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142A -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142A
KR20210141142A KR1020200058396A KR20200058396A KR20210141142A KR 20210141142 A KR20210141142 A KR 20210141142A KR 1020200058396 A KR1020200058396 A KR 1020200058396A KR 20200058396 A KR20200058396 A KR 20200058396A KR 20210141142 A KR20210141142 A KR 20210141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air
cosmetic composition
care
sodium hyalur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실
한태영
최동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노스
주식회사 아이노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노스, 주식회사 아이노스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노스
Priority to KR102020005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142A/ko
Publication of KR2021014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투명한 젤 상태로 포함하여,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여 스킨 케어용 제품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두피의 자극 감소, 모발 강도 강화, 모발 윤기 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하여 헤어 케어용 제품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care and hair care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두피 자극 감소, 모발강도 강화, 모발 윤기 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한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노화의 이론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이론은 활성산소에 의한 노화이다. 인체가 섭취한 산소의 약 95%이상은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전자와 결합하여 물로 환원되지만 2 내지 3%의 일부 산소가 불완전 환원으로 전자를 흡수하려는 Free radical 과정에서 세포의 파괴 작용을 초래하는데 이를 활성산소(Active oxygen)라고 한다.
활성산소가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된 세포막에 작용하면 지질과 산화가 유발되고 최종산물인 Malondialdehyde(MDA)의 함량이 증가된다. MDA는 혈관벽 내막에서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며, 변형된 저밀도지단백은 대식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새로이 합성하여 에스터가 침착되면서 포말세포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세포의 산화적 손상이 생리적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동맥경화, 간 질환 및 각종 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여 결국 노화와 유전적 장애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에 따라 생체에는 산화 물질인 활성산소(O2-, OH-), 산화질소(NO), 과산화수소(H2O2) 등의 혈액 내 농도가 올라가게 되어 각종 질환과 세포의 노화가 촉진된다.
특히 활성산소는 피부 세포의 손상을 유발한다. 활성산소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체내의 항산화 방어계를 무너뜨리고 그 결과 단백질, 지질, DNA와 같은 세포 성분이 손상 받게 되어 세포 기능이 변질되어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가 촉진된다. 또한, 활성산소는 결합조직을 손상시킨다. 활성산소는 교원 질대사에 작용하여 직접적으로 교원 질을 파괴시킬 뿐 아니라 콜라겐의 결핍을 초래하게 된다.
활성산소는 흡연,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피부병, 바이러스감염 및 자외선 등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인자들뿐 아니라,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호흡과 소화의 과정 중에서도 발생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지속적으로 활성산소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고, 따라서 우리 몸에는 활성산소로 인한 상해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항산화성 기전이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세포를 보호한다.
인체의 활성산소 및 산화 물질을 억제하는 항산화력에 관여하는 요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체내 항산화 효소계와 비효소 항산화 물질이다.
체내 항산화 효소계에는 구리, 아연, 망간으로부터 생성되어 O2-를 제거하는 SOD 효소가 대표적이고, 철을 조효소로 하여 구성된 Catalase(CAT)와 셀레늄을 조효소로 하는 Glutathion Peroxidase(GPX)는 H2O2를 제거하는데, GPX는 손상된 세포를 원래상태로 수리 복구하는 작용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효소 항산화 물질은 체내에서 만들어지 는 것과 체외에서 공급받아야 할 것으로 나눠진다. 체내항산화 물질로는 금속결합 단백질인 Albumin, Ferritin,Transferrin과 Glutathione(GSH), Uric acid, Bilirubin, 멜라토닌 등이 있으며, 최근 주목 받는 항 산화 물질로서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여 에너지 대사 및 항산화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CoQ10조효소가 있다.
피부 노화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어가는 자연스러운 하나의 현상이며 인체의 노화와 마찬가지로 개인 차가 있지만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하지만, 피부 노화를 일으키는 원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내인성 요인뿐 아니라 흡연, 과도한 음주 섭취, 영양부족, 햇빛에 만성적인 노출 등 예방할 수 있는 외인성 요인도 존재한다.
따라서, 피부 노화 및 이로 파생된 피부 주름을 평생 예방할 수는 없더라도 늦출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화장품을 통해 피부의 노화를 늦추려 하는 시도들은 화장품 업계에서는 많이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아직까지 가장 뜨거운 관심과 연구가 쏠리는 분야라 할 수 있다.
