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493A -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 Google Patents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493A
KR20070121493A KR1020067024425A KR20067024425A KR20070121493A KR 20070121493 A KR20070121493 A KR 20070121493A KR 1020067024425 A KR1020067024425 A KR 1020067024425A KR 20067024425 A KR20067024425 A KR 20067024425A KR 20070121493 A KR20070121493 A KR 2007012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spac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uboids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936B1 (ko
Inventor
성진욱
Original Assignee
성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욱 filed Critical 성진욱
Publication of KR2007012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to be placed loosely in adjacent relationsh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직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및;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N 직육면체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는 상기 복수의 제 N-1 직육면체 중 하나의 내부공간을 분할한 각 개별공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상기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 및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어린이의 미적 감각,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및 인지력을 개발하여 어린이의 지능발달 및 정서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공간가베, 시스템가구, 건축놀이집의 3가지의 용도를 겸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 및 비용의 문제를 해결한 다목적 기능의 학습교구로 활용될 수 있다.
교구, 공간, 직육면체, 정육면체, 아동

Description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Instrument of education for Children which can be used as architectural space game and system furniture}
본 발명은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가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아나 아동의 종합적 지능개발을 위한 3차원 개념의 공간 학습교구로서, 조합과 분해가 자유로운 시스템 가구와 자유롭게 만들고 들어가서 놀 수 있는 건축놀이교구의 기능을 합친 다목적 가구식 공간조형물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아동의 감성, 지능 및 감각 개발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학습교구의 일종인 가베는 독일학자 프뢰벨의 주창에 따라 생겨나게 된 것으로서,조그만 나무토막들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건축적 쌓기 놀이 등을 하는 방식으로 유아나 아동의 종합적 지능개발에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무 쌓기 교구인 프뢰벨의 2번에서 6번까지의 가베는 그 단순함으로 인해 유아들에게만 활용될 뿐이고 아동들에게는 활용되지 않고 있으며, 더군다나 공간성이 없으므로 공간지각능력을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들어갈 수 있는 혼자만의 작은 공간, 즉 물리적 공간의 한정을 좋아하는 어린이들의 특성 을 수용할 수 없다.
또한, 기존 아동들을 위한 시스템가구도 있지만 그것은 반복에 의한 무한한 확장성을 가질 수 없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제공하지도 않는다. 이로인해, 수납이면 수납, 책꽂이면 책꽂이, 걸상이면 걸상, 책상이면 책상 등으로만 사용되고, 하나의 가구가 다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또한, 기존 놀이가구는 일반적으로 자연 친화적이지 않은 플라스틱류로 제작된 미끄럼틀, 작은 집 등이 있으나 그 역시 기존의 용도가 정해져 있어서, 어린이의 창의성, 예술성 개발을 위한 다용도성이나 자유로운 조합에 따른 확장성이 없다.
결국, 기존의 여러종류의 가베는 공간성이 떨어지며, 기존의 시스템가구나 놀이가구는 다양한 조합에 의한 확장성을 가질 수 없어서, 기하학이 내재된 분해와 조합의 원리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생각에 의해 물체와 공간을 배치하는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개발하는 교구로는 사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분야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하학적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다양한 크기의 육면체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간학습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기본 육면체와, 상기 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여 채워질 수 있는 복수의 육면체를 구성하고, 이러한 분할관계을 연속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종류를 가진 육면체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간학습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공간학습교구는 자유롭게 조합 및 분해할 수 있고, 조합 및 분해의 종류가 기하학적으로 무수히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질 수가 있어서, 이를 통하여 다양한 학습방법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공간학습교구를 이용한 다양한 학습방법을 활용하면, 어린이의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키고 지능 및 감각발달의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어린이의 물리적 한정을 선호하는 특성을 수용하여 아동의 감성과 창의력 개발까지 이루고자 한다.
