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96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962A
KR20070118962A KR1020070056982A KR20070056982A KR20070118962A KR 20070118962 A KR20070118962 A KR 20070118962A KR 1020070056982 A KR1020070056982 A KR 1020070056982A KR 20070056982 A KR20070056982 A KR 20070056982A KR 20070118962 A KR20070118962 A KR 20070118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tainer
refrigerator
cold air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꼬 후나야마
도시히로 고마쯔
히데유끼 혼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종래의 냉동 냉장고는 고내의 악취 대책으로서 탈취 장치를 냉기 통로에 배치하여 순환하는 냉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식품과 식품 사이에 바람의 흐름은 없고, 공기보다 무거운 악취 성분은 체류하고 있어, 냉장고 내의 악취를 냉기 순환 풍로에 설치한 탈취 장치만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냉기 순환량의 증가가 필요하지만, 이것에 의해 식품의 건조가 진행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냉기 순환 팬 등의 송풍 수단을 이용하여 냉동실에 강제 순환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식품이 접하는 수지 부품에 탈취 가공하는 것이다.
냉장고 본체, 냉장실, 선반, 배면 패널, 냉동실, 제빙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도1은 본 실시예의 냉장고의 도어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2는 냉동실 배면부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3은 구획 부재 정리 부품의 사시도.
도4는 구획 부재 정리 부품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탈취제를 첨가하여 메틸메르캡탄 농도의 감쇠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에 산화티탄 입자를 피복한 용기의 메틸메르캡탄 농도의 감쇠와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하는 디메틸디술파이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2 : 냉장실
2a : 선반
2b : 배면 패널
3, 3c : 냉동실
3a : 제빙실
3b : 급속 냉동실
4 : 야채실
5 : 하단 냉동실 용기
6 : 중간단 냉동실 용기
7 : 상단 냉동실 용기
8 : 냉각기실
9 : 냉각기
10 : 냉기 순환 팬
11 : 댐퍼
12 : 구획 부재 정리 부품
13 : 탈취제 무첨가 용기
14 : 탈취제 첨가 용기
15 : 세정 후의 탈취제 무첨가 용기
16 : 세정 후의 탈취제 첨가 용기
17 : 메틸메르캡탄의 잔존율
18 : 디메틸디술파이드의 생성률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50079호 공보
본 발명은 냉장고, 특히 저장하고 있는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의 충만을 방지하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시판의 냉동 냉장고는 저장하고 있는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의 충만을 방지하기 위해 냉기 통로에 탈취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냉동 냉장고는 고내의 악취 대책으로서 탈취 장치를 냉기 통로에 배치하여 순환하는 냉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것은, 종래의 냉동 냉장고가 이 순환하는 냉기로 구석구석까지 저장하는 식품을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 내의 공기는 구석구석까지 순환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냉장고 내에는 많은 식품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풍의 주된 흐름은 식품의 상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흘러, 식품과 식품 사이 등에 있어서의 바람의 흐름은 매우 작다. 그래도 냉장고 내에 저장된 식품을 구석구석까지 냉각할 수 있는 것은, 차가운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식품 상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냉각된 공기가 통하면, 냉기는 자연히 하강하고, 식품과 식품 사이의 난기는 자연히 상승하고, 이것에 의해 구석구석까지 냉각되는 것이다. 한편, 냉장고의 악취 성분의 대부분은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종래의 냉기의 순환 방식에서는, 따뜻한 공기는 상승해도, 악취 성분은 식품과 식품 사이에 계속 머무른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냉기의 순환량을 빠르게 하여 많은 식품이 있어도 구석구석까지 바람이 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것을 행하면 식품의 근방을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수분이 빼앗겨, 식품의 건조를 촉진해 버린다. 대부분의 식품은 랩을 싸고 있지만, 랩은 수분을 투과하기 때문에, 랩을 싸고 있어도 건조는 촉진한다.