화장품에서는 노화와 관련된 피부 변화로 주름, 색소침착, 탄력감소, 피부건조화, 탈모, 모발의 윤기 부족 등을 극복하려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피부는 노화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맞게 된다. 먼저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성분 이 변화하게 되는데 그 중 세포외 기질의 70 내지 8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그 생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주름 생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고, 피부결합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프로티오글리칸(proteoglycans),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 라미닌(laminin), 파 이브로넥틴(fibronectin) 등은 산화되어 그 기능을 잃어버림으로써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노인성 피부로 변화되어 간다.
콜라겐 생합성 과정은 전사 수준(Transcription level)과 해독 후 수준(Post-translation level)에 관여하는 많은 인자(Factor)들에 의해 조절을 받아 변화를 일으키며, 콜라겐 분해는 자외선 등에 의해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같은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들(Matrix metalloproteases; MMP)의 발현의 촉진으로 콜라겐 분해가 촉진되어 콜라겐 함량이 줄어든다.
아울러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의 변형이 가속화되면서 피부는 주름이 많아지고 깊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현상은 세포의 비균질화, 엘라스틴의 소실, 콜라 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및 지연 등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고,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는 일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노이드류, 그 중에서도 레티놀(retinol)에 대한 피부주름 제거 임상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레티놀을 함유한 화장료는 일광에 의해 형성된 피부주름살이나 피부처짐, 탄력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다.
레티놀은 주름 기능성 고시원료로 등재될 정도로 효과에 대해 검증이 된 원료이나 특유의 피부자극 문제, 안정성 문제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제기가 되어 오고 있으며 높은 가격으로 고가의 제품군에서 활용이 되며 보편적 소재로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뿐 아니라, 모발 보습, 머리결 개선 및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편적 소재로 활용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10-2015-0121799 A1
본 발명의 목적은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투명한 젤 상태로 포함하여,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피의 자극 감소, 모발 강도 강화, 모발 윤기 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한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알긴산(Alginic acid)을 포함하며, 상기 알긴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가교 결합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긴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가교 결합된 것으로,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투명한 젤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자극 감소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강도 강화, 모발 윤기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1) 정제수, 알긴산나트륨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을 교반 및 용해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 3)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아세트산(Acetic acid)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3 내지 4로 조정하는 단계; 4) 상기 pH가 조정된 혼합물에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을 적가하고 교반을 하는 단계; 및 5)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 단계의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으로 투명한 젤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 체적으로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알긴산(Alginic acid)을 포함하며, 상기 알긴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가교 결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내 겔 화제로 사용되어온 물질로는 젤라틴, 한천,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등이 있으며 젤라틴은 동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경단백질의 일종인 콜라겐이 열 변성을 일으켜 생성된 것이고 또한 한천이나 카라기난은 홍 조류에서, 알긴산은 갈조류에서 추출한 천연물로써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알긴산나트륨은 칼슘와 같은 금속염을 첨가하면 칼슘이온과 결합하여 불용성의 겔을 형성하지만 이장성(弛張性)으로 인해 부서지기 쉽고 유연성이 결여되기 때문에 안면(顔面)과 같이 굴곡이 심한 곳에 부치면 절단되거나 들떠서 피부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미용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알긴산나트륨 혹은 카라기난과 같은 겔 화제만을 사용하여 생성시킨 겔은 불안정하여 장기간 방치하면 유효 성분을 함유한 수분이 삼출(渗出)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알긴산나트륨을 활용하여 겔을 형성함에 있어서 칼슘이온(Ca2+)을 포함하는 물질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겔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알긴산나트륨과 칼슘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통상의 기술로 활용되었다.
상기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스트렘토코소스속 등과 같은 미생물 균주의 배양으로 얻을 수 있다. 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코산이 결합한 큐코 다당류이며, 수용성 기능성 성분 용해 및 보존제로 사용된다.
이러한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는 천연 보습인자로 수분흡수 능력과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증발을 막아 촉촉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가꾸어 준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콜라겐을 가수분해하여 용해성을 지진 젤라틴(Soluble Gelatin)을 얻게 되며, 젤라틴을 한 번 더 가수분해하여 3,000 내지 6,000 달톤의 콜라겐 가수분해물로서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을 제조한다.
상기 콜라겐을 비롯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과 같은 이들의 가수분해물은 수분을 끌어당기는 수분함유/습윤(Humectant)의 작용과 함께 피부의 표면에 있는 틈을 메우는 피부유연/연화(Emollient) 작용을 통해 피부의 보습에 도움을 준다.
