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549A - 촬상 장치 및 차광 부재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차광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549A
KR20070116549A KR1020070054286A KR20070054286A KR20070116549A KR 20070116549 A KR20070116549 A KR 20070116549A KR 1020070054286 A KR1020070054286 A KR 1020070054286A KR 20070054286 A KR20070054286 A KR 20070054286A KR 20070116549 A KR20070116549 A KR 2007011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finder
unit
predetermin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 도마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6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for viewfinders or eyepie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Viewfinder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파인더의 시도 조정에 관한 부주의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촬상 장치(10)는 그 배면에 설치된 광학 파인더(316)와, 광학 파인더(316)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시도 조정 다이얼(322)과, 광학 파인더(316)의 주위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는 아이 캡(32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시도 조정 다이얼(322)은 촬상 장치(10)의 배면의 외부 모서리(Bd)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아이 캡(321)에는 시도 조정 다이얼(322) 상에 있어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 단부면보다 내측에 시도 조정 다이얼(322)이 대략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도 조정 다이얼(322)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잘못하여 닿는 것이 억제되어, 부주의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촬상 장치, 차광 부재, 광학 파인더, 시도 조정 다이얼, 아이 캡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차광 부재 {IMAGING APPARATUS AND LIGHT SHIELDING MEMB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촬상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촬상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촬상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촬상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촬상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촬상 장치(10)에 교환 렌즈(2)가 장착된 카메라 시스템(1)의 사시도.
도8은 플래시부(318)의 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카메라 시스템(1)의 종단면도.
도10은 카메라 시스템(1) 전체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11은 도2의 XI-XI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도5의 XII-XII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13은 플래시부의 하우징과 일체화된 돌출부(Va, Vb)의 형성이 어려운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는 플래시부(318)의 선단부에만 설치된 막대형의 돌출부(Vc)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종래 기술에 관한 시도 조정 다이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시스템
2 : 교환 렌즈
10 : 촬상 장치
316 : 광학 파인더
318 : 플래시부
318a, 318b : 막대형 부재
320 : 수납부
321 : 아이 캡
321f : 개구 단부면
321h : 아이 캡의 오목부
322 : 시도 조정 다이얼
Co : 회전축
FG : 손가락 끝
Qa : 엎드려 누운 상태
Qb : 기립 상태
Va, Vb, Vc : 막대형의 돌출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1602호 공보
본 발명은 파인더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피사체에 관한 촬영 범위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는 광학 파인더가 설치되어 있다(문헌 1 참조).
이 광학 파인더에 대해서는 도15(광학 파인더 부근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파인더(91)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시도 조정 다이얼(92)을 구비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시도 조정 다이얼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고 다이얼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외형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 돌출 부분(92t)(도15)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잘못하여 닿으면 예기하지 못한 부주의한 조작이 되고, 모처럼 설정되어 있던 시도 상태도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파인더의 시도 조정에 관한 부주의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촬상 장치이며, (a) 상기 촬상 장치의 소정면에 설치된 접안 타입의 파인더와, (b) 상기 파인더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와, (c) 상기 파인더의 주위에 있어서 상기 소정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어, 상기 파인더로의 외광의 침입을 억제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소정면에 있어서 외부 모서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차광 부재에는 상기 조작 부재 상에 있어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 단부면보다 내측에 상기 조작 부재가 대략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접안 타입의 파인더의 주위에 있어서 촬상 장치의 소정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어, 상기 파인더로의 외광의 침입을 억제하는 차광 부재이며, 소정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촬상 장치에는 상기 파인더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가 상기 소정면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오목부는 상기 조작 부재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오목부의 개구 단부면보다 내측에 상기 조작 부재가 대략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면」이라 함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는 면(예를 들어, 배면이나 상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EVF 등의 파인더에 있어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표시면(이나 파인더의 설치면)의 각도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파인더의 설치면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촬상 장치의 외관 구성>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1 내지 도6은 각각 정면도, 배면도, 상면도, 바닥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는 교환 렌즈(촬영 렌즈)(2)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도7은 촬상 장치(10)에 교환 렌즈(2)가 장착된 카메라 시스템(촬상 시스템)(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카메라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일안 리플렉스형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 기능한다.
도1에 있어서, 촬상 장치(10)의 정면측에는 정면 대략 중앙에 교환 렌즈(2)가 장착되는 마운트부(301)와, 마운트부(301)의 우측 옆에 배치된 렌즈 교환 버튼(302)과, 정면 좌측 단부(X방향 좌측)에 있어서 돌출 설치되고, 사용자가 한 손(또는 양손)에 의해 확실하게 파지(유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립부(303)와, 정면 좌측 상부(Y방향 좌측 상측)에 배치된 모드 설정 다이얼(305)과, 정면 우측 상부에 배치된 제어치 설정 다이얼(306)과, 그립부(303)의 상면에 배치된 셔터 버튼(30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2에 있어서, 촬상 장치(10)의 배면측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311)와, LCD(311)의 좌측에 배치된 설정 버튼군(312)과, LCD(311)의 우측에 배치된 십자 키(314)와, 십자 키(314)의 중앙에 배치된 푸시 버튼(315)과, 십자 키(314)의 우측 하방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 스위치(3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의 배면측에는 LCD(311)의 상방에 배치된 광학 파인더(316)와, 광학 파인더(316)의 주위를 둘러싸는 아이 캡(321)과, 아이 캡(321)의 뒤에 가려져 있는 시도 조정 다이얼(322)과, 광학 파인더(316)의 좌측에 배치된 메인 스위치(317)와, 광학 파인더(316)의 우측에 배치된 노출 보정 버튼(323) 및 AE 로크 버튼(324)과, 광학 파인더(316)의 상방에 배치된 플래시부(318)와, 플래시부(318)를 수납하는 수납부(320)(도8)와, 접속 단자부(319)가 구비되어 있다.
