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312A -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 - Google Patents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312A
KR20070109312A KR1020060042103A KR20060042103A KR20070109312A KR 20070109312 A KR20070109312 A KR 20070109312A KR 1020060042103 A KR1020060042103 A KR 1020060042103A KR 20060042103 A KR20060042103 A KR 20060042103A KR 20070109312 A KR20070109312 A KR 2007010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upport member
frame
plate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565B1 (ko
Inventor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최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식 filed Critical 최영식
Priority to KR102006004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565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2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a central cavity or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8Covers for saddles or other seats; Paddings
    • B62J1/26Paddings involving other resilient material, e.g. sponge rubber with inflatabl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4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ri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6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quadricycle, e.g. by coupling together two bicycles side by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페달링에 연동되는 유동형 안장 및 이를 포함하고 증속수단 및 병렬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접힘이 용이한 자전거가 개시된다. 본 자전거는 소정의 곡면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중심 양측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안장 지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원호형 플레이트; 상기 원호형 플레이트의 만곡진 곡면에 저면이 접촉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평판형 플레이트;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저면이 원호형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구름 접촉되도록 평판형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상기 결합부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결합수단; 및 탑승자의 양측 둔부를 독립적으로 지지하고 회음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각각 분할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좌,우측 시트;로 이루어진 안장을 포함하고, 프레임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핸들이 접철수단에 의해 결합된 전방포크;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유동형 안장이 구비된 안장 지지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부에 구비된 후방포크에 배치되는 후방휠; 페달의 회전수를 다단으로 변속하고 증속시켜 상기 후방휠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자전거, 안장

Description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MOVING TYPE SADDLE AND BICYCLE COMPRISING THE SAME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동형 안장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장을 도시한 결합상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장에 물질 주머니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장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장을 포함한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9a,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 도 6에 도시된 자전거가 연결수단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자전거들이 동시 조향수단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정 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0 : 안장 110 : 원호형 플레이트
112 : 곡면 120 : 평판형 플레이트
130 : 플레이트 결합수단 132 : 지지부재
134 : 탄성부재 136 : 이탈방지부재
140A,140B : 좌우측 시트 200 : 자전거
220 : 전방휠 230 : 프레임
240 : 안장 지지부 250 : 전방포크
260 : 후방휠 270 : 구동부
280 : 핸들 290 : 연결수단
본 발명은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자의 페달 밟는 동작에 따라 롤링운동을 하게 되어 페달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장 및 이러한 안장이 적용되고 증속수단을 구비하여 미니 바퀴이면서도 일반형 바퀴를 갖는 자전거에 비하여 속도의 차이가 없으며, 접힘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하나 이상의 자전거를 병렬로 연결하여 탑승할 수 있는 미니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26inch 정도 크기의 바퀴가 사용되기 때문에 빠른 속도감과 승차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바퀴가 큰 자전거는 접더라도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바퀴가 16인치(inch) 이하 크기를 갖는 소형 자전거가 소개되었다. 이러한 소형 자전거는 부피가 작고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형 자전거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바퀴가 작기 때문에 일반 자전거에 비하여 속도가 현저하게 늦다.
