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595A -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595A
KR20080003595A KR1020060062031A KR20060062031A KR20080003595A KR 20080003595 A KR20080003595 A KR 20080003595A KR 1020060062031 A KR1020060062031 A KR 1020060062031A KR 20060062031 A KR20060062031 A KR 20060062031A KR 20080003595 A KR20080003595 A KR 20080003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hotographing apparatus
channel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711B1 (ko
Inventor
민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711B1/ko
Priority to US11/652,478 priority patent/US20080002050A1/en
Priority to EP07101062A priority patent/EP1881501A1/en
Priority to CN2007100846903A priority patent/CN101102404B/zh
Publication of KR2008000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촬영장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전달하는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촬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송수신, 촬영, 재생, 영상신호, 음향신호

Description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 Photograph apparatus and method of data transmit-receive by wireless between photograph apparatus }
도 1은 종래의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촬영장치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촬영장치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장카메라 200 : 캠코더본체
250 : 모듈부 110 : 제1조작부
120 : 송신부 130 : 제1전원공급부
140 : 신호생성부 150 : 점등부
160 : 마이크부 170 : 광학부
190 : 제1안테나 201 : 제3전원공급부
202 : 제어부 203 : 신호처리부
204 : 압축부 205 : 저장부
206 : 디스플레이부 207 : 제3조작부
208 : 카메라부
본 발명은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카메라 및 외장카메라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캠코더 그리고, 외장카메라 및 캠코더 간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외장카메라는 단순촬영기능을 갖는 장치로써, 캠코더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외장카메라는 레저나 스포츠 등의 활동시 간단한 촬영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촬영장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촬영장치들로는 외장카메라(10) 및 캠코더(20)가 있다.
외장카메라(10)는 캠코더(20)와 케이블(30)로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신호 및 녹음된 음향신호를 케이블(30)을 통해 캠코더(20)에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캠코더(20)에 구비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통해 외장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고, 캠코더(20)의 스피커를 통해 외장카메라(10)에서 녹음된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외장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 및 녹음된 음향신호를 캠코더(20)에 저장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 케이블(30)에는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는 리모컨(미도시)이 추가될 수도 있어, 사용자는 리모컨을 조작하여 외장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케이블(30)을 통해 연결된 외장카메라(10) 및 캠코더(30)는 그 사용에 있어 공간적인 제한이 있으며, 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캠코더(30)를 외장카메라(10)와 함께 들고다녀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케이블(30)을 정형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으며, 케이블(30)이 다른 물체에 걸려 제품이 파손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외장카메라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캠코더와 외장카메라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촬영장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전달하는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촬영장치는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카메라부, 신호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전원공급부는 상기 무선수신부와 일체형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ON되면, 상기 제2촬영장치의 모드가 상기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모드로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촬영장치는 상기 무선수신부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널선택부는 2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4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채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은 상기 외부촬영장치에서 선택된 채널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외부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드 및 노멀(Nomal)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촬영장치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본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촬영장치의 모드가 상기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촬영장치는 상기 무선수신부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촬영장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선택부는 2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4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제1촬영장치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제2촬영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방법은 상기 제2촬영장치의 수신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촬영장치의 모드가 상기 제1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촬영장치의 채널 및 상기 제2촬영장치의 채널이 일치되도록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촬영장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촬영장치인 외장카메라(100) 및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촬영장치인 캠코더본체(200) 및 모듈부(250)를 나타내었다.
외장카메라(100)는 영상을 촬영하고 음향을 녹음하여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 를 생성한 후, 생성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변조하여 캠코더본체(200)에 장착된 모듈부(250)로 전송한다.
캠코더본체(200)는 촬영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저장하는 기록장치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외장카메라(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모듈부(250)을 통해 수신하여, 캠코더본체(200)에 마련된 LCD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캠코더본체(200)에 마련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모듈부(250)은 캠코더본체(200)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캠코더본체(200)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외장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변조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 복조한 후, 캠코더본체(20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촬영장치인 외장카메라(100)는 제1조작부(110), 송신부(120), 제1전원공급부(130), 신호생성부(140), 점등부(150), 마이크부(160), 광학부(170), 및 제1안테나(190)를 포함한다.