마운트부(301)는 교환 렌즈(2)를 장착하기 위한 부위이고, 장착된 교환 렌즈(2)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기적 접점이나, 기계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플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렌즈 교환 버튼(302)은 마운트부(301)에 장착된 교환 렌즈(2)를 제거할 때에 누르는 버튼이다.
그립부(303)는 사용자가 촬영 시에 상기 촬상 장치(10)를 파지하는 부분이고, 피팅성을 높이기 위해 손가락 형상에 맞춘 표면 요철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립부(303)의 내부에는 전지 수납실(69A)(도4)과 카드 수납실(67A)(도6)이 설치되어 있다. 전지 수납실(69A)에는 카메라의 전원으로서 전지가 수납되어 있고, 카드 수납실(67A)에는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립부(303)에는 상기 그립부(303)를 사용자가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그립 센서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모드 설정 다이얼(305) 및 제어치 설정 다이얼(306)은 촬상 장치(10)의 상면과 대략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 가능한 대략 원반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모드 설정 다이얼(305)은 자동 노출(AE) 제어 모드나 자동 초점(AF ; 오토 포커스) 제어 모드, 혹은 1매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나 연속 촬영을 행하는 연속 촬영 모드 등의 각종 촬영 모드, 기록 종료된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등, 촬상 장치(10)에 탑재된 모드나 기능을 택일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치 설정 다이얼(306)은 촬상 장치(10)에 탑재된 각종 기능에 대한 제어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셔터 버튼(307)은 도중까지 압입된 「절반 압박 상태」의 조작과, 더 압입한 「전체 압박 상태」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 압박 스위치이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셔터 버튼(307)이 절반 압박(S1)되면, 피사체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준비 동작(노출 제어치의 설정이나 초점 조절 등의 준비 동작)이 실행되고, 셔터 버튼(307)이 전체 압박(S2)되면, 촬영 동작(촬상 센서를 노광하고, 그 노광에 의해 얻게 된 화상 신호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메모리 카드 등에 기록하는 일련의 동작)이 실행된다.
LCD(311)는 컬러 액정 패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촬상 소자(101)(도10 등 참조)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표시나 기록 종료된 화상의 재생 표시 등을 행하는 동시에, 촬상 장치(10)에 탑재되는 기능이나 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LCD(311) 대신에, 유기 EL이나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설정 버튼군(312)은 촬상 장치(10)에 탑재된 각종 기능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버튼이다. 이 설정 버튼군(312)에는, 예를 들어 LCD(311)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에서 선택된 내용을 확정하기 위한 선택 확정 스위치, 선택 취소 스위치, 메뉴 화면의 내용을 절환하는 메뉴 표시 스위치, 표시 온/오프 스위치, 표시 확대 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손떨림 보정 스위치(313)는 후술의 떨림 보정 유닛(200)에 의한 떨림 보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손떨림 보정 스위치(313)는 소지 촬영, 망원 촬영, 암부에서의 촬영, 혹은 장시간 노광이 필요한 촬영 시 등, 손떨림 등의 「떨림」의 영향이 촬영 화상으로 표출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눌리고, 상기 촬상 장치(10)의 떨림 보정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다.
십자 키(314)는 원주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압박부(도면 중 삼각표의 부분)를 구비하는 고리형의 부재를 갖고, 각 압박부에 대응하여 구비된 도시 생략의 접점(스위치)에 의해 압박부의 압박 조작이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푸시 버튼(315)은 십자 키(314)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십자 키(314) 및 푸시 버튼(315)은 촬영 배율의 변경(줌 렌즈의 와이드 방향이나 텔레 방향으로의 이동), LCD(311)에 재생하는 기록 화상의 코마 이송 및 촬영 조건(조리개값, 셔터 스피드, 플래시 발광의 유무 등)의 설정 등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광학 파인더(316)는 촬상 장치(10)의 배면에 설치된 접안 타입의 파인더로서 구성되어 있고, 피사체가 촬영되는 범위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즉, 광학 파인더(316)에는 교환 렌즈(2)로부터의 피사체상이 유도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 광학 파인더(316)를 들여다 봄으로써, 실제로 촬상 소자(101)에서 촬영되는 피사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스위치(317)는 좌우로 슬라이드하는 2접점의 슬라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좌측에 세트하면 촬상 장치(10)의 전원이 온되고, 우측에 세트하면 전원이 오프된다.
플래시부(318)는 팝업식 내장 플래시로서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도7, 도8)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도7에 도시하는 엎드려 누운 상태(Qa)와 도8에 도시하는 기립 상태(Qb)의 절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납부(32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부(318)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18P)를 격납하기 위한 오목부(320P)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도7에 도시하는 엎드려 누운 상태(Qa)에 있어서는, 플래시부(318)의 하부를 수납부(320)의 오목부(320P)에 수납함으로써, 플래시부(318)가 촬상 장치(10)의 외형과 일체적이 된다.
한편, 외부 플래시 등을 촬상 장치(1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접속 단자부(319)를 사용하여 접속된다. 또한, 도3이나 도7 등에서는 접속 단자부(319)에 단자 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아이 캡(321)은 차광성을 갖는 대략 「ㄷ」자형의 차광 부재이고, 그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촬상 장치(10)의 배면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아이 캡(321)은, 도5 및 도6과 같이 광학 파인더(316)의 주위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어, 광학 파인더(316)로의 외광의 침입을 억제하는 역할을 발휘한다.
