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505A -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505A
KR20070119505A KR1020070055648A KR20070055648A KR20070119505A KR 20070119505 A KR20070119505 A KR 20070119505A KR 1020070055648 A KR1020070055648 A KR 1020070055648A KR 20070055648 A KR20070055648 A KR 20070055648A KR 20070119505 A KR20070119505 A KR 2007011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vibration generating
current
coil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793B1 (ko
Inventor
그라함 스티븐스 클라이브
Original Assignee
그라함 스티븐스 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함 스티븐스 클라이브 filed Critical 그라함 스티븐스 클라이브
Publication of KR2007011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61H2023/0227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with magnetostrict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3Linear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Linear Motor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로서, 특히 전신 인체진동훈련기에 응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그 구조는 진동을 발생 및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지지를 제공하는 받침판에 주는 것이다. 응용한 선형모터는 하나 이상의 직선 배열된 코일을 포함하는데, 발생된 전자감응을 하나 이상의 자성체에 주는 것이다. 각 하나의 자성체는 코일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자감응의 유동순환은 간헐적으로 코일을 흘러 지나며 주파수범위를 받침판에서 설정받을 수 있는 진동효과를 발생한다.
선형모터, 인체, 진동발생, 코일, 자성체, 전자감응

Description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Human being's body vibrator having linear mot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전신 진동훈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선형모터가 배치한 자석 디스크와 강철 디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선형모터의 받침체 내실에 스프링을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선형모터의 받침체 내에 코일조합을 설치하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선형모터 내에 배치한 자석 디스크와 강철 디스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선형모터에 제어조건을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진동훈련기 3 : 밑받침
4 : 뼈대 20 : 받침판
20A : 돌출물 20B : 끼우개
21 : 고정자 23 : 받침체
22 : 코일조합 22A,22B,22C,22D : 코일
26 : 교류전류 27 : 제어장치
30 : 활동부 31,32,33 : 자석 디스크
41A,41B,42A,42B,43A,43B : 강철 디스크 5 : 디스플레이
50 : 스프링 51 : 오목하게 패인 구멍
54 : 내실 57 : 수직기둥
57A : 속 구멍 58 : 베어링
60 : 회전방지 돌출물 61 : 볼트
62 : 구멍 7 : 손잡이
9 : 원기둥
본 발명은 신체보건, 훈련에 관련되는 전신 진동훈련기로서, 특히 선형모터를 인체에 대하여 진동효과를 발생하는 진동훈련기에 응용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진동훈련법이라고 부르는 것이 있는데, 이는 기계를 이용하여 인체근육의 진동을 일으켜 신경근육을 자극하는 효과를 거두는 것이다. 그 강도는 기계기구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주파수는 진동기가 매 단위시간 내에 발생하는 주기를 말하며, 상기 진폭은 주기성 진동 중의 최대치와 최소치 차이 값의 절반이다. 진동훈련의 생리구조는 증강식 훈련의「견장단축순환(SSC,Stretch-Shortening Cycle)」과 비슷하다. 이심(離心)수축(ecentric contraction) 후 즉시 향심(向心)수축(concentric contraction)을 하는 작용방식을 이용하여 탄력성과 반사기전(reflex mechanism)의 영향을 넓히는 것을 통하여 근육으로 하여금 비교적 큰 순발력을 발생하게 한다.
현재의 진동훈련기는 대부분이 간접자극법을 채택하고 있다. 즉 발은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손은 받침대 바깥 측으로 뻗어나간 손잡이를 잡고 두 발 혹은 한 발을 이용하여 받침대 위에 서서 받침대에서 전달해오는 진동 작용력을 흡수하여 전신을 진동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것이 보통 말하는 전신 진동훈련이다(WBV:Whole Body Vibration).
