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126A -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126A
KR20180016126A KR1020160100132A KR20160100132A KR20180016126A KR 20180016126 A KR20180016126 A KR 20180016126A KR 1020160100132 A KR1020160100132 A KR 1020160100132A KR 20160100132 A KR20160100132 A KR 20160100132A KR 20180016126 A KR20180016126 A KR 2018001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carrier
shaft
gear
rotat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16010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6126A/ko
Publication of KR2018001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3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ccentrically mounted wheels
    • A61G5/06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ccentrically mounted wheels with three or more wheels mounted on a rotary cross member, e.g. spiders or spoked wheels with small wheels at the end of th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9/0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51Handling of obstacles or difficult terrain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는 경우 간단하게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으며 간단하게 구성되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그 구동장치는, 차체(V)에 설치되는 모터(12)와, 상기 모터(1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모터(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14)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10); 상기 동력발생장치(10)의 샤프트(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성부품의 수납을 위한 설치공간을 구비한 캐리어(20); 상기 동력발생장치(10)의 샤프트(12)에 일체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선기어(30); 상기 선기어(30)의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기어결합되는 복수의 유성기어(42;44;46)를 포함에는 유성기어세트(40); 상기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기어결합되며,상기 캐리어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0); 상기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캐리어(60); 및 상기 유성기어캐리어(60)에 일전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기어(72;74;76)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72;74;76)에는 축(73;75;77)에 의해 해당하는 휠(82;84;86)이 설치되는 구동기어세트(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구동장치{Driving System}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휠이 구동하는 중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저지되는 경우 간단하게 장애물을 넘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으며 역회전 전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승용차 또는 상용차 등과 같은 형태의 차량, 장애인 또는 환자가 이동을 위해 탑승하는 휠체어, 화물 또는 짐 등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 장갑차 또는 특장차 등과 같은 특수차량 등 다양한 이동수단이 널리 개발되어 있어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특수한 목적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수단들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차체(1)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1)의 소정의 위치에는 물론 엔진(2)이 탑재되어 있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차체(1)에는 엔진(2)에 연계된 샤프트(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휠(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2)을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된 휠(3)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차량 또는 이동수단이 구동 또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수단들은 대부분 휠이 액슬축 또는 구동축에 대해 회전 구동만을 행함으로써, 평지 또는 한정된 높이의 장애물 등은 무난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 중 모래밭, 진흙밭 또는 높은 장애물을 만나거나, 특히 계단에 이르게 되면 휠이 헛돌거나 또는 그 장애물들을 통과하지 못해 구동이 불가능하거나 이동할 수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0320124호, 제10-0320125호 및 제0-1031321호와 특허공개 제10-2011-0017249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들 종래기술 또한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출원인의 종래의 특허들은 다수의 기어 및 캐리어를 구비함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곤란하며, 이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고장이 쉽게 발생하고 유지 보수가 곤란할 뿐 아니라 복잡한 구성에 비해 최상의 구동력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 내지 구성요소의 개수를 최소로 하고, 제조 및 생산이 용이하며, 고장이 방지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최상의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가 계단을 오르거나 장애물을 넘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성부품의 수납을 위한 설치공간을 구비한 캐리어;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샤프트에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기어결합되는 복수의 유성기어를 포함에는 유성기어세트;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각각의 유성기어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기어결합되며,상기 캐리어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각각의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캐리어; 및 상기 유성기어캐리어에 일전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에는 축에 의해 해당하는 휠이 설치되는 구동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모터는 상기 차체(V)의 전진방향의 반대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회전모터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제1유성기어, 제2유성기어 및 제3유성기어는 상호 120°의 각을 이루며,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의 중앙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링기어는 120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축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성기어캐리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베어링이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각각의 유성기어의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세트의 제1구동기어, 제2구동기어 및 제3구동기어는 120ㅀ의 간격을 이루며, 각각의 구동기어는 해당하는 회전축에 의해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의하면, 최적 내지 초소의 부품수로 인해 제작 및 생산이 용이하고, 고장이 최소화되며,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동력의 손실이 방지되어 최상의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동장치가 장착된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도 2의 구동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Ⅳ" 방향에서 투시한 도면으로서 캐리어가 생략되고 구동기어가 생략된 부분측면도.
