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572A -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572A
KR20070114572A KR1020060048317A KR20060048317A KR20070114572A KR 20070114572 A KR20070114572 A KR 20070114572A KR 1020060048317 A KR1020060048317 A KR 1020060048317A KR 20060048317 A KR20060048317 A KR 20060048317A KR 20070114572 A KR20070114572 A KR 20070114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rug
cellulose
shrimp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410B1 (ko
Inventor
오화균
성기홍
전홍렬
계홍석
유세근
하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Priority to KR102006004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410B1/ko
Priority to PCT/KR2007/002595 priority patent/WO2007139334A1/en
Publication of KR2007011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약물 또는 사료를 고분자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약물 또는 사료를 친수성 고분자로 1차 코팅한 후에 비친수성 고분자로 2차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새우, 섭취율, 코팅

Description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Method for improving a drug or feed intake rate of shrimp}
도 1은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새우흰반점바이러스에 대한 효과평가 결과이다.
도 2 및 3은 코팅된 후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새우흰반점바이러스에 대한 효과평가 결과이다.
본 발명은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새우산업은 1990년대 초반까지는 심각한 질병의 위협 없이 성장해 왔다.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는 새우 생산량을 위협하는 질병으로는 비브리오 감염에 의한 것이 주요하였으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타입의 노랑 머리 바이러스(yellow head virus), 흰반점바이러스(white spot syndrome virus), 타우라(Taura) 신드롬 바이러스 등의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소개되며 새우 생산량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새우흰반점바이러스는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를 중심으로 중남미까지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규 모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새우흰반점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새우 질병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개발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안전한 식물 추출물의 이용은 아주 오래전부터 민간요법 등으로 전해져왔으며 최근에는 이들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식물 추출물의 경우 특유의 냄새, 맛 등으로 인하여 새우의 섭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물 또는 사료를 고분자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개선 방법의 코팅이 친수성 고분자로 1차 코팅한 후에 비친수성 고분자로 2차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친수성 고분자가 약물 또는 사료 총 중량 대비 1-30 중량%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비친수성 고분자가 1차 코팅된 약물 또는 사료 총 중량 대비 1-10 중량%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개선 방법에 있어 약물 또는 사료가 코팅되기 전에 과립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개선 방법에 있어 약물이 식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냄새, 맛 등이 나빠 새우의 섭취율이 떨어지는 약물 또는 사료를 고분자로 코팅할 경우 새우의 섭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이러한 개선은 코팅된 고분자가 약물 또는 사료의 냄새, 맛 등을 차단하여 새우의 섭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이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 측면에서 상기 코팅은 친수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1차 코팅과 그 후의 비친수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2차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고분자로만 코팅되는 경우 물에 투입시 친수성 고분자가 쉽게 용해되어 상기 추출물들의 냄새를 차단하기 어렵고, 비친수성 고분자로만 코팅할 경우 냄새를 차단하기 위해서 다소 많은 양을 코팅해야 하며 이 경우 비친수성 고분자가 물속에서 용해되지 않아 상기 추출물들이 약효를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1차 코팅 그 자체로도 냄새 차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비친수성 고분자로 2차 코팅을 실시하 면 냄새 차폐 효과뿐만 아니라 추출물의 안정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수성 고분자는 다소 많은 양이 코팅되더라도 물에 쉽게 용해하는 고분자를 의미하며, 이러한 친수성 고분자로는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 대두단백, 소맥단백, 카라기난, 트라가탄트검, 한천, 아라비아고무, 구아검, 잔탄검, 검류, 펙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알켄옥사이드, 폴리알켄옥사이드 유도체, 폴리알켄글리콜, 폴리에칠렌-폴리프로필렌 중합체, 폴리옥시에칠렌-폴리옥시프로필렌 중합체, 제인, 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사이클로덱스트린, 키틴, 키토산,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친수성 고분자는 물에 용해되기 어렵거나 물에 용해되는 속도가 매우 느려 상기 추출물이 물 밖으로 빠른 시간 내에 용해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의미하며, 이러한 비친수성 