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621A -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621A
KR20070118621A KR1020077022731A KR20077022731A KR20070118621A KR 20070118621 A KR20070118621 A KR 20070118621A KR 1020077022731 A KR1020077022731 A KR 1020077022731A KR 20077022731 A KR20077022731 A KR 20077022731A KR 20070118621 A KR20070118621 A KR 2007011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stabilization device
contro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그레텔
만프레드 홈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11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휠을 포함하고 각각 하나의 횡방향 안정화 장치가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갖는, 차량의 롤링을 능동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횡방향 안정화 장치는 유압 장치(56, 57)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장치는 펌프와 같은 압력 공급 유닛(41)을 통해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48)에 의해 상이한 압력 수준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롤링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방향 전환 밸브 장치는 직접 제어되는 제어 밸브 장치(61)에 의해 유압식으로 제어된다.
롤링 안정화 장치, 유압 장치, 방향 전환 밸브, 공급 유닛, 제어 밸브 장치

Description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Device for the Active Stabilization of Rolling}
본 발명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휠을 포함하고 각각 하나의 횡방향 안정화 장치가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갖는, 차량의 롤링을 능동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횡방향 안정화 장치는 유압 장치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 장치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장치는 펌프와 같은 압력 공급 유닛을 통해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에 의해 상이한 압력 수준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롤링 안정화 장치는 안티-롤링-시스템(anti-rolling-system) 또는 롤링-안정화-시스템으로도 표현된다. 도1에는 종래의 롤링 안정화 장치의 유압 회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롤링 안정화 장치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차량의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휠을 포함하고 각각 하나의 횡방향 안정화 장치가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 안정화 장치는 유압 장치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 장치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장치는 펌프와 같은 압력 공급 유닛을 통해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에 의해 상이한 압력 수준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각각 적어도 두 개의 휠을 포함하고 각각 하나의 횡방향 안정화 장치가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 안정화 장치는 유압 장치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 장치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장치는 펌프와 같은 압력 공급 유닛을 통해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에 의해 상이한 압력 수준으로 작동될 수 있는, 차량의 롤링을 능동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에서, 방향 전환 밸브 장치가 직접 제어되는 제어 밸브 장치에 의해 유압식으로 제어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방향 전환 밸브 장치의 직접 제어를 위해 종래의 안티-롤링-시스템에 사용된 솔레노이드는 적지 않은 비용 발생을 초래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시판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직접 제어되는 제어 밸브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사전 제어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펌프의 하류에 연결된 압력 조절기를 사용하는 별도의 사전 제어 회로에 의한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의 사전 제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안정화 장치는 사전 제어 회로 없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압력 조절기는 언제나 생략될 수 있다. 이로써, 시스템 누출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밸브 장치는 비례 자석과 상호 작용하는 밸브 슬라이드 또는 밸브 콘(co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 슬라이드는 방향 전환 밸브 장치의 유압식 제어를 위해 비례 자석의 자력에 비례하는 압력을 생성한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밸브 장치는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에 병렬 연결된 제어 압력 제한 밸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압력 제한 밸브에 의해 시스템 압력은 원하는 연결 조합을 위해 필요한 제어 압력만큼 상승된다. 그렇다면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들은 단지 각각의 잔류 압력 편차를 필요한 축방향 압력으로 조절해야 한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밸브 장치는 압력 공급 유닛에 직렬 연결된 제어 압력 감소 밸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압력 감소 밸브의 전류 부재 상태에서 방향 전환 밸브 장치 및 경우에 따라 페일-세이프-밸브의 유압식 액추에이터 챔버들은 의도적으로 탱크 압력 수준으로 유지된다. 