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215A -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215A
KR20070119215A KR1020060053539A KR20060053539A KR20070119215A KR 20070119215 A KR20070119215 A KR 20070119215A KR 1020060053539 A KR1020060053539 A KR 1020060053539A KR 20060053539 A KR20060053539 A KR 20060053539A KR 20070119215 A KR20070119215 A KR 20070119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racket
groove
inse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1026B1 (ko
Inventor
전한병
Original Assignee
전한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한병 filed Critical 전한병
Priority to KR102006005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02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설치가 간편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수직부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하단은 수평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수직부재의 일부와 수평부재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그 상면과 하면에는 철근 지지홈과 볼트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는, 상면에 철근 지지홈이 마련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고 그 양단은 상기 몸체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는 브래킷과, 상기 몸체와 브래킷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볼트 고정홈이 형성된다.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슬래브, 철근 구조물, 거푸집, 마감패널

Description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Steel rest including insert par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 상기 제 1 실시예가 철근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제 2 실시예가 철근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110 : 브래킷
112 : 수직부재 114 : 수평부재
116 : 관통공(제 1 관통공) 118 : 제 1 결합돌기
120 : 몸체 122 : 철근 지지홈
124 : 볼트 고정홈 126 : 제 1 결합홈
128 : 제 2 결합돌기 130 : 베이스
132 : 삽입홈 134 : 고정부재
136 : 제 2 결합홈 138 : 제 2 관통공
200 : 슬래브 300 : 철근 구조물
310 : 철근 조립체 320 : 배력근 조립체
400 : 거푸집 500 : 마감패널
600 : 볼트
본 발명은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철근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설치가 간편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및 일반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는 전기 배선이나 각종 배관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장재로 마감패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마감패널에 아름다운 문양을 넣게 되면 상기 와 같은 기능적인 효과 이외에 시각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최근 천장 마감패널은 석고보드나 합판 및 밤나이트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슬래브 저면부에 매설된 인서트에 고정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천장 마감패널의 설치 방법은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제안 및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다수의 철근을 결속시켜 철골 구조물을 제작하고, 제작된 철골 구조물의 하부에 복수의 인서트를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인서트를 포함하는 철골 구조물이 완성되면, 철골 구조물 외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을 제거하여 슬래브를 완성하게 되고, 슬래브의 하면으로 노출된 인서트에 볼트를 체결하면 천장 마감패널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철골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인서트는 그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소정 높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철골 구조물과의 결합 시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한 용접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달라진다. 즉, 노련한 숙련공의 경우 용접된 인서트의 간격 및 높이가 동일하게 고정되는 반면, 초보자의 경우 용접된 인서트의 간격 및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고정되므로 거푸집 및 마감패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아니하다.
이와 같은 문제는 철골 구조물과 인서트의 접촉면이 각각 곡면과 평면이므로 발생된다. 서로 다른 형상의 접촉면은 상술한 문제점 이외에 또 다른 문제점을 발 생시키게 되는데, 철골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인서트의 하면이 거푸집의 상면과 평행하게 용접되지 못할 경우, 인서트와 거푸집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 사이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이물질이 유입되어 경화되면 인서트에 결합된 볼트가 풀리지 않아 거푸집의 제거 및 마감패널의 설치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탈착이 가능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는, 한 쌍의 수직부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하단은 수평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수직부재의 일부와 수평부재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그 상면과 하면에는 철근 지지홈과 볼트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는, 상면에 철근 지지홈이 마련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고 그 양단은 상기 몸체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는 브래킷과, 상기 몸체와 브래킷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을 포 함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볼트 고정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중 공지된 구성 및 그 구성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의 제 1 실시예는, 슬래브(도 6의 200)를 시공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도 5의 300) 하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도 5의 400) 및 천장의 마감패널(도 6의 5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브래킷(110)과 상기 브래킷(110)의 일부를 감싸는 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10)은 소정의 폭과 폭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를 절곡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브래킷(11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12)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부재(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와 이를 연결하는 수평부재(114)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20)는 상기 브래킷(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고, 그 상면에는 철근의 일부가 안착되는 철근 