그러나 상술한 진동훈련기의 진동구조는 대부분이 모터가 편심기구(ecentric mechanism)를 이끌어 편심 진동효과를 형성하는 것이기에 기구조립이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진동훈련기의 부피를 증가시켜 운반하고 보관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에 근거하여 더욱 힘을 기울려 연구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선형모터를 이용하여 간헐성 수직반복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진동력을 인체를 지지하는 받침판에 전달되게 하며 전동장치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응용한 기술수단은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고정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전류조절기, 받침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자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되고 직선으로 배열되며 전원(electrical sourc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코일 내부 속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조절기는 간헐성 전류펄스를 발생하는 상기 코일에 가해지는 전류를 조절하며, 상기 받침판은 인체를 지지하며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선형모터(도면 중 미표시)를 포함하는 전신 진동훈련기(10)는 받침판(20)의 아래쪽에 감춰져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판(20)은 인체의 발이 서는 것을 지지하는 곳이다. 상기 받침판(20)은 인체 혹은 동물에 따라 형태를 변화할 수 있으며, 심지어 받침판(20)은 매달림 식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신 진동훈련기(10)의 밑 부분은 여러 개의 뼈대(4)로 연결구성된 밑받침(3)의 지지를 받는다. 뼈대(4)의 바깥 측에 따로 상하방향의 원기둥(9)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원기둥(9)의 끝 부분은 스크린 디스플레이(5)를 받쳐 줄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디스플레이(5)를 통하여 여러 가지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진동훈련기의 사용중에 사용자로 하여금 진동사용의 시간, 진폭 및 주파수 등을 알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형모터의 활동부(30) 및 고정자(21)를 나타낸다. 고정자(21)는 원통형 받침체(23)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하여 코일조합(coil assembly)(22)의 배치를 유지하며, 이 코일조합(22)은 여러 쌍의 코일을 포함한다. 각 쌍의 코일은 두 개의 역방향으로 감은 머리와 꼬리가 연결된 도선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선은 동선이다. 상기 고정자(21)는 받침체(23)를 포함하며 각 쌍의 코일이 평행관계로 배치된다.
도 2는 활동부(30)도 나타내는데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자석 디스크(31,32,33)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나타낸 자석 디스크(31,32,33)는 하,중,상의 순으로 배열되고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 디스크(31)의 양면에 각각 강철 디스크(41B,41A)를 번갈아 설치하고, 상기 자석 디스크(32)의 양면에 각각 강철디스크(42B,42A)를 번갈아 설치하며, 상기 자석 디스크(33)의 양면에 각각 강철 디스크(43B,43A)를 번갈아 설치하여 각 하나의 자석 디스크(31,32,33)로 하여금 마치 샌드위치처럼 모두 강철 디스크를 끼고 있게 한다. 강철 디스크는 이런 특이한 배열조건을 따르고, 또한 자장을 발생할 수 있는 자석 디스크를 다시 배합 인용하면 인접한 코일이 접수하는 전기 여기(electrical excitation) 하에 가운데 위치한 강철 디스크로 하여금 전자감응효과를 제고하게 한다. 강철 디스크가 제어하는 최대한도의 자속은 100 암페어 이내를 허용한다.
자석 디스크(31,32,33)가 발생한 자속은 샌드위치 같은 구조를 통하여 각 일측면에 끼어있는 강철 디스크(41A,41B,42A,42B,43A,43B)도 자력을 감응하여 자성을 구비하게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 중에서 각 쌍의 강철 디스크와 각 쌍의 자석 디스크는 작은 간격 상태를 유지하면서 코일조합 속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조립의 분해상태는 이미 도 2에서 분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4는 이러한 강철 디스크와 자석 디스크가 쌓여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볼트 및 너트를 잠금 수 단으로 선형모터의 중심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자석 디스크(31,32,33)와 짝을 이루는 강철 디스크(41A와 41B, 42A와 42B, 43A와 43B)에는 모두 여러 개의 초점을 맞추어 배열된 구멍(62)을 설치한다. 자석 디스크와 강철 디스크는 활동부(30)를 구성하며, 이 활동부(30)를 통하여 도관 형태의 받침체(23) 내경 공간에 허용될 수 있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를 얻는다. 도 2는 코일조합(22)이 코일(22A,22B,22C,22D)을 포함하고, 받침체(23)에서 분리되어 나온 것을 나타내고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주요구조는 도 2와 도 4에서 나타나는데, 자성체를 포함한 활동부 및 코일(22A,22B,22C,22D)로 형성된 원주형태의 고정자(stator)를 가지고 있다. 코일(22A,22B,22C,22D)을 이용하여 중심에 자리를 정한 이동할 수 있는 활동부의 바깥 측, 그리고 외부 전원이 코일조합(22)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코일조합(22)에 전기가 통하면 자성감응을 발생하여 중심위치의 활동부를 조성한다. 활동부는 주위 고정자의 코일조합이기에 활동부를 포함한 자석 디스크(31,32,33)로 하여금 활동부 범위 내에서 전자감응을 발생하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실시범위를 포함하며 중심 정전기 부(central static portion)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며 수직으로 아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코일커버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된다. 모든 실시 예의 구조는 이 원칙수단으로 진폭을 바꾸어 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계면(界面)을 통하여 같지 않은 전류조건으로 하여금 코일(22A,22B,22C,22D)을 통과하게 하고 대응조건하에서 간헐성 전자감응을 발생하 여 진폭의 자장을 형성한다.