또한, 아동들을 위한 기존시스템가구의 단점을 극복하여 반복에 의한 무한한 확장성을 가질 수 있고, 아동들이 자유롭게 다양한 조합을 할 수 있는 다변성과 책꽂이, 걸상, 책상, 침대, 소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물건의 수납과 책, 걸상 등의 기능을 넘어 어린이의 감각개발, 정서안정과, 공간지각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공간 건축놀이교구로서 다용도성, 가변성, 모듈에 의한 확장성 등을 활용해 창의성과 예술성 및 유희의 기능을 부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기존의 시스템가구나 놀이가구와는 달리 기하학에 내재한 분해와 조합의 원리를 바탕으로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생각에 의해 물체와 공간을 배치하는 창의력과 미적 감각을 개발하여, 어린이의 지능과 정서를 획기적으로 개발하는 교구로 활용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습도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직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및;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N 직육면체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는 복수의 제 N-1 직육면체 중 하나의 내부공간을 분할한 각 개별공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상기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 및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습교구는, 입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정육면체,..., 복수의 제 N-1 정육면체, 및;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N 직육면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학습교구는, 입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정육면체; 상기 제 1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을 8등분한 개별공간의 크기를 갖고, 입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8개의 제 2 정육면체; 상기 제 2 정육면체의 내부공간 길이의 1/2, 내부공간 너비의 1/2, 및 내부공간 높이의 1/3이 되는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 2개의 직육면체와, 상기 제 2 직육면체의 내부공간 길이의 1/2, 내부공간 너비의 1/2, 및 내부공간 높이의 1/2이 되는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 4개의 정육면체와, 상기 제 2 직육면체의 내부공간 길이의 1/2, 내부공간 너비의 1/2, 및 내부공간 높이의 2/3가 되는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 2개의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8개의 제 3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특징과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큰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다양한 비율로 분할하여 작은 직육면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기하학적으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직육면체를 제공하게 되어, 이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방법의 개발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학습교구에서, 직육면체의 면이 그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직육면체의 면이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육면체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는 보다 다양한 구조의 형상을 조합할 수 있게 되며, 내부공간을 활용한 건축공간놀이나 시스템가구의 조립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상기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상기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 및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구멍은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뚫려 있는 것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구멍이 뚫려 있는 상기 학습교구는, 상기 복수의 구멍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부를 갖는 정사각형상의 복수의 조각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조각판은 다양한 색과 모양이 도색되어, 상기 조각판들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구멍에 끼울 경우 소정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직육면체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과 이에 끼워질 수 있는 조각판을 활용하면, 퍼즐놀이, 수학놀이, 보드게임 등 다양한 놀이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상기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상기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 및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이 그 전부 또는 일부가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직육면체의 면을 문과 같이 여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어, 직육면체 내부에 다른 직육면체들을 수납하기가 용이하며 아동들이 직접 큰 육면체 안에 들어가 놀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학습교구는 상기 직육면체들의 각 면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분해 및 조립을 통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작은 수납공간에도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으로 인하여, 첫째, 어린이의 미적 감각,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및 인지력을 개발하여 어린이의 지능발달 및 정서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둘째, 공간가베, 시스템가구, 건축놀이집의 3가지의 용도를 겸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 및 비용의 문제를 해결한 다목적 기능의 학습교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정육면체, 제 2 정육면체, 및 제 3 직육면체의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정육면체와 제 2 정육면체 및 제 2 정육면체와 제 3 직육면체의 비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의 구멍이 뚫어져 있는 정육면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각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각판을 활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상의 제 1 정육면체, 제 2 정육면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교구를 활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을 표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한 다양한 실시예가 실현될 수 있고 이 경우 그러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직육면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직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및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N 직육면체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 N 직육면체는 복수의 제 N-1 직육면체 중 하나의 내부공간을 분할한 각 개별공간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즉,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큰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여 작은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관계가 1회 이상 연속적으로 행해 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큰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하여 형성된 작은 직육면체가 이론상 무한히 형성될 수 있다.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은 직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큰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한 작은 직육면체가 큰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및 제 N 직육면체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큰 직육면체를 동일한 비율로 분할하면 동일한 형상을 가진 작은 직육면체(또는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하지 않은 비율로 분할하면 다른 형상을 가진 작은 직육면체(또는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작은 직육면체는 큰 직육면체의 내부 공간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각각 소 정의 비율로 분할하여 형성된다. 즉, 제 N 직육면체의 길이, 너비, 및 높이는 제 N-1 직육면체의 내부공간 길이의 1/LN, 내부공간 너비의 1/L'N, 내부공간 높이의 1/L"N 이 된다. LN, L'N, 및 L"N 은 1 이상의 수이고, 정수가 아닐 수도 있다. 즉, 1/LN, 1/L'N, 및 1/L"N은 1/2, 1/3, 및 1/4 뿐만 아니라 2/3, 3/4, 2/5 등 다양한 비율이 될 수 있다. LN, L'N, 및 L"N이 모두 같은 경우는 정육면체가 될 것이고, LN, L'N, 및 L"N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는 직육면체가 될 것이다.