둘째, 독립된 자전거를 서로 연결할 수 없고, 2인용인 경우에는 앞/뒤로만 앉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셋째, 바퀴의 크기가 16인치 이하의 크기일 경우에 후방 변속기의 드레일러가 땅에 닿게 되는 현상 때문에 변속기를 장착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무단 기어를 사용하게 되어 오르막은 힘들고 평지의 주행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각종 자전거의 안장의 경우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장의 중앙부가 탑승자의 회음부를 가압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안장이 고정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탑승자의 페달링에 연동되지 못하여 대퇴부가 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장의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탑승자가 착석할 경우 탑승자의 회음부가 안장의 중앙부에 압박되면서 골반이 양측으로 벌어지려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하여 장시간 탑승시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탑승자의 페달링에 연동될 수 있고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안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페달링에 연동되고 편안함이 제공되는 안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페달링시 발생되는 회전수를 변속은 물론, 증속시킬 수 있음으로써 큰 바퀴가 적용되는 일반 자전거의 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주행할 수 있고, 다중 접힘으로 인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전거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호형의 곡면을 갖고, 중심 양측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곡면이 상향되면서 양단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안장 지지부에 배치되는 원호형 플레이트;
상기 원호형 플레이트의 원호형 곡면과 저면이 구름 접촉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평판형 플레이트;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저면이 상기 원호형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상기 결합부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키기 위 한 플레이트 결합수단; 및
탑승자의 양측 둔부를 독립적으로 지지하고 회음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각각 분할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좌,우측 시트;를 포함하고,
탑승자가 좌,우측 시트에 안착한 상태에서 페달을 밟을 경우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원호형 플레이트의 곡면이 구름 접촉되어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롤링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좌측 시트와 우측시트의 전방영역에는 서로 독립되고 연질의 재질로 된 물질 주머니가 각각 배치되고, 각 물질 주머니는 연결관에 의해 연통되며, 사용자의 페달링시 하강하는 대퇴부에 의해 눌린 일측의 물질 주머니 내부의 물질이 타측의 물질 주머니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동형 안장을 포함한 자전거로서,
전방휠을 구비한 전방포크가 프레임의 전방부에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포크의 상단부에 핸들이 접철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전방휠이 후방을 향하도록 전방포크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이 접철수단에 의해 접철되는 조향부;
상부에 상기 유동형 안장이 구비되고,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장 지지부; 및
페달의 회전수를 다양하게 가변시키기 위한 전,후방 변속기와, 상기 후방 변속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후방 변속기에 의해 가변된 회전수를 증가시켜 프레임의 후방부에 구비된 후방휠에 전달하기 위한 증속수단을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를 제공한다.
상기 증속수단은,
상기 후방 변속기에 구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비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된 피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를 연결하기 위한 증속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 변속기에 의해 회전수가 변속되고, 변속된 회전수로 구동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지름이 작은 피동기어를 구동시켜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주행속도가 증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병렬로 근접한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쌍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전방관절;
상기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후방관절; 및
상기 전방관절과 후방관절의 상,하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장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안장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장 지지부재(246)의 상단에 고정되는 원호형 플레이트 (110)와, 원호형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선 접촉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결합수단(130)에 의해 원호형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평판형 플레이트(120)와, 평판형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좌,우측 시트(140A,140B)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원호형 플레이트(110)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일정한 크기의 원호형 판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원호형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곡면(112)은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원호형 플레이트(110)의 중앙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부(114)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결합부(114)에는 후술할 결합수단(130)의 지지부재(132) 등이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원호형 플레이트(110)는 양단이 도 2와 같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안장 지지부재(246)의 상단에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평판형 플레이트(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고 평편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평판형 플레이트(120)의 저면은 원호형 플레이트(110)의 곡면(112)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원호형 플레이트(110)와 평판형 플레이트(120)은 구름접촉된다.