받침체(23)에 배치된 코일은 받침체(23) 속에 고정하여 놓을 수도 있으며 혹은 움직이고 활동할 수 있게 받침체(23) 속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받침체(23)는 흔히 알고 있는 자성전도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를테면 저 탄소재료이다. 코일 자체의 바깥 측은 비 전도성 재료로 성형하여 가리어 덮을 수도 있다. 이를테면 고분자 가소성재료이다.
도 2가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 디스크(31.32,33)는 특별히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크 사이의 배치를 통하여 자성 감퇴의 상태로 가까이 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일 밑 부분의 자석 디스크(31과 33)는 피차 N극과 S극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는데 N극은 모두 위로 향하며 S극은 모두 아래로 향한다. 그러나 자석 디스크(32)의 N극과 S극은 역방향으로 배치하여 자석 디스크(32)의 N극은 아래쪽에 있고 S극은 위쪽에 있어 자석 디스크(32)의 N극과 자석 디스크 (31)의 N극은 상대하고, 자석 디스크(33)의 S극과 자석 디스크(32)의 S극은 상대한다. 이 구조를 통하여 극성이 서로 배척하여 형성한 자기 흐름을 이용하여 전류가 코일을 통과하는 유로통로 중에서 총체적 전자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한 구조는 또 진폭의 전변(轉變,transfer) 중에 중요한 자성완충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진폭의 전변은 선형모터의 활동부(30)로부터 받침판(20)에 이르는 것이며 활동부(30)에서 인가되는 전자력을 옮겨 간다.
도 3b는 코일조합(22)이 여러 쌍의 역방향으로 감은 코일(22A,22B,22C,22D)을 포함하고 있은 것을 나타내는데 각 쌍의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 다. 코일(22A)은 코일(22B)과 연결되고, 코일(22B)은 코일(22C)과 연결되며, 코일 (22C)은 코일(22D)과 연결됨으로써 제일 위쪽의 코일(22D)도 마찬가지로 제일 아래쪽의 코일(2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3b는 각 코일이 전류가 흐르는 유동순환방향을 나타낸다.
받침체(23)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면 그는 자석 디스크(31,32,33)를 받치고 배치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받침체(23)는 활동부(30)의 내부구역에 배치하며 코일조합(22)의 전기 여기에서 전자감응장을 발생한다. 특히 자석 디스크(31)는 코일(22A와 22B) 사이에 상대하여 위치하여 있으며, 자석 디스크(32)는 코일(22B와 22C) 사이에 위치하여 있고, 자석 디스크(33)는 코일(22C와 22D) 사이에 위치하여 있다. 상술한 코일들은 감는 형태를 형성하며, 각자가 함께 순응 협력하여 자장을 발생한다. 이 자장은 자석 디스크(31,32,33)에 전달되며, 각자로 하여금 대응하여 전자감응을 형성하게 하여 전류의 흐름을 따라 위쪽 방향을 향하여 받침판(20)을 충격한다. 도 2와 같이 자석 디스크(31,32)의 극성과 자석 디스크(33)의 극성은 N-S, S-N 및 N-S로 배치하며, 각자는 이와 같이 방향을 돌려 대응 배치한 코일(22A-22B 및 22B-22C, 22C-22D)로 하여금 코일조합(22)이 전류를 통하게 하여 준 전기 여기 하에서 각자 협력적으로 자석 디스크(31,32,33)의 극성배치 위치를 따라 각 자석 디스크(31,32,33)로 하여금 위로 받침판(20)을 충격하게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받침체(23)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내부에 내실(54)을 형성하며 받침체(23)은 수직기둥(57)을 가지고 있는데, 대체로 내실(54)의 중심부분에 상대하고 있다. 수직기둥(57)을 중심으로 바깥 측에 지지스프 링(50)을 받쳐주는 여러 개의 오목하게 패인 구멍(5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대체로 둘레에 배치하여 지지스프링(50)을 받쳐주며 그를 통하여 강철 디스크(41B)를 접촉하고 지지한다. 또한 자석 디스크(31,32,33) 및 강철 디스크(41A,42A,42B,43A,43B), 받침판(20)도 지지하고 제한한다. 사용자는 받침판(20)위에 있어 정상적으로는 선형모터를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수직기둥(57)은 각 자석 디스크(31,32,33) 및 각 강철 디스크(41A,41B,42A,42B,43A,43B)의 구멍에 대응하여 끼워 맞추어 상술한 부품들이 받침체(23)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스프링(50)은 선형모터의 활동부(30) 주파수의 진동현상에 순응 배합한다. 지지스프링(50)을 설계한 의도는 사용자를 지지 및 사용자가 받침판(20)에 설 때 지탱할 수 있는 받침판(20)은 기다리는 상태일 때, 이러한 자석 디스크의 위치를 동시에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도 3B는 코일조합(22) 및 코일(22A와 22B), 코일(22B와 22C), 코일(22C와 22D) 피차 역방향으로 감는 상호관계를 나타낸다. 그들은 대체로 받침체(23)에 설치하며 선형모터의 활동부(30)의 바깥 주위 측에 상대한다(활동부(30)는 도 2를 참고).