제1조작부(110)는 외장카메라(100)의 전원을 ON 및 OFF하기 위한 전원키(미도시) 및 전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원키는 택 타입(Tack type)의 스위치이며, 택 타입의 스위치는 한번 푸쉬(Push)되면, 동작이 수행되고, 다시 한번 푸쉬되면, 동작이 멈추게 되는 스위치이다. 전원키가 한번 푸쉬되면, 제1전원공급부(130)로부터 송신부(120)를 통해, 신호생성부(140)에 전원이 공급된다. 채널선택 스위치는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의 스위치이며, 다음 표 1과 같이 4개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채널 제1스위치 제2스위치 주파수 및 대역폭
제1채널 0 0 2410MHz±18MHz
제2채널 0 1 2430MHz±18MHz
제3채널 1 0 2450MHz±18MHz
제4채널 1 1 2470MHz±18MHz
슬라이드 타입의 스위치는 상하 혹은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ON 및 OFF되는 스위치이다. 표 1에서, '0'은 제1스위치 혹은 제2스위치가 OFF된 상태를 나타내고, '1'은 제1스위치 혹은 제2스위치가 ON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1전원공급부(130)에는 AC(Alternating Current)어댑터 잭(adaptor jack)이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을 송신부(120)에 공급한다. 또한, 제1전원공급부(130)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송신부(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송신부(120)는 제1조작부(110)를 통해 전원 ON명령이 입력되면, 제1전원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신호생성부(140)에 공급한다. 또한, 신호생성부(140)는 전원이 공급되어 촬영 및 녹음이 진행되는 동안, 점등부(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부(150)가 점등되도록 한다.
그리고, 신호생성부(140)는 송신부(120)로부터 파워(Power) 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광학부(17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복합 영상(Composite Video)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Video) 라인을 통해 송신부(120)로 전달한다. 또한, 신호생성부(140)는 마이크부(160)를 통해 녹음된 음향을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Audio) 라인을 통해 송신부(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광학부(170)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혹은 CCD(Charge-Coupled Device)와 같은 센서에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생성부(140)에 전달한다. 마이크부(160)는 입력된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생성부(1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점등부(150)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며, 신호생성부(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점등된다.
신호생성부(140)와 송신부(120)는 5개의 라인을 통해 접속(connection)되며, 5개의 라인은 송신부(120)에서 신호생성부(140)로 전원이 공급되는 파워(Power)라인, 신호생성부(140)와 송신부(120)의 접지를 연결하는 접지(GND)라인, 신호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송신부(120)로 전송하는 비디오(Video)라인 및 오디오(Audio)라인, 그리고, 송신부(120)와 신호생성부(140) 간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Control)라인으로 구성된다.
송신부(120)는 신호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하여, 제1조작부(110)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즉, 표 1에 나타낸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및 대역폭을 갖도록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제1안테나(190)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촬영장치인 캠코더는 캠코더본체(200) 및 캠코더본체(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부(250)로 구성된다.
먼저, 모듈부(2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모듈부(250)는 제2조작부(251), 수신부(253), 제2전원공급부(255), 연결부(257), 및 제2안테나(259)를 포함한다.
제2조작부(251)는 수신부(25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미도시) 및 전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는 슬라이드 타입이며, 상하 혹은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전원을 ON 및 OFF시킨다. 전원 스위치가 ON되면, 연결부(257)를 통해 캠코더본체(200)로부터 수신부(253)에 전원이 공급된다.
