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038A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038A
KR20070119038A KR1020077023771A KR20077023771A KR20070119038A KR 20070119038 A KR20070119038 A KR 20070119038A KR 1020077023771 A KR1020077023771 A KR 1020077023771A KR 20077023771 A KR20077023771 A KR 20077023771A KR 20070119038 A KR20070119038 A KR 2007011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tact
intermediate cover
suppor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끼 고지마
다께시 이시까와
다이고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81/027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double-wa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16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extensions hinged to the side edge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76U-shaped elements supporting the articles along substantially their whole length, e.g. a cra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545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a closure hinged to an edg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ampoules; for lamp bulbs; for electronic valve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천장면을 개방한 하측 상자부(30)와 천장면의 일부를 폐쇄하는 중간 덮개부(20)와 중간 덮개부(20)를 위로부터 덮어 천장면을 폐쇄하는 상측 덮개판(10)을 갖고, 1매 종이의 상자 형성용 기판(1)을 절곡하여 조립한 포장용 상자(S)이며, 중간 덮개부(20)는 접촉부(22a), 연결 지지부(22b), 중간 덮개판(21)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한 완충부 형성판(22)으로 형성된다. 접촉부(22a)는 연결 지지부(22b)에 의해 중간 덮개판(21)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유지되어 중간 덮개부(20)에 2중 구조가 형성된다. 연결 지지부(22b)는, 접촉부(22a)와 물품과의 접촉 위치(바람직하게는 천장면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일렬로 배열된 물품의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닿는 길이로 된다. 연결 지지부(22b)에 의해 측면 개봉으로 해도 같은 완충 효과가 얻어진다.
하측 상자부, 중간 덮개부, 상측 덮개판, 접촉부, 연결 지지부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PACKAGING BOX}
본 발명은 깨지기 쉬운 앰플 등을 수납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충격에 의한 앰플 등의 파손 및 산일(散逸)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용 종이 상자 등에 앰플 등의 깨지기 쉬운 내용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종이 상자와 내용물과의 간극에 발포 부재나 에어 캡 등의 완충재가 충전되어 있었다. 또한, 내용물의 형태에 맞추어 성형된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에 내용물을 넣은 후, 종이 상자 안에 수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포장 방법에서는, 종이 상자와는 별개 부재로 완충재를 준비할 필요가 있고, 또한, 포장 공정이 번잡화되기 때문에, 포장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1매의 블랭크판을 절첩하여 조립되는 종이 상자에 있어서, 종이 상자의 내주면 전체면에 완충부를 형성하는 고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2562648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완충 종이 상자는, 종이 상자의 천장면을 구성하는 상 측 덮개의 단부가 연장되어 상측 덮개보다도 폭이 좁은 덮개부 완충판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덮개부 완충판을 절곡하여 선단부를 상측 덮개의 이면측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 상측 덮개의 외주부를 제외한 광범위한 부분이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완충 종이 상자에는, 측면 및 바닥면을 2중 구조로 하는 내측 상자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측 덮개를 폐쇄하면 내측 상자체의 상부의 개구에 상측 덮개의 2중 구조 부분(덮개 완충부)이 끼워 넣음 폐쇄되어, 수납 공간의 전체 주위면에 완충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완충 종이 상자에서는, 수납 공간의 천장면 전체면이 2중 구조 부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2중 구조의 상자체 내부측의 면을 구성하는 덮개부 완충판은, 수납 공간의 측면에 근접하는 단부 위치에 있어서만 상측 덮개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측 덮개와 덮개부 완충판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재는, 수납 공간의 단부 위치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덮개 완충부의 중앙부에 지지 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압박되면 용이하게 휨이 발생하여, 수납 공간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내용물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1매의 블랭크 시트로부터 펀칭한 종이제 기판으로 내측 상자체 및 외측 상자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조립이 번잡하여 제조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납 공간에 수납된 앰플 등의 내용물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산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천장면 중앙부에 있어서도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지는 완충 구조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1매의 기판의 절곡에 의해 상자체 및 완충 구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 공정을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천장면측으로부터 개봉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이 취출되기 쉬운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면 및 천장면과, 상기 바닥면과 상기 천장면을 접속하는 측면과, 상기 천장면을 따라 배치된 완충부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이며, 상기 완충부는 1편의 완충부 형성편을 절곡 조립하여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 형성편은, 일단부가 상기 천장면의 소정 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천장면에 대해 대략 수직을 이루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측면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천장면에 대략 평행하고 또한 상기 천장면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위치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과 상기 지지편을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완충부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물품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과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면과 천장면을 측면에 의해 접속하여 형성한 포장용 상자의 천장면을 따라 완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완충부는, 천장면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천장면과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마련된 접촉면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완충부는, 천장면과 접촉면과의 사이에 완충 공간을 마련한 2중 구조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포장용 상자의 내부 즉 완충부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수납된 물품은, 천장면측에 완충 공간을 갖는 접촉면에 의해 접촉 지지된다. 이 접촉면은, 물품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 지지면에 접속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2중 구조의 완충부는, 지지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는, 충격에 의해 접촉면이 용이하게 휘기 때문에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것에 반해, 지지면이 마련된 위치에서는, 지지면에 의해 접촉면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접촉부가 휘기 어렵다. 