시도 조정 다이얼(322)은 원판형의 외형을 갖고, 광학 파인더(316)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노출 보정 버튼(323)은 노출값(조리개값이나 셔터 스피드)을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고, AE 로크 버튼(324)은 노출을 고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촬상 장치(10)에는, 도1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의 적소에 떨림 검출 센서(171)가 탑재되어 있다. 이 떨림 검출 센서(171)는 손떨림 등에 의해 촬상 장치(10)(카메라 바디)에 부여되는 떨림을 검출하는 것으로, 도1의 수평 방향을 X축(피치 방향), 상기 X축과 수직인 방향을 Y축(요 방향)으로 하는 2차원 좌표계를 상정하는 것으로 하면, 피치 방향의 카메라 떨림을 검출하는 피치 방향 센서(171a)와, 요 방향의 카메라 떨림을 검출하는 요 방향 센서(171b)를 갖고 있다. 피치 방향 센서(171a) 및 요 방향 센서(171b)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를 이용한 자이로(각속도 센서)로 구성되어 각 방향의 떨림의 각속도를 검출한다.
교환 렌즈(2)(도7)는 피사체로부터의 광(광상)을 취입하는 렌즈 창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상기 피사체광을 촬상 장치(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후술의 촬상 소자(101)나 광학 파인더(316)로 유도하기 위한 촬영 광학계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교환 렌즈(2)는 상술한 렌즈 교환 버튼(302)을 압하 조작함으로써 촬상 장치(1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교환 렌즈(2)는 광축(L)을 따라서 직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2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도9 참조). 이 렌즈군(21)에는 초점의 조절을 행하기 위한 포커스 렌즈(211)(도10 참조), 변배(變倍)를 행하기 위한 줌 렌 즈(212)(도10 참조)가 포함되어 있고, 각각 광축(L)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변배나 초점 조절이 행해진다. 또한, 교환 렌즈(2)에는 그 경동(22)(도9 참조)의 외주 적소에 상기 경동의 외주면을 따라서 회전 가능한 조작 고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줌 렌즈(212)는 매뉴얼 조작 혹은 오토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고리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처의 위치에 따른 줌 배율(촬영 배율)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4에 있어서, 촬상 장치(10)의 바닥면측에는 촬상 장치(1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삼각대를 설치하는 삼각대 설치부(185)가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 시스템(1)의 내부 구성>
다음에, 카메라 시스템(1)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카메라 시스템(1)의 종단면도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의 내부에는 촬상 소자(101), 파인더부(102)(파인더 광학계), 미러부(103), 초점 검출부(107), 상술한 떨림 검출 센서(171), 떨림 보정 유닛(200) 및 셔터 유닛(4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촬상 소자(101)는 촬상 장치(10)에 교환 렌즈(2)가 장착된 경우의 상기 교환 렌즈(2)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군(21)의 광축(L) 상에 있어서, 광축(L)에 대해 수직이 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101)로서는,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를 갖고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2차원 배치되어, 각 화소의 수광면에 각각 분광 특성이 다른, 예를 들어 R(적), G(녹), B(청)의 컬러 필터가 1 : 2 : 1의 비율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야 배열의 CMOS 컬러 영역 센서(CMOS형의 촬상 소자)가 이용된다. 촬상 소자(촬상 센서)(101)는 렌즈군(21)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광상을 R(적), G(녹), B(청) 각 색성분의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R, G, B 각 색의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한 광축(L) 상에 있어서, 피사체광을 파인더부(102)를 향해 반사되는 위치에는 미러부(103)(반사판)가 배치되어 있다. 교환 렌즈(2)를 통과한 피사체광은 미러부(103)[후술하는 메인 미러(1031)]에 의해 상방으로 반사되어 초점판(104)(핀트 글래스)에 결상된다. 교환 렌즈(2)를 통과한 피사체광의 일부는 이 미러부(103)를 투과한다.
파인더부(102)는 펜타 프리즘(105), 접안 렌즈(106) 및 광학 파인더(316)를 구비하고 있다. 펜타 프리즘(105)은 단면 오각형을 나타내고, 그 하면으로부터 입사된 피사체광상을 내부에서의 반사에 의해 상기 광상의 상하 좌우를 교체하여 정립상으로 하기 위한 프리즘이다. 접안 렌즈(106)는 펜타 프리즘(105)에 의해 정립상이 된 피사체상을 광학 파인더(316)의 외측으로 유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파인더부(102)는 촬영 대기 시에 있어서 피사계를 확인하기 위한 광학 파인더로서 기능한다.
미러부(103)는 메인 미러(1031) 및 서브 미러(1032)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 미러(1031)의 배면측에 있어서, 서브 미러(1032)가 메인 미러(1031)의 배면을 향해 쓰러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메인 미러(1031)를 투과한 피사체광의 일부는 서브 미러(1032)에 의해 반사되고, 이 반사된 피사체광은 초점 검출부(107)에 입사된다.
상기한 미러부(103)는, 소위 퀵 리턴 미러로서 구성되어 있고, 노광 시에는 회전축(1033)을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상방을 향해 튀어올라, 초점판(104)의 하방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 서브 미러(1032)는 메인 미러(1031)의 배면에 대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축(1034)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한 미러부(103)가 초점판(104)의 하방 위치에서 정지했을 때에는 메인 미러(1031)와 대략 평행해지도록 절첩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교환 렌즈(2)로부터의 피사체광이 미러부(103)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촬상 소자(101) 상에 도착하고, 상기 촬영 소자(101)가 노광된다. 노광이 종료되면, 미러부(103)는 원래의 위치(도9에 도시하는 위치)로 복귀된다.
초점 검출부(107)는 피사체의 핀트 정보를 검출하는 측거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AF 센서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초점 검출부(107)는 미러부(103)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이미 알려진 위상차 검출 방식에 의해 포커싱 위치를 검출한다.