지지홈(122)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거푸집(400) 또는 마감패널(5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도 6의 600)가 결합되는 볼트 고정홈(12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 상단은 상기 몸체(120)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한 쌍의 수직부재(112) 사이에는 철근(도 6의 314)이 위치되어 철근 구조물(3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철근(314)은 그 일부가 상기 철근 지지홈(122)에 삽입되도록 안착되고, 양측으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와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112)의 상단은 철근(314)과 접촉 가능하도록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철근(314)의 직경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경우, 한 쌍의 수직부재(112) 상단은 서로 근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철근(314)의 양측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철근의 직경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경우, 한 쌍의 수직부재 상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철근의 양측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볼트 고정홈(124)의 중단을 횡단하는 수평부재에는 소정의 관통 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6)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트(600)와 치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20)에 형성된 볼트 고정홈(12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아니한데, 이는 상기 볼트 고정홈(124)에 처음 결합되는 볼트(600)에 의해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이렇게 함으로써 몸체(120)와 볼트(600) 사이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상기 몸체(120)는 볼트(600)보다 연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20)를 합성수지로 제작하였다. 상기 몸체(120)를 합성수지로 제작할 경우, 상기와 같이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소정의 방식처리가 된 금속 판재로 상기 브래킷(110)을 제작하게 되면, 부식 방지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정의 폭과 폭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를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하여 브래킷(110)을 제작하고, 상기 브래킷(110)의 수평부재(114)에 관통공(116)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공(116)의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브래킷(110)을 몰드 금형에 삽입하고, 브래킷(110)의 중단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몸체(120)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때,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116)의 상하로 연장되는 볼트 고정홈(124)이 형성된다.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제 1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에 의해 브래킷(도 2의 110) 과 몸체(도 2의 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반면,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브래킷(110)이 몸체(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브래킷(110)과, 상기 브래킷(11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140)로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10)은 제 1 실시예의 브래킷(도 2의 110)과 동일한 것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20)는 상면과 하면에는 철근 지지홈(122)과 볼트 고정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브래킷(11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 장착홈(1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140)는 일측으로 개방된 상기 장착홈(127)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20) 중 장착홈(127)이 개방된 일측면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덮개(140)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129)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129)가 삽입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덮개가 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120)의 일측면에 돌기(129)가 형성되고 덮개(140)의 일면에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와 돌기가 삽입되는 홈은 일반적인 것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110)이 몸체(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브래킷(110) 또는 몸체(120)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몸체(120)에 형성된 볼트 고정홈(124)의 하단 개구부에 마개(126)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마개(126)는 상기 볼트 고정홈(124)의 개구부를 통해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타설 중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볼트 고정홈(124)의 내부에서 굳어져 마감패널(도 6의 5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도 6의 600)를 고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마개(126)를 사용할 경우 그와 같은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126)의 외주면에는 걸림턱(126s)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고정홈(124)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턱(126s)이 삽입되는 걸림홈(124s)이 형성되어, 볼트 고정홈(124)에 결합된 마개(126)가 임의로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마개(126) 및 볼트 고정홈(124)에 각각 형성된 상기 걸림턱(126s) 및 걸림홈(124s)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제 1 실시예가 철근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200)를 시공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300)은 철근 조립체(310)와 상기 철근 조립체(310) 내부에 위치되는 배력근 조립체(320)로 구성된다. 