결합수단(130)은 원호형 플레이트(110)와 평판형 플레이트(120)을 서로 결합시키되, 서로가 구름접촉되도록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130)은 평판형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홈(122)에 중간부가 안착되고, 양단이 직하방으로 절곡되어 결 합부(114)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부재(132)와, 지지부재(132)의 양단에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134)와, 탄성부재(134)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부재(132)의 양단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136)로 구성된 것이다. 탄성부재(134)는 코일 스프링, 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탈방지부재(136)는 와셔 및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130)은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원호형 플레이트(110)에 구름접촉되어 롤링운동을 할 때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지지부재(132)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34)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귀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원호형 플레이트(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즉,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탄성부재(1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원호형 플레이트(11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귀력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좌,우측 시트(140A,140B)는 탑승자의 양측 둔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면서 회음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각각 분할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평판형 플레이트(12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좌,우측 시트(140A,140B)의 각 중앙에는 탑승자의 엉덩이뼈로 인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142A,142B)이 각각 형성되고, 양단에는 둔부의 측면 하부를 감싸도록 굴곡부(144A,144B)가 상방으로 만곡지게 각각 형성된 것이다. 굴곡부(144A,144B)는 골반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120)와 좌,우측 시트(140A,140B)는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장(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페달링시 좌,우측으로 롤링을 하는 좌,우측 시트(140A,140B)의 전방부와 대퇴부가 연속하여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좌,우측 시트(140A,140B)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쓸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 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시트(140A)와 우측시트(140B)의 전방영역에 서로 독립되고 연질의 재질로 된 물질 주머니(146A,146B)가 각각 배치된다. 이 물질 주머니(146A,146B)는 접착수단, 끼움수단 등에 의해 좌,우측 시트(140A,140B)의 전방 및 전방 가장자리 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물질 주머니(146A,146B)는 연결관(147)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페달링시 하강하는 대퇴부에 의해 눌린 일측의 물질 주머니(146A) 내부의 물질이 타측의 물질 주머니(146B) 측으로 이동되어 그 물질 주머니(146B)가 부풀도록 하여 대퇴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각각의 물질 주머니(146A,146B)는 페달링시 하강하는 대퇴부에 의해 압축되면서 내부에 있는 물질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부풀리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므로 각각의 물질 주머니(146A,146B)는 항상 탑승자의 대퇴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물질 주머니(146A,146B)에 충진되는 물질은, 물, 오일, 가스, 공기 등 또는 이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결합수단(13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수단(130)은 결합부(114)를 관통하도록 상기 결합부(114)와 대응 위치의 평판형 플레이트(120) 중앙부 양측에서 지지돌기(138)가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138)가 평판형 플레이트(12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32)와 같은 부품이 별도로 제작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안장(100)이 적용되는 자전거의 구성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안장(100)이 적용되는 자전거(200)는 전술한 유동형 안장(100)이 안장 지지부(240)에 배치되는 것으로, 프레임(230)과, 접철수단을 구비한 전방포크(250)와 핸들(280)을 구비한 조향부와, 전술한 안장(100)이 배치되는 안장 지지부(240), 후방휠(260), 구동부(270) 등으로 구성된다.
프레임(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전방에는 전방포크(250)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후방포크가 구비된다. 또한, 일측 상부에는 안장 지지부(240)가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전방 변속기(272) 및 후방 변속기(274)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 변속기(272)는 페달에 설치된다.
조향부의 전방포크(250)는 소정의 캐스터 각을 갖도록 프레임(230)의 전방부에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전방포크(250)의 하부에는 전방휠(220)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핸들(280)이 접철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전방포크(250)의 캐스터 각은 대략 10° -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만약, 10°이하일 경우 원활한 조향이 곤란하고, 20°이상일 경우 조향이 너무 민감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핸들(280)을 접기 위한 접철수단은 전방포크(25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조임쇠(25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하부 브라켓(254)과, 하부 브라켓(254)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에는 조임쇠(252)가 걸리기 위한 걸림홈(256A)과 조임쇠(252)의 축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256B)이 형성되며 핸들 지지부재(282)의 하단부가 상면에 결합된 상부 브라켓(25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핸들(280)은 핸들 지지부재(282)와 전방포크(250) 사이에 구비된 접철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안장(100)을 지지하기 위한 안장 지지부(24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0)의 전방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하부 지지부재(242)와, 하부 지지부재(242)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244A) 및 수평부(244A)의 끝단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수직부(244B)로 이루어진 중간 지지부재(244)와, 중간 