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364Y1 - 퀵보드 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퀵보드 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364Y1
KR200244364Y1 KR2020010015679U KR20010015679U KR200244364Y1 KR 200244364 Y1 KR200244364 Y1 KR 200244364Y1 KR 2020010015679 U KR2020010015679 U KR 2020010015679U KR 20010015679 U KR20010015679 U KR 20010015679U KR 200244364 Y1 KR200244364 Y1 KR 200244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ear wheel
wheel fork
front wheel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덕수
Original Assignee
송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덕수 filed Critical 송덕수
Priority to KR2020010015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364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퀵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발판(11), 전륜고정부(12) 및 후륜을 고정하기 위한 후륜포크(13)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11)에는 'T'자형의 보조 브레이크(14)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몸체(10)와; 상기 전륜고정부(12)에 고정되는 전륜포크(20)와 전륜포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핸들(22) 및 브레이크 레버(23)와; 상기 후륜포크(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30)와; 상기 후륜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퀵보드 겸용 자전거{Bicycle which can be used as quick-board}
본 고안은 퀵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자전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퀵보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자전거에 대한 관심도 아울러 증가하고 있다. 자전거는 운동수단으로서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단거리 이동의 경우 교통체증 등을 염려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오염의 문제도 없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은지 오래이며, 이러한 추세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자전거에 대한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소위 퀵보드(quick board)로 불리는 소형 운송수단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상기 퀵보드는 발판을 갖는 몸체(10)의 앞뒤에 크기가 작은 전륜 및 후륜을 장착하고 몸체(10)의 전륜측에 위쪽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설치한 것으로서,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두고 다른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앞으로 전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퀵보드는 작은 크기로 인해서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동용 기구로도 손색이 없기 때문에 그 사용자 층을 급속도로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서 각 가정에는 자전거 및 퀵보드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데 이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상기 퀵보드는 교통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는 주행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주행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활용장소의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자전거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퀵보드로도 사용할 수 있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동수단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동수단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발판,
12 … 전륜고정부, 13 … 후륜포크,
14 … 보조 브레이크, 16a, 17a … 높이 조절용 홀,
18, 19 … 고정용 홀, 20 … 전륜포크,
22 … 핸들, 23 … 브레이크 레버,
30 … 시트, 41 … 페달,
42 … 페달바, 43 … 구동기어,
44 … 프리휠 기어, 50 … 크랭크 페달,
51 … 스프라켓, 53 … 체인,
54 … 페달, 55 … 페달 케이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발판, 전륜고정부 및 후륜을 고정하기 위한 후륜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에는 'T'자형의 보조 브레이크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몸체(10)와; 상기 전륜고정부에 고정되는 전륜포크와 전륜포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핸들 및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후륜포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와; 상기 후륜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발판, 전륜고정부 및 후륜포크는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발판의 양단에는 각각 수직으로 배열된 두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홀을 가지며, 상기 높이 조절용 홀이 전륜고정부와 후륜포크에각각 형성된 고정용 홀과 결합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스프링을 개재하여 윗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후륜포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에는 몸체(10) 쪽으로 접어넣을 수 있는 페달을 갖는 한쌍의 페달바와; 상기 페달바에 부착된 원호형상의 구동기어와; 상기 후륜의 중앙에 설치된 프리휠 기어로 구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수단은 후륜포크에 설치된 크랭크 페달과, 크랭크 페달에 설치된 스프라켓과, 후륜에 설치된 프리휠 기어와, 상기 스프라켓과 프리휠에 설치된 체인(53)으로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 페달의 페달은 몸체(10) 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크랭크 페달의 아암부분에는 외주부가 절곡된 원판형의 페달 케이스가 설치되어 페달을 접은 경우에 페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페달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륜포크 상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페달을 밟지 않는 경우에 페달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 및 도2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시트(30)는 제거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몸체(10)는 발판(11)과 전륜고정부(12) 그리고 후륜포크(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11)은 퀵보드로서 사용시에 한쪽발을 올려두기 위한 것으로서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일정폭 연장된다.