또한, 분할하는 단계마다 분할하는 비율인 1/LN, 1/L'N, 및 1/L"N이 다를 수 있다. 즉, L1, L'1, 및 L"1이 L2, L'2, 및 L"2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직육면체는 제 1 직육면체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각각 1/2씩 분할하여 형성된 정육면체이고, 제 3 직육면체는 제 2 정육면체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1/2, 1/2, 및 1/3으로 분할한 직육면체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큰 직육면체를 분할한 작은 직육면체들이 동일한 크기의 정육면체이거나 혹은 다른 종류의 형상을 갖는 직육면체일지라도, 작은 직육면체들을 조합하여 큰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에 채우는 경우 그 내부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작은 직육면체는 큰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분할한 개별공간의 크기를 갖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제작된 학습교구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정육면체(1A), 제 2 정육면체(2A), 및 제 3 직육면체(3A)의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는 제 1 정육면체(1A)와 제 2 정육면체(2A) 및 제 2 정육면체(2A)와 제 3 직육면체(3A)의 비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학습교구는, 가장 큰 크기의 하나의 제 1 정육면체(1A)와, 제 1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동일한 비율로 8등분한 8개의 제 2 정육면체(2A)와, 제 2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의 높이를 각기 다른 비율로 분할한 3종류의 형상을 갖는 8개의 제 3 직육면체(3A)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 1 정육면체(1A) 및 제 2 정육면체(2A)는 내부공간이 입방형상을 갖고 비어 있다.
가장 큰 제 1 정육면체(1A)는 유아나 아동들이 내부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가 140㎝~240㎝ 정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육면체(1A)는 하나의 면이 둘로 나눠져 문처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제 1 정육면체 내에 다른 직육면체들을 쉽게 집어 넣을 수 있으며, 유아나 아동들이 내부공간에 들어가 놀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면이 개폐되는 구조는 다른 직육면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직육면체에서 2개 이상의 면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정육면체(2A)는 제 1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각각 1/2로 분할한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다. 제 2 정육면체(2A)의 크기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대략 70cm~120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직육면체(3Aa, 3Ab, 3Ac)는 그 길이 및 너비는 제 2 정육면체(2A)의 내부공간의 길이 및 너비를 1/2로 분할한 것이며, 그 높이는 제 2 정육면체(2A)의 내부공간의 높이를 각각 1/3, 1/2, 2/3로 분할한 것이다.
제 3 직육면체(3Aa, 3Ab, 3Ac)를 모두 제 2 정육면체(2A)에 채우면 빈틈없이 제 2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을 채울 수 있으며, 제 2 정육면체(2A)도 제 1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다. 따라서, 한 세트의 모든 구성품들이 하나의 제 1 정육면체(1A) 속에 모두 결합되어 편리하게 보관될 수 있다.