도 4는 도 2와 배합하여 본 발명 선형모터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 예 중의 활동부(30)를 나타낸다. 도 4는 활동부(30)를 거꾸로 놓은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 4는 자석 디스크(31,32,33)와 강철 디스크(41A,41B,42A,42B,43A,43B)를 집합한 총체이다. 활동부(30)가 눌러서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자석 디스크(31,32,33) 및 각 강철 디스 크(41A,41B,42A,42B,43A,43B)는 쌓아놓은 형태를 나타내며, 각 자석 디스크(31,32,33)와 각 강철 디스크(41A,41B,42A,42B,43A,43B)는 강제로 매우 가까이한 상태에 진입하는데, 이는 눌러서 가까이하여 쌓아놓은 자석간 척력(magnetic repulsion force)과 대조된다.
회전방지 돌출물(anti-rotation protrusion)(60)은 볼트(61)를 이용하여 활동부(30)에 고정하고 볼트(61)는 고정하는 동시에 각 쌍의 배치된 구멍(62)을 관통한다. 각 볼트(61)는 모두 활동부(30)의 다른 한 면의 너트(도면에서 표시 안 됨)와 배합하고 고정하여 임시 창고의 외형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인접 자석간 척력보다 더욱 세서 그 인접한 자석 디스크를 압축하여 형성한 임시창고 상태와 각 자성을 집합하여 중요한 위치에서 유동하게 하는 사이에 처하게 한다. 회전방지 돌출물(60)은 동시에 발생하는 형식(pattern)으로 분배되고, 지지스프링(50)의 소재위치(스프링은 도 3A를 참고)를 따라 스프링(50)을 접수하는 스프링 커버에 순응하며 디스크(43B)의 회전을 방지한다.
강철 디스크의 각 면에 직면하는 자석 디스크는 자성적으로 확고하게 상반되는 면의 자석 디스크에 고정되어 있다. 특히 강철 디스크(43A와 43B)는 자성화로 자석 디스크(33)의 상반되는 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강철 디스크(42A,43B)는 자성적으로 자석 디스크(32)의 상반되는 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강철 디스크(43A,43B)도 자성적으로 자석 디스크(33)의 서로 상반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강철 디스크는 자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돌출물(20A)에 둘러싸인다. 그 돌출물(20A)은 받침판(20)의 내측으로부터 뻗어나간다. 자석 디스크의 자력 및 사용자에게서 오는 하중에 의거하여 각 인접한 강철디스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는 각 자석 디스크에 존재하는 극성이 같은 자성 척력 때문이다. 경질의 여러 개의 끼우개(rib)(20B)는 대체로 받침판(20)의 밑 부분 내측에 분포되어 있으며, 받침판(20)을 받치는 강성으로 사용한다. 베어링(58)은 활동부(30)에 상대한 수직기둥(57)의 회전동작을 촉진하여 매우 순조로울 수 있게 한다(수직기둥(57)은 도 3A를 참고). 수직기둥(57)은 베어링(58)에 상대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내측 부위는 속 구멍(57A)이다. 이 밖에도 예컨대 부싱 같은 부품도 모두 베어링(58)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베어링(58)의 형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선형모터의 조작실시는 그 코일에 전송하여 주는 전류 펄스를 따르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류(26)는 간헐적으로 전선을 감아서 된 4개 코일(22A,22B,22C,22D)에 인가된다. 이 4개의 코일은 3쌍의 역방향으로 감은 코일의 머리와 꼬리를 연결하여 만들어졌다. 전기 여기를 거쳐 각 쌍의 코일에 자장을 발생하며 또한 자장은 대체로 자석 디스크 방향을 향한 쪽을 따라 형성된다. 코일(22A)이 발생한 자장의 S극은 수직향 직선이며 또한 자석 디스크(31) S극의 밑보다 낮으며 위로 향한 상태로 자석 디스크(31)를 배척하는데 사용한다. 코일(22B)이 발생한 자장의 S극은 수직향 직선이며 또한 자석 디스크(31) N극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위로 자석 디스크(31)를 끌어당기는데 사용하며 위로의 감응력과 결합하여 받침판(20)과 부딪친다.
