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699A - 로케이팅 수단 - Google Patents

로케이팅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699A
KR20070114699A KR1020077014636A KR20077014636A KR20070114699A KR 20070114699 A KR20070114699 A KR 20070114699A KR 1020077014636 A KR1020077014636 A KR 1020077014636A KR 20077014636 A KR20077014636 A KR 20077014636A KR 20070114699 A KR20070114699 A KR 20070114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d body
protruding member
locating means
drive
elon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분스
Original Assignee
이스트랜드 메디칼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5900060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5900060A0/en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랜드 메디칼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스트랜드 메디칼 시스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23Q3/103Constructional elements used for constructing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8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c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017Self-centering of floating
    • Y10T279/17025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128Self-grasping
    • Y10T279/17171One-way-clutch type
    • Y10T279/17179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9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906Radially reciprocating jaws with indicator

Abstract

일측 요소와의 결합을 위해 타측 요소(11)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두 요소를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로케이팅 수단(3)으로서, 상기 로케이팅 수단으로 부터 연장되는 확장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의내측방향에 위치하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돌출 부재(39), 상기 타측 요소로 부터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부재(29)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돌출 부재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돌출 부재의 변위가 야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 요소는 상기 돌출 부재가 확장 위치에 있고 상기 두 요소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두 요소가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될 때 상기 돌출 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사용되는 인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구동 헤드로(1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피삭재를 지지하여 상기 피삭재의 기계가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지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로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로케이팅 수단을 이용한다.
로케이팅 수단, 구동 부재, 구동 헤드, 돌출 부재,