즉, 지지면이 마련된 위치에서 접촉면에 물품이 접촉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지므로, 물품은 덜걱거리는 일없이 확실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완충부가, 접촉면과 물품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접촉면이 지지면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져,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완충 효과를 갖는 완충부를, 접촉편과 지지편을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1매의 완충부 형성편을 절곡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1매 종이에 의해 천장면을 따라 완충부를 입체적으로 세워 올릴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이화되어,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속부가, 상기 완충부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열되는 모든 물품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촉 위치에 마련되면 적절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나란히 수납된 복수의 물품의 전부가, 접촉면 중, 지지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부위에 의해 접촉 지지되므로, 수납된 물품의 전부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 및 물품의 산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면을 마련하는 위치를, 수납되는 물품의 형상, 크기, 배열에 따라서 조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면과 측면을 갖고 천장면이 개방된 하측 상자와, 상기 천장면의 일부를 폐쇄하는 중간 덮개와, 상기 천장면을 상기 중간 덮개의 위로부터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천장면 중 상기 중간 덮개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부위를 포함하여 폐쇄하는 상측 덮개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이며, 상기 중간 덮개는 1편의 중간 덮개 형성편을 절곡 조립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간 덮개 형성편은, 일단부가 상기 하측 상자의 일측면 상단에 접속되는 중간 덮개면을 형성하는 중간 덮개편과, 상기 중간 덮개면의 상기 바닥면측에 상기 중간 덮개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조립되고 일단부가 상기 일측면에 접속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편과, 상기 중간 덮개면과 상기 접촉면에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접속되고 상기 중간 덮개면과 상기 접촉면을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연결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 상기 지지편, 상기 중간 덮개편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접촉면과 상기 하측 상자 내부의 물품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과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장면의 일부를 중간 덮개로 폐쇄한 하측 상자를 형성하고, 중간 덮개의 위로부터 폐쇄되어 있지 않은 개구 부분을 상측 덮개로 덮어 폐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측 덮개를 개봉하는 것에 의해, 천장면 중 중간 덮개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개구 부분으로부터 내부의 물품이 취출 가능하게 된다. 즉, 천장면으로부터 개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간 덮개면의 바닥면측에, 중간 덮개면과 대략 평행하게 접촉면이 마련되고, 또한, 이 중간 덮개면과 접촉면을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연결하는 지지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덮개면과 접촉면과의 사이에 완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즉, 천장면에 2중 구조부를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포장용 상자의 하측 상자 내부에 수납된 물품은, 천장면측에 완충 공간을 갖는 접촉면에 의해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이 접촉면은, 물품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 지지면에 접속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져,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완충 효과를 갖는 중간 덮개를, 접촉편, 지지편, 중간 덮개편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1매의 중간 덮개 형성편을 절곡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1매 종이에 의해 천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간 덮개의 바닥면측에 완충부를 입체적으로 세워 올릴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이화되어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속부가, 상기 하측 상자 내에 나란히 배열되는 모든 물품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촉 위치에 마련되면 적절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하측 상자 내에 일렬로 나란히 수납된 복수의 물품의 전부가, 접촉면 중, 지지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부위에 의해 지지 되므로, 수납된 물품의 전부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 및 물품의 산일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면을 마련하는 위치를, 수납되는 물품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 조정함으로써 충분한 완충 효과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간 덮개편에는, 상기 하측 상자의 측면 상단부에 접속된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한 쌍의 절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입부에 의해, 상기 중간 덮개편의 일부에 절곡 기립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 기립편은, 그 기부측이 상기 지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선단부측이 상기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 적절하다. 이와 같이, 중간 덮개편에 절입부를 마련하여 형성한 절곡 기립편을, 접촉편 및 지지편으로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1편의 중간 덮개 형성편으로부터 완충 구조를 입체적으로 세워 올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공정을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속부가, 상기 하측 상자의 측면 중, 상기 접촉편이 접속되는 측면에 인접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까지 닿도록 마련되면 적절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하측 상자의 측면 중, 중간 덮개편이 접속하는 일측면을 따라 일렬로 물품을 배열하는 경우에, 물품이 배열되는 방향의 전체 범위에 걸쳐 접촉면이 마련되고, 또한, 그 전체 범위가 지지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수납된 물품의 전부를 더욱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된 물품의 전부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 및 물품의 산일 방지 효과가 얻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접촉편이 접속되는 측면과 대략 평행하며 상기 천장면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면 적절하다. 이와 같이, 지지면이 천장면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있으면, 물품에 확실하게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 충분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측 덮개를 형성하는 상측 덮개편, 상기 하측 상자의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측면편, 상기 하측 상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편, 상기 제1 측면편에 대향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편, 상기 중간 덮개편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편의 양측에 각각 제3 측면편, 제4 측면편이 꺾음선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편 및 상기 제2 측면편의 양측에 각각 플랩편이 꺾음선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덮개편의 양측에 상기 제3 측면편, 상기 제4 측면편을 각각 외측으로부터 덮는 제5 측면편, 제6 측면편이 꺾음선을 통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1매의 상자 형성용 기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적절하다. 이와 같이, 1매의 기판의 절곡에 의해 포장용 상자 및 완충 구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 공정을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측 덮개에는 파단 가능한 절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입부에 의해 개봉 가능하게 구성하면 적절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측 덮개의 일부를 상방으로 잡아 당기는 것만으로, 이 절입부의 파단에 의해 용이하게 상측 덮개를 개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덮개가 마련된 천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개봉 가능한 천장면 개봉형의 포장용 상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생한다.