상기 발판(11)에서 후륜포크(13)에 근접한 부분에는 보조 브레이크(14)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브레이크(14)는 'T'자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뾰족한 끝을 가지고 있다. 보조 브레이크(14)는 발판(11)을 관통하여 발판(11) 하부로 돌출되도록 발판(11)에 삽입되어 있으며, 발판(11)의 상부와 보조 브레이크(14)의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 보조 브레이크(14)는 위쪽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또한, 보조 브레이크(14)의 끝단부에 인접한 부위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 브레이크(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발판(11)은 각각 볼트 결합에 의해서 전륜고정부(12) 및 후륜포크(13)와 결합된다. 즉, 발판(11)의 양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3개의 높이 조절용 홀(16a, 16b, 16c, 17a, 17b, 17c)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높이 조절용 홀(16a, 16b, 16c, 17a, 17b, 17c)들은 발판(11)을 따라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최상단의 높이 조절용 홀(16c, 17c)과 전륜고정부(12) 및 후륜포크(13)에 각각 형성된 고정용 홀(18, 19)이 결합된 경우 발판(11)은 지면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되며, 최하단의 높이 조절용 홀(16a, 17a)과 결합된 경우에는 발판(11)의 높이는 보다 높아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용 홀(16a, 16b, 16c, 17a, 17b, 17c)의 갯수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당업자에 의해서 그 갯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전륜고정부(12)에는 전륜포크(20)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전륜포크(20)의하부에는 전륜(21)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륜(21)의 크기는 무게나 부피의 면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자전거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좋다. 전륜포크(20)의 상부에는 핸들(22)과 브레이크 레버(23)가 설치되는데 브레이크 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전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핸들(22)의 경우 전륜포크(20)와 핸들(22) 사이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퀵보드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자전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편안한 핸들(22) 위치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륜포크(13)의 상부에는 시트(30)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륜포크(13)에 설치된 후륜에 기어물림식 구동수단을 갖는다. 즉, 후륜의 중심 양쪽에는 각각 한쪽 방향으로만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프리휠 기어(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휠 기어(44)는 각각 한쌍의 구동기어(43)와 맞물려 있다.
구동기어(43)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랙기어로서, 중앙부가 페달바(42)에 고정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바(42)는 'ㄱ'자 형상의 바아로서 일단에는 페달(41)이 설치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상기 후륜포크(1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페달(41)은 페달바(42)의 측면에 대해서 90°로 꺽어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페달바(42)와 후륜포크(13) 사이에 스프링(40)을 개재하여 상기 페달바(42)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도록 하는 탄성력을 적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상기 구동기어(43)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프리휠 기어(44)와 연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어서, 원호의 반지름은 상기 페달바(42)가 후륜포크(13)에 고정되는 지점과, 구동기어(43)가 프리휠 기어(44)와 접촉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43)의 하단부의 일부분에는 기어 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프리휠 기어(44)의 특성상 자전거를 후진시키는 경우 상기 프리휠 기어(44)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구동기어(43)의 전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동기어(43)가 상기 프리휠 기어(44)를 이탈할 때까지 페달바(42)가 상부로 상승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동기어(43)의 하단부 일부분에 이를 형성하지 않게 되면, 그 부분에서는 상기 프리휠 기어(44)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구동기어(4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퀵보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페달(41)을 접어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다음에 일반적인 퀵보드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구동수단을 가지고 있고, 페달바(42)는 스프링(40)의 작용에 의해서 윗쪽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어서, 사용자는 한쪽발을 발판(11)에 올려둔 상태에서 다른 쪽 발로 상기 페달(41)을 밟으면 구동기어(43)와 프리휠 기어(44)에 의해서 자전거가 앞으로 전진할 수 있다.
즉, 발로 지면을 구르는 것 이외에도 페달(41)을 밟아서 전진할 수 있으며,페달(41)을 밟은 발을 위로 들면 페달바(42)가 다시 상부로 올라가기 때문에 연속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급제동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23) 외에도 발판(11)에 설치된 보조 브레이크(14)를 발로 밟으면 보조 브레이크(14)의 날카로운 끝부분이 지면과 마찰하거나 지면에 박히면서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자전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트(3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페달(41)을 좌우로 번갈아서 한번씩 밟아주면, 상기 구동기어(43)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프리휠 기어(44)를 회전시키게 되어 후륜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앞으로 전진한다.