제 3 직육면체(또는 제 N 직육면체)는 본 실시예와 달리, 동일한 크기를 가진 정육면체가 될 수도 있으며, 3종류 이상의 형상을 가진 직육면체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육면체(1A), 제 2 정육면체(2A), 및 제 3 직육면체(3A)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원형, 반원형, 사분원형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 2 직육면체(2A)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동일 형상의 직육면체에서는 개방되어 있는 면의 수 및 개방되는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면 전체가 개방될 수도 있으며, 그 일부가 개방될 수도 있고, 개방된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개방되는 형상은 다양한 기하학 적 형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개방된 면을 형성하여, 각 직육면체들을 조합할 경우, 보다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은 직육면체(2A, 3A)들은 상하좌우를 각각 바꾸어 가며 큰 직육면체(1A) 속에 삽입 조립되거나 이탈 분해되며 거의 무한 가지 수의 내부공간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아동들이 싫증이 나면 언제든지 또 다른 공간을 창작할 수 있으며, 유아나 아동들에게 직육면체가 분해되면 그 사물의 내부가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보여주어 복잡한 본 발명의 구성품들에 흥미를 유발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의 구멍이 뚫어져 있는 정육면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2 정육면체(2A-1, 2A-2, 2A-3, 2A-4)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복수의 구멍(h)이 뚫어져 있다. 면에 뚫어진 복수의 구멍(h)은 복수의 행과 열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면에 따라 10행, 10열과, 10행, 5열과, 5행, 5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정육면체에만 복수의 구멍이 뚫어져 있으나, 다른 직육면체에도 이와 같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정육면체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는 후술할 조각판이 끼워질 수 있어서, 퍼즐게임, 수학놀이, 및 보드게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각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조각판을 활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판(T1~T5)은 정사각형상을 갖고 있으며, 직육면체의 면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부를 갖고 있다. 조각판(T1~T5)에는 각각 다양한 색과 모양이 도색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판(T1~T5)들은 본 실시예의 제 2 정육면체(2A)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h)에 끼워져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b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색과 모양이 도색되어 있는 조각판을 적절히 조합하여 복수의 구멍에 끼우게 되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도 5b의 (a) 및 (b)는 각각 하트모양과 물고기모양을 만든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b의 (c)는 미로를 만든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각판과 구멍이 형성된 직육면체를 이용하면, 도 5b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덧셈, 뺄셈 등과 같은 수학놀이, 주판놀이, 퍼즐놀이, 보드게임 등 다양한 학습 및 놀이 방식에 활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상의 제 1 정육면체(1B)이며, 도 6b는 제 1 정육면체(1B)의 내부공간을 4등분한 4개의 제 2 정육면체(2B)(또는 제 N 정육면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구성하는 직육면 체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상기 직육면체들의 각 면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분해 및 조립을 통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작은 수납공간에도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인체에 무해한 나무와 같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교구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간단하게는 다양한 형상이나 공간구조의 이해나 복수의 부품을 활용한 숫자 개념의 이해 등과 같은 기초 지능학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삽입 조립하거나 이탈 분해하여, 거의 무한 가지 수의 추상적 구조물을 구성하거나, 구체적인 생활 구조물을 형성하여 시스템가구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장난감이나 화분을 수납하는 상자나 책을 꽂을 수 있는 책장과 책상 및 박스형 의자 그리고 계단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공부방을 만든 예를 도시한 것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활용하면 다양한 생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유아나 아동들이 구조물 안에서 서거나 걷거나 앉거나 또는 기거나 눕고 엎드리는 등 다양한 행동들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자신이 실제로 형성한 공간구조물을 실제로 체험하고, 그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 므로 창의력 향상은 물론 신체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건축물이나 아름다운 모양을 만들게 하여 부분과 전체에 대한 이해력 및 창작력과 정리정돈의 습관을 기르게 할 수도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학습교구의 여러 세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에서는 본 발명의 학습교구의 여러 개의 세트를 활용하여 큰 정육면체들의 안과 밖을 다양하게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수평과 수직통로를 만들고 여러 개의 방들을 1층과 2층에 구성하여 마치 작은 도시를 구성한 것과 같은 구조물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의 여러 세트를 활용하면, 어떤 규모의 놀이방에나 흥미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활용하면, 아동들이 놀이를 통해 사물을 경험하게 되고, 사물의 내부를 알려는 욕구와 망가뜨리고 새로 만들어 보려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설계와 조립의 이해 등을 통해 지능개발과 창의력 및 풍부한 미적 감각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명세서를 통해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를 활용하면, 유아나 어린이를 위한 공간가베, 시스템가구 및 건축놀이집의 기능을 단 하나의 공간 조형물로서 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직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및
    동형 또는 이형을 갖는 복수의 제 N 직육면체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는 복수의 제 N-1 직육면체 중 하나의 내부공간을 분할한 각 개별공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상기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 및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학습교구는,
    입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정육면체,..., 복수의 제 N-1 정육면체, 및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N 직육면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학습교구는,
    입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의 제 1 정육면체,
    상기 제 1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을 8등분한 개별공간의 크기를 갖고, 입방형의 빈 내부공간을 갖는 8개의 제 2 정육면체,
    상기 제 2 정육면체의 내부공간 길이의 1/2, 내부공간 너비의 1/2, 및 내부공간 높이의 1/3이 되는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 2개의 직육면체와,
    상기 제 2 직육면체의 내부공간 길이의 1/2, 내부공간 너비의 1/2, 및 내부공간 높이의 1/2이 되는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 4개의 정육면체와,
    상기 제 2 직육면체의 내부공간 길이의 1/2, 내부공간 너비의 1/2, 및 내부공간 높이의 2/3가 되는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갖는 2개의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8개의 제 3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면이 그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상기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 및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면에 뚫려 있는 상기 복수의 구멍은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학습교구는,
    상기 복수의 구멍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부를 갖는 정사각형상의 복수의 조각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각판에는 다양한 색과 모양이 도색되어 있어, 상기 조각판들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구멍에 끼울 경우 소정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제 1 직육면체, 상기 복수의 제 2 직육면체, ...., 및 상기 복수의 제 N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 전부 또는 일부가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교구는 상기 직육면체들의 각 면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구.