채널선택 스위치는 외장카메라(100)에 구비된 채널선택 스위치와 타입 및 동작방식이 동일하다. 즉, 제2조작부(251)에 구비된 채널선택 스위치는 슬라이드 타입이며, 상하 혹은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ON 및 OFF된다. 제2조작부(251)에는 2개의 채널선택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한 표 1과 같이 4개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표 1에서, '0'은 제1스위치 혹은 제2스위치가 OFF된 상태를 나타내고, '1'은 제1스위치 혹은 제2스위치가 ON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제2조작부(251)의 채널선택 스위치가 제1조작부(110)의 채널선택 스위치와 일치된 상태로 조작되어야, 외장카메라(100)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조작부(100)의 제1스위치가 ON 및 제2스위치가 OFF 상태로 설정되면, 송신부(120)에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의 주파수 및 대역폭을 2450MHz±18MHz로 변조하여 전송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조작부(251) 역시, 제1스위치가 ON 및 제2스위치가 OFF 상태로 설정되어, 수신부(253)에서 2450MHz±18MHz의 주파수 및 대역폭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송신부(120) 및 수신부(253)의 주파수 및 대역폭을 일치시켜 줌으로써, 채널간섭 없이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수신부(253)는 제2안테나(259)를 통해 외장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변조된 신호를 검파하여, 원래의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 복조한다. 여기서, 복조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는 연결부(257)를 통해 캠코더본체(200)로 전달된다. 또한, 수신부(253)는 캠코더본체(2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압레벨이 하이(high)상태인 하이신호를 생성하여, 연결부(257)를 통해 캠코더본체(200)에 하이신호를 전달한다.
연결부(257)는 제2전원공급부(2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하기 위한 회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이며, 캠코더본체(200)에 모듈부(250)가 장착되면, 제2전원공급부(2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킨 후, 캠코더본체(200)에 전달한다.
또한, 연결부(257)는 수신부(253)로부터 전송되는 하이신호를 컨트롤(Control)라인을 통해 캠코더본체(200)에 전달하고, 수신부(253)에서 복조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비디오(Video)라인 및 오디오(Audio)라인을 통해 캠코더본체(200)에 전달한다.
그리고, 연결부(257)는 제2조작부(251)를 통해 전원 ON명령이 입력되면, 캠코더본체(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파워(Power)라인을 통해 수신부(253)에 전달하며, 모듈부(250) 및 캠코더본체(200)의 접지(GND)라인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제2전원공급부(255)로는 충전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Lithium Polymer Battery)와 같은 배터리가 사용되어, 모듈부(250)가 캠코더본체(200)에 장착되면, 캠코더본체(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충전용 배터리인 제2전원공급부(255) 및 수신부(253)를 하나의 모듈부(250)로 구성하고, 수신부(253)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캠코더본체(200)에서 공급함으로써, 모듈부(250)가 캠코더본체(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수신부(25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모듈부(250)가 캠코더본체(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2전원공급부(255)의 전원이 수신부(253)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2전원공급부(255)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캠코더본체(2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캠코더본체(200)는 제3전원공급부(201), 제어부(202), 신호처리부(203), 압축부(204), 저장부(205), 디스플레이부(206), 제3조작부(207), 및 카메라부(208)를 포함한다.
제3전원공급부(201)는 모듈부(250)가 캠코더본체(200)에 장착되면, 연결부(257)를 통해 안정화된 제2전원공급부(255)의 전원을 공급받거나, 캠코더본체(200)에 마련된 AC어댑터 잭(미도시)을 통해 외부로부터 AC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도 4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전원공급부(201)는 공급받은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한 후, 캠코더본체(200)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3전원공급부(201)는 제어부(2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Power)라인을 통해 수신부(253)에 필요한 전원을 연결부(257)에 공급한다. 이때, 연결부(257)에 공급된 전원은 제2조작부(251)를 통해, 전원 ON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부(253)로 전달된다.