촬상 소자(101)는 떨림 보정 유닛(200)에서 광축(L)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이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101)의 광축 방향 직전에는 적외선의 입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IR 컷트용) 및 유사 컬러나 색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108)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저역 통과 필터(108)의 직전에는 셔터 유닛(4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셔터 유닛(4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막체를 구비하고, 광축(L)을 따라서 촬상 소자(101)로 유도되는 피사체광의 광로 개구 동작 및 광로 차단 동작을 행하는 메커니컬 포컬프 레인 셔터이다.
마운트부(301)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0)의 대략 중앙부에는 프레임체(120)(전방 프레임)가 배치되어 있다(도9에 있어서의 해칭부 참조). 이 프레임체(120)는 그 전후면부 및 상기 펜타 프리즘(105)[초점판(104)]과 대향하는 상면부가 개방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의 각통체이고, 왜곡 등에 대한 강도를 가진 금속제의 강체이다. 프레임체(120)의 전방면은 마운트부(301)의 형상에 맞추어 원통형의 마운트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마운트 수용부(121)에 마운트부(301)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전방면측으로부터 복수의 나사(122)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체(120)는 그 내부에 미러부(10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미러부(103)의 유지 부재를 겸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셔터 유닛(40)은 프레임체(120)의 후단부와, 그 후방측에 배치된 셔터 가압판(109)으로 끼움 지지되는 형태로 프레임체(120)에 지지되어 있다.
촬상 장치(10)의 상기 각 부는, 예를 들어 철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섀시에 의해 서로 연결(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섀시가, 전방면 섀시(도시 생략), 측면 섀시(183) 및 바닥면 섀시(184)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섀시는 상술한 촬상 장치(10) 내의 각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재로서의 책임을 발휘한다. 그리고, 섀시끼리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섀시의 연결 구조체와 프레임체(120)가 나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이들 부재가 일체 구조물화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면 섀시(184)에는 상술한 삼각대 설치부(185)가 설치되어 있다.
<떨림 보정 유닛에 대해>
계속해서, 상기 도9를 참조하여 떨림 보정 유닛(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떨림 보정 유닛(200)은 촬상 소자(101) 및 저역 통과 필터(108)와, 촬상 소자(101)와 함께 저역 패스 필터(108)를 유지하는 촬상 소자 홀더(201)와, 촬상 소자 홀더(201)를 유지하는 슬라이더(202)와, 촬상 소자(101)의 후방면에 배치된 방열판(203)과, 방열판(203)의 후방면에 배치된 촬상 소자 기판(204)과, 요 방향 작동기(205)와, 피치 방향 작동기(도시 생략)와, 떨림 대판(20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 기판(204)은 촬상 소자(101)가 마운트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기판이다. 단, 상기 마운트는 촬상 소자(101)와 촬상 소자 기판(204) 사이에 방열판(203)이 개재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방열판(203)은 소정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체이고, 촬상 소자(101)의 구동(광전 변환)에 의해 발생한 열을 릴리프하기 위한 것이다. 촬상 소자 홀더(201)는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전후가 개방된 프레임체이고, 이 프레임체의 전방부에는 저역 통과 필터(108)가 설치되고, 이 저역 통과 필터(108)의 후방부에 촬상 소자(101)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101)는 촬상 소자 기판(204)에 의해 방열판(203)과 함께 촬상 소자 홀더(201)에 대해 압박된 상태에서 상기 촬상 소자 기판(204)이 촬상 소자 홀더(201)에 대해 나사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떨림 대판(207)은 촬상 소자 홀더(201)가 유지된 상태의 슬라이더(202)를 유지하기 위한 떨림 보정 유닛(200)에 있어서의, 소위 베이스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촬상 소자 홀더(20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변부에 설치된 요 방향 작동기(205)의 구동에 따라서, 떨림 대판(207)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더(202)와 촬상 소자 홀더(201)가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촬상 소자(101)의 요 방향의 떨림이 보정되고, 촬상 소자 홀더(20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변부에 설치된 피치 방향 작동기(도시 생략)의 구동에 따라서 슬라이더(202)에 대해 촬상 소자 홀더(201)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촬상 소자(101)의 피치 방향의 떨림이 보정되게 된다.
<카메라 시스템(1)의 전기적 구성>
도10은 카메라 시스템(1) 전체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도1 내지 도9와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교환 렌즈(2)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교환 렌즈(2)는 상술한 촬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군(21) 및 경동(22) 외에, 렌즈 구동 기구(24)와, 렌즈 위치 검출부(25)와, 렌즈 제어부(26)와, 조리개 구동 기구(27)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군(21)은 포커스 렌즈(211) 및 줌 렌즈(212)와, 촬상 장치(10)에 구비되어 있는 촬상 소자(101)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23)가 경동(22) 내에 있어서 광축(L) 방향으로 유지되어 있고, 피사체의 광상을 취입하여 촬상 소자(101) 등에 결상하는 것이다. 촬영 배율(초점 거리)의 변경이나 초점 조절 동작은 렌즈군(21)이 촬상 장치(10) 내의 AF 작동기(71M)에 의해 광축(L) 방향(도9)으로 구동됨으로써 행해진다.
렌즈 구동 기구(24)는, 예를 들어 헬리코이드 및 상기 헬리코이드를 회전시키는 도시 생략의 기어 등으로 구성되고, 커플러(74)를 거쳐서 AF 작동기(71M)로부터의 구동력을 받고, 렌즈군(21)을 일체적으로 광축(L)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렌즈군(21)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은 각각 AF 작동기(71M)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따른다.