지지부재(24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고 상단에는 유동형 안장(100)이 결합된 안장 지지부재(246)와, 프레임(230)의 후방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중간 지지부재(24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중간 지지부재(244)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지지부재(248)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안장 지지부(240)는 수평부(244A) 및 수직부(244B)를 구비한 중간 지지부재(244)가 상기 하부 지지부재(242)의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프레임(230)에 보다 근접하게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중간 지지부재(244)가 "ㄴ"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더욱더 프레임(230)에 근접하게 접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후방 지지부재(248)와 중간 지지부재(244) 사이에는 중간 지지부재(244)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데, 이 각도 조절수단은, 중간 지지부재(244) 측에 구비되는 나사공(244C)와, 나사공(244C)에 체결되도록 후방 지지부재(248)에 구비되는 나사부(248A)로 구성된다. 따라서, 후방 지지부재(248)에 구비된 나사부(248A)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부(248A)가 나사공(244C)으로 삽입되면서 중간 지지부재(244)가 후방 지지부재(248) 측으로 당겨지므로 중간 지지부재(244)가 눕혀지게 되고, 나사부(248A)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부(248A)가 나사공(244C)에서 빠져나오면서 중간 지지부재(244)를 밀게 되므로 중간 지지부재(244)는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나사부(248A)의 회전에 따라 중간 지지부재(244)가 세워지고 눕혀지면서 안장(100)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장 지지부재(246)는 중간 지지부재(244)의 내부에 삽입되고 통상적인 클램프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안장 지지부재(246)를 중간 지지부재(244)에 삽입하고 빼내는 작동에 의해 안장(100)의 높이(안장 지지부재와 중간 지지부재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200)의 구동부(27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페달에 의해 구동되는 전방 변속기(272)와, 프레임(230)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메인 체인(273)에 의해 전방 변속기(272)와 연결된 후방 변속기(274)와, 후방 변속기(274)에 의해 변속된 회전수가 증속되어 후방휠(26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증속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증속수단은, 후방 변속기(274)에 구비되는 구동기어(275)와, 구동기어(275)에 비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된 피동기어(276)와, 구동기어(275)와 피동기어(276)를 연결하기 위한 증속체인(277)으로 구성된다.
즉, 구동부(270)의 특징은 후방 변속기(274)가 후방휠(260)의 축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230)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이러한 후방 변속기(274)에 의해 변속된 동력이 증속수단인 구동기어(275), 보조체인(277) 및 피동기어(276)를 통하여 후방휠(26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피동기어(276)가 구동기어(275)보다 작기 때문에 후방 변속기(274)에 의해 변속된 회전수는 증가된 상태로 후방휠(260)에 전달될 수 있고, 따라서 자전거의 주행속도가 증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장 및 자전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동형 안장(100)이 구비된 자전거(200)를 탑승한 후 페달을 밟게 되면, 페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변속기(272)와 후방 변속기(274)에 의해 변속된다.
그리고, 후방 변속기(274)에 설치된 구동기어(275)는 후방 변속기(274)에 의해 변속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275)에 비하여 지름이 작게 형 성된 피동기어(276)는 구동기어(275) 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자전거(200)의 주행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전방 변속기(272) 및 후방 변속기(273)에 의해 변속된 동력이 피동기어(276)보다 크게 형성된 구동기어(275)으로 전달되고, 구동기어(275)가 피동기어(276)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피동기어(276)는 구동기어(275)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후방휠(260)이 빠르게 회전하게 되어 자전거(200)의 주행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변속기(272,273)와 후방휠(260) 사이에 기어비가 다른 구동기어(275)와 피동기어(276)을 구비한 증속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한편,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주행을 하는 경우에 탑승자의 둔부에 형성된 돌출부는 좌,우측 시트(140A,140B)에 형성된 안착홈(142A,142B)에 삽입되기 때문에 통증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좌,우측 시트(140A,140B)의 양측 끝단이 상방으로 만곡진 굴곡부(144A,144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골반뼈가 벌어지려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양측의 굴곡부(144A,144B)가 둔부의 양측 하부를 감싸기 때문에 안장(100)에 둔부가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탑승자가 페달링시 탑승자의 양측의 대퇴부는 서로 번갈아 가며 상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안장(100)의 평판형 플레이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롤링 운동을 하게 되어 하강하는 대퇴부 측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리고, 하강했던 대퇴부가 상승하 게 되면 평판형 플레이트(120)도 원상태로 복귀된 후 반대 방향으로 다시 기울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탑승자가 페달링을 하게 되면 양측의 대퇴부는 상/하로 번갈아 상승/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평판형 플레이트(120)도 대퇴부가 하강하면 하강하는 측으로 기울어져 내려가고, 상승하면 상승하는 쪽은 올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굳이 몸을 일으켜 세우지 않아도 롤링주법으로 주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지지부재(132)의 중간부가 평판형 플레이트(120)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면서 탄성부재(134)를 압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강했던 대퇴부가 상승할 때에는 지지부재(132)가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평판형 플레이트(120)의 중간부를 원호형 플레이트(110)의 중간부에 밀착시키게 된다. 즉, 일측으로 기울어졌던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평판형 플레이트(1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탑승자는 굳이 평판형 플레이트(120)(안장)를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탑승자가 페달링을 하는 동안 평판형 플레이트(120)(안장)가 대퇴부의 상,하 운동에 연동되어 좌,우측으로 반복적으로 기울어지는 작동을 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롤링주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 는 것이다.