또한, 야채실과 같이 깊은 용기를 사용한 저장실에 있어서는 용기의 외측을 냉기가 순환함으로써 식품을 균일하게 냉각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용기 내에는 냉기가 순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악취는 틀어박혀 버린다.
따라서, 이상적인 보존 방법으로서는 고르게 냉각하는 최저의 냉기 순환량으로 또한 대류하고 있는 식품과 식품 사이의 악취를 탈취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필요 최저한의 냉기 순환량으로 식품의 건조를 억제하고 또한 냉장고 내의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특징은,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냉기 순환 팬 등의 송풍 수단을 이용하여 냉동실에 강제 순환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식품이 접하는 수지 부품에 탈취 가공한 것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지 부품으로서 적어도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의 내측에 탈취 가공한 것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탈취제는 적어도 아연, 은,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 것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지 부품 중,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는 부품에는 산화아연 이온과 실라놀 이온을 생성하는 성분을 혼입한 것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지 부품 중, 적어도 투명 수지 부품에는 1 내지 100 ㎛의 탈취 피막으로 한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동실 내의 습도 유지 냉동 냉장고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4에 의해 본 실시예의 냉장고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냉장고의 도어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2는 냉동실 배면부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3은 도2 중의 구획 부재 정리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구획 부재 정리 부품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냉동 냉장고의 본체이다. 이 냉동 냉장고 본체(1)는 내부에 상부로부터 냉장실(2), 냉동실(3), 야채실(4)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실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도어를 갖고 있다. 특히 냉동실(3), 야채실(4)의 전체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어는 인출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용기를 도어와 함께 인출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냉장실(2) 내에는, 식품이 적재되는 선반(2a), 냉장실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 패널(2b), 식품 수납 용기 등의 고내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냉장실(2)의 전방면 개구부를 덮는 도어체에, 주로 음료나 조미료 등이 수납되는 도어 수납 용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도어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고내 부품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탈취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3)로서 나타낸 영역은, 제빙실(3a), 급속 냉동실(3b), 및 냉동 실(3c)로 구획되고, 이들의 각 실내는 냉동 온도대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다. 제빙실(3a) 내에는 자동 제빙 장치 및 저빙 용기가 구비되어 있고, 저빙 용기는 인출식의 도어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도어와 함께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급속 냉동실(3b) 및 냉동실(3c)도 각각 인출식의 도어에 의해 전체면 개구부가 폐색되어 있고, 고의 도어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내부의 용기가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냉동실(3c)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3개의 용기가 수납되고, 하단으로부터 각각 하단 냉동실 용기(5), 중간단 냉동실 용기(6), 상단 냉동실 용기(7)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단 냉동실 용기(5) 및 중간단 냉동실 용기(6)는 냉동실 도어의 인출 프레임에 고정되고, 이 냉동실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냉동실(3c) 내를 출입한다. 