이로써, 방향 전환 밸브 장치 및 경우에 따라 페일-세이프-밸브가 기본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제어 압력이 설정될 수 있도록, 축방향 압력 제안 밸브 중 하나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2.5 바아의 최소 압력이 설정된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밸브 장치는 탱크로부터의 압력으로 작동되며, 상기 탱크로부터 압력 공급 유닛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온도의 영향에 의한 탱크 압력 수준의 변경이 방향 전환 밸브 장치에서의 연결 지점의 변경을 유도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는 탱크로부터의 압력으로 작동되며, 상기 탱크로부터 압력 공급 유닛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는 각각 하나의 태핏 챔버 및 하나의 스프링 챔버를 포함하며, 이들은 의도적으로 탱크 압력 수준으로 작동된다. 이로써,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 내에 사용된 자석이 압력 고정식으로 설계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 전환 밸브 장치는 7/2-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7/2-방 밸브는 유압 장치의 방향에 따른 전환을 위해 사용되며 제어 밸브 장치에 의해 유압식으로 제어된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 전환 밸브 장치와 유압 장치들 중 하나 사이에는 제어 밸브 장치에 의해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페일-세이프-밸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 밸브 장치 및 소정의 제어 밸브 장치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 장치뿐만 아니라 페일-세이프-밸브도 제어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안정화 장치의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롤링 안정화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페일-세이프-밸브는 탱크로부터의 압력으로 작동되며, 상기 탱크로부터 압력 공급 유닛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온도의 영향에 의한 탱크 압력 수준의 변경이 페일-세이프-밸브에서의 연결 지점의 변경을 유도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및 세부 사항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기술되는 이하의 설명 부분에 제시된다. 여기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 및 명세서에 언급된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롤링 안정화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2는 제어 압력 제한 밸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안정화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3은 제어 압력 감소 밸브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안정화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1에는 표준 시스템의 IST-상태가 도시된다. 압력 공급 유닛은,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로도 표현되고 압력차 밸브로서 연결된 두 개의 비례 압력 제한 밸브(22, 28)를 사용하여 캐스케이드 회로에 의해 두 개의 상이한 압력 수준을 제공하는 흡입 스로틀된 반경 방향 피스톤 펌프(21)이다. 이들 압력 수준은 압력 센서(23, 27)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이들 압력 영역은 전방 축의 안정화 장치에서 각각 발진 모터(37)에 대해 우측에 대해서는 35로 표시되고 좌측에 대해서는 34로 표시되며, 후방 축의 안정화 장치에서 발진 모터(36)에 대해 상응하게 33 및 32로 표시된다. 후방 축에서의 압력은 항상 전방 축에서의 압력보다 작거나 동일해야 한다. 이러한 두 개의 압력 수준은 방향 전환 밸브로도 표현되는 7/2-방 밸브(24)를 사용하여 곡선 주행 시 방향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전환됨으로써, 등속도 에서 발진 모터에서의 압력이 차량의 우측으로 또는 차량의 좌측으로 각각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방향 전환 밸브(24)의 작동은 연결 위치 인식 센서(26)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밸브의 클램핑 시 또는 전력 공급 중단 시 페일-세이프-경우, 전방 축의 발진 모터(37)를 차단하고 후방 축의 발진 모터(36)를 무압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페일-세이프-밸브(25)가 전방 축에 추가로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후속 흡입 밸브(29 및 30)도 제공되며, 이들 밸브에 의해 전방 축에서 발진 모터(37)의 각각의 압력 영역(35 및 34)은 탱크 라인을 통해 탱크(31)와 연결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발진 모터(37)의 스로틀된 자유 진동이 발진 모터 자체 내에서 누출 위치를 통해 부피 흐름의 후속 흡입에 의해 공동화의 문제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계기는 비용이 집중되는 구성 요소들을 생략하는 데 있다. 이는, 특히 직접 제어된 밸브들에 의한 전자석의 감소이다.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밸브 슬라이드의 작동은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간단하게 구성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직접 제어된 유압 개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방향 전환 밸브 장치(24) 및 페일-세이프-밸브(25)의 두 연결 자석이 제어 밸브의 비례 자석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이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추가의 압력 제한 밸브(61)가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로도 표현되는 비례 압력 제한 밸브(42 및 48)에 직렬 연결됨으로써 달성된다. 제어 압력 제한 밸브(61)로도 표현되는 추가의 압력 제한 밸브(61)는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 및 페일-세이프-밸브(45)의 유압식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어 압력 감소 밸브로도 표현되는 추가의 압력 감소 밸브(81)는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 및 페일-세이프-밸브(45)의 압력 공급을 위해, 발진 모터의 압력 공급을 위한 펌프 압력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동 압력 밸브(22 및 28) 대신에 탱크의 압 력보상을 수반하는 압력 제한 밸브(42 및 48)가 사용된다.