한편, 탑승자의 페달링시 좌,우측 시트(140A,140B)의 전방부에 구비된 각 물질 주머니(146A,146B)는 양측 대퇴부의 승/하강 작동에 연동되어 상승하는 대퇴부의 저면에 밀착된다. 예를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대퇴부가 하강을 하게 되면 좌측 시트(140A)는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이와 더불어 대퇴부가 좌측 시트(140A)에 구비된 물질 주머니(146A)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의 물질 주머니(146A)가 눌리게 되면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공기가 연결관(147)을 통해서 우측 시트(140B)에 구비된 물질 주머니(146B)으로 이동하여 우측의 물질 주머니(146B)를 부풀게 한다. 이와 같이 우측의 물질 주머니(146B)가 부풀면서 상승되어 있는 우측의 대퇴부 하부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양측이 번갈아 가며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대퇴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도 물질 주머니(146B)가 그 저면에 밀착되므로, 안장(100)과 대퇴부의 밀착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주행이 완료되어 자전거(200)의 부피를 줄인 후 보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접는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포크(250)를 회전시켜 전방휠(220)이 후방휠(260)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전방휠(220)은 전방포크(25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더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후방휠(260)에 근접하게 된다.
그리고, 접철수단의 조임쇠(252)를 풀어 걸림홈(256A)에서 이격시키고, 조임 쇠(252)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그 축이 끼움공(256B)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 지지부재(282)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접는다. 이때, 핸들 지지부재(282)의 길이를 먼저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후방 지지부재(248)의 나사부(248A)를 나사공(244C)에서 이탈시켜 후방 지지부재(248)에서 이격시킨 후 프레임(230)과 나란하도록 한다. 후방 지지부재(248)가 중간 지지부재(244)에서 이격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지지부재(244)를 하부 지지부재(242)와의 연결부위(힌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중간 지지부재(244)가 수평부(244A)와 수직부(244B)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지지부재(244)는 더욱더 프레임(230) 측으로 회전되어 프레임(230)에 근접하게 접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안장 지지부재(246)를 중간 지지부재(246)에 삽입시켜 그 길이를 짧게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방포크(250)가 소정의 캐스터 각을 갖기 때문에 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 전방휠(220)과 후방휠(260) 간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서 부피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전거(200)는 연결수단(290)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자전거(200)가 좌,우(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자전거(2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290)은 프레임(230)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전방관절(292)과, 프레임(230)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후방관절 (294)과, 전방관절(292)와 후방관절(294)의 상,하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29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자전거(200)가 연결수단(290)에 의해 병렬(좌측 또는 우측)로 연결되므로, 탑승자는 서로 대화를 나누며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각각의 자전거(20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의 자전거(200)가 조향을 행하게 되면 타측의 자전거도 같은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하기 때문에, 도 11에서 같은 조향수단이 필요하다.