(가) 천장면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천장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접촉면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천장면이 일부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면과 물품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접촉면이 지지면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면이 마련된 위치에서는, 지지면에 의해 접촉면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접촉부가 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져, 내부의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 수납되는 물품의 형상, 크기, 배열에 따라서 지지면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납된 물품의 전부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면과 접촉면과의 접속부를, 수납된 모든 물품과 접촉면과의 접촉 위치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수납된 복수의 물품의 전부를, 지지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부위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천장면의 대략 중앙에 지지면을 마련하면, 물품에 확실하게 접촉하는 천장면 중앙부에 있어서 충분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
(다) 1편의 완충부 형성편 또는 중간 덮개 형성편을 절곡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해,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완충 구조를 입체적으로 세워 올릴 수 있다. 또한, 포장용 상자 전체를 1매의 상자 형성용 기판을 절곡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간이화되는 동시에 저비용화로 제조 가능하게 된다.
(라) 상측 덮개를 개봉하는 것에 의해, 천장면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내부의 물품이 취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개봉 후의 물품의 취출이 용이하고, 적절하다. 또한, 파단 가능한 절입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덮개판을 잡아 당겨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상측 덮개를 개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용 상자의 개봉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용 상자의 개봉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개봉 전 및 개봉 후의 포장용 상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용 상자를 조립하기 위한 상자 형성용 기판의 전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용 상자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용 상자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7은 앰플을 포장용 상자에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8은 제1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의 완충부의 위치 및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제2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0은 제2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1은 제3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2는 낙하 시험에 사용한 시험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3은 낙하 시험에 사용한 시험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4는 종래예의 완충 2중 구조에 의한 완충 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부재, 배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따라 각종 개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포장용 상자의 구성)
본 예의 포장용 상자(S)는, 앰플 등을 수납하기 위한 천장면으로부터 개봉 가능한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이며,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방형의 천장면 및 바닥면과, 바닥면의 주위에 마련된 측면을 구비하고, 상측 덮개판(10)과, 상측 덮 개판(10)에 의해 덮이는 중간 덮개부(20)와, 내부에 앰플 등을 수납하는 하측 상자부(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포장용 상자(S)의 천장면은, 도3의 (a)(도1의 A1-A1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봉 전의 상태에서는, 하측 상자부(30)의 긴 변측의 측면 상단부에 접속된 상측 덮개판(10)을, 다른 측면 상단부에 접속된 중간 덮개부(20) 상에 중첩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측 덮개판(10)은 대략 장방형이며, 자유단부측의 긴 변의 중앙부에 약간 돌출하는 개봉편(11)이 마련되어 있고,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개봉편(11)의 기단부로부터 양 짧은 변의 중앙 부근까지, 파단 가능한 절취선 형상의 절입부(12)(12a, 12b)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개봉편(11)을 상방으로 잡아 당겨 이 절취선을 파단하는 것에 의해, 도2, 도3의 (b)(도2의 B1-B1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덮개판(10)을 절개하여 그 아래의 중간 덮개부(20)에 마련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취출구를 외부에 노출시켜, 포장용 상자(S)를 개봉할 수 있다.
본 예와 같이 천장면으로부터 개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개봉과 동시에, 수납된 앰플의 외관 및 수량을 취출구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봉 상태에 있어서, 앰플을 낙하시킬 가능성이 낮다.
중간 덮개부(20)는, 포장용 상자(S)의 천장면을, 일부를 제외하고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 도6은 이 포장용 상자(S)의 조립 도중인 상태를 도시하는 것인데,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덮개부(20)는, 자유단부측의 긴 변의 중앙부가, 천장면의 중앙 부근까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되도록 조립된다. 이 절결부가, 앰플 등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로 된다. 또한, 중간 덮개부(20)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짧은 변측에 마련된 상측판(23, 24)을 절곡하여 하측 상자부(30)의 짧은 변측의 측면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중간 덮개부(20)의 조립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 덮개부(20)의 일부가 2중 구조로 되고, 포장용 상자(S)의 천장면의 일부가 완충 작용을 갖는 것으로 된다.