코일(22B)이 발생하는 자장의 N극은 수직향 직선이며 또한 자석 디스크(32) N극의 밑보다 낮으며 위로 향한 상태로 자석 디스크(32)를 배척하는데 사용한다. 코일(22C)이 발생하는 자장의 N극은 수직향 직선이며 자석 디스크(32) S극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위로 자석 디스크(32)를 끌어당기는데 사용하며 위로 향한 감응력과 결합하여 받침판(20)과 부딪친다.
코일(22C)가 발생하는 자장의 S극은 수직향 직선이며 또한 자석 디스크(32) S극의 밑보다 낮으며 위로 향한 상태로 자석 디스크(33)를 배척하는데 사용한다. 코일(22D)이 발생하는 자장의 S극은 수직향 직선이며 자석 디스크(33) N극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위로 자석 디스크(33)를 끌어당기는데 사용하며 위로 향한 감응력과 결합하여 받침판(20)과 부딪친다.
본 발명은 흔히 볼 수 있는 동력에너지를 공급에너지로 하는데 고압송전 회로망에서 오는 교류전류이다. 이를테면 인버터가 교류전류를 받으면 우선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전환하며 발생된 직류전류는 매우 낮은 파문(ripple)을 동반하게 된다. 선형모터의 동력은 전압변화제어를 거치고 진폭의 주파수는 선형모터 변화로 교류전류를 제어하여 선형모터와 같지 않은 주기조건을 공급하여 발생한다. 전류파형은 사인파를 띤 인버터에서 출력한다.
전류펄스 및 특별히 배치한 자성위치를 따라 이를테면 극성의 서로 배척과 대립하는 극성의 흡인을 합하여 위로 향한 상태와 아래로 향한 상태가 교체하는 간헐성 펄스를 제공하여 받침판(20)을 충격한다. 때문에 제어장치(27)에 배합하는 것으로 진동의 주파수와 폭을 설계한다.
자성과 그 윗면,아래면 연합은 경상(經常)적으로 가운데 위치한 코일이 필요하다. 최대 이용 효율을 사용하여 전수력(傳授力)으로부터 자석 디스크까지는 한 항목의 매개 변수이다. 이 매개 변수는 전기 여기 코일 감응 발생에 간헐성 유동을 수반하는 자장이다. 각 코일이 발생한 자장은 N극과 S극을 가지고 있으며, 위치에 적합한 자석 디스크가 코일에 관계되는 것은 그 전류가 코일에서 감응을 발생하는 과정이 관건이다.
선형모터는 받침판(20)으로 하여금 적합하게 여러 항목의 변화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선형모터는 더욱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고 받침판(20)에 서서 동작을 하는 인체에 대하여 같은 주파수와 넓은 변위를 제조한다. 이 받침판(20)의 변위 일부분은 받침판(20)에 위치한 부하 및 선형모터에 제공하는 동력에 의거하는 것으로 교류전류(26)를 통과한다. 받침판(20)에 서있는 적재중량은 전신 진동훈련 사용요구를 보고 변화하게 될 것이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 중의 비교적 우수한 방법에서의 예정 총합전력은 최초로 선형모터의 코일조합(22)에 적용되는 것이며 특히 선형모터는 작동상태에서 받침판(20)의 변위를 발생한다. 사용자가 변위의 범위를 설정할 때,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50)를 조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한 전류로 하여금 선형모터에 적용하여 진동을 발생하게 한다. 변위범위를 감응하는 감각 스위치는 받침판(20)의 진동을 탐측하는데 사용한다. 조작상태에 호응하는 제어장치는 변위 감응스위치로부터 탐측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또한 선형모터에 공급하는 전류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변위범위에 도달한다.
교류전류를 선형모터에 공급하는 제어형태. 본 발명 중에서는 제어장치(27)를 사용하는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제어장치(27)는 컴퓨터일 수도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일수도 있으며, 모터일 수도 있고 임의의 교류전류를 제어하는 설비장치(상기한 전류조절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형모터는 임의의 전압공급 전류에 적응하는 것으로 조작한다. 하지만 보통 비교적 좋은 조작상태는 12에서 400 볼트까지 이다. 가장 바람직게는 100에서 300볼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5)의 평면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선형모터를 갖춘 전신 진동훈련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받침판(20)의 진동 주파수는 통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에서 60헤르츠(HZ)까지 조정할 수 있으며 변위범위는 0.5에서 6㎜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보통 시간범위는 1분에서 20분 이내이다.
본 발명의 선형모터는 순수 사인파가 없는 교류전류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모터는 사인파의 전류입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선형모터는 회전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선형모터는 현저한 이용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임의의 형식의 교류전류를 동력원으로 할 수 있다. 종래의 회전모터가 삼상 여기 고정자를 요구하던 것을 바꾸어 각 하나의 상을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120도의 회전자에 분포되어 운전목적을 이루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및 기능을 설명하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이 기술을 잘 알고 있는 임의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원리 및 정신을 위배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수정 및 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와 같다.
