko) 2006-07-04 2006-07-04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5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739A (ko) 2014-09-04 2016-03-14 (주)위비즈 드라이아이스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메쉬망
CN109279604A (zh) * 2018-11-30 2019-01-29 厦门理工学院 一种高密度二氧化碳成型设备
KR102339810B1 (ko) * 2021-07-01 2021-12-15 주식회사 한국콜드체인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
KR102457800B1 (ko) * 2022-07-11 2022-10-21 문명규 드라이아이스블록 크기조절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419A (ja) * 1991-10-09 1993-04-20 Osaka Gas Co Ltd ドライア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49905A (ko) * 2002-12-05 2004-06-14 에스케이해운 주식회사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KR200345540Y1 (ko) 2003-12-24 2004-03-24 김용신 드라이 아이스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739A (ko) 2014-09-04 2016-03-14 (주)위비즈 드라이아이스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메쉬망
CN109279604A (zh) * 2018-11-30 2019-01-29 厦门理工学院 一种高密度二氧化碳成型设备
CN109279604B (zh) * 2018-11-30 2020-04-10 厦门理工学院 一种高密度二氧化碳成型设备
KR102339810B1 (ko) * 2021-07-01 2021-12-15 주식회사 한국콜드체인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
KR102457800B1 (ko) * 2022-07-11 2022-10-21 문명규 드라이아이스블록 크기조절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547B1 (ko) 200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547B1 (ko)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US5566553A (en) Process for the preservation of products at low temperature in an insulated chamber, installation for practicing the process, insulated chamber and container for such a chamber
JPH0386518A (ja) 耐熱性中空容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EP2394759A1 (en) Method of high quality die casting
US7698900B2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JP2008508498A (ja) 冷蔵庫キャビネットの真空発泡方法および装置
JPH0639911A (ja) 加圧液体クライオジェンを使用する吹込成形法および吹込成形装置
KR20140124591A (ko) 드라이아이스 블록 제조방법
KR102489619B1 (ko) 드라이아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1733908A (zh) 中空品的成形装置和成形方法
CN108437333A (zh) 一种聚氨酯保温板的加工工艺
JP7267031B2 (ja) ドライアイス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8145028A (ja) 液化窒素ガスの間欠噴射装置
CN107379410A (zh) 一种冰箱内饰件注塑模具
KR20040049905A (ko)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EP0365951A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oling of articles produced by thermoforming
CN208930660U (zh) 液态二氧化碳冷却系统
KR101153749B1 (ko) 냉원용 이산화탄소 자동주입장치 및 자동주입방법
KR100239557B1 (ko)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KR20000016491U (ko) 냉장고의 캐비넷 발포 성형 장치
JP2004017424A (ja) 複合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3585957B2 (ja) 樹脂成形装置およびその金型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3151769U (ja) 中空品の成形装置及び中空品
CN212451519U (zh) 一种模具淬火装置
JP3273696B2 (ja) ガス注入射出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