또한,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은 몸 속의 멜라닌 색소가 비정상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주근깨가 피부에 일어나는 것을 막아주어 주근깨를 예방하며, 지속적으로 바르게 되면 피부의 노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피부가 탄력 있고 부드럽게 윤기나는 피부로 가꿀 수 있는 안티에이징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긴산나트륨은 젤 타입의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칼슘 이온을 필요로하고, 최적의 젤을 제조하기 위한 알긴산나트륨 및 칼슘 이온의 함량 범위 및 제조 조건의 한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은 개별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수분 증발 시 쉽게 증발되어 피부 내 보습 효과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의 제공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투명한 젤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칼슘 이온을 포함하지 않고, 알긴산나트륨,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을 가교 결합된 형태로 제공하여, 투명한 젤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에는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기 위해, 칼슘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칼슘설페이트 (Calcium Sulfate) 등과 같은 겔화 보조제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알긴산나트륨-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을 가교 결합한 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겔화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투명한 젤 형태로 제공이 가능하다.
화장료 조성물은 젤 형태로 제공 시, 피부에 부착력이 높아지고, 장시간 피부에 알긴산나트륨,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의 유효 성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는 히알루로산의 유도체로, 히알루론산에 비해 분자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히알루로산으로부터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지질, 단백질 및 헥산이 제거되어, 분자 무게가 감소하게 되고, 분자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히알루론산에 비해 피부의 흡수가 용이하다.
즉, 히알루론산의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는 이미 알려져 있기는 하나, 히알루론산은 분자의 크기로 인해 피부 내 흡수가 용이하지 않고, 흡수되더라도 피부 조직 깊숙히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는 분자의 크기를 감소시켜, 피부 내 흡수를 용이하게 하여,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젤 형태로 제공하게 시, 상기 알긴산나트륨,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 이외에 다른 영양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더라도, 쉽게 증발되지 않아, 영양 성분이 피부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나 모발에 사용 시, 사용 상태에 의해 쉽게 증발되어 영양 성분이 피부나 모발에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고, 증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젤 형태로 제공하게 되면, 젤 형태는 수분의 증발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장시간 피부나 모발에 영양 성분을 공급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된 영양 성분의 충분한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일반 피 부 화장품에 배합되는 성분들인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저급 알콜, 색소, 방부제, 향료와 같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의한 피 부재생은 피부 재생뿐만 아니라, 주름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노화 방지, 피부 보습 개선, 검버섯 제거, 여드름 치료 및 상처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재생, 주름개선, 피부탄력 개선 및 피부노화 방지 효과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가교 결합된 알긴산나트륨-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는 피부 조직에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을 공급하여 피부의 상피층 및 진피층의 재생 또는 성장시켜, 피부재생, 주름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노화 방지, 피부보습 개선, 상처제거 등의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음 클렌징 워터, 팩, 스프 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를로오스 유도체, 폴리 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 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 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 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을,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을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를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를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밴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 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 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 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를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펩타이드와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 케어용 제품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이때, 헤어 케어용 제품으로 사용 시, 두피의 자극이 감소되고, 모발 강도 강화, 모발 윤기 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두피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깥조직이 표피이다. 표피는 신체의 민감한 조직을 손상 받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외부의 온도, 습 도의 변화, 공해물질 등의 여러 가지 물리적, 화학적 외부의 자극과 스트레스, 영향 결핍 등으로 인해 두피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탈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미용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성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 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며, 이는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환경으로부터의 자극, 스트레스, 화학적 시술 등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하고, 탈모를 방지하면서 모발 생장을 촉진할 수 있고, 생태계 친화적이면서 환경과 인간에 무해한 성분의 이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인지하여, 환경과 인간에게 무해한 성분으로만 구성되고, 두피의 자극을 낮출 뿐 아니라, 모발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에 대한 흡착력이 낮고 그 성분이 거의 남지 않아 이물감 및 모발의 기름짐이 적고, 피지 발생 가능성을 낮추며, 사용감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자극성이 낮은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두피에의 자극이 적다.