상기 철근 조립체(310)는, 상부 철근(312)과, 상기 상부 철근(312)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하부 철근(314)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312, 314) 사이에 마련되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러스(31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력근 조립체(320)는 상부 배력근(322)과, 상기 상부 배력근(32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하부 배력근(324)과 상기 상부 및 하부 배력근(322, 324) 사이에 수직으로 마련되고 배력근 조립체(3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등간격 이격되는 지지철근(3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철근 조립체(310)와 배력근 조립체(32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복수의 철근 조립체(310)가 일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배력근 조립체(320)가 상기 철근 조립체(310) 내부에서 등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를 상부에서 볼 경우 상기 철근 조립체(310)와 배력근 조립체(320)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루되, 옆에서 볼 경우 상기 배력근 조립체(320)는 상기 트러스(316)의 상부 절곡부(316a) 및 하부 철근(314)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배력근 조립체(320)의 위치는 상술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트러스(316)의 하부 절곡부(316b) 및 상부 철근(31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철근 구조물(300)이 완성되면, 철근 조립체(310) 중 하부 철근(314)이 몸체(110)에 형성된 철근 지지홈(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수직부재(112) 사이에 상기 하부 철근(314)이 위치되도록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를 결합시킨 후, 상기 수직부재(112)와 하부 철근(314)의 접촉 부위, 즉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을 스폿용접(Spot Welding)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볼트를 이용하여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부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도 6과 같이 슬래브(200)가 완성되면 상기 볼트(600)를 풀러 거푸집(400)을 떼어 내게 되고 그 자리에 천장 마감패널(500)을 부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푸집(400) 또는 마감패널(500)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볼트(600)는 와셔(스프링 와셔 및 평 와셔)가 일체로 결합된 샘스볼트이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볼트(600)는 일반 샘스볼트와 상이한 구조 및 형상을 갖는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볼트(600)에 결합된 와셔(610)는 그 직경이 볼트(600)의 직경에 비하여 적어도 3배 이상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가 볼트머리(620) 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셔(610)의 직경을 크게 한 이유는 거푸집(400) 또는 마감패널(500)이 금속재가 아닌 목재인 경우 와셔(610)와 접촉되는 부위가 함몰되어 와셔(610)가 거푸집(400) 또는 마감패널(5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볼트(600)에 결합된 와셔(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스프링 와셔 역할도 겸하고 있다. 즉, 상기 와셔(610)에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체결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볼트(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 고정홈(114)의 내벽면에 나사산을 만들며 결합되는 바, 이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제거 되어야만 그 결합이 원활해진다. 따라서 상기 볼트(600)의 선단에는 소정의 요입부(630)가 형성되어 볼트(600) 결합 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저장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는, 상면에 철근 지지홈(122)이 마련되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양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브래킷(110)과, 상기 몸체(120) 및 브래킷(110)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는 베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20)는 육면체 형상으로 그 상면에는 철근 지지홈(122)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거푸집(400) 또는 마감패널(5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도 5의 600)가 결합는 볼트 고정홈(124)이 형성되며, 양 측면 및 전, 후면에는 소정의 제 1 결합홈(128a) 및 제 2 결합돌기(128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홈(128a)은 상기 몸체(120)를 감싸도록 결합된 브래킷(110)이 몸체(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브래킷(110)과의 결합 시 후술할 제 1 결합돌기(118)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돌기(128b)는 상기 베이스(130)에 결합된 상기 몸체(120)와 브래킷(110)이 베이스(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와의 결합 시 후술할 제 2 결합홈(136)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결합돌기(128b)는 제 2 결합홈(136)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단부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110)은 소정의 폭과 폭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는데, 그 형상은 상기 몸체(120)의 양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U자 형상으로 절곡된다. 즉, 상기 브래킷(11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12)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부재(114)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와 이를 연결하는 수평부재(114)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12)에는 상기 제 1 결합홈(128a)에 삽입되는 제 1 결합돌기(118)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114)에는 소정의 제 1 관통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통공(116)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고정홈(124)에 삽입된 상기 볼트(60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0) 및 브래킷(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에는 상기 브래킷(110)과 몸체(12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삽입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2)의 전면과 후면에는 그에 삽입된 몸체(120) 및 브래킷(1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134)가 상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재(134)에는 몸체의 제 2 결합돌기(128b)가 삽입되는 제 2 결합홈(1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30)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트 고정홈(124) 및 제 1 관통공(116)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 관통공(13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32)의 깊이는 상기 브래킷의 수평 부재 깊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는, 상기 몸체(120)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상기 수직부재(112)의 상단이 돌출되고, 그 사이로 철근(도 8의 314)이 삽입되도록 철근 구조물(도 8의 300)에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철근(314)의 하부는 상기 철근 지지홈(122)에 삽입되도록 안착되고, 그 양 측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12)와 접촉된다.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의 제 2 실시예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면에 철근 지지홈(122)이 형성되도록 육면체의 몸체(120)를 제작하고, 상기 몸체(120)의 양 측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과 폭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브래킷(110)을 제작한다. 