렌즈 위치 검출부(25)는 렌즈군(21)의 이동 범위 내에 있어서 광축(L) 방향에 복수개의 코드 패턴이 소정 피치로 형성된 인코드판과, 이 인코드판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경동(22)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인코더 브러시를 구비하고 있고, 렌즈군(21)의 초점 조절 시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렌즈 제어부(26)는,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이나 상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부(261)가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렌즈 제어부(26)는 촬상 장치(10)의 메인 제어부(6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62)를 구비하고, 이 통신부(262)는, 예를 들어 렌즈군(21)의 초점 거리, 사출 동공 위치, 조리개값, 포커싱 거리 및 주변 광량 상태 등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62)로 송신하는 한편, 메인 제어부(62)로부터, 예를 들어 포커스 렌즈(211)의 구동량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촬영 시에는 AF 동작 완료 후의 초점 거리 정보, 조리개값 등의 데이터가 통신부(262)로부터 메인 제어부(62)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61)에는 상기 렌즈군(21)의 상태 정보 데이터나, 메인 제어부(62)로부터 송신된, 예를 들어 포커스 렌즈(211)의 구동량의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조리개 구동 기구(27)는 커플러(75)를 거쳐서 조리개 구동 작동기(76M)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조리개(23)의 조리개 직경을 변경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촬상 장치(1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촬상 장치(10)에는, 앞서 설명한 촬상 소자(CMOS)(101) 및 이를 떨림 보정 구동하는 떨림 보정 유닛(200), 셔터 유닛(40) 등 외에, AFE(아날로그 프런트 엔드)(5), 화상 처리부(61), 화상 메모리(614), 메인 제어부(62), 플래시 회로(63), 조작부(64), VRAM(65), 카드 I/F(66), 메모리 카드(67), 통신용 I/F(68), 전원 회로(69), 전지(69B), 포커스 구동 제어부(71A) 및 AF 작동기(71M), 미러 구동 제어부(72A) 및 미러 구동 작동기(72M), 셔터 구동 제어부(73A) 및 셔터 구동 작동기(73M), 조리개 구동 제어부(76A) 및 조리개 구동 작동기(76M), 위치 검출 센서부(PS)(208), 시도 조정부(172) 및 삼각대 검지 센서(185S)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1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MOS 컬러 영역 센서로 이루어지고, 후술의 타이밍 제어 회로(51)에 의해 상기 촬상 소자(101)의 노광 동작의 개시(및 종료)나, 촬상 소자(101)가 구비하는 각 화소의 출력 선택, 화소 신호의 판독 등의 촬상 동작이 제어된다.
AFE(5)는 촬상 소자(101)에 대해 소정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타이밍 펄스를 부여하는 동시에, 촬상 소자(10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CMOS 영역 센서의 각 화소에서 수광된 아날로그 신호군)로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처리부(61)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 AFE(5)는 타이밍 제어 회로(51), 신호 처리부(52) 및 A/D 변환부(5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51)는 메인 제어부(62)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을 기초로 하여 소정의 타이밍 펄스(수직 주사 펄스 øVn, 수평 주사 펄스 øVm, 리세트 신호 øVr 등을 발생시키는 펄스)를 생성하여 촬상 소자(101)에 출력하고, 촬상 소자(101)의 촬상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소정의 타이밍 펄스를 신호 처리부(52)나 A/D 변환부(53)에 각각 출력함으로써, 신호 처리부(52) 및 A/D 변환부(53)의 동작을 제어한다.
신호 처리부(52)는 촬상 소자(10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소정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 신호 처리부(52)에는 CDS(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AGC(오토 게인 컨트롤) 회로 및 클램프 회로 등이 구비되어 있다. A/D 변환부(53)는 신호 처리부(5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의 R, G, B의 화상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51)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 펄스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비트(예를 들어, 12 비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화상 처리부(61)는 AFE(5)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것이고, 흑 레벨 보정 회로(611), 화이트 밸런스 제어 회로(612) 및 감마 보정 회로(61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61)로 취입된 화상 데이터는 촬상 소자(101)의 판독에 동기하여 화상 메모리(614)에 일단 기입되고, 이후 이 화상 메모리(614)에 기입된 화상 데이터에 억세스하고, 화상 처리부(61)의 각 블럭에 있어서 처리가 행해진다.
흑 레벨 보정 회로(611)는 A/D 변환부(53)에 의해 A/D 변환된 R, G, B의 각 디지털 화상 신호의 흑 레벨을, 기준의 흑 레벨로 보정하는 것이다.
화이트 밸런스 보정 회로(612)는 광원에 따른 백의 기준을 기초로 하여 R(적), G(녹), B(청)의 각 색성분의 디지털 신호의 레벨 변환[화이트 밸런스(WB)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즉, 화이트 밸런스 제어 회로(612)는 메인 제어부(62)로부터 부여되는 WB 조정 데이터를 기초로, 촬영 피사체에 있어서 휘도나 채도 데이터 등으로부터 본래 백색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특정하고, 그 부분의 R, G, B 각각을 색성분의 평균과, G/R비 및 G/B비를 구하고, 이를 R, B의 보정 게인으로서 레벨 보정한다.
감마 보정 회로(613)는 WB 조정된 화상 데이터의 계조 특성을 보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감마 보정 회로(613)는 화상 데이터의 레벨을 색성분마다 미리 설정된 감마 보정용 테이블을 이용하여 비선형 변환하는 동시에 오프셋 조정한다.