도2에는 도1과 유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회로도가 도시된다. 압력 공급 유닛은 캐스케이드 회로에 의해 두 개의 비례 압력 제한 밸브(42 및 48)를 사용하여 두 개의 상이한 압력 수준을 제공하는 흡입 스로틀된 반경 방향 피스톤 펌프(41)이다. 또한, 두 개의 비례 압력 제한 밸브(42 및 48)는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로도 표현된다. 축방향 압력 밸브는 도1에 도시된 공지된 롤링 안정화 장치와는 달리 차동 압력 제한 밸브로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정상 압력 제한 밸브로서 구성된다.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48)의 태핏 챔버 및 스프링 챔버는 각각 배출 라인(71, 72)을 통해 의도적으로 탱크(51)의 탱크 압력 수준과 연결된다.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48)에 의해 제공된 압력 수준은 압력 센서(43 및 47)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롤링 안정화 장치에서와 같이, 압력 수준 또는 압력 영역은 각각 전방 축의 안정화 장치에서의 발진 모터(57)를 위해 우측에 대해서는 부호 55로 그리고 좌측에 대해서는 부호 54로 표시되며, 후방 축의 안정화 장치에서의 발진 모터(56)를 위해 상응하게 부호 53 및 부호 52로 표시된다. 후방 축에서의 압력은 전방 축에서의 압력보다 항상 작거나 동일해야 한다. 이들 두 압력 수준은 방향 전환 밸브로도 표현되는 7/2-방 밸브(44)를 사용하여 곡선 주행 시 방향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전환됨으로써, 등속도 에서 발진 모터에서의 압력이 차량의 우측으로 또는 차량의 좌측으로 각각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의 작동은 연결 위치 인식 센서(46)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전방 축에는 페일-세이프-밸브(45)가 추가로 배치되며, 상기 밸브는 밸브의 클램핑 시 또는 전력 공급 중단 시 페일-세이프-경우, 전방 축의 발진 모터(57)를 차단하고 후방 축의 발진 모터(56)를 무압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두 개의 후속 흡입 밸브(49 및 50)도 제공되며, 이들 밸브는 발진 모터(57)의 스로틀된 자유 진동이 발진 모터 자체 내에서 누출 위치를 통해 부피 흐름의 후속 흡입에 의해 공동화의 문제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방 축에서 발진 모터(57)의 각각의 압력 영역(55 및 54)은 탱크 라인 및 탱크(51)와 연결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밸브 슬라이드가 장착된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는 도1에 도시된 롤링 안정화 장치에서와 같이 연결 자석을 구비하지 않는다. 그 대신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 중 밸브 슬라이드의 단부면이 의도적으로 압력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압력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어 압력 제한 밸브(61)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밸브는 비례 압력 제한 밸브(48)로부터 시작되는 라인(60) 내로, 비례 압력 제한 밸브(48)에 대해 직렬 연결된다. 제어 압력 제한 밸브(61)는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밸브로서 구성되며, 비례 자석(62)의 자력에 대해 비례해서 제어 압력을 제공하는 밸브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제어 압력은 라인(64) 및 라인(66 및 67)을 통해 두 개의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에 계속 인가된다.
방향 전환 밸브(44)는 스프링(68)에 의해 도2에 도시된 연결 위치에서로 예비 인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페일-세이프-밸브(45)는 스프링(69)에 의해 도2에 도시된 연결 위치에서 예비 인장된다.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의 스프링들(68 및 69)은, 예를 들어 2.5 바아의 제어 압력으로부터 페일-세이프-밸브(45)가 연결 되고 방향 전환 밸브(44)가 그의 기본 위치에 남아있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5 바아의 제어 압력의 경우에는 방향 전환 밸브(44)도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페일-세이프-밸브(45)도 연결된다.