하측 상자부(30)는, 바닥이 얕고 직육면체 형상의 천장면이 개방된 상자이며, 내부에는 앰플(2)을 횡 일렬로 배열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앰플(2)은, 도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앰플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앰플의 외형에 맞춘 보유 지지부가 대략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트레이형의 론드레이션(3)의 상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론드레이션(3)은 공지의 완충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자 형성용 기판의 구성)
본 예의 포장용 상자(S)는, 공백지(블랭크 시트)를 펀칭하여 형성한 1매 종이로 이루어지는 상자 형성용 기판(1)을 절곡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자 형성용 기판(1)은,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부측에 상측 덮개판(10)이 마련되고, 상측 덮개판(10)의 긴 변측에는, 대략 동일 폭의 하측판(32), 바닥판(31), 하측판(33), 중간 덮개판(21)이 이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 련되어 있다.
바닥판(31)의 짧은 변측에는, 포장용 상자(S)의 짧은 변측의 측면을 이루는 하측판(34, 35)이 각각 연장되어 있다. 또한, 포장용 상자(S)의 긴 변측의 측면을 이루는 하측판(32)의 짧은 변측에는 플랩(41, 42)이 각각 연장되고, 하측판(33)의 짧은 변측에는 플랩(43, 44)이 각각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측판 및 플랩은, 각각 꺾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중간 덮개판(21)에는, 짧은 변측에 상측판(23, 24)이 각각 꺾음선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긴 변측에 한 쌍의 절입부(22d, 22e)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입부에 의해, 중간 덮개판(21)의 일부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완충부 형성판(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완충부 형성판(22)이 본 발명의 절곡 기립편에 상당하고, 완충부 형성판(22)을 포함하는 중간 덮개판(21)이 본 발명 중간 덮개 형성판에 상당한다.
완충부 형성판(22)은, 상자체 천장면의 이면측, 즉 중간 덮개판(21)의 바닥면측에, 도5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부(R)를 형성하는 것이며, 그 기부는, 꺾음선(A)을 통해 중간 덮개판(2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꺾음선(A)은 중간 덮개판(21)의 긴 변과 대략 평행하며, 중간 덮개판(21)의 대략 중앙을 지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완충부 형성판(22)의 선단부는 중간 덮개판(21)으로부터 일부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완충부 형성판(22)은, 기부측에 연결 지지부(22b)가 마련되고, 연결 지지부(22b)의 선단부측에는 꺾음선(B)을 통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접촉부(22a)가 접 속되고, 접촉부(22a)의 선단부측에 꺾음선(C)을 통해 대략 직사각 형상의 고정부(22c)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연결 지지부(22b)는, 꺾음선(B)과 대략 평행한 꺾음선(A)을 통해, 중간 덮개판(2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 지지부(22b)가 본 발명의 지지편에 상당하고, 접촉부(22a)가 본 발명의 접촉편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꺾음선(A)의 위치에서 완충부 형성판(22)을 바닥면측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중간 덮개판(21)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절결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 절결 개구부는, 개봉시에 하측 상자 내부의 물품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로서 이용된다.
이상과 같은 상자 형성용 기판(1)의 구성에 의해, 하측판(32), 바닥판(31), 하측판(33), 하측판(34, 35), 플랩(41, 42), 플랩(43, 44)으로부터 하측 상자부(30)가 형성된다. 즉,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31)의 네 둘레에 하측판(32 내지 35)을 절곡하여 세워 올린다. 그리고, 인접하는 하측판끼리를 플랩(41 내지 44)을 통해 각각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덮개판(21), 완충부 형성판(22), 상측판(23, 24)으로부터 중간 덮개부(20)가 형성된다. 중간 덮개부(20)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완충부 형성판(22)에 의해 중간 덮개판(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완충부(R)를 구비하고 있다.
(완충부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다음에, 도3, 도6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상자 형성용 기판(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본 예의 포장용 상자(S)의 특징적인 구성인 완충부(R)에 대 해 설명한다. 이 완충부(R)는, 상기 형상 중간 덮개판(21) 및 완충부 형성판(22)에 의해 포장용 상자(S)의 천장면 이면측에 마련되는 2중 구조 부분이며, 천장면 이면측에 완충 공간(R1)을 형성하는 것이다.
완충 공간(R1)을 구비한 완충부(R)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완충부 형성판(22)의 꺾음선(A, B) 및 중간 덮개판(21)의 꺾음선(D)(도4 참조)을 포장용 상자의 내부측, 즉 조립했을 때에 천장면 이면측으로 되는 측(도6에 나타내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꺾음선(C)을 포장용 상자의 외부측(도6에 나타내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절곡한다. 그리고, 하측판(33)에 고정부(22c)를 고정한다. 이때, 꺾음선(A 내지 D)은 각각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예의 상자 형성용 기판(1)은, 꺾음선(A)과 꺾음선(D)과의 간격이, 꺾음선(C)과 꺾음선(B)과의 간격에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22c)는, 꺾음선(D)과 꺾음선(C)이 연결 지지부(22b)의 짧은 변 방향의 폭 치수[도3의 (b), 도6에 나타내는 치수(X)]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완충부(R)를 조립하면, 도3의 (a), 도3의 (b)에 나타내는 본 예의 포장용 상자(S)의 단면 구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22a)는, 중간 덮개판(21)보다 상자 내부측(천장면 이면측으로 되는 측)에 중간 덮개판(21)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되고, 중간 덮개판(21)과의 사이에 완충 공간(R1)을 갖는다. 그리고, 접촉부(22a)는, 일단부가, 꺾음선(A, B)의 위치(즉, 천장면의 짧은 변 길이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연결 지지부(22b)를 통해 중간 덮개판(2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타단부는 포장용 상자(S)의 측면을 이루는 하측판(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완충부 형성판(22)을 절곡하는 것에 의해, 중간 덮개판(21)에는, 자유단부측의 긴 변의 양단부를 남기고 천장면의 중앙 부근까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절결부가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이 절결부가 앰플 등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로 된다.