고분자로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쉘락,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L-라이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 오스프탈레이트, 고점도 셀룰로오스 유도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옥수수단백추출물, 옥수수단백추출물 가공물, 대두단백, 소맥단백, 키틴, 키틴산, 한천, 펙틴, 검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쉘락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친수성 고분자를 이용한 1차 코팅은 상기 추출물 과립 중량의 1-30 중량% 양만큼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15 중량% 양만큼 코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친수성 고분자를 이용한 2차 코팅은 1차 코팅된 과립 중량의 1-10 중량% 양만큼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8 중량% 양만큼 코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차 코팅의 경우 코팅액을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2차 코팅의 경우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토나이트릴,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르포름, 1,4-디옥산,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동층조립기, 분무건조기, C/F과립기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선 방법에 사용되는 약물 또는 사료는 코팅 공정의 용이성을 위하여 고분자로 코팅되기 전에 과립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립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건식과립법, 습식과립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약물 또는 사료는 냄새, 맛 등이 나빠 새우의 섭취율이 떨어지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비쑥(Artemisia japonica) 추출물, 섬쑥(Artemisia japonica var. hallaisanensis) 추출물, 더위지기(Artemisia gmelini) 추출물,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추출물, 약모밀(Houttuynia cordata) 추출물, 감초(Glycyrrhiza uralensis) 추출물,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땅콩 추출물, 메밀(Fagopyrum esculentum) 추출물, 청각 추출물, 김 추출물, 백선(Dictammus dasycarpus) 추출물, 글루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푸코이단(fucoidan), 사포닌, 락토페린, 이눌린, 덱스트란, 난황항체, 항체단백질, 5-아미노 레불리닉산(levulinic acid) 등에 본 발명의 개선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안전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새우 질병의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한데, 이러한 식물 추출물은 대부분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개선 방법이 특히 유용하다.
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식물에 시료 부피의 약 1-15배에 해당하는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이들의 혼합물 등의 용매를 가한 후, 냉침추출, 열추출, 환류냉각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물을 얻고, 적당한 크기의 여과지(예를 들어, 10um 크기의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적당한 온도(예를 들어, 약 30-70℃)에서 진공감압농축, 감압증류농축 또는 분무건조농축하여 식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 공정의 용이성을 위하여 과립으로 제조된 후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통상적인 부형제(예를 들어, 말토덱스트린,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 설탕, 만니톨, 전분 등) 또는 새우의 일반사료와 혼합한 후에,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건식과립법, 습식과립법, 단순혼합법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과립으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 사료와의 배합성, 취급용이성, 후술하는 코팅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된 과립에 전체 중량의 약 0.1-5%의 활택제(예를 들어, 이산화규소,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첨가하는 것이 후속공정을 진행하는 데 있어 더욱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제비쑥(Artemisia japonica)과 삼백초(Saururus chinensis) 각각 5kg을 물, 주정 및 이들의 1:l 혼합용매 각각 50l로 실온에서 냉침추출하였다. 냉침추출은 처음 3일간 1회 실시하고, 이후 연속해서 2일간 1회 더 실시하였다. 추출물은 10um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60℃에서 진공감압농축기로 최초 중량 대비 5%가 될 때까지 농축한 다음, 농축물 중량 대비 약 2.5배의 유당 및 전체 중량의 약 2%의 이산화규소를 첨가하여 농축물을 과립으로 제조하였다.
농축물의 수율을 고려할 때 주정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이후의 모든 실험에 있어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새우흰반점바이러스에 대한 효과 평가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의 새우흰반점바이러스에 대한 효력 평가 및 이들의 적정한 혼합비율을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새우: Palaemon paucidens(줄새우; 민물새우)를 사용하였으며 평균체중은 0.3g이었다. 새우는 시험 전 1주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으며 적응기간 동안에는 일반사료를 급여하였다.
시험시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시험군: 제비쑥 추출물 및 삼백초의 추출물을 혼합하지 않은 사료를 대조구으로 하고, 5 처리군(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 혼합비율 10:0, 6:4, 5:5, 4:6, 0:10)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시험군당 새우는 30미를 사용하였다.