KR20067024425A 2005-04-16 2006-04-17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KR100864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703 2005-04-16
KR1020050031703 2005-04-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103A Division KR20080038244A (ko) 2005-04-16 2006-04-17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493A true KR20070121493A (ko) 2007-12-27
KR100864936B1 KR100864936B1 (ko) 2008-10-22

Family

ID=371153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103A KR20080038244A (ko) 2005-04-16 2006-04-17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KR20067024425A KR100864936B1 (ko) 2005-04-16 2006-04-17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103A KR20080038244A (ko) 2005-04-16 2006-04-17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80038244A (ko)
WO (1) WO2006112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2685A1 (en) * 2013-04-29 2014-10-30 Lumos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cognition via a physically intuitive spatial visualization task
US9116509B2 (en) 2013-06-03 2015-08-25 Lumos Labs, Inc. Rhythm brain fitness processes and systems
US20150031004A1 (en) 2013-07-24 2015-01-29 Lumos Labs, Inc. Physically intuitive, real-time, multiple object tracking, planning and divided attention task for enhancing cognition
US20150278740A1 (en) 2014-03-26 2015-10-01 Lumos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timer management task for enhanced cognition
KR20160083671A (ko) 2015-01-02 2016-07-12 김태춘 입체형 학습놀이교구재
CN107752491A (zh) * 2017-11-03 2018-03-06 沈阳建筑大学 Hilbert三维曲线多功能组合家具
USD900928S1 (en) * 2018-12-13 2020-11-03 Erika Cimino Alphabet block s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5722C1 (ru) * 1991-03-13 1994-07-15 Игорь Серафимович Иванов Игра-головоломка
US6161832A (en) * 1999-01-29 2000-12-19 Irwin Toy Limited Stacking block game
KR200205591Y1 (ko) * 2000-07-13 2000-12-01 주식회사일렉스 완구 판넬
KR200205590Y1 (ko) * 2000-07-13 2000-12-01 주식회사일렉스 완구 블록
US6878059B2 (en) * 2001-05-25 2005-04-12 Ioan Boeru Cube insertion g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244A (ko) 2008-05-02
KR100864936B1 (ko) 2008-10-22
WO2006112636A1 (en)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936B1 (ko)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학습교구.
US3577672A (en) Modular rigid block-type dollhouse construction toy
US10213680B2 (en) Multi-dimensional puzzle
Riedo et al. A two years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using the thymio robot
JPS62501056A (ja) 組立おもちゃセットの組立ベ−ス
Curtis et al. Rethinking early childhood environments to enhance learning
KR200468095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KR200394277Y1 (ko) 건축공간놀이와 시스템가구기능을 겸비한 아동용 공간가베교구.
Holt Children are sensitive to space
RU51345U1 (ru) Набор моду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JP6280667B1 (ja) ブロック玩具
JP3149263U (ja) 形態把握演習器
JP3100062U (ja) 携帯用ハウス玩具
KR910002410Y1 (ko) 모양 조립 교재
JP3078263B2 (ja) 知育玩具
JP6831032B1 (ja) 知育玩具
Shaw The building blocks of desig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s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Ogata Building Imagination in Postwar American Children's Rooms
TWM565059U (zh) Combination toy
RU188435U1 (ru) Блок игрового конструктора
CN202230646U (zh) 六正方体组合拼块
JPH11128548A (ja) 知育玩具
KR200260817Y1 (ko) 유아교육용 조립학습교구
CN206980111U (zh) 智力构建装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