상자 형성용 기판(1)은, 이와 같이, 중간 덮개판(21)에 앰플 등의 취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절결되는 부분을, 완충부(R)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완충부(R)를 형성하기 위해 별개 부재의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간이화되는 동시에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게 되어 적절하다.
이상과 같이, 본 예에서는, 1매 종이의 상자 형성용 기판(1)을 절입부를 부여하여 형성하고, 절곡 조립하는 간이한 제조 공정에 의해, 천장면 중앙에 완충부(R)를 입체적으로 세워 올릴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간이한 제조 공정에 의해, 중간 덮개판(21)과 접촉부(22a)의 2면으로 이루어지는 2중 구조와, 이들 2면의 사이의 완충 공간(R1)과, 이 완충 공간(R1)의 측면부를 둘러싸고 2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접촉부(22a)를 지지하는 연결 지지부(22b) 및 하측판(33)을 갖는 완충부(R)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간이한 구성 및 제조 공정의 완충부(R)에 의해,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예의 완충 구조에 비해 유리한 완충 효과가 발휘되어, 내부에 수납한 앰플 등을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원 출원인은, 본 예와 같은, 지지부와 지지부와의 사이에 접촉면을 걸쳐 이 접촉면에 접촉되는 물체를 지지하는 2중 구조의 완충부는, 접촉면 중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부위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부위에 비해, 구조상 불안정이며 충격에 의해 휘기 쉽고,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에 착안했다. 예를 들어, 도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종래 기술의 완충 구조와 마찬가지인, 덮개 부분이 전체면 2중 구조이며 2중 구조부의 외주에만 지지부가 마련된 완충 종이 상자에서는, 상자 중앙부에 있어서, 물품은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휘기 쉬운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충격시에는, 도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가 휘는 것에 의해 물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1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품이 종이 상자 내에서 덜걱거려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반해, 본원 출원인은, 앰플 등의 파손되기 쉬운 내용물을 복수 배열하여 수납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충분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간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저비용인 완충부의 구성을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도3의 (a), 도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중 구조부와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이 접촉되어 물품이 지지되는 위치에, 2중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마련하는 것에 상도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지부를 위치 설정하는 것에 의해, 충격에 의해 휘기 어려운 부위에 의해 물품이 접촉 지지되므로, 충격이 완충되는 동시에, 물품이 덜거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 즉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상도했다.
이와 같은 고찰을 기초로 하여, 본 예의 완충부(R)는, 접촉부(22a)의 일단부 를 지지하는 연결 지지부(22b)를, 천장면의 짧은 변 길이의 중앙 부근을 지나 긴 변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했다. 즉, 연결 지지부(22b)의 위치를, 도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용 상자(S)의 내부 공간에 횡 일렬로 나란히 수납된 앰플(2) 각각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을 횡단하도록 위치 설정했다. 또한, 연결 지지부(22b)의 길이를, 그 양단부(N, M)가, 양단부에 위치하는 앰플(2a, 2b)의 중심까지 도달하도록 설정했다. 도7의 (b)에 있어서, 완충부(R)가 마련되어 있는 부위, 즉 2중 구조로 되어 있는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예의 완충부(R)는, 접촉부(22a)(도3 참조)의 일단부가, 수납된 모든 앰플(2)의 중앙 부근과 접촉되고, 또한, 이 접촉 위치에서 연결 지지부(22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앰플(2)의 중앙 부근에서는,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지지부(22b)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이 완충되어 있어, 접촉부(22a)가 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앰플(2)과 접촉부(22a)가 접촉되는 천장면 중앙부에 완충부를 마련하면, 앰플(2)을, 그 중앙 부근에서, 접촉부(22a)에 의해 덜걱거리는 일없이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구성에서는, 확실하게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확실하게 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주제제의 앰플 등의 중량이 있는 내용물에 대해서도 충분한 완충 효과가 발휘되므로 파손 등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예의 완충부(R)는, 접촉부(22a)의 다른 한쪽의 단부가 하측판(33)(도3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단부 부근에 있어서도, 연결 지지부(22b)에 의해 지지되는 단부와 마찬가지로, 충격이 완충되어 접촉부(22a)가 휘는 일이 없다. 본 예에서는, 하측판(33)측이 앰플 바닥부측으로 되도록 모든 앰플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앰플(2)은 중앙부와 바닥부가 대략 동일 직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촉부(22a)는, 하측판(33)측의 단부에 있어서 모든 앰플(2)과 접촉된다. 따라서, 모든 앰플(2)의 바닥부가 접촉부(22a)에 의해 덜걱거리는 일없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모든 앰플이, 중앙부와 바닥부의 2군데에 있어서 덜걱거리는 일없이 지지되어 있으면, 종래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완충 구조와 비교하여 완충 효과가 대폭 개선되므로 파손 등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제1 개변예 : 완충부의 위치 및 형상의 개변)
본 발명의 완충부(R)의 위치 및 형상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의 (b) 내지 도8의 (g)에, 제1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에 마련된 완충부(R)의 위치 및 형상을 도시한다. 또한, 도8의 (a)는 상기 실시예의 포장용 상자(S)에 있어서의 완충부(R)의 위치 및 형상이다. 도8에는, 도7의 (b)와 마찬가지로, 완충부(R)가 마련되어 있는 부위, 즉 2중 구조로 되어 있는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8의 (b)에 도시하는 포장용 상자(S1)는, 완충부 형성판(22)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지 않고, 직사각 형상으로 한 것이다. 본 예에서는, 연결 지지부(122b)가, 상자의 양단부에 수납된 앰플(2a, 2b)의 중앙보다도 약간 외측까지 닿는 폭으로 되어 있어, 더욱 확실하게 양단부의 앰플을 포함하는 전체 앰플이 접촉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8의 (c)에 도시하는 포장용 상자(S2)에서는, 연결 지지부(222b)의 양단부가 하측 상자부(30)의 짧은 변측의 양측면까지 닿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도8의 (d)에 나타내는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S3)의 연결 지지부(322b)는, 도8의 (b), 도8의 (c)에 나타내는 개변예를 조합한 것이다.