시험사료급여: 시험시료의 새우흰반점바이러스에 대한 예방효과와 치료효과 를 평가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감염 7일 전부터 시험사료를 매일 급여하였으며, 바이러스 감염 후 7일간 추가로 시험사료를 매일 충분히 급여하였다. 사료급여는 매일 오전 10시에 하였다.
새우생육조건: 새우는 10리터 수조에서 사육하였으며 수온은 20±1℃를 유지하였다.
새우백점병바이러스감염: 인공적으로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폐사된 새우 3미를 10ml 멸균증류수에서 곱게 간 후 3500:1의 비율로 희석될 수 있도록 시험군 수조에 희석하여 바이러스를 접종함으로써 새우에 백점병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바이러스를 감염 후 새우의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대조구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이 유사한 중량으로, 특히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6:4 중량비일 경우 다른 시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다만,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을 사료에 단순히 혼합하여 급여할 경우 추출물의 독특한 냄새로 인하여 섭취를 하지 않은 사료가 상당량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원하는 양의 추출물을 새우가 섭취하게 하는데 어려움이 예상되어, 사료섭취율을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실시예 3> 추출물의 코팅
제비쑥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에 대한 새우의 섭취율을 개선하고자 추출물 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독특한 냄새를 차폐하고자 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고분자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실시예 3-1>
① 1차 코팅
1,000ml의 정제수에 100g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2910)을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비쑥 추출물 과립과 삼백초 추출물 과립의 6:4(중량비) 혼합물 1,000g을 유동층조립기(GX40, Freund사, 일본, 이하 동일함)에서 유동시키면서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하였다. 이때 유동층조립기의 작업조건은 아래와 같았다.
유입공기 온도: 약 60℃
유입공기 풍량: 0.3 l/분
배기공기 풍량: 0.5 l/분
로타 회전수: 220 rpm
분무액의 속도: 10 ml/분
② 2차 코팅
385ml 아세톤과 110ml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49.5g 에틸셀룰로오스를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1차 코팅에서 제조된 1차 코팅된 과립을 유동층조립기에서 유동시키면서 상기 코팅액을 분무하여 코팅하였다. 이때 유동층조립기의 작업조건은 아래와 같았다.
유입공기 온도: 약 50℃
유입공기 풍량: 0.3 l/분
배기공기 풍량: 0.5 l/분
로타 회전수: 230 rpm
분무액의 속도: 12 ml/분
<실시예 3-2>
① 1차 코팅
3g의 알긴산나트륨을 1,000ml의 정제수에 녹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비쑥 추출물 과립과 삼백초 추출물 과립의 6:4(중량비) 혼합물 1,000g과 유당 97g을 유동층조립기에서 유동시키면서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하였다. 이때 유동층조립기의 작업조건은 실시예 3-1의 1차 코팅 조건과 동일하였다.
② 2차 코팅
247.5ml 아세톤과 247.5ml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49.5g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를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1차 코팅에서 제조된 1차 코팅된 과립을 유동층조립기에서 유동시키면서 상기 코팅액을 분무하여 코팅하였다. 이때 유동층조립기의 작업조건은 실시예 3-1의 2차 코팅 조건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3-3>
① 1차 코팅
100g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2910)를 정제수 1,000ml에 녹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비쑥 추출물 과립과 삼백초 추출물 과립의 6:4(중량비) 혼합물 1,000g을 유동층조립기에서 유동시키면서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하였다. 이때 유동층조립기의 작업조건은 실시예 3-1의 1차 코팅 조건과 동일하였다.
② 2차 코팅
495ml의 에탄올에 49.5g의 쉘락을 녹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1차 코팅에서 제조된 1차 코팅된 과립을 유동층조립기에서 유동시키면서 상기 코팅액을 분무하여 코팅하였다. 이때 유동층조립기의 작업조건은 실시예 3-1의 2차 코팅 조건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4> 코팅된 추출물 과립의 섭취율 평가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에서 제조한 코팅된 추출물 과립으로 새우용 시험사료를 만들어 코팅조성에 따른 섭취 정도를 아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새우: Palaemon paucidens(줄새우; 민물새우)를 사용하였으며, 평균체중은 0.3g이었다. 새우는 시험 전 1주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으며 적응기간 동안에는 일반사료를 급여하였다.
