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971A -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971A
KR20070119971A KR1020060054588A KR20060054588A KR20070119971A KR 20070119971 A KR20070119971 A KR 20070119971A KR 1020060054588 A KR1020060054588 A KR 1020060054588A KR 20060054588 A KR20060054588 A KR 20060054588A KR 20070119971 A KR20070119971 A KR 20070119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ano silver
liposome particles
liposome
vegetable albu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찬
Original Assignee
장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희찬 filed Critical 장희찬
Priority to KR102006005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9971A/ko
Publication of KR2007011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9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유효성분이 봉입된 리포좀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유화제로서 불포화 레시친을 베이스로 하여 형성되며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가 봉입된 리포좀 입자를 0.01 내지 90.0 중량% 함유하되, 상기 불포화 레시친,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의 함량은 상기 리포좀 입자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30.0 중량%을 혼합하고, 혼합물 100g 당 0.001g∼0.01g의 나노 은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여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율이 크게 향상되어 피부주름의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식물성 알부민, 불포화 레시친, 리포좀, 화장료, 주름개선

Description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Functional cosmetic including nano silver}
본 발명은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유효성분이 봉입된 리포좀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유화제로서 불포화 레시친을 베이스로 하여 형성되며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가 봉입된 리포좀 입자를 0.01 내지 90.0 중량% 함유하되, 상기 불포화 레시친,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의 함량은 상기 리포좀 입자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30.0 중량%을 혼합하고, 혼합물 100g 당 0.001g∼0.01g의 나노 은이 함유되도록 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부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서,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인체보호기능, 장벽기능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피부는 그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변화가 발생되면서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자외선 량 및 대기오염의 증가와 현대인의 과도한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와 프리 라디칼은 높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생체 성분을 산화시키거나 변성시킴으로써 피부노화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확실하게 원인규명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먼저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ECM(Extracellular matrix) 성분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ECM의 결합 조직 섬유에는 아교섬유(교원섬유, 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탄력섬유(탄성섬유, Elastin) 등이 있는데, 그 중 ECM의 70 -8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그 생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주름 생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콜라겐의 합성이 저하되거나 분해가 촉진되므로서 피부 처짐, 탄력 상실, 피부 주름 형성등의 피부노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노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어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603,146호 및 제4,877,805호 등에는 콜라겐 합성과 분해 억제에 효과적인 레티놀(비타민A)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콜라겐 합성 과정에 필수적인 L-아스콜빈산(비타민 C)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색소침착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미국 특허 제4,938,969호/제4,772,591호 및 EP0533667호).
또한, 한국 특허 제196,660호(미국 특허 제5,602,139호/제5,371,089호 및 제5,614,407호)에는 키네틴을 비롯한 6-(치환 아미노)퓨린 시토키닌이 상피 세포의 노화에 수반되는 형태변화를 지연 또는 역전시킴으로써 포유동물 세포에 미치는 노화의 악영향을 개선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특허 특개평8-231370) 및 식물성 콜라겐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사례도 보고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피부의 노화개선 유효성분들 대부분은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피부 안전성(Safety)과 제형 안정성(Stability)의 문제로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동물태반 유래의 단백질은 광우병에 의한 소 적출물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화장료에 적용하기 어렵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노화개선 원료들의 대체 물질로서 생명공학 기술을 응용한 합성 단백질이나 식물 추출물을 개발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증진시키는 기술 등이 소개 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합성 단백질 및 식물성 콜라겐 등은 수많은 아미노산의 연결체로써 일종의 고분자 형태로 존재하므로 그 자체로서 피부에 흡수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C&T,Vol 115,No4,43-50Page). 이는 피부 각질세포가 비극성 지질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간격(약80nm)이 작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리포좀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봉입시켜 경피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리포좀 재질은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크지 않으며, 리포좀의 형태 변형성을 감안하더라도 그 크기가 커서 피부 침투성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제형상 안정성이 높으며, 피부에 용이하게 흡수되어 우수한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콜라겐 성분을 증대시키기 위한 화장품은 피부에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화장을 지우는 경우에도 모공에 남으며, 이는 피부내 모낭충 등의 미세 기생충의 번식 및 피부 모공에 잔존하는 화장품에 의한 세균의 증식 등을 억제하는 제품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율이 크게 향상되어 피부주름 등 피부노화 현상의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면서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화제로서 불포화 레시친을 베이스로 하여 형성되며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가 봉입된 리포좀 입자를 0.01 내지 90.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불포화 레시친,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의 함량은 상기 리포좀 입자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30.0 중량%인 리포좀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리포좀은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불포화 레시틴을 베이스로 하여 콜라겐 및 섬유 아세포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유효성분인 식물성 알부민과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가 봉입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미세한 크기로 제조되므로,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율이 크게 향상되어 피부주름의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리포좀 입자의 평균입경은 50 내지 13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포좀에 봉입된 식물성 알부민은 글리신 소야(Glycine soja)로부터 추출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리포좀에는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고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유효성분으로서 식물성 알부민과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가 봉입되어 있다.
식물성 알부민으로는 보리씨, 파마자씨 등으로부터 추출된 공지의 식물성 알부민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글리신 소야(Glycine Soja:Soybean)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알부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신 소야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알부민은 동물 세럼 알부민과 구조와 조성 면에서 유사하며, 세포구성의 기본 아미노산 성분인 글루탐산, 리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글리신, 아르기닌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성 알부민은 피부의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세포외기질 성분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 글리신 소야로부터 식물성 알부민을 추출하는 방법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출발물질로서는 시판되는 Glycine Soja(大豆,돌콩)를 구입하여 깨끗한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미세하게 분말화하고, 분말화한 대두(大豆) 가루 건조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을 사용하거나 묽은산 또는 알칼리, 묽은 염용액을 1~15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95℃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20~40℃에서 황산암모늄을 가하여 2시간 동안 침전시켜 유효 성분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알부민 수용액을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60??로 완전히 감압 농축하면 목적하는 식물성 알부민을 얻을 수있다.
또한,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는 아세틱애시드와 4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축합반응하여 형성된 단백질로서, 예를 들면 아세틸-글리신-히스티딘-리신-글리신으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은 아세틸기에 의해 피부의 표피층침투가 용이하며, 피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엘라스틴(Elastin),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을 촉진하여 진피내 세포조직을 강화시킴으로서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전술한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는 유화제로서 불포화 레시친을 베이스로 하여 형성된 리포좀 입자에 함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각질세포는 비극성 지질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간격이 작기 때문에 친수성을 갖는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 등의 유효성분들은 그대로 사용시 피부에 흡수되기 어렵다. 따라서, 식물성 알부민과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의 피부에 대한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된 미세한 리포좀 입자에 이들 유효성분을 봉입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불포화 레시친은 동물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인지질 성분중 하나로서 포스타티딜콜린(Phophatidyl choline)이라고도 불리는 물질인데, 글리세롤에 한쪽에 인산 및 콜린등의 친수성 성분이 결합되고 다른 쪽에는 소수성의 아실기가 결합된 구조를 하고 있어서 계면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이러한 불포화 레시친을 베이스로 하여 형성된 리포좀 입자는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매우 균일하고 미세한 크기로 제조되므로 피부에 대한 침투성이 크게 향상된다. 만일 유화제로서 수첨 레시친(Hydrogenated lecithin)을 베이스로 하여 리포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흡수성이 저하될 뿐 만 아니라, 미세한 크기의 리포좀을 만들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리포좀 입자에 봉입된 유효성분인 식물성 알부민과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의 함량 및 유화제인 불포화 레시친의 함량은 리포좀 입자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3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중량%이다. 리포좀 입자의 평균입경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0nm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리포좀 입자의 평균입경은 500nm 이상의 크기를 갖으나, 불포화 레시친을 베이스로 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리포좀 입자는 이와 같이 미세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어 피부에 대한 경피 흡수율을 매우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양의 공급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게 피부 내 모낭충 등의 미세 기생충의 번식 및 피부 모공에 잔존하는 화장품에 의한 세균의 증식 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나노 은이 마사지 영양 크림 100g 당 0.001g∼0.01g 함유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노 은에 대해 살펴보면, 은을 나노상태로 만들면 강력한 살균성과 항균성을 가지게 된다. 연구 보고에 따르면 약 650여종의 세균, 바이러스, fungi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는데, 이러한 나노 은은 통상 전기분해방식으로 만들며 위해성 여부에 따라 식용과 산업용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은 사이즈가 초미세화되어 피부침투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로션은 여드름이나 뾰루지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내 모낭충 등의 미세 기생충 및 피부 모공에 잔존하는 화장품에 의한 세균의 증식 등을 억제하게 된다.
전술한 조성으로 제조된 리포좀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0.0 중량%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는데, 적용되는 화장료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리포좀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리포좀은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불포화 레시틴을 베이스로 하여 콜라겐 및 섬유 아세포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유효성분인 식물성 알부민과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가 봉입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율이 크게 향상되어 피부주름의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성이 없어 화장료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나노 은의 함유를 통해 피부내 모낭충 등의 미세 기생충 및 피부 모공에 잔존하는 화장품에 의한 세균의 증식 등을 억제하게 된다.