상기 가교 결합된 알긴산나트륨-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을 포함함에 따라, 두피 및 모발에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이 제공되어, 표피의 수분 증발을 차단할 수 있고, 모발의 보습 작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가교 결합된 알긴산나트륨-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는 피부 조직에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 이외에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연 추출물은 낭인 추출물, 별꽃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일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여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두피 자극 감소, 모발 강도 강화, 모발 윤기 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은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낭인(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은 들에 자라는 일년생 덩굴식물로 길이 1 내지 2m에 달하고 줄기는 사각형이며 붉은 빛이 돌고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며 삼각형이고 예두이며 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양성화로 7 내지 8월에 가지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고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흑색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전초를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상기 별꽃(Stellaria media)은 석죽과의 2년생 초본으로 길가나 밭둑에 주로 자라며 키는 10~20cm 정도로서, 단백질, 칼슘, 철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이러한 별꽃은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며 젖을 잘 나오게 한다. 또 잇몸병이나 충치, 맹장염, 장염, 장궤양 등의 염증을 치료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건조한 낭인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낭인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상기 별꽃 추출물은 낭인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해, 낭인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별꽃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낭인 추출물을 추가로 혼합하는 경우, 구성 성분의 혼합 사용에 의해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의 두피 및 모발에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이 제공되어, 표피의 수분 증발을 차단할 수 있고, 모발의 보습 작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1) 정제수,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을 교반 및 용해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 3)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아세트산(Acetic acid)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3 내지 4로 조정하는 단계; 4) 상기 pH가 조정된 혼합물에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을 적가하고 교반을 하는 단계; 및 5)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알긴산나트륨 0.5 내지 1.5 중량부,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0.05 내지 0.15 중량부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용해하는 단계이다.
상기 1) 단계는 55 내지 75℃에서 0.5 내지 1.5시간 동안 교반하여, 정제수에 알긴산나트륨,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이 완전히 용해될 수 있도록 교반하는 단계이다.
상기 1) 단계의 교반 단계 이후, 혼합물을 20 내지 30℃로 냉각하여, 안정화시킨다.
즉, 1) 단계에서 교반하여 용해 공정을 통해, 정제수 내 알긴산 나트륨,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 후, 이후 가교 반응의 진행을 위해 온도를 낮춰, 안정화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2) 단계의 안정화 공정 이후, 혼합물에 2% 아세트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3.3 내지 3.6으로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아세트산 수용액을 이용하여 혼합액의 pH를 산성 상태로 변경시킨다.
이후, pH가 조정된 혼합물에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를 첨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진행한다.
상기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는 상기 1) 단계의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0.1 중량부로 넣어주고, 이때 한 방울씩 적가하는 방식으로 혼합하여 가교 결합을 유도한다.
상기 반응이 종결되면, 동결 건조하여,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이 가교 결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투명한 젤 상태로 포함하여,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의 용도로 보편적 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여 스킨 케어용 제품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두피의 자극 감소, 모발 강도 강화, 모발 윤기 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하여 헤어 케어용 제품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이 가교 결합된 화합물의 FT-IR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의 제조
정제수 1,000g에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8.7g,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1.1g,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0.2g을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용해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25℃로 냉각하고, 냉각된 혼합물에 2%-아세트산(Acetic acid)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를 3.3 내지 3.6 사이로 조정하였다.
pH가 조정된 혼합물에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0g을 천천히 적가 후 6시간 동안 교반을 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 최종 반응 혼합물을 동결건조 하여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이 가교된 반응물(AHC 1) 9.7g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반응물은 도 1의 FT-IR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비교를 위해, 히알루론산 피크, 콜라겐 피크 및 단순 혼합물의 피크를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 단순 혼합물과 다른 피크에서의 분석 결과가 확인되어, 단순 혼합물이 아닌 가교 결합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의 제조
정제수 1,000g에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8.7g,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9g,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0.4g을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용해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25℃로 냉각하고, 냉각된 혼합물에 2%-아세트산(Acetic acid)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를 3.0 내지 3.5 사이로 조정하였다. 상기 pH가 조정된 혼합물에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1.0g을 천천히 적가 후 3시간 동안 교반을 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최종 반응 혼합물을 동결건조 하여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이 가교된 반응물(AHC 2) 9.8g 제조하였다.