화상 메모리(614)는, 촬영 모드 시에는 화상 처리부(6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동시에, 이 화상 데이터에 대해 메인 제어부(62)에 의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메모리이다. 또한, 재생 모드 시에는 메모리 카드(67)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메인 제어부(62)는,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이나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부가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져, 카메라 시스템(1) 내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메인 제어부(62)는 기능적으로 AF/AE 제어부(621) 및 떨림 보정 제어부(622)를 갖고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62)는 촬상 장치(10)에 있어서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AE/AF 제어부(621)는 자동 초점 제어(AF) 및 자동 노출 제어(AE)를 위해 필요한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AF를 위해, 상술한 초점 검출부(위상차 AF 모듈)(107)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차 검출 방식에 의한 초점 조절 처리를 행하여 포커싱 제어 신호(AF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포커스 구동 제어부(71A)를 거쳐서 AF 작동기(71M)를 동작시켜 포커스 렌즈(211)의 구동을 행하게 한다. 또한, AE를 위해, 도시 생략의 AE 센서에서 검출된 피사체의 휘도 정보 등을 기초로 하여 상기 피사체에 있어서의 적절한 노출량(셔터 속도 등을 포함함)을 구하는 연산을 행한다.
떨림 보정 제어부(622)는 손떨림 보정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떨림 검출 센서(171)로부터의 떨림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떨림 방향 및 떨림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향 및 떨림량을 기초로, 떨림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떨림 보정 유닛(200)에 출력하고, 촬상 소자(101)를 손떨림이 상쇄되는 방향으로 시프트 구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보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일 예를 들면, 떨림 보정 제어부(622)는 떨림 검출 센서(171)에 의해 검출된 각속도 신호를 적분 처리하여 각 방향의 떨림량[떨림각(θ)]을 구하고, 교환 렌즈(2)의 초점 거리(f) 등의 렌즈 프로필에 따라서 떨림각(θ)에 대응하는 촬상 소자(101)의 이동 거리(δ1)(δ1 = fㆍtanθ)를 산출한다. 그리고, 위치 검출 센서부(208)로부터 촬상 소자(101)의 위치 정보(δ2)를 취득하고, δ1 - δ2 = 0이 되도록 촬상 소자(101) 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떨림 보정 유닛(200)에 부여한다.
플래시 회로(63)는 플래시 촬영 모드에 있어서, 플래시부(318) 또는 접속 단자부(319)에 접속되는 외부 플래시의 발광량을 메인 제어부(62)에 의해 설정된 발광량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조작부(64)는 상술한 모드 설정 다이얼(305), 제어치 설정 다이얼(306), 셔터 버튼(307), 설정 버튼군(312), 손떨림 보정 스위치(313), 십자 키(314), 푸시 버튼(315), 메인 스위치(317) 등을 포함하고, 조작 정보를 메인 제어부(62)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VRAM(65)은 LCD(311)의 화소수에 대응한 화상 신호의 기억 용량을 갖고, 메인 제어부(62)와 LCD(311) 사이의 버퍼 메모리이다. 카드 I/F(66)는 메모리 카드(67)와 메인 제어부(62)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메모리 카드(67)는 메인 제어부(62)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는 기록 매체이다. 통신용 I/F(68)는 퍼스널 컴퓨터나 그 밖의 외부 기기에 대한 화상 데이터 등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전원 회로(69)는, 예를 들어 정전압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제어부(62) 등의 제어부, 촬상 소자(101), 그 밖의 각종 구동부 등, 카메라 시스템(1) 전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예를 들어, 5V)을 생성한다. 또한, 촬상 소자(101)로의 통전 제어는 메인 제어부(62)로부터 전원 회로(69)로 부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행해진다. 전지(69B)는 알칼리 건전지 등의 일차 전지나, 니켈 수소 충전지 등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고, 카메라 시스템(1)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 다.
포커스 구동 제어부(71A)는 메인 제어부(62)의 AF/AE 제어부(621)로부터 부여되는 AF 제어 신호를 기초로, 포커스 렌즈(211)를 포커싱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AF 작동기(71M)에 대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AF 작동기(71M)는 스텝핑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커플러(74)를 거쳐서 교환 렌즈(2)의 렌즈 구동 기구(24)에 렌즈 구동력을 부여한다.
미러 구동 제어부(72A)는 촬영 동작의 타이밍에 맞추어 미러 구동 작동기(72M)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미러 구동 작동기(72M)는 미러부(103)(퀵 리턴 미러)를 수평 자세 혹은 경사 자세로 회전시키는 작동기이다.
셔터 구동 제어부(73A)는 메인 제어부(62)로부터 부여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셔터 구동 작동기(73M)에 대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셔터 구동 작동기(73M)는 셔터 유닛(40)의 개폐 구동을 행하는 작동기이다.
조리개 구동 제어부(76A)는 메인 제어부(62)로부터 부여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조리개 구동 작동기(76M)에 대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조리개 구동 작동기(76M)는 커플러(75)를 거쳐서 조리개 구동 기구(27)에 구동력을 부여한다.
위치 검출 센서부(208)는 떨림 보정 구동 또는 카메라 기동 시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101)의 위치 검출을 행하는 것이다. 위치 검출 센서부(208)는 자력선을 내는 자석부와, 이 자석부로부터 나오는 자력선의 강약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2차원 홀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위치 검출 센서 부(208)는 떨림 대판(207)에 대한 촬상 소자 홀더(201)의 상하 좌우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자석부의 위치를 2차원 홀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101)의 위치 검출이 가능해진다.
시도 조정부(172)는 시도 조정 다이얼(322)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광학 파인더(316)의 시도 조정을 행하는 부위이다.
삼각대 검지 센서(185S)는 접점부를 갖는 접점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촬상 장치(10)의 바닥면 섀시(184)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대 설치부(185)에 삼각대(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이다.