즉, 병렬로 근접한 자전거(200)의 프레임(230)이 연결수단(29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의 전방포크(250)가 방향을 전환할 때 타측의 전방포크(250)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동시 조향수단은, 전방포크(250)에서 전방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조향바(296)와, 병렬로 근접한 조향바(296)의 각 끝단에 양단이 힌지 결합된 연결바(29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양측의 전방포크(250)가 조향바(296) 및 연결바(297)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일측 자전거(200)의 핸들(280)을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타측의 핸들(280)도 일측의 자전거(200)와 같은 곳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양측의 자전거(200)가 전,후방 관절(292,294)에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295)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를 주행할 때에도 서로 같은 기울기를 유지하여 코너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200)는 별도의 연결도구 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자전거(200)를 직렬(앞뒤)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안장 및 이를 포함한 자전거는 탑승자의 둔부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안장이 페달링시 상,하로 반복 작동되는 대퇴부의 운동에 연동됨으로써 페달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링주법이 가능하게 되어 주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페달링시 발생된 동력이 증속수단을 통하여 후방휠에 전달되므로 주행속도가 향상되어 일반 자전거의 속도와 차이가 없게 되고, 전방포크가 일정한 캐스터 각을 갖기 때문에 핸들을 회전시켜 전방휠이 후방을 향하도록 했을 경우에 전방휠의 위치가 현저하게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자전거 자체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고, 안장 지지부의 중간 지지부재가 꺽인 상태로 구성되어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힘시 프레임 측으로 더욱 겹치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4)

  1. 원호형의 곡면을 갖고, 중심 양측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곡면이 상향되면서 양단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안장 지지부에 배치되는 원호형 플레이트;
    상기 원호형 플레이트의 원호형 곡면과 저면이 구름 접촉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평판형 플레이트;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저면이 상기 원호형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상기 결합부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결합수단; 및
    탑승자의 양측 둔부를 독립적으로 지지하고 회음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각각 분할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좌,우측 시트;를 포함하고,
    탑승자가 좌,우측 시트에 안착한 상태에서 페달을 밟을 경우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원호형 플레이트의 곡면이 구름 접촉되어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롤링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시트의 각 중앙에는 엉덩이뼈로 인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시트의 양단에는 둔부의 측면 하부를 감싸도록 굴곡부가 상방으로 만곡지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수단은,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홈에 중간부가 안착되고, 양단이 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롤링운동을 할 때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귀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대응 위치의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 중앙부 양측에서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지지돌기;
    각 상기 지지돌기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각 상기 지지돌기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롤링운동을 할 때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귀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시트와 우측시트의 전방영역에는 서로 독립되고 연질의 재질로 된 물질 주머니가 각각 배치되고, 각 물질 주머니는 연결관에 의해 연통되며, 사용자의 페달링시 하강하는 대퇴부에 의해 눌린 일측의 물질 주머니 내부의 물질이 타측의 물질 주머니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동형 안장을 포함한 자전거로서,
    전방휠을 구비한 전방포크가 프레임의 전방부에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포크의 상단부에 핸들이 접철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전방휠이 후방을 향하도록 전방포크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이 접철수단에 의해 접철되는 조향부;
    상부에 상기 유동형 안장이 구비되고,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장 지지부; 및
    페달의 회전수를 다양하게 가변시키기 위한 전,후방 변속기와, 상기 후방 변속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후방 변속기에 의해 가변된 회전수를 증가시켜 프레임의 후방부에 구비된 후방휠에 전달하기 위한 증속수단을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8. 청구항 6에 따른 유동형 안장을 포함한 자전거로서,
    전방휠을 구비한 전방포크가 프레임의 전방부에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포크의 상단부에 핸들이 접철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전방휠이 후방을 향하도록 전방포크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이 접철수단에 의해 접철되는 조향부;
    상부에 상기 유동형 안장이 구비되고,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장 지지부; 및
    페달의 회전수를 다양하게 가변시키기 위한 전,후방 변속기와, 상기 후방 변속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후방 변속기에 의해 가변된 회전수를 증가시켜 프레임의 후방부에 구비된 후방휠에 전달하기 위한 증속수단을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은,
    상기 전방포크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조임쇠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하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의 타측에 축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조임쇠가 걸리기 위한 걸림홈과 상기 조임쇠의 축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 지지부재의 하단부가 상면에 결합된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휠이 후방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장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하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끝단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중간 지지부재;
    상기 중간 지지부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고, 상단에는 상기 유동형 안장이 결합된 안장 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 지지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지지부재가 중간 지지부재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재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회동하여 접혀질 때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에 의해 상기 중간 지지부재가 프레임에 근접하게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재와 상기 중간 지지부재 사이에는 중간 지지부재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중간 지지부재 측에 구비되는 나사공; 및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상기 후방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비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수단은,
    상기 후방 변속기에 구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비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된 피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를 연결하기 위한 증속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 변속기에 의해 회전수가 변속되고, 변속된 회전수로 구동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지름이 작은 피동기어를 구동시켜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주행속도가 증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병렬로 근접한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쌍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전방관절;
    상기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후방관절; 및
    상기 전방관절과 후방관절의 상,하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병렬로 근접한 프레임이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의 전방포크가 방향을 전환할 때 타측의 전방포크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동시 조향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동시 조향수단은,
    상기 전방포크에서 전방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조향바; 및
    병렬로 근접한 조향바의 각 끝단에 양단이 힌지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안장을 갖는 자전거.