시험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팅되지 않은 제비쑥 추출물 과립과 삼백초 추출물 과립의 6:4(중량비) 혼합물을 대조구로 하였으며, 각 시험군 당 새우는 30미를 사용하였다.
시험사료급여: 시험사료는 새우가 1주간의 적응기간이 끝나는 날의 다음 날부터 시험사료를 급여하는 0일차로 설정하고 이후로 5일차까지 시험사료를 급여하 였다. 사료는 1일 1회 2g 급여하였으며, 매일 오전 10시에 급여하였다.
새우생육조건: 새우는 10리터 수조에서 사육하였으며, 수온은 20±1℃를 유지하였다.
관찰항목: 시험사료를 급여하는 1일차부터 5일차까지 사료급여시간에 매일 수조 내 전날 급여한 사료의 잔량을 확인하고 잔량에 따라 1에서 5등급까지 등급을 나누어 기록하였으며, 잔량 확인 후 수조를 청소하고 새로운 사료를 급여하였다. 등급은 수조의 바닥을 가로 3칸, 세로 2칸으로 구획하여 총 6구획 중에 사료가 전혀 남아 있지 않으면 0등급(-), 1구획에 사료가 남아 있으면 1등급(+), 2구획 2등급(++), 3구획 3등급(+++), 4구획 4등급(++++), 5구획 이상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시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대조구 ++++ +++ ++++ ++++ +++
실시예 3-1 ++ + + + +
실시예 3-2 +++ ++ ++ +++ ++
실시예 3-3 ++ ++ +++ ++ ++
상기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코팅된 시험시료를 첨가한 실시예 3-1 내지 3-3 투여군에서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섭취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3-1을 이용한 경우에서 가장 높은 사료 섭취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5> 코팅된 추출물의 약효 발휘 여부 평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물이 코팅된 후에도 적절한 약효를 발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새우: Kuruma shrimp, Maruspenaeus japonicus(보리새우)를 사용하였으며 체중은 10.5-18.9g이었다. 각 시험군당 새우는 17-20미를 사용하였다. 새우는 시험 전 2주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으며 적응기간 동안에는 일반사료를 급여하였다.
시험시료: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조한 코팅된 추출물 과립을 사용하였다.
시험사료: 사료는 일본의 Gold Prawn(Higashimaru, Kagoshima, 일본)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사료 1톤당 시험시료를 0g, 125g, 250g, 500g 및 1000g을 첨가하여 시험사료를 제조하였다. 사료급여량은 새우 1미 체중당 1일 1% 급여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시험사료급여: 바이러스 감염 7일 전부터 시험사료를 매일 급여하였으며 바이러스 감염 후 14일간 추가로 시험사료를 매일 급여하였다. 사료급여는 매일 오후 6시에 하였다.
새우생육조건: 새우는 60리터 수조에서 사육하였으며, 수온은 21±1℃를 유지하였다.