상단 냉동실 용기(7)는 냉동실(3c)의 측벽을 구성하는 내부 상자 측면에 설치된 레일을 이용하여 냉동실(3c)에 대해 인출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 용기(5, 6, 7)는 서로 깊이 치수가 다른 용기이고, 크기가 다른 각종의 식품의 수납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도2에 있어서 상기의 냉동실(3)의 배면부에 형성된 냉각기실(8)에서 만들어진 냉기에 의해 냉동실(3) 내가 냉각되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부호 8은 냉동실(3)의 배면부에 형성된 냉각기실이고, 이 냉각기실(8) 내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기(9)와 냉각기(9)에서 만들어진 냉기를 냉동실(3)은 물론, 댐퍼(11)를 통해, 냉장실(2), 야채실(4)에 강제 순환하기 위한 냉기 순환 팬(10)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12는 냉동실(3)과 냉각기실(8)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 정리 부품이다. 이 구획 부재 정리 부품(12)에는 도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용기부에 냉각기(9)를 경유한 냉기를 보내기 위한 토출구가 도면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 즉, 냉기 순환 팬(10)에 의해 보내지는 냉기는 토출구를 거쳐, 제빙실(3a), 급속 냉동실(3b), 및 냉동실(3c)로 각각 보내지고, 특히, 상하 3단의 냉동실 용기를 구비한 냉동실(3c)에 있어서는, 냉동실 용기 각각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토출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구획 부재 정리 부품(12)의 이면측은, 냉기 순환 팬(10), 댐퍼(11) 등이 미리 조립되고, 냉장고 본체 전방측으로부터 냉각기(9)를 덮도록 냉동실(3)의 배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용기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의 냉기 토출구보다 용기의 상부로부터 냉기가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내에 가득 채워진 식품의 간극에 생기는 바람의 흐름은 매우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고내 부품이나 용기 그 자체에 탈취 가공 처리를 실시하여, 탈취 작용을 갖게 하고 있다. 냉장실(2)에 보내지는 냉기는, 냉동실(3)로 보내지는 냉기와 비교하여 냉기의 양이 적고, 전체적으로 바람의 흐름이 온화하다. 그러나, 고내 부품이나 용기에 탈취 가공 처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냉장실(2) 내의 탈취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용기에 있어서는, 적어도 식품을 저장하는 내측에 탈취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식품이 포개어 수납되는 냉동실(3)이나 야채실(4)의 수납 용기에 있어 서도, 수납 용기 내의 식품 사이에는 냉기의 흐름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지만, 용기에 탈취 가공 처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냉동실(3), 야채실(4) 내의 탈취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탈취제는 적어도 아연, 은,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분리하여 세정 가능한 수지 부품에는 산화아연 이온과 실라놀 이온을 생성하는 성분을 혼입하고 있다. 또한, 적어도 투명 수지 부품에는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0 나노미터의 산화티탄 입자를 피복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용기에 사용한 탈취제의 소취 결과를 나타낸다.
도5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산화아연 이온과 실라놀 이온을 생성하는 탈취제를 첨가하고, 성형한 용기에 덮개를 설치하여 밀폐로 하고, 악취인 메틸메르캡탄을 충전하여 용기 내의 메틸메르캡탄 농도의 감쇠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부호 13은 탈취제 무첨가 용기, 14는 탈취제 첨가 용기, 15는 세정 후의 탈취제 무첨가 용기, 16은 세정 후의 탈취제 첨가 용기를 나타낸다.
측정의 결과로부터, 탈취제 첨가 용기(14) 내의 악취 농도는 저감하고 있어, 수지로의 혼입에 의해 탈취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탈취 시험 후 용기를 세정하여 탈취 능력의 회복을 측정한 결과, 세정 후의 탈취제 첨가 용기(16) 내의 악취 농도는 저감하고 있어, 세정에 의해 탈취 능력이 회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탈취제 무첨가 용기는 세정해도 즉시 메틸메르캡탄 농도가 감쇠하지 않아, 탈취제 첨가의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6에 투명한 폴리스티렌 수지로 성형한 용기에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0 나노미터의 산화티탄 입자를 피복한 용기로부터 10 ㎝각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3L의 테들라 백(tedlar bag)에 넣어, 밀폐로 하고, 악취인 메틸메르캡탄을 충전하여 24시간 방치 후 백 내의 메틸메르캡탄 농도의 감쇠와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하는 디메틸디술파이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부호 17은 테들라 백 내의 메틸메르캡탄 잔존율, 18은 메틸메르캡탄을 광촉매 반응에 의해 분해했을 때에 생성하는 디메틸디술파이드의 이론치에 대한 생성률을 나타낸다.