Description

로케이팅 수단{Locating means}
본 발명은 두 개 부재간의 확실한 상호결합을 보장하고 이들 두개 부재간의 의도되지 않은 결합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두 개 부재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로케이팅 수단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의 적용예에는 호주 가 특허 출원 제 2005900055, 국제특허출원 PCT/AU2004/000090 및 PCT/AU2005/000432에 개시된 형태의 지그(jigs)를 록킹시키기 위한 로케이팅 수단 및 PCT/AU2005/000433 및 PCT/AU2005/000429에 개시된 형태의 워크 헤드(work head)에 지그를 장착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이들 특허 명세서의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걸친 전체 문맥에는 어휘 "~을 포함한다(comprise)" 또는 "~을 포함한다(comprises)" 혹은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변형 어휘가 필요한데, 이는 어떤 다른 완전체(integer) 또는 완전체 그룹(group of integers)의 제외(exclusion)가 아닌, 언급된 하나의 완전체 또는 완전체 그룹의 포함(inclus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 요소와의 결합을 위해 타측 요소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두 요소를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로케이팅 수단으로서, 상기 로케이팅 수단으로 부터 연장되는 확장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의내측방향에 위치하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돌출 부재, 상기 타측 요소로 부터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돌출 부재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돌출 부재의 변위가 야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 요소는 상기 돌출 부재가 확장 위치에 있고 상기 두 요소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두 요소가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될 때 상기 돌출 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사용되는 인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 헤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피삭재를 지지하여 상기 피삭재의 기계가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지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로서, 전술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로케이팅 수단이 상기 구동 헤드 축으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두 요소를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하고, 상기 로케이팅 수단은 청구항 1에서 청구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지그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헤드로부터 상기 회전 지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측 요소는 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확장 위치로의 이동시에 상기 긴 본체로부터 멀어져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긴 본체는 상기 일측 요소내에 형성된 개구부 속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일측 요소의 인접 표면은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긴 본체의 단면에 상보적인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재는 긴 본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활주가능한 이동을 위해 상기 긴 본체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에 평행하거나 동일한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긴 본체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재에는 횡방향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횡방향 통로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생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통로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생크부는 지지면을 갖되, 상기 대향면과 상기 지지면은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긴 본체 내에서 상기 돌출 부재와 구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긴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긴 본체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결합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는 편향되어 상기 돌출 부재가 그 확장 위치를 확보하도록 한다.
청구항 10의 지지 장치에 따르면, 상기 타측 요소는 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확장 위치로의 이동시에 상기 긴 본체로부터 멀어져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긴 본체는 상기 일측 요소내에 형성된 개구부 속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일측 요소의 인접 표면은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청구항 11의 지지 장치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긴 본체의 단면에 상보적인 구성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청구항 11 또는 12의 지지 장치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재는 긴 본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활주가능한 이동을 위해 상기 긴 본체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지지된.
청구항 13의 지지 장치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에 평행하거나 동일한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긴 본체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청구항 14의 지지 장치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재에는 횡방향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횡방향 통로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생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통로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생크부는 지지면을 갖되, 상기 대향면과 상기 지지면은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긴 본체 내에서 상기 돌출 부재와 구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청구항 15의 지지 장치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긴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긴 본체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결합가능하게 구성된다.
청구항 11항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는 편향되어 상기 돌출 부재가 그 확장 위치를 확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을 토대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팅 수단에 의해 지그(도시생략)를 수용하고 이 지그를 지지하기 위한 구동 헤드(driving head)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팅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케이팅 수단의 외측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로케이팅 수단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로케이팅 수단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는 밀링 머신의 구동 헤드(11)상에서 밀링 또는 기계가공 동작을 거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삭재(work-piece)를 지지하는 지그(도시생략)를 확실하게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로케이팅 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로케이팅 수단들은 구동 헤드로 부터 지지되고, 지그와 결합하고 이 지그를 지지하여 지그와 구동 헤드간에 상대적 이동이 없거나 최소화 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팅 수단(13)은 지그의 대향면상에 형성되는 일련의 개구부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케이팅 수단은, 구동 헤드(11)의 베이스 플레이트(19)에 장착되는 내측 단부를 구비한 정방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헤드로 부터 수직으로 연장 기다란 본체(15)를 포함한다. 이 본체에는 본체(1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종방향의 중앙 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21)의 단부는 본체의 일단부(17)에서 제거가능한 플러그(2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타단부에 제공된 관형 보스(tubular boss)(27)에 의해 형성된 감소된 직경의 개구부(25)에 의해 본체(15)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종방향의 중앙 통로(21)의 개구부가 형성된다.상기 종방향의 중앙 통로(21)는, 이 중앙통로(21)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구동부재(29)를 지지하는데, 이 구동부재는 감소된 직경의 개구부(25)를 통과하여 본체(15)의 타단부를 지나 연장하는 연장 요소(31)를 구비하고 있다. 관형 스피고트(tubular spigot)와 상기 연장요소(31)사이에 적절한 실링 부트(sealing boot)가 제공되어 상기 관형 스피고트(31)와 상기 연장요소(31)간의 접합부 속으로 이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플러그(23)와 상기 구동 부재(29)의 내측단 사이의 종방향 중앙통로(21)내에 평향 스프링(35)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에 편향력을 인가함으로써 이 구동부재가 종방향 중앙통로(21)의 타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측방향 통로(37)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측방향 통로(37)의 내측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종방향 중앙 통로(21)를 지나 연장한다. 상기 측방향 통로(37) 내부에 돌출 부재(39)가 활주가능 하게 수용되고 상기 돌출 부재(39)와 본체(15) 사이에는 실링 부트(41)가 되어 돌출 부재와 본체간의 접합부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 돌출 부재에는 상기 구동 부재(39)의 생크부(shank portion)(45)가 수용되는 횡방향 통로(43)이 형성됨으로써, 생크부(45)의 단면은 횡방향 통로(43)의 단면에 대해 상보적이다. 그 결과, 상기 횡방향 통로의 대향면은 생크부의 인접 지지면과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생크부(45) 및 횡방향 통로(43)의 축은 동축이고 구동 부재(29)와 본체(15)의 종방향 중앙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오프셋되어 있다. 상기 대향면과 지지면이 비스듬하게 오프셋됨으로써 본체 내에서의 돌출 부재의 횡방향 변위 및 구동 부재의 종방향 변위를 야기시켜, 돌출 부재가 확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생크부(35)상에서의 횡방향 통로(43)의 상보적인 상호결합 및 횡방향 통로(43)와 생크부(45)의 중심축의 비스듬한 방위설정의 결과로서, 본체(25)의 종방향 중앙통로(21) 내에서의 구동 부재(29)의 돌출 부재(39)에 대한 종방향 변위로 인해 본체(15)의 표면에 대해 돌출 부재(39)의 측방향 변위가 야기될 것이다. 구동 부재(29)가 본체(15)의 축(21) 속으로 내향하여 변위될 때, 상기 돌출 부재는 확장 위치로 부터 멀어지면서 본체속으로 내향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돌출 부재(39)의 내측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체(15)에 대한 구동 부재(29)의 이동 정도(degree of movement)는 구동 부재(15)의 최내측 단부와 본체의 일단부(17)에 제공된 플러그(23)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돌출 부재(39)의 측방향 이동의 정도는 돌출 부재(39)의 최내측 단부와 측방향 통로(37)의 최내 측 단부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돌출 부재(39)의 횡방향 통로(37)의 중심축과 구동 부재(29)의 생크부(45)의 중심축의 각도는, 돌출 부재(37)에 내향하는 힘이 인가될 때 돌출 부재(39)와 생크부(45) 간의 마찰력은 스프링(35)에 의해 구동 부재에 인가되는 편향력에 대해 구동 부재에 인가되는 모멘트를 초과할 것이고, 구동 부재의 상대적인 외향 변위의 결과로서 돌출 부재에 인가되는 외향 모멘트 보다 크게 작게 된다.
워크 헤드상에 지그를 결합하기 위해, 각 로케이팅 수단의 구동 부재들은 스프링(35)의 작용에 대해 내측으로 밀리게 되고, 그로 인해 돌출 부재들이 본제의 표면속으로 수축하게 된다. 이때, 지그는 로케이팅 수단 위에 위치하게 되고 구동 부재들이 확장 위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돌출 부재는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여 지그의 개구부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결합하게 될 것이다. 스프링의 작용으로 인해 구동 부재에 의해 돌출 부재에 힘이 인가됨으로써, 이 돌출 부재는 최외측 위치로 강제 이동하여 상기 지그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지그와 돌출 부재간의 확실한 결합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의 특정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8)