새우백점병바이러스감염: 인공적으로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폐사된 새우 3미를 10ml 멸균된 해수에서 곱게 간 후 8000:1의 비율로 해수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바이러스 접종액을 준비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은 각 시험군의 새우을 준비된 바이러스액에 2시간 동안 공기를 공급하며 담아 두었다가 꺼내서 다시 원래의 60리터 수조로 옮겨 담아 이루어졌다.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10일간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관찰항목: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각 시험군의 폐사율과 새우백점병바이러스의 전형적인 증상을 관찰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2회 반복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험시료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대조구에 비해 시험시료 500g과 1000g 처리구에서 월등히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약물을 본 발명에 따라 코팅한 경우에도 적절한 약효를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물 또는 사료를 고분자로 코팅함으로써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9)

  1. 약물 또는 사료를 고분자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친수성 고분자로 1차 코팅한 후에 비친수성 고분자로 2차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약물 또는 사료 총 중량 대비 1-30 중량%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 대두단백, 소맥단백, 카라기난, 트라가탄트검, 한천, 아라비아고무, 구아검, 잔탄검, 검류, 펙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알켄옥사이드, 폴리알켄옥사이드 유도체, 폴리알켄글리콜, 폴리에칠렌-폴리프로필렌 중합체, 폴리옥시에칠렌-폴리옥시프로필렌 중합체, 제인, 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사이클로덱스트린, 키틴, 키토산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친수성 고분자는 1차 코팅된 약물 또는 사료 총 중량 대비 1-10 중량%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친수성 고분자는 메칠셀룰로오스, 에칠셀룰로오스, 쉘락,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L-라이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고점도 셀룰로오스 유도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옥수수단백추출물, 옥수수단백추출물 가공물, 대두단백, 소맥단백, 키틴, 키틴산, 한천, 펙틴, 검류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또는 사료는 코팅되기 전에 과립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식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 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제비쑥(Artemisia japonica) 추출물, 섬쑥(Artemisia japonica var. hallaisanensis) 추출물, 더위지기(Artemisia gmelini) 추출물,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Clinacanthus nutans 추출물,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추출물, 약모밀(Houttuynia cordata) 추출물, 감초(Glycyrrhiza uralensis) 추출물,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땅콩 추출물, 메밀(Fagopyrum esculentum) 추출물, 청각 추출물, 김 추출물, 백선(Dictammus dasycarpus) 추출물, 글루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푸코이단(fucoidan), 사포닌, 락토페린, 이눌린, 덱스트란, 난황항체, 항체단백질 및 5-아미노 레불리닉산(levul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 개선 방법.
KR1020060048317A 2006-05-29 2006-05-29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 KR10128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317A KR101283410B1 (ko) 2006-05-29 2006-05-29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
PCT/KR2007/002595 WO2007139334A1 (en) 2006-05-29 2007-05-29 Method for improving a drug or feed intake rate of shri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317A KR101283410B1 (ko) 2006-05-29 2006-05-29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572A true KR20070114572A (ko) 2007-12-04
KR101283410B1 KR101283410B1 (ko) 2013-07-08

Family

ID=3877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317A KR101283410B1 (ko) 2006-05-29 2006-05-29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3410B1 (ko)
WO (1) WO200713933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445B1 (ko) * 2009-10-20 2012-03-13 완도군 알긴산과 울금을 이용한 넙치사료 제조방법
KR101123944B1 (ko) * 2008-10-09 2012-03-23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시스템 5-아미노레불린산(ala)과 키토산 발효물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사료 조성물
KR101144827B1 (ko) * 2009-05-28 2012-05-11 주식회사 카길애그리퓨리나 과립사료 제조방법 및 장치
CN114381171A (zh) * 2022-01-25 2022-04-22 东北农业大学 一种新型环保树干涂白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0502B (zh) * 2008-10-16 2011-05-25 中国海洋大学 一种提高对虾苗种成活率的方法
CN101946862B (zh) * 2010-08-31 2012-07-25 淮海工学院 一种凡纳滨对虾抗病配合饲料
CN103931949A (zh) * 2014-04-30 2014-07-23 严斯文 一种猪饲料添加剂制作方法
CN104286593B (zh) * 2014-11-08 2016-07-06 宁波市江东农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鲢鱼养殖专用饲料添加剂
CN104522302A (zh) * 2014-11-26 2015-04-22 厦门鸿洁环境科技有限公司 对白斑病综合症具有增强免疫或预防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CN105341570B (zh) * 2015-10-14 2018-03-16 哈尔滨工业大学 系列忧遁草功能性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361254A (zh) * 2017-09-22 2017-11-21 宿松高岭乡红日白对虾养殖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抗病力强南美白对虾饲料
CN112369534B (zh) * 2020-11-27 2022-04-29 潍坊加易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预防对虾早期死亡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及应用
CN115024253A (zh) * 2022-06-20 2022-09-09 广东省农业科学院动物科学研究所 一种对虾药物精准投喂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6597B1 (fr) * 1986-11-17 1989-01-27 Rhone Poulenc Sante Nouvelle composition pour l'alimentation des ruminants contenant une substance biologiquement active et sa preparation
FR2624351B1 (fr) * 1987-12-15 1991-11-22 Rhone Poulenc Sante Compositions degradables par voie enzymatique utilisables pour l'enrobage d'additifs alimentaires destines aux ruminants
FR2648020B1 (fr) * 1989-06-12 1992-03-13 Rhone Poulenc Sante Utilisation de compositions degradables par voie enzymatique pour l'enrobage d'additifs alimentaires destines aux ruminants
JPH0479844A (ja) * 1990-07-20 1992-03-13 Ajinomoto Co Inc 反芻動物用飼料添加剤
KR100370870B1 (ko) * 1998-05-26 2003-07-12 코오롱제약주식회사 쓴맛이은폐된록시스로마이신과립제및그의제조방법
GB2386817B (en) * 2002-02-20 2006-08-23 Walcom Animal Science Feed for fish and use therof
ES2306079T3 (es) * 2004-01-30 2008-11-01 Basf Se Granulados que contienen formulaciones de fitasa estabilizantes.