카메라부(208)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혹은 CCD(Charge-Coupled Device)와 같은 센서에 촬상시켜,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부(208)는 제어부(202)의 제어에 따라, 줌(zoom) 및 포커싱(focusing) 등이 조정되어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신호처리부(203)는 카메라부(208)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및 캠코더본체(200)에 마련된 마이크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음향신호를 디지털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03)는 연결부(257)를 통해 수신부(253)로부터 복조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전달받은 후, 디지털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로 변환한다.
압축부(204)는 제어부(202)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부(203)로부터 디지털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데이터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및 DV포맷 등으로 압축하고, 음향데이터는 G.726 및 PCM포맷 등으로 압축한다.
저장부(205)에는 압축된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가 저장되며, 착탈식IC메모리카드 및 자기테이프가 저장부(205)로 사용된다. 좀 더 상세히 말하면, JPEG 및 MPEG포맷의 영상데이터 및 G.726포맷의 음향데이터는 착탈식IC메모리카드에 저장된다. 착탈식IC메모리카드는 자기테이프에 비해 저장용량이 작으며, 착탈식IC메모리 카드는 격납되는 메모리의 종류에 따라, RAM카드, 플래시 메모리카드, 및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카드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DV포맷의 영상데이터 및 PCM포맷의 음향데이터는 자기테이프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206)는 제어부(202)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부(203)에서 신호처리된 영상데이터를 LCD와 같은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스피커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20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향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저장부(205)에 저장된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206)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스크커부를 통해 출력되기도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캠코더본체(200)에는 신호처리부(203)에서 신호처리된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가 텔레비젼과 같은 외부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되는 출력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제3조작부(207)는 캠코더본체(2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사용자명령을 입력받는 각종 키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제3조작부(207)의 각종 키를 조작하여, 캠코더본체(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6) 및 스피커를 통해 외장카메라(10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출력하거나, 필요에 따라 저장부(205)에 저장하거나, 혹은 외부장치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3조작부(207)를 통해, 캠코더본체(200)의 전원을 ON 및OFF할 수 있으며, 캠코더본체(200)의 모드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3조작부(207)의 각종 키를 조작하여, 촬영모드로 전환하여, 카메라부(208)를 조정할 수 있다. 혹은, 재생모드로 전환하여, 저장부(205)에 저장된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06)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202)는 제3조작부(20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및 컨트롤(Control)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하이신호 혹은 로우신호에 따라, 캠코더본체(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캠코더본체(200) 및 모듈부(250)의 구성을 통해, 전원공급 및 무선수신모드로의 전환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모듈부(250)가 캠코더본체(200)에 장착되면, 연결부(257)에 의해 안정화된 전원이 제2전원공급부(255)로부터 제3전원공급부(201)에 전달되고, 제3전원공급부(201)는 파워(Power)라인을 통해 연결부(257)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제2조작부(251)의 전원 스위치가 ON되면, 연결부(257)는 파워(Power)라인을 통해 수신부(253)에 전원을 전달한다.
여기서, 제2전원공급부(255)인 충전용 배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 제3전원공급부(202)는 AC어댑터 잭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연결부(257)에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수신부(253)에 전원이 공급되면, 수신부(253)에서 컨트롤(Control)라인을 통해, 전압레벨이 하이상태인 하이신호를 제어부(202)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202)는 캠코더본체(200)가 현재 외장카메라(10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무선수신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06)를 통해 "External Input" 혹은 "외부입력모드"와 같이, 현재 캠코더(200,250)가 무선수신모드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무선수신모드상태에서 외장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LCD를 블루 스크린(Blue Screen)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반면에, 제2조작부(251)의 전원 스위치가 OFF되면, 연결부(257)는 파워(Power)라인을 통해 수신부(253)에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수신부(25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수신부(253)에서 컨트롤(Control)라인을 통해, 전압레벨이 로우상태인 로우신호를 제어부(202)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202)는 캠코더본체(200)가 촬영모드 혹은 재생모드와 같이 무선수신모드외의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장카메라(100)의 데이터 송신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조작부(110)의 조작을 통해 전원이 ON되면(S300), 송신부(120)에서 신호생성부(140)로 전원이 공급된다(S320). 즉, 송신부(120)는 제1조작부(100)를 통해 전원 ON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제1전원공급부(13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신호생성부(140)에 전달한다.