도8의 (e)에 도시하는 포장용 상자(S4)는, 연결 지지부(422b)가, 천장면의 짧은 변 길이의 중앙이 아닌, 약간 앰플(2)의 헤드측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8의 (f)에 도시하는 포장용 상자(S5)는, 연결 지지부(522b)가, 천장면의 각 변에 대해 비스듬하게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도8의 (g)에 도시하는 포장용 상자(S6)는, 연결 지지부(622b)의 중앙부가 천장면의 짧은 변 길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부로부터 양단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양단부는 약간 앰플(2)의 바닥측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것이다.
이들의 각 구성에서는, 모두 2중 구조부와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이 접촉되어 물품이 지지되는 위치에, 2중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휘기 어려운 부위에 의해 물품이 접촉 지지되어, 충격이 완충되는 동시에, 물품이 덜걱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진다.
(제2 개변예 : 개봉면의 위치의 개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천장면으로부터 개봉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포장용 상자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측면으로부터 개봉하는 포장용 상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9, 도10은 제2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S7, S8)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예의 포장용 상자(S7)는, 도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면 판(710), 측판(733), 바닥판(731), 측판(732)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된 블랭크판을 절곡 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장면판(710)과 대략 평행하게 접촉부(722a)가 형성되고, 천장면판(710)의 상자 내부측에 완충 공간(R1)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722a)는 일단부가 측판(733)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연결 지지부(722b)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 지지부(722b)는, 천장면판(710)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천장면판(710)과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지지부(722b)의 타단부는, 측판(732)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천장면판(710)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된 접속판(736)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포장용 상자(S8)는, 도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면판(810), 측판(833), 바닥판(831), 측판(8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포장용 상자(S8)는, 접촉부(822a)가 측판(832)이 아닌 측판(833)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점, 천장면판(810)의 선단부에 측판(833)을 덮는 플랩(833a)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포장용 상자(S7)와 다르지만,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촉부(822a)와 연결 지지부(822b)에 의해 2중 구조의 완충 공간(R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의 포장용 상자(S7, S8)에서는, 도9의 (b), 도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 마련된 개봉부를 개봉하고, 측면으로부터 앰플(2)의 취출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지지면 및 접촉면을 갖는 완충 구조는, 본 예와 같은 천장면 개봉형이 아닌 포장용 상자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충분한 완충 효과가 얻어져, 내부의 물품의 파손 및 산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3 개변예 : 물품의 적층수의 개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앰플(2)을 횡 일렬로 나란히 수납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내부에 앰플(2)을 적층시켜 수납하는 포장용 상자에 적용할 수 있다. 도11은 제3 개변예의 포장용 상자(S9)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예의 포장용 상자(S9)는, 도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덮개판(910), 측판(932), 바닥판(931), 측판(933), 중간 덮개판(921), 연결 지지부(922b), 접촉부(922a)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된 블랭크판을 절곡 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포장용 상자(S9)는, 최초의 실시예 및 제1 개변예와 마찬가지로 천장면 개봉형으로 되어 있고, 중간 덮개부에 완충 공간(R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11의 (b)는 도11의 (a)의 C1-C1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자 내부에 론드레이션(3)을 사이에 두고 앰플(2)이 4층으로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적층수는 2층 혹은 3층이라도 좋고, 5층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완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면측에도 2중 구조부를 마련하고 있다. 즉, 바닥판(931)의 상자 내부측에 접촉부(931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바닥면측의 2중 구조부는 바닥면 전체면에 걸쳐 2중 구조로 되도록 형성했지만, 천장면측와 마찬가지로, 바닥면의 대략 중앙부에 접촉부(931a)를 지지하는 지지부[상기 연결 지지부(922b)와 동일한 구성]를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바닥면측에도 완충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완충 효과를 향상시켜, 적층된 앰플을 안정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확인 시험)
본원 출원인은, 상기 고찰을 기초로 하여 작성한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와 종래품을 이용하여 낙하 시험을 행하여, 내용물의 파손 상황에 대해 확인했다. 이하에 시험 내용 및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1) 시험체
이하의 3종류를 이용했다. 시험을 행하는 샘플 수는 1종류에 대해 10점으로 했다. 각 시험체에는, 상자의 내용물로서, 액주제제 10 mL 앰플을 공지의 론드레이션을 이용하여 각각 10관씩 횡 일렬로 수납했다.