도 5는 도 3의 화살표"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캐리어가 생략되고 휠이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가 장애물을 넘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동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화살표"Ⅳ" 방향에서 투시한 도면으로서 캐리어가 생략되고 구동기어가 생략된 부분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화살표"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캐리어가 생략되고 휠이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가 장애물을 넘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 중 일측의 구성요소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타측에는 동일한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또한 2개의 휠(82;86)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3개의 휠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도면의 명확성을 위한 것으로서,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전체적인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기본적으로 승용차, 상용차, 운반수단 및 휠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차체를 포함하는 차체(V)에 설치되는 엔진 또는 모터(12)와, 그 모터(1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그 모터(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14)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발생장치(10)의 모터(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탑재시 차체(V)가 정상구동 상태 즉 차체(V)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할 때 모터(12)의 별도의 조작 없이 전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역회전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발생장치(10)의 샤프트(14)의 일측 또는 제위치에는 캐리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캐리어(20)는 박스형 또는 하우징형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발생장치(10)의 샤프트(12)에는 선기어(30)가 고정 설치된다.
그 선기어(30)는 상기 캐리어(20)의 내부에서 상기 샤프트(14)와 함께 회전하여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기어(30)에는 유성기어세트(40)가 기어결합되어 설치된다. 물론 그 유성기어세트(40)는 캐리어(20)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그 유성기어세트(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기어(30)의 주변에 소정의 각도로 기어결합되는 제1유성기어(42), 제2유성기어(44) 및 제3유성기어(46)를 포함한다. 각각의 유성기어(42;44;46)는 상호 120ㅀ의 각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유성기어(42;44;46)의 중앙에는 베어링(43:45:4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유성기어세트(40)의 설치에 따라, 각각의 유성기어(42;44;46)는, 선기어(30)가 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면 그 선기어(3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유성기어세트(40)의 외측에는 링기어(50)가 그 유성기어세트(40)를 포위하면서 기어결합되어 있다.
그 링기어(50)는 예컨대 120ㅀ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축(52;54;56)에 의해 캐리어(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링기어(50)의 내측에 형성된 기어가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에 나사결합됨으로서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링기어(50)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동력발생장치(10)의 샤프트(14)의 제위치에는 유성기어캐리어(60)가 축베어링(6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유성기어캐리어(6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유성기어캐리어(60)는 소정의 위치에서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의 베어링(43;45;47)에 고정축(62;64;66)에 의해 연결고정된다. 물론 그 유성기어캐리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측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성기어캐리어(60)가 고정축(62;64;66)에 의해 각각의 유성기어(42;44;46)에 베어링(43;45;47)에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링기어(50)를 따라 회전구동되면 샤프트(14)를 회전축으로 하여 유성기어세트(4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유성기어캐리어(60)의 외측에는 휠세트(80)를 실제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어세트(70)가 기어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에 적용되는 구동기어세트(70)는 유성기어캐리어(60)의 주변에 120˚의 각도로 설치되는 제1구동기어(72), 제2구동기어(74) 및 제3구동기어(7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구동기어(72;74;76)는 회전축(73;75;77)에 의해 캐리어(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기어세트(70)에는 휠세트(80)가 연결되는 바, 제1구동기어(72)의 회전축(73)의 일단에는 제1휠(82)이 설치되고, 제2구동기어(74)의 회전축(75)의 일단에는 제2휠(84)이 설치되며, 제3구동기어(76)의 회전축의 일단에는 제3휠(86)이 설치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유성기어캐리어(60)가 선기어세트(50)에 의해 회전되면, 유성기어캐리어(60)의 외측에 기어결합된 각각의 구동기어(72;74;76)가 회전구동됨으로써 그 구동기어(72;74;76)에 연결된 각각의 휠(82;84;86)이 회전됨으로서 차체(V)가 전, 후진되거나 장애물을 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장치의 구동모드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체(V)에 탑승한 운전자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동력발생장치(10)의 모터(12)를 작동시키면 샤프트(14)가 회전됨과 동시에 그 샤프트(14)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선기어(30)가 캐리어(20)의 중앙부를 축으로 하여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된다.