<시도 조정 다이얼(322)에 대해>
촬상 장치(10)는 시도 조정 다이얼(322)에 대한 부주의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이 구성에 관련되는 시도 조정 다이얼(322)의 배치 및 아이 캡(321)의 형상 등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1은 도2의 XI-XI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도 조정 다이얼(322)은 촬상 장치(11)의 배면(10b) 상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축(322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시도 조정 다이얼(322)은 촬상 장치(10)의 배면에 있어서의 외부 모서리(Bd)(도2)보다 내측에 설치되고, 그 외부 모서리(Bd)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이 캡(321)에서는 그 외측면의 일부에 오목부(321h)(도6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321h)는 시도 조정 다이얼(322)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도 조정 다이얼(322)은 오목부(321h)의 개구 단부면(321f)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부분이 있지만, 그 내측에 대략 수용되어 있다. 이 개구 단부면(321f)은 가령 아이 캡(321)에 오목부(321h)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아이 캡(321)의 표면에 대응하고 있다.
아이 캡(321)의 오목부(321h)는 손가락 끝(FG)이 들어가는 사이즈를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목부(321h)에 손가락 끝(FG)을 넣고 시도 조정 다이얼(322)을 자유자재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시도 조정 다이얼(322)은 촬상 장치(10)의 배면에 있어서 외부 모서리(Bd)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10)의 외형면으로부터 시도 조정 다이얼(322)이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도 조정 다이얼(322)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잘못하여 닿는 것이 억제되어, 부주의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이 캡(321)의 외측면의 일부에 오목부(321h)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21h)의 개구 단부면(321f)에 시도 조정 다이얼(322)이 대략 수용되므로, 촬상 장치(10)의 후방에서 보면, 도2에 도시하는 아이 캡(321)의 음(陰)에 시도 조정 다이얼(322)의 대부분이 가려지게 되고, 시도 조정 다이얼에 대한 부주의한 조작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도 조정 다이얼(322) 상에는 아이 캡(321)의 오목부(321h)에 의해 손가락 끝(FG)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오목부(321h)의 경사 상방으로부터 시도 조정 다이얼(322)의 표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시도 조정 다이얼(321)의 표면에 조작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등(예를 들어, 증감 방향을 나타내는 「+」나 「-」)을 표시해 두면, 시도 조정 다이 얼(321)의 조작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에 있어서 시도 조정을 행하는 파인더에 대해서는, 광학 파인더로 한정되지 않고, EVF(Electronic View Finder) 등 전자적으로 피사체를 표시하는 접안 타입의 파인더라도 좋다.
또한,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에 대해서는, 상술한 시도 조정 다이얼(322)과 같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이얼형의 조작 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범위를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형의 조작 부재 등이라도 좋다.
<플래시부(318)에 대해>
촬상 장치(10)의 플래시부(318)는 플래시부(318)를 수동으로 기립시킬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아프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고 있고, 이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래시부(318)의 양 사이드에는 엎드려 누운 상태(Qa)(도7)에 있어서의 플래시부(318)와 수납부(320)의 경계(Ba, Bb)(도5 내지 도7)를 따라서 이 경계(Ba, Bb)의 바로 위에서 가로로 눕도록 막대형의 돌출부(Va, Vb)(도5 내지 도8)가 마련되어 있다. 각 돌출부(Va, Vb)는 플래시부(318)의 선단부로부터 회전축(Co)(도8) 부근까지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 돌출부(Va, Vb)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2는 도5의 XII-XII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플래시부(318)는 발광부를 내장하는 본체부(318m)를 구비하고 있고, 본체 부(318m)의 좌측 하부 구석 및 우측 하부 구석에는 돌출 방향으로 라운딩을 띠고 있는 돌출부(Va, Vb)가 형성된 2개의 막대형 부재(318a, 318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의 막대형 부재(318a, 318b)를 플래시부(318)에 설치하는 것은 돌출 방향으로 라운딩을 띤 돌출부(Va, Vb)를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즉, 금형을 이용하여 플래시부의 하우징과 일체화된 돌출부(Va, Vb)를 형성하고자 해도 금형에 의한 제조상의 제약으로부터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부의 케이싱(318p)의 좌측 하부 구석(Ea) 및 우측 하부 구석(Eb)은 각지게 되어 라운딩을 띤 돌출부(Va, Vb)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플래시부(318)의 양 사이드에는 막대형의 돌출부(Va, V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돌출부(Va, Vb)에 사용자가 손가락 끝을 압박하여 엎드려 누운 상태(Qa)의 플래시부(318)를 기립시킬 때에는 돌출부(Va, Vb)와 손가락 끝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커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서는 압력이 분산되므로, 손가락 끝이 아프게 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부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막대형의 돌출부(Va, Vb)는 돌출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끝에 대한 부담이 보다 경감되게 된다.