ㆍ시험체 A-10 : 천장면 공극 없음(종래품의 포장용 상자에 상당)
ㆍ시험체 B-10 : 천장면 반면 공극(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에 상당)
ㆍ시험체 C-10 : 천장면 전체면 공극(종래품의 포장용 상자에 상당)
도12, 도13 시험체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12의 (a)는 평면도, 도12의 (b) 내지 도12의 (d)는 각각 시험체 A-10, B-10, C-10의 단면도이다. 각 시험체의 천장면 및 바닥면의 평면 형상은, 도12의 (a)에 나타내는 치수(Y1)가 230 ㎜, 치수(Y2)가 105 ㎜이다. 또한, 각 시험체의 두께 치수는, 도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험체 A-10이 25 ㎜[치수(Z1)]이다. 또한, 시험체 B-10, C-10에는 천장면측에 두께 5 ㎜[치수(Z2)]의 완충부(R)가 마련되어 있고, 이 완충부(R)를 포함한 두께 치수는 30 ㎜이다.
도13의 (a) 내지 도13의 (c)는, 각각 시험체 A-10, B-10, C-10의 조립 도중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시험에 이용되고 있는 본 발명 상당품의 시험체는, 완충부(R)를 천장면의 단부로부터 단부까 지 마련한 것이다.
(2) 시험 방법
JIS 규격의 크래프트 종이 주머니 낙하 시험 방법[(1)면(천장면)]을 적용하여 행했다. 낙하 높이는 80 ㎝로 했다. 또한, 시험 장치로서 요시다 정밀 기계제의 포장 화물 낙하 시험기(DT-50)를 사용했다.
(3) 결과
[표1]
시험체 앰플 파손이 확인된 상자의 수 앰플 파손수
A-10(천장면 공극 없음) 10상자/10상자 52관/100관
B-10(천장면 반면 공극) 0상자/10상자 0관/100관
C-10(천장면 전체면 공극) 5상자/10상자 5관/100관
표1에, 앰플 파손수 및 앰플 파손이 확인된 시험체(포장용 상자)의 수를 나타낸다. 종래품의 포장용 상자에 상당하는 시험체 C-10에서는, 파손이 100관 중 5관(10상자 중 5상자) 발생하고 있는 것에 반해, 본 발명 상당품 B-10에서는, 10 mL 앰플의 파손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상당품 B-10의 쪽이, 종래품 C-10에 비해 내용물의 파손이 적고, 낙하시의 내충격성이 높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앰플의 파손 부위는, 대부분이 앰플의 헤드의 부분(조제시에 꺾는 부분)이었다.