  1. 일측 요소와의 결합을 위해 타측 요소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두 요소를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로케이팅 수단으로서, 상기 로케이팅 수단으로 부터 연장되는 확장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의내측방향에 위치하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돌출 부재, 상기 타측 요소로 부터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돌출 부재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돌출 부재의 변위가 야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 요소는 상기 돌출 부재가 확장 위치에 있고 상기 두 요소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두 요소가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될 때 상기 돌출 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사용되는 인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요소는 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확장 위치로의 이동시에 상기 긴 본체로부터 멀어져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긴 본체는 상기 일측 요소내에 형성된 개구부 속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일측 요소의 인접 표면은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긴 본체의 단면에 상보적인 구성을 갖 는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긴 본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활주가능한 이동을 위해 상기 긴 본체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에 평행하거나 동일한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긴 본체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에는 횡방향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횡방향 통로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생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통로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생크부는 지지면을 갖되, 상기 대향면과 상기 지지면은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긴 본체 내에서 상기 돌출 부재와 구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긴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긴 본체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편향되어 상기 돌출 부재가 그 확장 위치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케이팅 수단.
  9.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로케이팅 수단.
  10. 구동 헤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피삭재를 지지하여 상기 피삭재의 기계가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지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로서, 전술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로케이팅 수단이 상기 구동 헤드 축으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두 요소를 상호 결합상태에서 유지하고, 상기 로케이팅 수단은 청구항 1에서 청구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지그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헤드로부터 상기 회전 지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요소는 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확장 위치로의 이동시에 상기 긴 본체로부터 멀어져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긴 본체는 상기 일측 요소내에 형성된 개구부 속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일측 요소의 인접 표면은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긴 본체의 단면에 상보적인 구성을 갖 는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긴 본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활주가능한 이동을 위해 상기 긴 본체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에 평행하거나 동일한 축을 따라 상기 긴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긴 본체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에는 횡방향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횡방향 통로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생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통로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생크부는 지지면을 갖되, 상기 대향면과 상기 지지면은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긴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긴 본체 내에서 상기 돌출 부재와 구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긴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긴 본체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편향되어 상기 돌출 부재가 그 확장 위치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8.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지지 장치로서, 구동 헤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피삭재를 지지하여 상기 피삭재의 기계가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지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20077014636A 2005-01-07 2006-01-09 로케이팅 수단 KR200701146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5900060 2005-01-07
AU2005900060A AU2005900060A0 (en) 2005-01-07 Locating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699A true KR20070114699A (ko) 2007-12-04