신호생성부(140)는 광학부(17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신호 및 마이크부(160)를 통해 녹음된 음향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를 생성한다(S340).
신호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는 송신부(120)에서 변조되어 송신된다(S360). 즉, 제1조작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채널선택명령에 따라,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및 대역폭으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가 송신부(120)에서 변조된 후, 제1안테나(190)를 통해 송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캠코더(200,250)의 데이터 수신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2조작부(251)의 조작을 통해 전원 ON되면(S400), 캠코더본체(200)에서 수신부(253)로 전원이 공급된다(S410). 즉, 전원 ON명령이 연결부(257)에 수신되면, 연결부(257)에서 제3전원공급부(202)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파워(Power)라인을 통해 수신부(253)에 전달한다. 수신부(253)에 전원이 공급되면, 수신부(253)로부터 전압레벨이 하이상태인 하이신호가 캠코더본체(200)에 전달된다(S420). 그리고, 캠코더(200,250)의 모드가 외장카메라(10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무선수신모드로 전환된다(S430).
이때,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가 수신부(253)를 통해 수신되면(S440), 수신부(253)에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복조하여 캠코더본체(200)에 전달한다(S450). 그러면, 제어부(202)는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디지털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신호처리부(203)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206)를 통해 출력하거나, 압축하여 저장부(20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460).
단계 S440에서, 제어부(202)는 외장카메라(10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가 신호처리부(203)에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206)를 통해 블루스크린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470).
그리고, 단계 S400에서, 전원이 ON되지 않으면, 수신부(253)로부터 전압레벨이 로우상태인 로우신호가 캠코더본체(200)에 전달된다(S480). 즉, 수신부(253)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수신부(253)에서 로우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캠코더(200,250)의 모드가 무선수신모드외의 촬영모드나 재생모드로 전환된다(S49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외장카메라(10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가 모듈부(250)로 무선 전송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출력하거나 캠코더본체(200)에 저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캠코더와 외장카메라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용 범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촬영 환경을 제공하며,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장카메라와 캠코더 간의 채널을 일치시켜줌으로써, 채널 간섭없이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어,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 및 음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듈부가 캠코더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전원이 수신부에 공급되지 않아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6)

  1.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전달하는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카메라부, 신호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공급부는 상기 무선수신부와 일체형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가 ON되면, 상기 촬영장치의 모드가 상기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모드로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택부는,
    2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4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은 상기 외부촬영장치에서 선택된 채널 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8. 외부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드 및 노멀(Nomal)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촬영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본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무선수신부; 및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촬영장치의 모드가 상기 외부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2.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택부는,
    2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4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4. 제1촬영장치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제2촬영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촬영장치의 수신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촬영장치의 모드가 상기 제1촬영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촬영장치의 채널 및 상기 제2촬영장치의 채널이 일치되도록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방법.