축방향 압력 밸브(42 및 48)에 직렬 연결된 제어 압력 제한 밸브(61)는 작동 중 도2에 도시된 롤링 안정화 장치에서 원하는 연결 조합에 필요한 제어 압력만큼 시스템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렇게 되면, 후방 축을 위한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8)는 단지 필요한 후방 축 압력에 대해 잔류 압력 편차를 조절해야만 한다. 전방 축을 위한 축방향 압력 밸브(42)를 사용하는 후속 압력 캐스케이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로부터 출발하는 압력 배출 라인(75 및 76)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의 액추에이터 챔버에 탱크(51)로부터의 탱크 압력이 인가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온도의 영향에 의한 탱크 압력 수준의 변경이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에서의 연결 지점의 변조를 유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3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유압 회로도가 도시된다.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이들 부품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된 도2의 설명에 따른다. 이하에서는 주로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 사이의 차이에 관한 것이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압력은 제어 압력 감소 밸브(81)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밸브는, 펌프(41)를 축 방향 압력 제한 밸브(42)와 연결시키는 연결 라인(83)으로부터 시작되는 라인(82)을 통해, 펌프(41)에 대해서는 직렬로 그리고 축 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48)에 대해서는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 압력 감소 밸브(81)에 펌프 압력이 인가된다. 비례 자석(85)을 포함하는 제어 압력 감소 밸브(81)는 도2에 도시된 제어 압력 제한 밸브(61)와 같이,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에 대해 제어 압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어 압력 감소 밸브(81)는 라인(84) 및 라인(86 및 87)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와 연결된다.
전류 부재 상태에서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의 유압식 액추에이터 챔버는 제어 압력 감소 밸브(81)의 도움으로, 무엇 보다도 압력 배출 라인(89)을 통해 의도적으로 탱크(51)의 탱크 압력 수준으로 설정되며, 이로써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는 그의 기본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제어 압력이 설정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축방향 압력 밸브(48)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2.5 바아의 최소 압력이 설정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및 48)는 라인(91 및 92)을 통해 탱크(51)의 탱크 압력 수준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 밸브(44 및 45)의 액추에이터 챔버는 압력 배출 라인(95 및 96)을 통해 그리고 라인(98)을 통해 탱크(51)의 탱크 압력 수준과 연결된다.
<도면 부호 리스트>
21: 반경 방향 피스톤 펌프
22: 비례 압력 제한 밸브
23: 압력 센서
24: 방향 전환 밸브
25: 페일-세이프-밸브
26: 연결 위치 인식 센서
27: 압력 센서
28: 비례 압력 제한 밸브
29: 후속 흡인 밸브
30: 후속 흡인 밸브
31: 탱크
32: 후방 축 좌측의 압력 영역
33: 후방 축 우측의 압력 영역
34: 전방 축 좌측의 압력 영역
35: 전방 축 우측의 압력 영역
36: 발진 모터 후방 축
37: 발진 모터 전방 축
41: 반경 방향 피스톤 펌프
42: 비례 압력 제한 밸브
43: 압력 센서
44: 방향 전환 밸브
45: 페일-세이프-밸브
46: 연결 위치 인식 센서
47: 압력 센서
48: 비례 압력 제한 밸브
49: 후속 흡인 밸브
50: 후속 흡인 밸브
51: 탱크
52: 압력 영역
53: 압력 영역
54: 압력 영역
55: 압력 영역
56: 발진 모터
57: 발진 모터
60: 라인
61: 제어 압력 제한 밸브
62: 비례 자석
64: 라인
66: 라인
67: 라인
68: 스프링
69: 스프링
71: 압력 배출 라인
72: 압력 배출 라인
73: 압력 배출 라인
75: 압력 배출 라인
76: 압력 배출 라인
81: 제어 압력 감소 밸브
82: 라인
83: 연결 라인
84: 라인
85: 비례 자석
86: 라인
87: 라인
89: 압력 배출 라인
91: 압력 배출 라인
92: 압력 배출 라인
95: 압력 배출 라인
96: 압력 배출 라인
98: 라인

Claims (9)

  1. 각각 적어도 두 개의 휠을 포함하고 각각 하나의 횡방향 안정화 장치가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갖는, 차량의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이며, 상기 횡방향 안정화 장치는 유압 장치(36, 37; 56, 57)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 장치(24; 44)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장치는 펌프와 같은 압력 공급 유닛(21; 41)을 통해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22, 28; 42, 48)에 의해 상이한 압력 수준(32, 33; 34, 35; 52, 53; 54, 55)으로 작동될 수 있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는 직접 제어되는 제어 밸브 장치(61; 81)에 의해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 장치(61; 81)는 비례 자석(62; 85)과 상호 작용하는 밸브 슬라이드, 경우에 따라 또한 밸브 콘(시트 밸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 장치는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48)에 직렬 연결된 제어 압력 제한 밸브(6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 장치는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48)에 병렬 연결된 제어 압력 감소 밸브(8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 장치(61; 81)는 탱크(51)로부터의 압력으로 작동되며, 상기 탱크로부터 압력 공급 유닛(41)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 압력 제한 밸브(42, 48) 탱크(51)로부터의 압력으로 작동되며, 상기 탱크로부터 압력 공급 유닛(41)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는 7/2-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와 유압 장치들 중 하나(57) 사이에는 제어 밸브 장치(61; 81)에 의해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페일-세이프-밸브(4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일-세이프-밸브(45) 및/또는 방향 전환 밸브 장치(44)는 탱크(51)로부터의 압력으로 작동되며, 상기 탱크로부터 압력 공급 유닛(41)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KR1020077022731A 2005-04-07 2006-03-24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KR20070118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5967 2005-04-07