시험의 결과, 초기에 대해 24시간 후에는 메틸메르캡탄의 잔존율이 낮기 때문에 탈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탈취 피막에 흡착하고, 또한 광촉매 반응에 의해 분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광이 닿지 않는 상태라도 분해 생성물인 디메틸디술파이드가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광이 없어도 광촉매 반응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온도를 올리면 메틸메르캡탄의 잔존율이 내려가고, 디메틸디술파이드의 생성률이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광촉매반응에 의한 분해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만큼 흡착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열에 의해 또한 광촉매 반응이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부품을 세정시 온수를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은 탈취 피막에 흡착하고 있었던 악취 성분이 분해되어, 탈취 능력의 회복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냉기 순환 팬 등의 송풍 수단을 이용하여 냉동실에 강제 순환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식품이 접하는 수지 부품에 탈취 가공한 것에 의해, 식품과 식품 사 이에 머무르고 있는 악취를 탈취할 수 있어, 냉장고 내에 식품을 저장하고자 열었을 때의 이상한 냄새를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기 순환량을 증가시켜 식품과 식품 사이에 악취가 머무르지 않도록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식품의 건조를 촉진하는 일없이 악취가 없는 냉장고 내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하여 세정 가능한 수지 부품에는 산화아연 이온과 실라놀 이온을 생성하는 성분을 혼입에 의해, 물 세정으로 재생하기 때문에 탈취 능력이 지속된다. 투명 수지 부품에는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0 나노미터의 산화티탄 입자를 피복한 것에 의해, 투명도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탈취 기능을 부가할 수 있고, 광촉매 반응으로 탈취 능력도 지속된다.
특히 냉기 순환량이 비교적 적은 냉장실이나 야채실, 혹은 깊은 수납 용기가 설치되는 냉동실이나 야채실 등에서 악취 성분이 머무르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내 부품이나 용기에 탈취 처리를 실시하면 효과적으로 탈취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냉동 냉장고 내에 보존한 식품의 건조를 촉진하지 않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냉기 순환 팬 등의 송풍 수단을 이용하여 냉동실에 강제 순환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식품이 접하는 수지 부품에 탈취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품으로서 적어도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의 내측에 탈취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탈취제는 적어도 아연, 은,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품 중, 분리하여 세정 가능한 수지 부품에는 산화아연 이온과 실라놀 이온을 생성하는 성분을 혼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품 중, 적어도 투명 수지 부품에는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0 나노미터의 산화티탄 입자를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냉장고.
KR1020070056982A 2006-06-13 2007-06-12 냉장고 KR20070118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63289 2006-06-13
JP2006163289A JP2007333261A (ja) 2006-06-13 2006-06-13 冷蔵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962A true KR20070118962A (ko) 2007-12-18

Family

ID=3893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982A KR20070118962A (ko) 2006-06-13 2007-06-12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333261A (ko)
KR (1) KR20070118962A (ko)
CN (1) CN1010895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0434B2 (ja) * 2009-07-29 2013-08-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211797B2 (ja) * 2012-05-14 2017-10-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臭剤を備えた除臭装置、および除臭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6344896B2 (ja) * 2013-09-10 2018-06-20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9522A (zh) 2007-12-19
JP2007333261A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755B (zh) refrigerator
KR20150027360A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10121834A (ja) 冷蔵庫
KR20070118962A (ko) 냉장고
JP5253337B2 (ja) 冷蔵庫
JPH07270043A (ja) 冷蔵庫
JP2017207227A (ja) 冷蔵庫
JPH10238934A (ja) 冷蔵庫
JPH05149671A (ja) 冷凍冷蔵庫
JPH07270044A (ja) 冷蔵庫
JP4285245B2 (ja) 冷蔵庫
KR101142579B1 (ko) 냉장고
JP5211574B2 (ja) 冷蔵庫
JP2005049079A (ja) 冷蔵庫
KR200292005Y1 (ko) 냉장고의야채상자
CN113915872A (zh) 一种冰箱
JPH07260331A (ja) 冷蔵庫
TWI827431B (zh) 冰箱
KR100307350B1 (ko) 냉장고의탈취제장착구조
JP2001248958A (ja) 冷蔵庫
JP2005069602A (ja) 冷蔵庫
JP5625651B2 (ja) 冷蔵庫
JP2001248959A (ja) 冷蔵庫
JPH06213556A (ja) 冷凍冷蔵庫
JPH05296636A (ja) 高湿室付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