KR1020060042103A 2006-05-10 2006-05-10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 KR10085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103A KR100859565B1 (ko) 2006-05-10 2006-05-10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103A KR100859565B1 (ko) 2006-05-10 2006-05-10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312A true KR20070109312A (ko) 2007-11-15
KR100859565B1 KR100859565B1 (ko) 2008-09-22

Family

ID=3906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103A KR100859565B1 (ko) 2006-05-10 2006-05-10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5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260A (ko) * 2011-09-30 2011-11-03 손영석 업그레이드된 자전거
CN104787156A (zh) * 2015-04-15 2015-07-22 陈长敏 可左右摆动的仿生自行车车座结构
KR20230155378A (ko) 2023-10-20 2023-11-10 김종기 시트의 회전을 위한 구조체
KR20240054238A (ko) 2024-04-08 2024-04-25 김종기 시트의 회전을 위한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728B1 (ko) * 1995-11-27 1998-12-01 박성기 안장판의 폭 조절이 가능한 안장
GB9623817D0 (en) 1996-11-16 1997-01-08 Cox Brian A Improved saddle for pedal-driven machines
KR100456832B1 (ko) 2001-11-13 2004-11-12 신석주 자전거 안장
KR100614305B1 (ko) * 2003-10-28 2006-08-18 (주)중원자전거 자전거 안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260A (ko) * 2011-09-30 2011-11-03 손영석 업그레이드된 자전거
CN104787156A (zh) * 2015-04-15 2015-07-22 陈长敏 可左右摆动的仿生自行车车座结构
KR20230155378A (ko) 2023-10-20 2023-11-10 김종기 시트의 회전을 위한 구조체
KR20240054238A (ko) 2024-04-08 2024-04-25 김종기 시트의 회전을 위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565B1 (ko) 200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447B2 (en) Dynamic balancing vehicle with a seat
US6439590B1 (en) Standing-pedaling bike
EP2802507B1 (en) Tricycle and associated components
AU2009200759A1 (en) A Push and Pull Vehicle by Stand-and-Sit Action
KR100859565B1 (ko) 유동형 안장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전거
WO2009149598A1 (zh) 并骑式脚踏车
KR100931524B1 (ko) 삼륜 자전거
EP3038891A1 (en) Handle assembly and associated components for a cycle
KR200403782Y1 (ko) 자전거 안장
KR101583053B1 (ko) 전륜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
KR101074763B1 (ko) 탑승자세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WO2009105965A1 (zh) 坐立式推拉车
CN111268010B (zh) 一种斜躺式自行车
WO2010108316A1 (zh) 并列式脚踏车
KR20110040608A (ko) 자전거
CN219029659U (zh) 一种车架结构及自行车或电动车
CN205440673U (zh) 一种健身自行车
CN100354174C (zh) 用连杆驱动的自行车
JP3916578B2 (ja) リンク機構を備えた自転車
KR20240006277A (ko) 후륜 조향형 리컴번트 자전거
KR100709607B1 (ko) 3륜 자전거
KR200244364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JP2005104441A (ja) 姿勢可変自転車
WO2005005239A1 (en) Leisure couple bicycle
JP2024007910A (ja) 車両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