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392A -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392A
KR20080000392A KR1020060058177A KR20060058177A KR20080000392A KR 20080000392 A KR20080000392 A KR 20080000392A KR 1020060058177 A KR1020060058177 A KR 1020060058177A KR 20060058177 A KR20060058177 A KR 20060058177A KR 20080000392 A KR20080000392 A KR 2008000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heel
power transmission
driv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321B1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06005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321B1/ko
Priority to US12/306,053 priority patent/US8393420B2/en
Priority to PCT/KR2007/003078 priority patent/WO2008002050A1/en
Publication of KR2008000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adapt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5Tracked vehicle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steep slopes or vertical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수단이 바퀴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중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면 스텝구동방식으로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그 구동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동력발생장치에 연결된 주축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장치; 그 동력전달장치에 각각 치합되며, 동력전달장치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휠이 고정되는 복수의 종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및 각각의 종동장치가 작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장애물 출현에 의한 종동장치의 정지시 회전 구동되어 장애물을 넘어가는 캐리어로 구성된다.
구동장치, 동력전달장치, 유성기어, 링기어, 캐리어

Description

구동장치{DRIV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적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절반부 또는 일측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구동장치의 구성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구동장치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외측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동력전달장치 20: 종동장치
30: 캐리어 M: 동력발생장치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수단에 적용될 수 있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이 휠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중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는 경우 간단하게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승용차 또는 상용차와 같은 형태의 차량, 장애자 또는 환자가 이동을 위해 탑승하는 휠체어, 화물 또는 짐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 장갑차 또는 특장차와 같은 특수차량 등 다양한 이동수 단이 널리 개발되어 있어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특수한 목적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들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차체(1)를 포함한다. 이 차체(1)의 소정의 위치에는 물론 엔진(2)이 탑재되어 있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차체(1)에는 엔진(2)에 연계되어 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휠(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을 작동시키면, 구동장치에 연결된 휠이 회전됨으로써 해당차량 또는 이동수단이 구동 또는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수단들은 대부분 휠이 액슬축 또는 구동축에 대해 회전구동만을 행함으로써 평지 또는 한정된 높이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무난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중 모래밭, 진흙밭 또는 높은 장애물을 만나거나, 특히 계단에 이르게 되면 휠이 헛돌거나 또는 그 장애물들을 통과하지 못해 구동이 불가능하거나 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수단의 구동 중 비교적 높은 장애물 또는 계단을 만나게 되는 경우 간단하게 장애물을 넘어 통과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에 일정크기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 캐리어가 회전 구동될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장애물을 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설치되는 동력발생장치에 연결된 주축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장치; 그 동력전달장치에 각각 치합되며, 동력전달장치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휠이 고정되는 복수의 종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및 각각의 종동장치가 작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장애물 출현에 의한 종동장치의 정지시 회전 구동되어 장애물을 넘어가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일측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한편,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절반부만을 상세하게 도시 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에 표시된 방향성 용어들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을 정면에서 투시할 때 설정된 용어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와 같은 방향성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승용차, 상용차, 운반수단, 휠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차체를 포함할 수 있는 차체(V)에 설치되며, 그 차체(V)에 설치되는 연소엔진 또는 전기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M)에 구비된 액슬축과 같은 주축(S)에 연결되어 회전력과 같은 동력을 제공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체의 이동을 위한 휠들 중 제1휠(W1)에 관련된 구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인 바, 제1휠을 제외한 다른 휠 즉, 제2휠(W2), 제3휠(W3) 및/또는 제4휠(W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주축(S)에는 그것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1동력전달장치(10)를 포함한다. 제 1동력전달장치(10)는 유성기어(sun and planet gea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력전달장치(10)는 기본적으로 주축(S)에 고정되는 선기어(12)와, 그 선기어(12)둘레에 치차 결합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14)와, 그 유성기어(14)둘레에 치차 결합되며 유성기어(14)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링기어(16)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유성기어(14)는 선기어(12)의 회전에 따라 자전하거나 또는 부하에 따라 공전하도록 설치된다. 링기어(16)는 내면 및 외면 모두에 치가 형성되며, 그 링기어(16)에는 그 링기어를 주변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원활한 구동을 위 해 커버(16a)를 구비하며, 그 커버(16a)는 로드(16b)에 의해 링기어(16)의 몸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동력전달장치(10)에는 종동장치(20)가 설치된다. 그 종동장치(20)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 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동장치(20)는 동력전달장치(10)의 링기어(16)의 외부치에 치합되는 리드기어(22)와, 그 리드기어(22)에 치합되는 연결기어(24)와, 그 연결기어(24)에 치합되며 실제적으로 휠(W1)의 축이 고정되어 그 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26)로 구성된다.