선기어(30)가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선기어(30)의 주변에 소정의 각도로 기어결합되는 유성기어세트(40)의 제1유성기어(42), 제2유성기어(44) 및 제3유성기어(46)가 각각의 베어링(43:45:47)을 축으로 하여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각각의 유성기어(42;44;46)는, 선기어(30)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내접되는 링기어(50)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자전 및 공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기어(5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면, 각각의 유성기어(42;44;46)에 고정축(62;64;6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유성기어캐리어(60)가 화살표(C)방향으로 축(61) 또는 샤프트(14)를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유성기어캐리어(60)가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세트(70)의 제1구동기어(72), 제2구동기어(74) 및 제3구동기어(76)가 회전축(73;75;77)과 동시에 캐리어(20)를 축으로 하여 각각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구동기어(72;74;76) 및 회전축(73;75;77)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축(73;75;77)에 고정된 각각의 휠(82;84;86)이 회전함으로써 차체(V)가 전진방향(F)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은 차체(V)가 평지를 이동하는 정상상태의 경우로서 제1휠(82)과 제3휠(86)이 지면에 접촉되어 구동되는 것이며, 제2휠(84)은 공회전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V)의 전진 이동중 계단 또는 장애물에 의해 제1휠(82)이 회전 구동되어 전진하지 못하면, 그 제1휠(82)에 연결된 제1구동기어(72)가 순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와 같이 제1구동기어가(72)가 정지되더라도 동력발생장치(100의 모터(12)는 계속적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그 모터(12)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선기어(30), 유성기어세트(40), 유성기어캐리어(60)에는 계속적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하려한다.
이에 따라, 제1구동기어(72)가 정지된 상태에서 유성기어캐리어(60)에 계속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면 제1구동기어(72)를 축으로하여 유성기어캐리어(60)가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구동기어(72)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유성기어캐리어(60)가 제1구동기어(72)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그 유성기어캐리어(60)에 연결된 유성기어세트(50) 및 링기어(40)뿐 아니라 이들이 고정된 캐리어(20)도 동시에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캐리어(20)가 제1구동기어(72)를 축으로 하여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캐리어(20)의 제위치에 설치된 제2구동기어(74)가 제1구동기어(72)의 전방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제2휠(84)이 전방으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계단이 존재하거나 장애물이 존재하게 되면, 전술된 구동상태가 계속적으로 반복 진행되어 계단을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휠(84)이 회전되면서 전진하지 못하여 그 제2휠(84)에 연결된 제2구동기어(74)가 순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정지되면, 모터(12)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선기어(30), 유성기어세트(40), 유성기어캐리어(60)에는 계속적으로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2구동기어(74)를 축으로 하여 유성기어캐리어(60)가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구동기어(74)를 타고 넘어가게되고, 또한 유성기어캐리어(60)에 연결된 유성기어세트(50) 및 링기어(40)뿐 아니라 이들이 고정된 캐리어(20)도 동시에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캐리어(20)의 제위치에 설치된 제3구동기어(76)가 제2구동기어(74)의 전방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제3휠(86)이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제3휠(86)이 회전되면서 전진하지 못하여 그 제3휠(86)에 연결된 제3구동기어(76)가 순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정지되면, 모터(12)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선기어(30), 유성기어세트(40), 유성기어캐리어(60)에는 계속적으로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3구동기어(76)를 축으로 하여 유성기어캐리어(60)가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구동기어(76)를 타고 넘어가게되고, 또한 유성기어캐리어(60)에 연결된 유성기어세트(50) 및 링기어(40)뿐 아니라 이들이 고정된 캐리어(20)도 동시에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캐리어(20)의 제위치에 설치된 제1구동기어(72)가 제3구동기어(76)의 전방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제1휠(82)이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이 전방에 나타나는 장애물 또는 계단에 의해 휠세트(80)의 휠(82;84;86)들 중 어느 하나가 순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되면 후속되는 유성기어캐리어(60)가 해당 구동기어(72;74;76)를 넘어가게되어 결국 캐리어(20)가 회전됨으로써 계단 및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거나 넘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평지의 경우에는 휠세트(80) 중 해당하는 2개의 휠(82;84;86)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지되어 차체(V)를 이동시키거나 주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차체를 후진시키는 경우 모터를 정회전시키면 회전방향만 반대로 되는 반면 구성부품 상호간의 구동은 동일하게 이루어져 후진되거나 또는 동일방식으로 장애물 또는 계단을 넘거나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의하면 구성부품을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동력의 전달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차체의 일반적인 주행은 물론 장애물 또는 계단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넘어가거나 오를 수 있는 것이다.