KR1020060062031A 2006-07-03 2006-07-03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KR10086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031A KR100864711B1 (ko) 2006-07-03 2006-07-03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US11/652,478 US20080002050A1 (en) 2006-07-03 2007-01-12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data between photographing apparatuses
EP07101062A EP1881501A1 (en) 2006-07-03 2007-01-24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o and/or receiving data from other photographing apparatuses
CN2007100846903A CN101102404B (zh) 2006-07-03 2007-03-01 摄像设备和在所述摄像设备之间无线发送和/或接收数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031A KR100864711B1 (ko) 2006-07-03 2006-07-03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95A true KR20080003595A (ko) 2008-01-08
KR100864711B1 KR100864711B1 (ko) 2008-10-23

Family

ID=3775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031A KR100864711B1 (ko) 2006-07-03 2006-07-03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02050A1 (ko)
EP (1) EP1881501A1 (ko)
KR (1) KR100864711B1 (ko)
CN (1) CN101102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007A (ko) * 2006-11-06 200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카메라들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
JP2009200752A (ja) * 2008-02-20 2009-09-03 Panasonic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AU2012307087B2 (en) * 2011-09-08 2016-06-23 Tetsuwan Pty Ltd Electronic device
GB2528060B (en) 2014-07-08 2016-08-03 Ibm Peer to peer audio video device communication
GB2528059A (en) 2014-07-08 2016-01-13 Ibm Peer to peer camera lighting communication
GB2528058A (en) 2014-07-08 2016-01-13 Ibm Peer to peer camera communication
US9832379B1 (en) * 2015-03-05 2017-11-28 Amazon Technologies, Inc. Discontinuous transmission of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0467A (nl) * 1983-02-08 1984-09-03 Philips Nv Draagbaar electronisch beeld-opname systeem.
JPH03106272A (ja) * 1989-09-20 1991-05-0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7264452A (ja) * 1994-02-03 1995-10-13 Samsung Electron Co Ltd カメラ一体型の磁気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665204B2 (ja) * 1995-06-20 1997-10-22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970060869A (ko) * 1996-01-10 1997-08-12 김광호 카메라부와 vcr부의 분리형 캠코더
US6891567B2 (en) * 1998-06-26 2005-05-10 Fotonation Holdings, Llc Camera messaging and advertisement system
CN1177891A (zh) * 1996-08-01 1998-04-01 日本电气株式会社 具有电池节省功能的无线寻呼接收机
JP2003018459A (ja) * 2001-06-29 2003-01-17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及びそのシステム
JP4593834B2 (ja) * 2001-07-02 2010-12-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システム
JP4095383B2 (ja) * 2002-09-04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CN2586313Y (zh) * 2002-12-30 2003-11-12 上海科星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可进入低功耗状态的无线摄像头
US8189059B2 (en) * 2003-01-29 2012-05-29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system
JP4324727B2 (ja) * 2003-06-20 2009-09-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モードの設定情報転送システム
TW578029B (en) * 2003-10-22 2004-03-01 Primax Electronics Ltd External strobe device
US7630014B2 (en) * 2004-04-30 2009-12-08 Brett James Pardikes Ligh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camera's tripod mount and method of use
US7508418B2 (en) * 2004-09-24 2009-03-24 Smartvue Corporatio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with DVR-based querying
JP4776975B2 (ja) * 2005-05-11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7012041A2 (en) * 2005-07-20 2007-01-25 Lab Partners Associates, Inc. Wireless photograph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2404B (zh) 2011-05-25
KR100864711B1 (ko) 2008-10-23
CN101102404A (zh) 2008-01-09
US20080002050A1 (en) 2008-01-03
EP1881501A1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2948B2 (en) Imaging communication system
US7538818B2 (en) Digital camera use in connection with a mobile electronic device
JP3987788B2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100864711B1 (ko)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US7636518B2 (en) Digital camera
US6480671B2 (en) Video camer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ommunicate vi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US20060285129A1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input/output system,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80211944A1 (en) Imaging device, imag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or imaging device
KR20080041007A (ko) 외장카메라들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
JP2016163270A (ja) 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2025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23684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4180077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20170008470A (ko)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단말기 용도변환 시스템
JP403277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の収納装置
JP2007110194A (ja) Cctvカメラおよびビデオレコーダ並びにcctvカメラシステム
KR101653587B1 (ko) 영상촬영용 방송기기에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방송중계시스템
CN118042265A (zh) 拍摄设备及拍摄系统
KR101214162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용 크래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200217489Y1 (ko) 모발 진단용 카메라 장치
KR101022464B1 (ko)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크래들
KR20020092538A (ko) 네트웍이 가능한 에이브이시스템
JP2003060952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ータ転送方法
JP2005191622A (ja) Avモニ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