전술된 동력전달장치(10)와 종동장치(20)의 대부분은 캐리어(30)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캐리어(30)에는 동력전달장치(10)의 선기어(12) 및 각각의 유성기어(14)와, 종동장치(20)의 리드기어(22), 연결기어(24) 및 구동기어(26)는 샤프트(S) 및 베어링(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리어(30)는 휠의 개수 및 각각의 기어들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캐리어(30)는 휠 박스(wheel box)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제로 휠 박스 기능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휠(W1)에 적용되는 동력전달장치(10) 및 종동장치(20)는 제2휠(W2), 제3휠 및/또는 제4휠(W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2휠(W2)에 적용되는 동력전달장치 및 종동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에는 그 도면부호에“ ’”를 부가하고, 제3휠(W3)에 적용되는 동력전달장치 및 종동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에는 그 도면부호에“ ” ”를 부가하여 각각 구분되도록 표시하였다. 물론,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동일 구성요소들은 동일 기능을 수행함은 당연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휠이 구비될 수 있는 구동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4개의 휠이 구비된 운송수단에도 동일한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휠을 구비하는 경우 제4휠(W4) 또한 전술된 각각의 휠(W1;W2;W3)에 적용되는 구동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를 도 4와 도 2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평지 또는 낮은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 예컨대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M)가 작동하면 주축(S)에 장착된 동력전달장치(10)의 선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선기어(12)에 치합된 각각의 유성기어(14;14’;14”)는 시계방향으로 자전하게 되며, 동시에 링기어(16)도 동일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기어(16)가 회전하게 되면, 그 링기어(16)에 치합된 종동장치(20;20’;20”)의 각각의 리드기어(22;22’;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연결기어(24;24’;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구동기어(26;26’;2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동장치(20;20”)의 구동기어(26;26”)에 연결된 제1휠(W1) 및 제3휠(W3)은 지면에서 화살표(A1)방향으로 전진하여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조건은 캐리어(30)의 공전의 부하량이 유성기어의 자전력 보다 크므로 유성기어가 충분히 자전할 수 있는 범위로 한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차량의 이동 중에 높이가 높은 장애물에 걸리거나 계단을 만나 휠(W1)이 걸려 정지하게 되면 제1휠(W1)이 지지점이 되어 제2휠(W2)이 제1휠(W1)을 타고 넘어 가는 방식으로 장애물을 넘어가거나, 이 같은 작동을 연속 반복적으로 행하면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휠(W1)이 장애물 또는 계단에 걸리게 되면, 종동장치(20)의 구동기어(26)가 정지하게 되며, 그 구동기어(26)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연결기어(24) 및 리드기어(22)가 동시에 정지하게 되며, 이때 링기어(16) 또한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기어(16)가 정지함에도 불구하고 동력발생장치(M)는 계속 작동되어 구동축(S)을 통해 동력전달장치(1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선기어(12)는 계속회전하게 된다. 이때 링기어(16)에 걸리는 부하력이 유성기어(14;14’;14”)가 자전하려는 힘보다 크게 됨에 따라 각각의 유성기어(14;14’;14”)는 공전하게 된다. 각각의 유성기어(14;14’;14”)가 공전하면, 그 유성기어들에 연결된 캐리어(30) 자체가 구동기어(26)의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캐리어(30)의 회전이 계속되면, 제2휠( W2)이 제1휠(W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3휠(W3)은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초기의 정상구동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단순한 장애물은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캐리어의 회전이 1회 또는 2회 실행되어 해당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반면, 계단의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캐리어의 회전운동이 연속 반복적으로 실행됨으로서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동력발생장치를 역작동시키거나 또는 차동장치를 이용하여 주축을 역회전시키면 상술된 바와 같은 작동이 역전되어 차량이 후진됨은 물론 후방으로의 스텝작동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해당구동장치를 전륜의 구동축에 연계하여 설치하면 휠이 조향륜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후륜의 구동축에 연계하여 설치하면 연료의 절약 및 주행의 신속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전,후륜 구동축 모두에 구동장치를 연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이동중 장애물에 이르면 하나의 휠에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지지축으로 하여 캐리어가 회전되어 후속되는 휠이 전방의 휠을 넘어가게 됨으로써 장애물을 통과하게 되며, 계단에 이르면 연속적인 캐리어의 회전 구동으로 인해 계단을 오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6)