KR100573759B1 (ko) * 2004-11-03 2006-04-24 주식회사 베터앤베터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증강효과를 갖는 동물사료 첨가제
KR100639395B1 (ko) * 2004-11-09 2006-10-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절지동물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44B1 (ko) * 2008-10-09 2012-03-23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시스템 5-아미노레불린산(ala)과 키토산 발효물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사료 조성물
KR101144827B1 (ko) * 2009-05-28 2012-05-11 주식회사 카길애그리퓨리나 과립사료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119445B1 (ko) * 2009-10-20 2012-03-13 완도군 알긴산과 울금을 이용한 넙치사료 제조방법
CN114381171A (zh) * 2022-01-25 2022-04-22 东北农业大学 一种新型环保树干涂白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9334A1 (en) 2007-12-06
KR101283410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410B1 (ko) 새우의 약물 또는 사료 섭취율을 개선하는 방법
KR100824106B1 (ko) 흰반점바이러스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umar et al. Immunostimulants for shrimp aquaculture: paving pathway towards shrimp sustainability
US11642387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nhibiting influenza virus infec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polysaccharides
Ng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curcumin-encapsulated chitosan nanoparticles against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 and pharmacokinetics study in cats
CN102696637A (zh) 龙胆苦苷药物制剂及其在防治烟草花叶病毒病中的应用
CN107011043A (zh) 一种烟草抗病叶面肥
CN102696638B (zh) 獐牙菜苷药物制剂及其在防治烟草花叶病毒病中的应用
CN112043688A (zh) 一种预防和/或治疗冠状病毒感染的组合物
KR101982288B1 (ko) 천연항균물질을 함유한 pH 의존 방출형 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방법
JP3740029B2 (ja) アオサを原料とする抗ウイルス剤
CN105902503B (zh) 一种野菊花保肝微丸的制备方法
WO202124448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 sars-cov-2 infection
JPS61197524A (ja) 高血圧改善剤
KR102481135B1 (ko) 노박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469943B (zh) 抗白斑综合征病毒药物及其在水产养殖中的应用
Yang et al. Natural product honokiol exhibits antiviral effects against Micropterus salmoides rhabdovirus (MSRV) both in vitro and in vivo
CN104721221B (zh) 琼枝麒麟菜多糖用于制备抗呼吸道病毒药物中的用途
TWI755725B (zh) 桑黃菌絲體生物活性物質及其用於製備抗腸病毒71型的抗病毒組成物之用途
KR102582676B1 (ko) 상지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08992478A (zh) 楤木提取物在制备药物中的应用
Jin et al.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polysaccharides on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of the mud crab Scylla paramamosain
CN116019823B (zh) 一种治疗儿童手足口病的药物组合物及其药物的应用
CN108926585A (zh) 腊梅属植物提取物在制药中的应用
TWI703979B (zh) 綠豆皮醇類萃取物用於製備抗病毒的醫藥組合物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