본 발명의 기술수단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얻는 기능효과의 특징은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에서 열거한 바와 같다.
1. 본 발명은 선형모터를 진동훈련에 결합하는 것이다. 전력을 선형모터에 공급하여 간헐성,수직단향성 힘을 발생하여 인체를 지지하는 받침판에 가하여 인체로 하여금 진동력을 흡수하여 진동훈련의 효과를 거두게 한다. 때문에 종래의 회전모터를 응용할 때 복잡한 연결봉 구조배합을 필요로 하던 것과는 다르다. 본 발명은 구조가 더욱 간단하고 부피가 더욱 작고 편리하며 기계부품 조립의 원가 등을 없앤다.
2. 종래의 회전모터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포함하며 회전자는 자성전도 재료로 회전할 수 있는 부분을 만들고, 회전자 내에 설치한 고정자는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는 코일이다. 외부를 거쳐 전원을 제공하여 고정자를 통과하고 자력 상호작용을 발생하는 것을 통하여 회전자의 회전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응용하는 선형모터는 회전자가 필요 없으며 여러 개의 자석 및 강철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활동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전류를 공급하여 인접한 코일을 통과하여 자장을 발생해 준다. 본 발명의 디스크는 영구디스크 또는 전자디스크일 수도 있으며 코일조합 속에 설치되어 있다. 코일조합은 여러 쌍의 코일의 머리, 꼬리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쌍의 코일은 각각 두 개의 역방향으로 감은 코일로 구성되고 디스크를 통하여 극성이 서로 배척하는 형태로 번갈아 설치한다. 때문에 외부 전원이 코일을 통하여 산생하는 간헐성 전자감응작용은 인체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받침대에 수직방향으로 반복하여 진동하는 효과를 형성한다.
3. 본 발명은 임의의 교류전류를 적용하는 것이기에 교류전류의 인버터는 일반 전력에너지든 직류전류를 통하여 교류전류로 전환된 것이든 모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고정자,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전류조절기, 받침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자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되고 직선으로 배열되며 전원(electrical sourc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코일 내부 속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조절기는 간헐성 전류펄스를 발생하는 상기 코일에 가해지는 전류를 조절하며,
    상기 받침판은 인체를 지지하며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조절기의 전류조절은 상기 코일에 연결한 교류전류이며, 상기 자성체와 받침판의 수직왕복을 일으키며, 20HZ에서 60HZ까지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3. 전기전도체, 전류원(current source), 자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전도체는 인접한 코일에 설치하고, 상기 전류원에 연결하며,
    상기 전류원은 상기 전기전도체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전도체에 가해지는 교류전류에 의해 자장을 발생하며,
    상기 자성체는 코일 속의 방위에 배치하여 가운데의 자장이 되게 하며 전류순환에 의해 두 개 방향으로 작용한 힘이 발생하게 하여
    상기 자성체에 의해 진동을 받침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선형모터.
  4. 고정자, 상호작용 조합(reciprocating assembly), 받침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자는 두 개 이상의 도체로 인접을 형성한 코일을 포함하며, 각 하나의 코일을 모두 수직직선 상태로 배열하며, 각 하나의 코일은 서로 수평 평행되어 내실에 위치하며,
    상기 상호작용 조합은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내실에 지지하고 있고, 상기 내실에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포함하며, 각 하나의 자성체는 각 쌍의 코일에 수직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상호작용 조합에 의해 사용자를 지지하여
    간헐성 전류펄스가 상기 코일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선형모터.
  5. 직선을 이루며 배열된 한 쌍 이상의 코일을 형성하여 이 코일을 받침체에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상기 한 쌍 이상의 코일 속에 설정배치하고 안치하며,
    전류가 통과한 상기 코일의 통로를 통하여 간헐적으로 전자감응을 발생하여 받침판을 충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는 원통형의 내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내실은 코일에 배열배치를 제공하는 받침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는 감돌아 배열한 코일 내에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는 밑받침에 고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가 전자감응 상태로 상기 받침체와 밑받침을 상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는 밑받침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체는 전자감응 상태로 상기 밑받침과 자성체를 상대(相對)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는 밑받침에 고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는 전자감응 상태로 상기 밑받침과 받침체를 상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는 밑받침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체는 전자감응 상태로 사기 밑받침과 자성체를 상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는 전선에 의해 전류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는 전선에 의해 전류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받침판 진동발생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류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류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선형모터.