  1. 장애물을 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는 차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동력발생장치에 연결된 주축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에 각각 치합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휠이 고정되는 복수의 종동장치;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및 각각의 종동장치가 작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장애물 출현에 의한 종동장치의 정지시 회전 구동되어 장애물을 넘어가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주축에 고정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 둘레에 치차 결합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및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에 치합되는 링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주변으로부터의 차폐 및 원활한 구동을 위해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로드에 의해 상기 링기어의 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장치는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링기어에 치합되는 리드기어;
    상기 리드기어에 치합되는 연결기어; 및
    상기 연결기어에 치합되고, 휠의 축이 고정되며 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종동장치를 외부로부터 차폐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선기어 및 각각의 유성기어와, 상기 종동장치의 리드기어, 연결기어 및 구동기어가 샤프트 및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휠 박스(wheel bo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KR1020060058177A 2006-06-27 2006-06-27 구동장치 KR10103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77A KR101031321B1 (ko) 2006-06-27 2006-06-27 구동장치
US12/306,053 US8393420B2 (en) 2006-06-27 2007-06-26 Driving system for stair-climbing vehicle
PCT/KR2007/003078 WO2008002050A1 (en) 2006-06-27 2007-06-26 Driv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77A KR101031321B1 (ko) 2006-06-27 2006-06-27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92A true KR20080000392A (ko) 2008-01-02
KR101031321B1 KR101031321B1 (ko) 2011-04-29

Family

ID=3884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77A KR101031321B1 (ko) 2006-06-27 2006-06-27 구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93420B2 (ko)
KR (1) KR101031321B1 (ko)
WO (1) WO200800205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44B1 (ko) * 2012-12-27 2014-04-08 근로복지공단 전동휠체어
KR101409202B1 (ko) * 2014-01-06 2014-07-02 배동권 휠체어
WO2015122704A1 (ko) * 2014-02-12 2015-08-20 배동권 삼각휠 구동 장치
CN105197119A (zh) * 2015-10-23 2015-12-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行星轮的星形越障轮
CN108210189A (zh) * 2018-03-01 2018-06-29 贾银霞 一种可电动助力行走与爬楼驱动装置
KR20190004868A (ko) * 2017-07-04 201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장치
CN110525534A (zh) * 2019-09-27 2019-12-03 吉林大学 一种应用复杂地形的小型车辆底盘结构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5378A2 (en) * 2008-04-09 2009-10-15 Trionic Sverige Ab Suspension with means supporting a vehicle frame
JP5604993B2 (ja) * 2010-06-02 2014-10-15 日本精工株式会社 移動装置
CN102795253B (zh) * 2012-09-08 2015-04-01 华东交通大学 二自由度越障爬楼梯行星轮
US9726268B1 (en) * 2012-12-07 2017-08-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ulti-spoked wheel assembly
US9452097B2 (en) * 2014-03-31 2016-09-27 Clive Lu Electric mobility vehicle
JP6509152B2 (ja) * 2016-03-14 2019-05-08 株式会社イクシス 走行装置
CN105905178B (zh) * 2016-05-06 2017-05-03 吉林大学 一种多功能越障机器人
CN106143567A (zh) * 2016-07-20 2016-11-23 武汉理工大学 一种行星轮式爬楼装置
GB2555812B (en) * 2016-11-10 2019-09-11 Ford Global Tech L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rst/final mile transportation
GB2555810B (en) * 2016-11-10 2019-06-19 Ford Global Tech L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rst/final mile transportation
CN109050597B (zh) * 2018-09-03 2019-11-26 宿州市鑫尧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运输快递使用的转运小车
RU2692956C1 (ru) * 2018-11-07 2019-06-28 Валерий Иванович Паутов Ведущее колесо малогабарит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9397982B (zh) * 2018-12-08 2023-09-22 新乡北方车辆仪表有限公司 一种基于组合齿轮系的多功能翻转轮
US11712964B1 (en) * 2019-10-30 2023-08-01 Oshkos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uspensions
US11518424B2 (en) * 2020-01-24 2022-12-06 Gary M. Kemp Stair-climbing wheeled carrier