또한, 상기 실험 결과를 기초로 하는 고찰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종래품 C-10의 구성이라도, 완충부(R)의 공극 치수[도12의 (d)에 있어서의 치수(Z2)]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충격이 앰플에 전달되기 어려워지는 것이 예상된다. 즉, 공극 치수가 크면, 공극 치수가 작은 경우에 비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완충부의 상자 외부측의 면에 발생한 휨이, 완충부의 상자 내측의 면에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충격이 전달되기 어려워 완충 효과가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공극 치수를 크게 하면, 포장용 상자의 두께 방향의 외형 크기가 증대되고, 포장용 상자의 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보존시 및 수송시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되어, 보존시 및 수송시의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상자 형성용 기판의 면적이 증대되므로, 재료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부(R)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는, 완충부(R)를 천장면 전체면이 아닌 천장면의 일부분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완충부(R)의 공극 치수를 작게 유지하면서, 즉, 포장용 상자의 점유 체적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인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0)

  1.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면 및 천장면과, 상기 바닥면과 상기 천장면을 접속하는 측면과, 상기 천장면을 따라 배치된 완충부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이며,
    상기 완충부는 1편의 완충부 형성편을 절곡 조립하여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 형성편은, 일단부가 상기 천장면의 소정 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천장면에 대해 대략 수직을 이루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측면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천장면에 대략 평행하고 또한 상기 천장면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위치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과 상기 지지편을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완충부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물품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과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속부가, 상기 완충부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열되는 모든 물품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촉 위치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접촉편이 접속되는 측면과 대략 평행 하며 상기 천장면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4.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면과 측면을 갖고 천장면이 개방된 하측 상자와, 상기 천장면의 일부를 폐쇄하는 중간 덮개와, 상기 천장면을 상기 중간 덮개의 위로부터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천장면 중 상기 중간 덮개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부위를 포함하여 폐쇄하는 상측 덮개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이며,
    상기 중간 덮개는 1편의 중간 덮개 형성편을 절곡 조립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간 덮개 형성편은, 일단부가 상기 하측 상자의 일측면 상단부에 접속하는 중간 덮개면을 형성하는 중간 덮개편과, 상기 중간 덮개면의 상기 바닥면측에 상기 중간 덮개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조립되고 일단부가 상기 일측면에 접속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편과, 상기 중간 덮개면과 상기 접촉면에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접속되고 상기 중간 덮개면과 상기 접촉면을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연결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편을 갖고, 상기 접촉편, 상기 지지편, 상기 중간 덮개편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접촉면과 상기 하측 상자 내부의 물품과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과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속부가, 상기 하측 상자 내에 나란히 배열되는 모든 물품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촉 위치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편에는, 상기 하측 상자의 측면 상단부에 접속된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한 쌍의 절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입부에 의해, 상기 중간 덮개편의 일부에 절곡 기립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 기립편은, 그 기부측이 상기 지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선단부측이 상기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과 상기 접촉면과의 접속부가, 상기 하측 상자의 측면 중, 상기 접촉편이 접속되는 측면에 인접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까지 닿도록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접촉편이 접속되는 측면과 대략 평행하며 상기 천장면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덮개를 형성하는 상측 덮개편, 상기 하측 상자의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측면편, 상기 하측 상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편, 상기 제1 측면편에 대향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편, 상기 중간 덮개편의 순으로 꺾음선을 통해 연속으로 마련되고,
    상기 바닥면편의 양측에 각각 제3 측면편, 제4 측면편이 꺾음선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제1 측면편 및 상기 제2 측면편의 양측에 각각 플랩편이 꺾음선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중간 덮개편의 양측에 상기 제3 측면편, 상기 제4 측면편을 각각 외측으로부터 덮는 제5 측면편, 제6 측면편이 꺾음선을 통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1매의 상자 형성용 기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덮개에는 파단 가능한 절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입부에 의해 개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077023771A 2005-04-08 2006-04-07 포장용 상자 KR200701190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2148 2005-04-08
JP2005112148 2005-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038A true KR20070119038A (ko) 2007-12-18

Family

ID=3708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771A KR20070119038A (ko) 2005-04-08 2006-04-07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70119038A (ko)
CN (1) CN101155731B (ko)
WO (1) WO20061097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23B1 (ko) * 2009-03-02 2011-05-27 박강민 상품 포장 및 운반용 꾸러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6762B2 (ja) * 2018-03-28 2020-09-16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6831U (ko) * 1972-06-13 1974-03-07
US4416412A (en) * 1982-07-12 1983-11-22 Rock-Tenn Company Collapsible carton with interior partitions
JPH049845Y2 (ko) * 1987-04-08 1992-03-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23B1 (ko) * 2009-03-02 2011-05-27 박강민 상품 포장 및 운반용 꾸러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5731A (zh) 2008-04-02
CN101155731B (zh) 2011-02-23
WO2006109748A1 (ja)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0895B2 (ja) 緩衝機能を有する包装用箱
WO2000026112A1 (fr) Element d'amortissement et de support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US6685026B1 (en) One-piece container with integral internal cushioning supports
US20230026698A1 (en) Packing box and cardboard structure
KR20070119038A (ko) 포장용 상자
JP5263172B2 (ja) 緩衝機能を有する包装用箱
JP3879773B2 (ja) 包装用箱
JP3223214U (ja) 緩衝用中仕切と包装箱
JP4001186B2 (ja) 補強フラップを折り曲げ重ねた緩衝面を有する包装用箱
JP4294658B2 (ja) 包装用箱
JP2022040480A (ja) 緩衝構造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材
JP2010189040A (ja) 緩衝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梱包構造
JP4576302B2 (ja) 梱包材
JP3238773U (ja) 緩衝機能付き包装箱
JP7452203B2 (ja) 緩衝構造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材
JP7346916B2 (ja) 緩衝構造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材
JP3083439U (ja) 包装箱
JP3005304U (ja) 容器支持用中仕切およびこれを備えた容器支持構造体
AU2020100313A4 (en) Packing container and sheet material for packing container
JP2001240141A (ja) ダンボール梱包の緩衝材構造
JP3216665U (ja) 包装資材セット
JP3115135U (ja) 梱包用収納箱
JPH1059426A (ja) 紙製緩衝体
JP2005280801A (ja) 物品包装体及びその止め具
JP2006160313A (ja) 緩衝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