  1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류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선형모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자성체는 하나의 고정관계로 고정되며, 각 자성체 사이는 자성 척력으로 배치되며, 각 자성체는 같은 극성으로 인접 접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1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는 하나의 고정관계로 고정되며, 각 자성체 사이는 자성 척력으로 배치되며, 각 자성체는 같은 극성으로 인접 접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진동발생장치의 선형모터.
KR1020070055648A 2006-06-15 2007-06-07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KR100868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4,253 2006-06-15
US11/424,253 US20080036303A1 (en) 2006-06-15 2006-06-15 Linear motor for imparting vibration to a supported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505A true KR20070119505A (ko) 2007-12-20
KR100868793B1 KR100868793B1 (ko) 2008-11-17

Family

ID=3821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648A KR100868793B1 (ko) 2006-06-15 2007-06-07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036303A1 (ko)
JP (1) JP2007330790A (ko)
KR (1) KR100868793B1 (ko)
CN (1) CN101088484A (ko)
AU (1) AU2007202153B2 (ko)
CA (1) CA2593879C (ko)
DE (1) DE102007024835A1 (ko)
GB (1) GB2439168B (ko)
TW (1) TWI363482B (ko)
ZA (1) ZA200705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0632A1 (en) * 2006-06-15 2007-12-20 Progym International Ltd. Dual-motor whole body vibration machine with tilt mode
US20080179976A1 (en) * 2007-01-29 2008-07-31 Tonic Fitness Technology, Inc. Vibrating mechanism of a body vibration machine
US20090139354A1 (en) * 2007-01-29 2009-06-04 Mu-Chuan Wu Vibrating assembly for a vibration exerciser
US7498682B2 (en) * 2007-03-07 2009-03-03 Aaron Patrick Lemieux Electrical energy generator
US8688224B2 (en) * 2008-03-07 2014-04-01 Tremont Electric, Inc. Implantable biomedical device including an electrical energy generator
US8704387B2 (en) * 2010-01-06 2014-04-22 Tremont Electric, Inc. Electrical energy generator
WO2011085093A2 (en) 2010-01-06 2011-07-14 Tremont Electric, Llc Electrical energy generator
JP5028513B2 (ja) * 2010-08-06 2012-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能動振動制御装置
TR201907293T4 (tr) * 2012-07-10 2019-06-21 Koninklijke Philips Nv Cildi muamele etmek için bir cihaz
DE202012104852U1 (de) * 2012-08-31 2013-01-18 Uli Heinrich Georg Brüderlin Trainingsanordnung für Perturbationstraining
US20140276282A1 (en) * 2013-03-14 2014-09-18 Ppj. Llc Air massage device for a bed
US9775770B2 (en) 2014-11-17 2017-10-03 Vital Motion Inc. Device for applying stimulation to the foot or feet of a person
DE102015003854A1 (de) * 2015-03-26 2016-09-29 Hagen Katterfeld Therapievorrichtung
GB2548608A (en) * 2016-03-23 2017-09-27 Reza Khodabakhsh Mohammed Monopole magnetic flux apparatus
CN107716256B (zh) * 2016-08-11 2019-08-06 宏碁股份有限公司 振动产生装置
US10398897B2 (en) 2016-11-14 2019-09-03 Otolith Sound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US11284205B2 (en) 2016-11-14 2022-03-22 Otolith Sound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US10744363B1 (en) * 2019-02-22 2020-08-18 Jaquish Biomedical Corporation Exercise apparatus
WO2021073967A1 (en) 2019-10-15 2021-04-22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ciprocating rotary motion
CN113229171B (zh) * 2021-03-30 2022-05-17 锦州医科大学 一种动物的三维振动训练方法及频率参数的选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0048B (en) * 1983-10-14 1987-01-21 Alluvial Dredges Limited Pulsator device
JPS625359A (ja) * 1985-07-01 1987-01-12 林原 健 共振型振動伝達装置
US4782822A (en) * 1987-08-07 1988-11-08 Ricken James F Resonance frequency stimulator
US4858599A (en) * 1987-09-22 1989-08-22 Halpern Alan A Antiosteoporosis device and method
US5046484A (en) * 1988-08-03 1991-09-10 Osteo-Dyne, Inc.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bone disorders characterized by low bone mass
US4928959A (en) * 1988-12-16 1990-05-29 Osteo-Dyne,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ctive exercise treatment for a patient suffering from a bone disorder
US5191880A (en) * 1990-07-31 1993-03-09 Mcleod Kenneth J Method for the promotion of growth, ingrowth and healing of bone tissue and the prevention of osteopenia by mechanical loading of the bone tissue
US5273028A (en) * 1990-07-31 1993-12-28 Mcleod Kenneth J Non-invasive means for in-vivo bone-growth stimulation