DE102005015967.2 2005-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621A true KR20070118621A (ko) 2007-12-17

Family

ID=3656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731A KR20070118621A (ko) 2005-04-07 2006-03-24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52929B2 (ko)
EP (1) EP1868828A1 (ko)
JP (1) JP2008534378A (ko)
KR (1) KR20070118621A (ko)
CN (1) CN101155705A (ko)
DE (1) DE112006000468A5 (ko)
WO (1) WO20061057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436A (ko) 2020-11-06 2022-05-17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화피 추출물 및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5293A1 (en) * 2005-11-09 2007-05-16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Hydraulic anti-roll system
EP1862338A1 (en) * 2006-05-29 2007-12-05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DE102007040736B4 (de) * 2007-08-28 2015-05-21 Zf Friedrichshafen Ag Schaltbare Stabilisatoreinrichtung
DE102008004913A1 (de) 2008-01-18 2009-07-2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Hydraulische Absicherung einer Wankstabilisierung
US8196516B2 (en) 2010-09-15 2012-06-12 Honeywell Asca Inc. Rocker wheel system for scanner carriag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9466A1 (de) * 1989-09-05 1991-03-21 Rexroth Mannesmann Gmbh Steuerschaltung fuer einen mit einer verstellpumpe betriebenen hydraulischen kraftheber
DE19613769C2 (de) * 1995-04-08 1997-08-21 Fichtel & Sachs Ag Zweikreishydrauliksystem für eine aktive Fahrwerksregelung
DE29619567U1 (de) * 1996-07-16 1997-01-23 Luk Fahrzeug Hydraulik Einrichtung zur Rollstabilisierung eines Fahrzeugs
DE10009918A1 (de) * 2000-03-01 2001-09-0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ydraulisches Stabilisierungssystem
GB2393160B (en) * 2002-07-31 2005-10-12 Luk Fahrzeug Hydraulik Hydraulic chassis system
JP2007519558A (ja) * 2004-01-28 2007-07-19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ベタイリグングス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ロール安定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436A (ko) 2020-11-06 2022-05-17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화피 추출물 및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52929B2 (en) 2009-06-30
JP2008534378A (ja) 2008-08-28
CN101155705A (zh) 2008-04-02
US20080111325A1 (en) 2008-05-15
WO2006105753A1 (de) 2006-10-12
EP1868828A1 (de) 2007-12-26
DE112006000468A5 (de)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8621A (ko) 능동적 롤링 안정화 장치
US7318594B2 (en) Active roll stabilization system
US7959164B2 (en) Roll control devices
EP2000336A1 (en) Suspension system
US20180281550A1 (en) Suspension device
US20180281544A1 (en) Suspension device
JPH02254007A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US7162945B2 (en) Torsional rigidity control device
JP2008068859A (ja) 車輛ロール制御システム
GB2393160A (en) Hydraulic system for anti roll bars for vehicles
KR102336958B1 (ko)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양방향 선형 펌프의 원점 설정 방법
JP6484152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296126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H01199081A (ja) 電磁比例式圧力制御弁
JP2009536120A (ja) アクティブなロール安定化のための装置
JP2003285615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4443281B2 (ja)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スタビライザ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2006341685A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2345236B1 (ko)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의 제어 방법
JP420388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90006772A (ko) 섀시 안정화 시스템
JP2005059614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020019300A (ja) 車両用制動装置
JP2006103547A (ja) 液圧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20029791A (ko) 능동롤 안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