3. 제조예
낭인 추출물(PSN)의 제조
낭인을 흐르는 물에 세척 후 열풍건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 형태로 분쇄하였다. 건조된 시료 200 g을 정제수에 침적시켜 3 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침출하였고, 이 침출물을 여과기로 여과하고, 침출 여과과정을 3회 더 반복한 후, 이 여과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60g의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별꽃 추출물(SME)의 제조
별꽃과 잎을 건조시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낭인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4.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AHC1 100 - 100 100 100 100 100
AHC2 - 100 - - - - -
PSN - - 1 5 7 10 12
SME - - 1 5 7 10 12
(단위 중량부)
시예 8은 AHC 1 대신 AHC2를 100 중량부 넣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보습 효과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만한 피부질환이 없는 22 내지 33세의 남녀 10(남자 5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각 대상들은 시료 적용 전 실험부위를 물로 세정한 후 30분 동안 외적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실험 환경조건은 실내온도 22 내지 24
Figure pat00001
, 실내습도 45 내지 50%로 유지시킨 동일한 장소에서 시행하였다. 실시예 조성물을 각각 20μL씩 볼에 2Х2㎠로 도포하고 10분 간격으로(0분, 30분, 60분) 각 도포부위의 피부표면 전도도를 베포미터(Vapometer, delfin 사)로 측정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보습 효과의 비교를 위해, 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히알루론산 1%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0분 7.2 7.0 7.1 7.0 7.3 7.1 6.9 6.8 7.1
30분 2.8 2.5 3.1 3.8 3.5 3.6 2.4 3.7 3.0
60분 2.1 2.0 2.8 3.5 3.3 3.4 2.2 3.4 2.2
(단위 g/㎡hr)
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에 비해 동등 내지 그 이상의 보습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범위 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가 나타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세포활성 시험
실시예 조성물의 세포활성 촉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1Υ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96웰 평판 배양기에 접종한 후, 실시예 조성물을 약 24시간 적용한 다음, MTT 시험을 수행하여 세포활성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시료를 희석한 vehicle (FBS serum 1% 함유 DMEM)과 비교하여 세포 활성능을 평가하였다. 음성대조군의 배지는 FBS serum 1% 함유 DMEM을 사용하였다. 세포활성의 결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선출하였으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세포활성(%)=(처리군의 반응 흡광도 - 대조군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 흡광도)Υ100
세포활성(%)
실시예 1 11
실시예 2 12
실시예 3 7
실시예 4 13
실시예 5 15
실시예 6 16
실시예 7 5
실시예 8 16
음성대조군(무처리) 0
(반복 시험수는 3회)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조성물의 처리 시, 섬유 아세포에서 세포활성이 촉진되었는 바, S 1 내지 3은 우수한 세포활성 촉진 효과를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4 내지 6 및 실시예 8에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섬유 아세포의 세포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 질환을 개선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3
피부 노화 방지 효과
상기 실시예 조성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 즉 피부 노화 방지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15명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매일 저녁 얼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8을 포함하는 보습 크림을 사용하도록 한 후 5일 후, 10일 후 및 30일 후의 얼굴 피부의 거칠기 및 외관 상태 등을 종합하여 5점 척도(5 매우 우수, 4 약간 우수, 3 차이 없음, 2 효과 없음, 1 매우 효과 없음)의 관능으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5일 3.8 3.9 3.8 4.2 3.7 3.8 3.4 4.2
10일 3.7 3.8 3.9 4.1 4.0 3.9 3.5 4.1
30일 3.8 3.8 3.9 4.3 3.6 3.9 3.3 4.3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거칠기 및 외관 상태에 의해 피부 노화 정도에 관한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고, 실시예 1 내지 8에서 대부분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 실시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모발의 강도 증진 효과
모발의 인장강도는 인장강도계(TA-XT-Plus, Stable micro systems LTD.,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의 조성물은 1g/100mL 농도로 모발 트레스(Tress)에 고르게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모발 트레스에서 균일한 머리카락(70 내지 80㎛) 한 가닥을 골라 인장강도계에 정착한 후 2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기면서 모발이 끊어질 때의 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10회 이상 반복한 후, 평균값을 내서 모발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정제수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며, 결과를 하기 표 5와 같다.
인장강도
실시예 1 119.2
실시예 2 118.2
실시예 3 112.4
실시예 4 122.8
실시예 5 122.9
실시예 6 123.1
실시예 7 111.3
실시예 8 119.4
음성대조군(정제수) 100.4
(단위 g)
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정제수에 비해 동등 이상의 인장 강도 증진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인장 강도의 증진 효과가 나타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모발의 윤기 증진 평가
모발의 윤기 정도는 고니오포토미터(Goniophotometer;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상 모발 트레스를 준비하고 트레스를 염색하여 손상시킨 후, 사용하였다.