US5103806A (en) * 1990-07-31 1992-04-14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for the promotion of growth, ingrowth and healing of bone tissue and the prevention of osteopenia by mechanical loading of the bone tissue
US5231336A (en) * 1992-01-03 1993-07-2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Actuator for active vibration control
US5628719A (en) * 1992-11-25 1997-05-13 Scimed Life Systems, Inc. In vivo mechanical energy source and perfusion pump
DE59410125D1 (de) * 1993-02-10 2002-07-04 Siemens Ag Gerät zur schmerztherapie und/oder zur beeinflussung des vegetativen nervensystems
US5484388A (en) * 1993-07-02 1996-01-16 Osteo-Dyne, Inc.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bone disorders by applying preload and repetitive impacts
JP3483959B2 (ja) * 1994-10-14 2004-01-06 Tdk株式会社 磁石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ポンプ
US5997490A (en) * 1997-02-12 1999-12-07 Exogen,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rapeutically treating bone fractures and osteoporosis
US6106491A (en) * 1998-02-23 2000-08-22 Weller Mobilizer, Inc. Shaking device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US6061597A (en) * 1998-12-18 2000-05-09 Robert D. Rieman Method and device for healing bone fractures
SE523460C2 (sv) * 2001-01-04 2004-04-20 Arctic Medical As Apparat för vibrationsstimulering av människokroppen
US6952060B2 (en) * 2001-05-07 2005-10-04 Trustees Of Tufts College Electromagnetic linear generator and shock absorber
US6884227B2 (en) * 2002-11-08 2005-04-26 Juvent,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herapeutically treating damaged tissues, bone fractures, osteopenia, or osteoporosis
JP4056874B2 (ja) * 2002-12-24 2008-03-05 睦夫 平野 振動装置
JP2005137566A (ja) 2003-11-06 2005-06-02 Aisin Seiki Co Ltd 寝具用加振装置及び寝具
US6904807B1 (en) * 2003-12-04 2005-06-14 Labworks, Inc. Shakers and methods of testing
KR100491094B1 (ko) * 2004-06-28 2005-05-24 김방배 자기 갭 방식의 수직 운동기
KR100541112B1 (ko) 2004-07-01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
KR100620147B1 (ko) * 2004-10-29 2006-09-13 김성배 진동형 운동 장치
KR20060007061A (ko) * 2006-01-05 2006-01-23 탁귀열 관성 솔레노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39168A (en) 2007-12-19
KR100868793B1 (ko) 2008-11-17
US20080036303A1 (en) 2008-02-14
ZA200705700B (en) 2008-04-30
CN101088484A (zh) 2007-12-19
GB2439168B (en) 2008-10-29
AU2007202153A1 (en) 2008-01-10
JP2007330790A (ja) 2007-12-27
CA2593879A1 (en) 2007-12-15
DE102007024835A1 (de) 2007-12-27
CA2593879C (en) 2010-08-10
TWI363482B (en) 2012-05-01
AU2007202153A9 (en) 2008-01-10
TW200828770A (en) 2008-07-01
AU2007202153B2 (en) 2009-10-08
GB0709295D0 (en)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793B1 (ko)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KR20080109619A (ko) 쌍 선형모터를 구비한 기울임 방식의 인체 진동발생장치
US10299901B2 (en) Drive system for personal-car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360999B2 (en) Magnetic levitation v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indications using the same
US20090221944A1 (en) Hand Held Massaging Tool
KR100701536B1 (ko) 로터리 장치의 제어 시스템
CN101657176A (zh) 机电按摩设备和可穿戴按摩装置
US20120319519A1 (en) High efficiency high output density electrical power generator
US20080157608A1 (en) Electric Oscillatory Machine
US20160035472A1 (en) Electromagnetic Energy Device with Improved Coil and Method of Use
EP0509993A1 (en)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ROTOR MAGNETIC CIRCUIT FOR GENERAT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PERFORMANCE.
JP2000513834A (ja) 英数字符号及び/又は図形符号の表示のための装置
JP6882883B2 (ja) 磁気治療用扁平モーター
US20170025909A1 (en) Brushless dc electrical generator
US6703724B1 (en) Electric machine
Kato et al. Optimization of asymmetric acceleration waveform for haptic device driven by two-degree-of-freedom oscillatory actuator
KR100978828B1 (ko)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의한 전동장치
TWI738090B (zh) 藉由磁力提高扭力之電機
US118265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load in physical exercise
JP3124908U (ja) 健康器具
RU2521602C2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й уравновешенный вибропривод
DK201500159A1 (en) An apparatus for stimulation of the function of a cell located outside the apparatus
WO2018147880A1 (en) Electrical generator
JP2011019381A (ja) 直流発電機
CN101257246A (zh) 电磁发动发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