Family

ID=3664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636A KR20070114699A (ko) 2005-01-07 2006-01-09 로케이팅 수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30635A1 (ko)
EP (1) EP1833631A4 (ko)
JP (1) JP2008526532A (ko)
KR (1) KR20070114699A (ko)
CN (1) CN101098765B (ko)
WO (1) WO20060721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04B1 (ko) * 2015-12-01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반의 센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7095A (zh) * 2013-11-20 2015-05-27 江西华友机械有限公司 多工件两端面加工夹具
CN103817547A (zh) * 2013-12-19 2014-05-28 中航贵州飞机有限责任公司 可旋转定位的夹具
DE102017108666A1 (de) * 2017-04-24 2018-10-25 EZU-Metallwaren GmbH & Co. KG Werkstückadapter zur Verwendung in einer Werkzeugmaschine sowie Werkstückspann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468A (en) * 1900-10-19 1901-03-26 Daniel Collins Nipple-chuck.
US755198A (en) * 1903-08-25 1904-03-22 Francis A Forwood Implement for truing the ends of tubing.
US1873515A (en) * 1930-11-03 1932-08-23 Charles H Warren End locating device
US2136190A (en) * 1936-04-06 1938-11-08 Gulfelt Lars Tool holder
US2713760A (en) * 1952-06-05 1955-07-26 Raymond E Dunham Hypodermic needle sharpener device
BE566278A (ko) * 1957-04-03
US2990189A (en) * 1957-12-23 1961-06-27 Chicago Pneumatic Tool Co Socket connecting means for a rotary impact tool
US3336654A (en) * 1959-10-08 1967-08-22 Brunswick Corp Method of molding and assembling
US3927893A (en) * 1974-01-11 1975-12-23 Skil Corp Collet assembly for a reciprocating tool
JPS5459693A (en) * 1977-10-21 1979-05-14 Shiyouji Wada Device of automatically grinding nose of injection needle
SE422657B (sv) * 1978-07-04 1982-03-22 Sandvik Ab Verktygsfeste for fresar och liknande verktyg
US4432506A (en) * 1982-07-28 1984-02-21 Cetec Corporation Reel and hub lock for tape drives
US4710077A (en) * 1985-08-05 1987-12-01 Erickson Tool Company Locking tool holder
US5282715A (en) * 1992-10-09 1994-02-0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Needle transporting apparatus
US5400517A (en) * 1993-07-13 1995-03-28 Mckendrick; Blair T. Loca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929572A (ja) * 1995-07-13 1997-02-04 Kyoritsu Kogyo Kk 治具の位置調整装置
US6607509B2 (en) * 1997-12-31 2003-08-19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for an insertion 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E970782A1 (en) * 1997-10-22 1999-05-05 Elan Corp An improved automatic syringe
JP2000141110A (ja) * 1998-11-04 2000-05-23 Kinichi Kaneko チャック装置の爪
JP2001341041A (ja) * 2000-06-02 2001-12-11 Toyota Motor Corp 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US6585685B2 (en) * 2001-06-08 2003-07-01 Bioject Inc. Jet injector apparatus and method
DE10151582B4 (de) * 2001-10-23 2013-11-14 Röhm Gmbh Bohrmaschine
JP3729771B2 (ja) * 2001-11-29 2005-12-21 株式会社コガネイ 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US20030105430A1 (en) * 2001-11-30 2003-06-05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Wil House Automatic injector
JP2003231032A (ja) * 2002-02-12 2003-08-19 Honda Motor Co Ltd ワークの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DE10233694A1 (de) * 2002-07-24 2004-02-12 Komet Präzisionswerkzeuge Robert Breuning Gmbh Vorrichtung zur Kupplung zweier Bauteile
ATE297286T1 (de) * 2002-09-09 2005-06-15 Hermle Berthold Maschf Ag Festspanneinrichtung zum festspannen zweier teile aneinander
WO2004110299A2 (en) * 2003-06-17 2004-12-23 Adst Technologies Ltd. Fluid transfer device having removable needle cartridge
EP1729902B1 (en) * 2004-03-31 2010-02-17 Eastland Medical Systems Ltd Drive
FR2869189B1 (fr) * 2004-04-16 2006-06-02 Thales Sa Procede de controle et d'analyse des communications dans un reseau de telephonie
DE102005049615A1 (de) * 2005-05-25 2007-06-28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ZB-Klickraster
DE102005031142A1 (de) * 2005-07-04 2007-01-18 Forkardt Deutschland Gmbh Spannvorrichtung, Grundbacken und Aufsatzbacken dafü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04B1 (ko) * 2015-12-01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반의 센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0635A1 (en) 2009-09-17
EP1833631A4 (en) 2012-07-11
JP2008526532A (ja) 2008-07-24
CN101098765B (zh) 2010-06-30
WO2006072145A1 (en) 2006-07-13
CN101098765A (zh) 2008-01-02
EP1833631A1 (en)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301B2 (en) Hook pin unit having weld slag protection
KR101779557B1 (ko) 클램프 장치
US8221296B2 (en) Implement clamping system
US9908219B2 (en) Clamp apparatus
US20090235561A1 (en) Quick-change device
KR20070114699A (ko) 로케이팅 수단
JP6514605B2 (ja) 締め付け装置
ES2262950T3 (es) Unidad para incrementar la fuerza de fijacion de un tornillo de banco.
US6135461A (en) Chuck for drilling and chiseling tools
WO2017128813A1 (zh) 夹头
JP2013517144A (ja) 工具ホルダアセンブリ
JP2010017834A (ja) マテリアルハンド用クランプ機構
JP2019501314A (ja) クイック・カプラのための係止デバイス
CN107735221A (zh) 具有锁紧机构的肘节夹
JPS63139603A (ja) ドリルチャック
TWI335255B (ko)
CN108698207B (zh) 用于将工件锁定在机床上的装置
AU2006204596B2 (en) Locating means
EP3513909A1 (en) Pipe pliers
JP2018523036A (ja) 高速交換装置
KR20200083593A (ko) 클램핑 장치
TW202306709A (zh) 防空程保持套筒
AU2019200014B2 (en) Pipe Pliers
KR101679150B1 (ko) 유압브레이커 해머의 지지핀용 멈춤부재
CN102886749B (zh) 一种带夹紧装置的快速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