또한, 플래시부(318)에 있어서의 막대형의 돌출부에 대해서는, 도14에 도시하는 돌출부(Vc)와 같이 플래시부(318)의 선단부에만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회전축(Co)(도8)으로부터 먼 플래시부(318)의 선단부에서는 회전축(Co)에 가까운 장소에 비해 작은 힘으로 플래시부(318)를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플래시부(318)의 선단부를 손가락 끝으로 파지하여 기립시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 서, 플래시부에 있어서 적어도 선단부의 양 사이드에 막대형의 돌출부를 마련해 두면, 플래시부(318)의 기립 시에 손가락 끝이 아프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부(318)의 선단부로부터 회전축(Co)(도8) 부근까지 막대형의 돌출부(Va, Vb)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플래시부(318)의 선단부뿐만 아니라 중앙부 등을 손가락 끝으로 파지하여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그 경우에도 사용자는 플래시부(318)의 선단부를 손가락 끝으로 파지하여 기립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막대형의 돌출부(Va, Vb)는 그 돌출 방향의 단면적이 소정의 회전축(Co)(도8)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짐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소정면에 설치된 접안 타입의 파인더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는 상기 소정면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파인더의 주위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고 파인더로의 외광의 침입을 억제하는 차광 부재에는 조작 부재 상에 있어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 단부면보다 내측에 조작 부재가 대략 수용되어 있다. 그 결과, 파인더의 시도 조정에 관한 부주의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촬상 장치이며,
    (a) 상기 촬상 장치의 소정면에 설치된 접안 타입의 파인더와,
    (b) 상기 파인더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와,
    (c) 상기 파인더의 주위에 있어서 상기 소정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어, 상기 파인더로의 외광의 침입을 억제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소정면에 있어서 외부 모서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차광 부재에는 상기 조작 부재 상에 있어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 단부면보다 내측에 상기 조작 부재가 대략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오목부는 손가락 끝이 들어가는 사이즈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오목부는 상기 차광 부재의 외측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소정면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접안 타입의 파인더의 주위에 있어서 촬상 장치의 소정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어, 상기 파인더로의 외광의 침입을 억제하는 차광 부재이며,
    소정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촬상 장치에는 상기 파인더의 시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가 상기 소정면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오목부는 상기 조작 부재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오목부의 개구 단부면보다 내측에 상기 조작 부재가 대략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부재.
KR1020070054286A 2006-06-05 2007-06-04 촬상 장치 및 차광 부재 KR20070116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6005A JP4182991B2 (ja) 2006-06-05 2006-06-05 撮像装置および遮光部材
JPJP-P-2006-00156005 2006-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549A true KR20070116549A (ko) 2007-12-10

Family

ID=3879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286A KR20070116549A (ko) 2006-06-05 2007-06-04 촬상 장치 및 차광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29610B2 (ko)
JP (1) JP4182991B2 (ko)
KR (1) KR20070116549A (ko)
CN (1) CN100576054C (ko)
TW (1) TW2008158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4416A (ja) * 2008-06-05 2009-12-17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51015B2 (ja) 2008-06-18 2012-10-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7933516B2 (en) * 2008-09-11 2011-04-26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and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US7933515B2 (en) * 2008-09-11 2011-04-26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and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US20100182397A1 (en) * 2009-01-16 2010-07-22 Eun Jeong Choi Connector panel for view camera capable of docking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
JP5631116B2 (ja) 2010-08-24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4487894B (zh) * 2012-07-24 2016-10-26 富士胶片株式会社 相机及其动作控制方法
USD733782S1 (en) * 2014-01-17 2015-07-07 Olympus Imaging Corp. Digital camera
WO2015166688A1 (ja) * 2014-05-01 2015-11-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1536029S (ko) * 2014-09-11 2015-10-26
JP1558687S (ko) * 2016-02-18 2016-09-12
JP6611839B2 (ja) 2017-03-06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7526173B (zh) * 2017-09-14 2023-10-31 重庆传音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vr眼镜
CN113558567B (zh) * 2019-12-30 2023-07-25 深圳硅基智能科技有限公司 采集眼底图像的眼底相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9433U (ja) * 1983-01-31 1984-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用アイカツプ
JP3363953B2 (ja) 1992-10-26 2003-01-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視度調整装置
JPH08110549A (ja) 1994-10-07 1996-04-30 Asahi Optical Co Ltd ファインダの視度調整機構
JPH11160603A (ja) 1997-11-28 1999-06-18 Nikon Corp 光学機器のレンズ駆動機構
JP3238656B2 (ja) * 1998-01-20 2001-12-1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ファインダの視度調整機構を有するカメラ
USD433434S (en) * 1999-04-19 2000-11-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ingle-lens reflex camera body
JP2001125172A (ja) * 1999-10-29 2001-05-11 Canon Inc 光通過領域可変装置及びファインダ装置
USD450739S1 (en) * 1999-12-28 2001-11-20 Nikon Corporation Camera
JP2001356392A (ja) * 2000-06-16 2001-12-26 Asahi Optical Co Ltd 視度調整装置
JP2002010112A (ja) * 2000-06-20 2002-01-11 Sony Corp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
JP2002040520A (ja) 2000-07-21 2002-02-06 Canon Inc ファインダ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USD451940S1 (en) * 2000-09-13 2001-12-1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ingle-lens reflex camera body
US6637881B1 (en) * 2002-01-02 2003-10-28 Neuroptics, Inc. Eyecup shield with finger ports
JP2003248256A (ja) 2002-02-26 2003-09-05 Fuji Photo Optical Co Ltd ファインダの視度合わせ操作部材の支持構造
AU2003275171A1 (en) * 2002-09-23 2004-04-08 Concord Camera Corp. Image capture device
JP2005181356A (ja) * 2003-12-15 2005-07-07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アクセサリ及び撮影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6597A (zh) 2007-12-12
CN100576054C (zh) 2009-12-30
JP4182991B2 (ja) 2008-11-19
TWI356964B (ko) 2012-01-21
US7729610B2 (en) 2010-06-01
TW200815891A (en) 2008-04-01
JP2007322985A (ja) 2007-12-13
US20070280674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6549A (ko) 촬상 장치 및 차광 부재
EP1986423B1 (en) Image pickup apparatus
EP1976274B1 (en) Imaging device
JP4315206B2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US8063944B2 (en) Imaging apparatus
JP5251463B2 (ja) 撮像装置
US20070047936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US20060056831A1 (en) Digital camera
JP2007159061A (ja) 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TW200935115A (en) Image-capturing apparatus
KR20090042738A (ko) 촬상 장치
JP2010021614A (ja) 撮像装置と、その画角変更方法および画角変更プログラム
JP5338347B2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交換レンズ
JP2007323008A (ja) 撮像装置
JP2009300481A (ja) 撮像装置およびミラー駆動装置
JP2010256748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