JP7339229B2 (ja) * 2020-11-16 2023-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CN113276976B (zh) * 2021-06-16 2022-04-08 华中科技大学 一种行星轮式越障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3363A (en) * 1948-11-20 1953-03-31 Walker D Mcmahan Abutment ascending hand truck
US2706640A (en) * 1951-01-12 1955-04-19 Walker D Mcmahan Stair climbing hand truck
US3241848A (en) * 1963-12-27 1966-03-22 John F Flory Stair-climbing vehicle
US3283839A (en) * 1965-03-02 1966-11-08 Ronald K Brown Stair-climbing wheel chair
US3346268A (en) * 1965-08-27 1967-10-10 Robert W Richman Vehicle with climbing wheels
CA820683A (en) * 1965-10-13 1969-08-19 P. Forsyth John Vehicle
US3450219A (en) * 1967-03-13 1969-06-17 John F Fleming Stair-climbing vehicle
US3638745A (en) * 1970-01-27 1972-02-01 Johnnie E Floyd Hydraulic powered stair negotiating wheel chair or uneven terrain negotiating vehicle
JPS5925712B2 (ja) * 1980-12-26 1984-06-20 政晴 高野 走行体
FR2576863A1 (fr) * 1985-01-31 1986-08-08 Brunet Pierre Dispositif de deplacement motorise, par exemple pour monter et descendre des escaliers
CA1275296C (en) * 1987-05-04 1990-10-16 Pierre Decelles Climbing and descending vehicle
JPH0692272A (ja) * 1992-09-11 1994-04-05 Masaharu Takano 走行車
US5971091A (en) * 1993-02-24 1999-10-2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Transportation vehicles and methods
US6443250B1 (en) * 1993-02-24 2002-09-0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Control of a balancing personal vehicle
US6915878B2 (en) * 1994-05-27 2005-07-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elf-balancing ladder and camera dolly
US6799649B2 (en) * 1999-03-15 2004-10-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Control of a balancing personal vehicle
US6405816B1 (en) * 1999-06-03 2002-06-1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chanical improvements to a personal vehicle
KR100320125B1 (ko) 1999-11-30 2002-01-10 김기수 구동장치
KR100320124B1 (ko) * 1999-11-30 2002-01-10 김기수 구동장치
US6484829B1 (en) * 2000-07-03 2002-11-26 Kenneth Ray Cox Battery powered stair-climbing wheelchair
KR100425508B1 (ko) * 2001-05-24 2004-04-27 김기수 휠체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44B1 (ko) * 2012-12-27 2014-04-08 근로복지공단 전동휠체어
KR101409202B1 (ko) * 2014-01-06 2014-07-02 배동권 휠체어
WO2015102460A1 (ko) * 2014-01-06 2015-07-09 배동권 휠체어
WO2015122704A1 (ko) * 2014-02-12 2015-08-20 배동권 삼각휠 구동 장치
CN105197119A (zh) * 2015-10-23 2015-12-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行星轮的星形越障轮
KR20190004868A (ko) * 2017-07-04 201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구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장치
CN108210189A (zh) * 2018-03-01 2018-06-29 贾银霞 一种可电动助力行走与爬楼驱动装置
CN110525534A (zh) * 2019-09-27 2019-12-03 吉林大学 一种应用复杂地形的小型车辆底盘结构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321B1 (ko) 2011-04-29
US8393420B2 (en) 2013-03-12
WO2008002050A1 (en) 2008-01-03
US20090205881A1 (en)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21B1 (ko) 구동장치
US20160114677A1 (en) Motor-gear unit as well as wheel-hub drive having such a motor-gear unit
JP6213790B2 (ja) 入力合成ギヤシステム
US8029399B2 (en) Compound planet steer differential
KR10071730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US20070123383A1 (en) Differential torque generator
JP2000502636A (ja) ベベル操舵ギヤ一体の駆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
US9353847B2 (en) Torque vectoring device
JP2009143348A (ja)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装置
KR101637819B1 (ko) 자동차용 afs 시스템
KR20110017249A (ko) 구동장치
CN109414989A (zh) 差速器
JPH06300096A (ja) 差動装置のトルク分配機構
KR100320124B1 (ko) 구동장치
CN111267954A (zh) 双轮驱动行走转向机构以及应用其机构的水下清洁机器人
KR100320125B1 (ko) 구동장치
KR20180000920U (ko) 구동장치
JPH06300095A (ja) 差動装置のトルク分配機構
KR20180016126A (ko) 구동장치
EP3990803A1 (en) Drive unit for electric vehicle
JP4138374B2 (ja) 車輪の駆動装置及びゴルフカー
KR20140145347A (ko) 유성 기어 장치
CN112440618B (zh) 驱动桥总成及车辆
JP2593583Y2 (ja) 車両の操向装置
JPH06297977A (ja) 差動装置のトルク分配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