Claims (1)

  1. 유화제로서 불포화 레시친을 베이스로 하여 형성되며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가 봉입된 리포좀 입자를 0.01 내지 90.0 중량% 함유하되, 상기 불포화 레시친, 식물성 알부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의 함량은 상기 리포좀 입자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30.0 중량%을 혼합하고, 혼합물 100g 당 0.001g∼0.01g의 나노 은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KR1020060054588A 2006-06-17 2006-06-17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KR20070119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88A KR20070119971A (ko) 2006-06-17 2006-06-17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88A KR20070119971A (ko) 2006-06-17 2006-06-17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971A true KR20070119971A (ko) 2007-12-21

Family

ID=3913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588A KR20070119971A (ko) 2006-06-17 2006-06-17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99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87B1 (ko) * 2009-08-31 2012-01-12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802A (ko) 2015-03-12 2016-09-22 한국콜마주식회사 비동물성 파우더를 적용한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CN112137898A (zh) * 2020-09-14 2020-12-29 上海乐宝日化股份有限公司 一种富氧化妆水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87B1 (ko) * 2009-08-31 2012-01-12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802A (ko) 2015-03-12 2016-09-22 한국콜마주식회사 비동물성 파우더를 적용한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CN112137898A (zh) * 2020-09-14 2020-12-29 上海乐宝日化股份有限公司 一种富氧化妆水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5643A1 (en) Cosmetic or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kombucha
KR20140008234A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130108805A (ko)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902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182A (ko)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 안정화한 나노리포좀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5085B1 (ko)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 안정화한 나노리포좀과 두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3093B1 (ko) 햄프씨드오일, 식물캘러스배양여과물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1142A (ko)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490713A (zh) 一种具有排浊紧致和抗皱活化肌肤功能的超软活泉护肤品
CN101522162A (zh) 与抗坏血酸组合的c-糖苷衍生物的美容用途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KR101142010B1 (ko)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844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70119971A (ko)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KR102582633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 리포좀 및 성장인자 복합물이 함유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1956155B1 (ko)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58751B1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4043A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242310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e−カドヘ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20230111926A (ko)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7938B1 (ko)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71621A (ko)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 안정화한 나노 리포좀과 옥수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419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