이때, 상기 몸체(120)의 양 측면과 그에 대응되는 브래킷(110)의 수직부재(112)에는 제 1 결합홈(128a)과 제 1 결합돌기(118)가 각각 형성되어 몸체(120)에 결합된 브래킷(11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상면에 삽입홈(132)이 형성되도록 베이스(130)를 제작하고, 상기 삽입홈(132)에 상기 몸체(120)와 브래킷(110)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20)의 전, 후면과 그에 대응되는 고정부재(134)에는 제 2 결합돌기(128b)와 제 2 결합홈(136)이 마련되어 베이스(130)에 삽입된 몸체(120) 및 브래킷(11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상기 제 2 실시예가 철근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도 10의 200)를 시공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300)이 완성되면 철근 조립체(310) 중 하부 철근(314)이 몸체(110)에 형성된 철근 지지홈(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20)를 결합시킨 후, 브래킷(110)의 수직부재(112)와 하부 철근(314)의 접촉 부위, 즉 서로 대향하는 측면을 스폿용접(Spot Welding)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볼트를 이용하여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100)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00)을 부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도 10과 같이 슬래브(200)가 완성되면 상기 볼트(600)를 풀러 거푸집(400)을 떼어 내게 되고 그 자리에 천장 마감패널(500)을 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철근 구조물(300) 및 상기 제 2 관통공(138)을 통해 제 1 관통공(116)과 볼트 고정홈(124)에 결합되는 볼트(600)는 제 1 실시예에서 제시된 철근 구조물 및 볼트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의 구성 및 설치구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는 철근 지지홈에 철근이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13)

  1. 한 쌍의 수직부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 하단은 수평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브래킷;
    상기 수직부재의 일부와 수평부재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그 상면과 하면에는 철근 지지홈과 볼트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홈은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관통공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홈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결합 시 상기 볼트 고정홈에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볼트 고정홈과 마개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7. 상면에 철근 지지홈이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되고 그 양단은 상기 몸체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는 브래킷;
    상기 몸체와 브래킷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볼트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는 제 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제 2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몸체 결합 시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촉되는 고정부재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 2 결합돌기 또는 제 2 결합홈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관통공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홈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20060053539A 2006-06-14 2006-06-14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0791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539A KR100791026B1 (ko) 2006-06-14 2006-06-14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539A KR100791026B1 (ko) 2006-06-14 2006-06-14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215A true KR20070119215A (ko) 2007-12-20
KR100791026B1 KR100791026B1 (ko) 2008-01-03

Family

ID=3913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539A KR100791026B1 (ko) 2006-06-14 2006-06-14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33B1 (ko) * 2006-06-22 2008-10-24 양지수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93B1 (ko) * 2020-02-11 2021-09-30 다스코 주식회사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195Y1 (ko) * 1980-12-22 1981-11-30 송유섭 인 서 트
JP2796440B2 (ja) * 1991-02-05 1998-09-10 ジオスター株式会社 型枠内用鉄筋支持具
KR950019062U (ko) * 1993-12-13 1995-07-24 강환봉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간격유지구
JPH1171817A (ja) 1997-08-27 1999-03-16 Taisei Corp デッキプレート用高耐力インサートとキリ付ねじ及びこれらを用いたインサート施工方法
KR200308686Y1 (ko) * 1999-06-04 2003-03-29 희 철 남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써트
KR200200302Y1 (ko) 2000-03-17 2000-10-16 박성규 인서트
JP2002213023A (ja) 2001-01-22 2002-07-31 Meidensha Corp インサート器具
KR200323015Y1 (ko) 2003-05-03 2003-08-14 강신규 천정패널용 행거와 슬래브 철근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천정 시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33B1 (ko) * 2006-06-22 2008-10-24 양지수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026B1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100791026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90037721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09173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42013Y1 (ko)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KR19980028582A (ko) 일체식 보거푸집
KR100724616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200238498Y1 (ko) 보강망 장치
KR200400350Y1 (ko) 수직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고정구
KR200485813Y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매입잡철물 가설용 금속클램프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070117737A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KR20070000085U (ko) 가이드바 고정엘보우용 강도보강판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JP3321670B2 (ja) 生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設置器具
JPH0699422A (ja) 複合部材の製造方法
JP2004132156A (ja) コンクリートスペーサー
KR102653620B1 (ko) 너트 삽입 통신블록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CN213927267U (zh) 一种建筑外墙装饰板用挂件
KR20080001412U (ko) 삽입고정되는 거푸집용 폼타이
KR200416250Y1 (ko) 아웃트렛 박스의 조인트편 결합구조
JP3734209B2 (ja) 型枠用セパレ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