각각의 실시예 조성물은 1g/100mL 농도로 상기의 모발 트레스(Tress)에 고르게 도포한 후 3차 증류수로 10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모발 트레스를 상대습도 40%, 온도 25
Figure pat0000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충분히 건조되었을 때, 건조된 모발 트레스에서 균일한 머리카락 (70 내지 80㎛) 한 가닥을 골라 상기 측정기에 정착한 후 모발 윤기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정제수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모발 윤기
실시예 1 56.8
실시예 2 57.1
실시예 3 53.7
실시예 4 60.5
실시예 5 62.1
실시예 6 61.4
실시예 7 52.4
실시예 8 61.8
음성대조군(정제수) 45.1
상기 표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해 동등 이상의 모발 윤기 증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모발 윤기 증진 효과가 나타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6
두피 자극 여부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 조성물을 사용 시, 두피 자극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헤어로션으로 제조하고 15명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매일 저녁 모발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8을 포함하는 헤어로션을 사용하도록 한 후 자극의 정도에 대해 평가를 요청하였다.
헤어로션 조성
실시예 1 내지 8의 조성물 각 5.00 중량%
레조시놀 2.00 중량%
멘톨 2.00 중량%
판테놀 0.50 중량%
피록톤올아민 0.10 중량%
정제수 잔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두피자극 X X X X X X
(X 자극 없음, △ 약간 자극, O 자극 존재)
기 표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두피 자극이 없거나, 거의 없는 정도이기는 하나, 함량 범위 내로 사용이 아닌 경우 일부 자극이 존재하다는 관능 평가가 있었고, 범위 내 사용의 경우에는 자극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알긴산(Alginic acid)을 포함하며,
    상기 알긴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가교 결합된 형태로 포함되는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가교 결합된 것으로,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투명한 젤 상태로 포함되는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자극 감소 효과가 우수한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강도 강화, 모발 윤기증진 및 모발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한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6. 1) 정제수,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을 교반 및 용해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
    3)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아세트산(Acetic acid)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3 내지 4로 조정하는 단계;
    4) 상기 pH가 조정된 혼합물에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을 적가하고 교반을 하는 단계; 및
    5)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의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가교 결합된 알긴산-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으로 투명한 젤 형태인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00058396A 2020-05-15 2020-05-15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1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96A KR20210141142A (ko) 2020-05-15 2020-05-15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96A KR20210141142A (ko) 2020-05-15 2020-05-15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142A true KR20210141142A (ko) 2021-11-23

Family

ID=7869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396A KR20210141142A (ko) 2020-05-15 2020-05-15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11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269B1 (ko) * 2022-07-18 2022-10-11 주식회사 뷰티앤코스 불가사리 추출물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15337229A (zh) * 2021-12-07 2022-11-15 博汇美萃生物工程技术(广东)有限公司 一种头皮护理用组合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569076A (zh) * 2022-09-26 2023-01-06 华东理工大学 一种液晶发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799A (ko) 2014-04-22 2015-10-30 (주)메디웨이코리아 신이화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케어용/헤어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킨케어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799A (ko) 2014-04-22 2015-10-30 (주)메디웨이코리아 신이화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케어용/헤어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킨케어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7229A (zh) * 2021-12-07 2022-11-15 博汇美萃生物工程技术(广东)有限公司 一种头皮护理用组合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453269B1 (ko) * 2022-07-18 2022-10-11 주식회사 뷰티앤코스 불가사리 추출물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15569076A (zh) * 2022-09-26 2023-01-06 华东理工大学 一种液晶发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1142A (ko) 스킨 케어 및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610633B (zh) 含有人参果阿魏菇发酵液的化妆料组合物
JP2009513581A (ja) ラテックスまたはこの画分を含有する局所製剤、および美容処置方法
JP2000191498A (ja) コラ―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16510016A (ja) 褐藻抽出物、酵母抽出物及び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CN113786362A (zh) 一种具有舒缓平衡护肤功效的化妆水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050103903A (ko) 노화되거나 환경에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8721156A (zh) 一种植物组合物及其制作方法
CN113384482A (zh) 一种保湿嫩肤精华露及其制备方法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30248639A1 (e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osomes derived from rose stem cells as active ingredient
KR101421537B1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3412B1 (ko) 유기농 에버라스팅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FR2928549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l'orchidee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en tant qu'actif pour prevenir ou retarder l'apparition d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CN109771326A (zh) 一种用于美白修护面膜的组合物
KR100429590B1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CN115120548A (zh) 一种长效保湿修复水及其制备方法
JP2009242310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e−カドヘ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20020016960A (ko)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307437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20070119971A (ko)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