10: 동력발생장치 20: 캐리어
30: 선기어 40: 유성기어세트
50: 링기어 60: 유성기어캐리어
70: 구동기어세트 80: 휠세트

Claims (6)

  1. 차체(V)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V)가 계단을 오르거나 장애물을 넘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V)에 설치되는 모터(12)와, 상기 모터(1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모터(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14)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10);
    상기 동력발생장치(10)의 샤프트(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성부품의 수납을 위한 설치공간을 구비한 캐리어(20);
    상기 동력발생장치(10)의 샤프트(12)에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는 선기어(30);
    상기 선기어(30)의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기어결합되는 복수의 유성기어(42;44;46)를 포함에는 유성기어세트(40);
    상기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기어결합되며, 상기 캐리어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0);
    상기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캐리어(60); 및
    상기 유성기어캐리어(60)에 일전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기어(72;74;76)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72;74;76)에는 축(73;75;77)에 의해 해당하는 휠(82;84;86)이 설치되는 구동기어세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10)의 모터는 상기 차체(V)의 전진방향의 반대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회전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세트(40)의 제1유성기어(42), 제2유성기어(44) 및 제3유성기어(46)는 상호 120ㅀ의 각을 이루며,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42;44;46)의 중앙에는 베어링(43:45:4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50)는 120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축(52;54;56)에 의해 상기 캐리어(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캐리어(6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베어링(61)이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40)의 각각의 유성기어(42;44;46)의 베어링(43;45;4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축(62;64;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세트(70)의 제1구동기어(72), 제2구동기어(74) 및 제3구동기어(76)는 120ㅀ의 간격을 이루며, 각각의 구동기어(72;74;76)는 해당하는 회전축(73;75;77)에 의해 캐리어(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KR1020160100132A 2016-08-05 2016-08-05 구동장치 KR20180016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32A KR20180016126A (ko) 2016-08-05 2016-08-05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32A KR20180016126A (ko) 2016-08-05 2016-08-05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26A true KR20180016126A (ko) 2018-02-14

Family

ID=6122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132A KR20180016126A (ko) 2016-08-05 2016-08-05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6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927A (zh) * 2018-12-28 2019-03-22 内蒙古工业大学 一种实现重物上楼梯搬运的电动小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927A (zh) * 2018-12-28 2019-03-22 内蒙古工业大学 一种实现重物上楼梯搬运的电动小车
CN109505927B (zh) * 2018-12-28 2023-08-04 内蒙古工业大学 一种实现重物上楼梯搬运的电动小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21B1 (ko) 구동장치
US11091022B2 (en) Centreless wheel with drive
US7458433B2 (en) Electric motor and gear drive assembly for driving a vehicle wheel
JP5666119B2 (ja) 走行ロボット
CN105555663B (zh) 用于飞行器的起落架的驱动系统
CN100395161C (zh) 轮爪式行星探测机器人车轮
EP2652360B1 (en) A torque vectoring device
JP2000502636A (ja) ベベル操舵ギヤ一体の駆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H01269745A (ja) 動力伝達装置
CN105882784A (zh) 全向移动平台及其动力万向轮
US20170113536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KR20110017249A (ko) 구동장치
KR20180016126A (ko) 구동장치
US5941790A (en) Drive axle assembly
EP3428479B1 (en) In-wheel motor driving device
US10821824B2 (en) In-wheel motor drive device
KR100320124B1 (ko) 구동장치
JP2013117284A (ja) 減速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回転力伝達装置
KR20180000920U (ko) 구동장치
KR100320125B1 (ko) 구동장치
RU2362688C2 (ru) Полноприводное колес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20190077485A1 (en)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193560A (en) Motob-dbiven wheel
CN211599449U (zh) 一种行星防滑差速传动机构
JP2004032840A (ja) 車輪の駆動装置及びゴルフ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