한편, 상기 발판(11)의 높이를 조정하려면 먼저 체결 볼트(18, 19)를 푼 다음에 원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 조절용 홀(16a, 16b, 16c, 17a, 17b, 17c)로 변경한 다음에 다시 체결 볼트(18, 19)를 고정하면 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거의 동일한 구성이나 구동수단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구동수단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동수단은 일반적인 체인(53)식 구동수단을 채택하고 있다. 즉, 크랭크 페달(50)을 상기 후륜포크(13)에 회동되게 고정하고 크랭크 페달(50)의 회전을 체인(53)을 통하여 후륜에 설치된 프리휠 기어(44)로 전달하여 후륜을 회전시키면서 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페달(50)의 아암부분에는 외주부가 절곡된 원판형의 페달 케이스(55)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주부는 페달 케이스(55)의 평면에 대해서 90°로 절곡된 것이 좋고, 상기 페달(54)은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페달(54)을 접는 경우에 상기 페달 케이스(55)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페달 케이스(55)와 후륜포크(13)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후륜포크(13)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페달 케이스(55)의 배면에 고정되어 페달(54)에 가해지는 힘이 없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페달 케이스(55)가 복귀하는 위치는 상기 스프링이 페달 케이스(55)에 고정되는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변경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는 크랭크 페달(50)을 사용하므로, 구동시에는 크랭크 페달(50)을 회전시키면서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또한, 퀵보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페달(54)을 접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사용방법으로 전진할 수 있고, 한발을 발판(11)에 올려둔 상태에서 후륜포크(13)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다른 발로 회전시키면서 전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랭크 페달(50)은 가해지는 힘이 없는 경우 스프링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연속적인 구동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본 고안은 별도의 조작없이 퀵보드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부담을 덜 수 있다.
그리고, 퀵보드로 사용하는 경우에 발로 지면을 밀면서 전진하는 방식외에도페달(41)을 밟아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 뿐만 아니라 놀이의 즐거움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보조 브레이크(14)를 제공하므로 제동력이 더욱 증대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원형의 페달 케이스(55)를 제공하여 페달(41)이 페달 케이스(55)내부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에 페달(54)이 방해가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미려한 외관도 제공한다.

Claims (4)

  1.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발판(11), 전륜고정부(12) 및 후륜을 고정하기 위한 후륜포크(13)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11)에는 'T'자형의 보조 브레이크(14)가 스프링(15)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몸체(10)와;
    상기 전륜고정부(12)에 고정되는 전륜포크(20)와 전륜포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핸들(22) 및 브레이크 레버(23)와;
    상기 후륜포크(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30)와;
    상기 후륜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1), 전륜고정부(12) 및 후륜포크(13)는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발판(11)의 양단에는 각각 수직으로 배열된 두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홀(16a, 16b, 16c, 17a, 17b, 17c)을 가지며, 상기 높이 조절용 홀(16a, 16b, 16c, 17a, 17b, 17c)이 전륜고정부(12)와 후륜포크(13)에 각각 형성된 고정용 홀(18, 19)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트 겸용 자전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스프링(40)을 개재하여 윗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후륜포크(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에는 몸체(10) 쪽으로 접어넣을 수 있는 페달(41)을 갖는 한쌍의 페달바(42)와;
    상기 페달바(42)에 부착된 원호형상의 구동기어(43)와;
    상기 후륜의 중앙에 설치된 프리휠 기어(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후륜포크(13)에 설치된 크랭크 페달(50)과, 크랭크 페달(50)에 설치된 스프라켓(51)과, 후륜에 설치된 프리휠 기어(44)와, 상기 스프라켓(51)과 프리휠 기어(44)에 설치된 체인(53)으로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 페달(50)의 페달(54)은 몸체(10) 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크랭크 페달(50)의 아암부분에는 외주부가 절곡된 원판형의 페달 케이스(55)가 설치되어 페달(54)을 접은 경우에 페달 케이스(55)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페달 케이스(55)의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륜포크(13) 상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페달(54)을 밟지 않는 경우에 페달(54)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20010015679U 2001-05-28 2001-05-28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0244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79U KR200244364Y1 (ko) 2001-05-28 2001-05-28 퀵보드 겸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79U KR200244364Y1 (ko) 2001-05-28 2001-05-28 퀵보드 겸용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364Y1 true KR200244364Y1 (ko) 2001-10-15

Family

ID=7310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679U KR200244364Y1 (ko) 2001-05-28 2001-05-28 퀵보드 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3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2333A (zh) * 2022-03-21 2022-06-03 深圳中华自行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行车刹车反馈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2333A (zh) * 2022-03-21 2022-06-03 深圳中华自行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行车刹车反馈机构
CN114572333B (zh) * 2022-03-21 2024-02-02 深圳中华自行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行车刹车反馈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5200A (en) Tricycle drive mechanism
US20020163159A1 (en) Foot pump scooter
US5533585A (en) Device for adjusting a driving chain in a snowmobile
WO2005123493A1 (en)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JP2003514712A (ja) ペダルの前後駆動方式の自転車
JP3101174U (ja) 自転車
CA2396733A1 (en) Ride-on vehicle with direction responsive mechanism
KR200244364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CN100448737C (zh) 一种能兼作自行车的运动型滑板车
US4445702A (en) Super bike
KR101583053B1 (ko) 전륜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
CA2158309A1 (en) Human powered skibob
WO2010134793A2 (ko) 자전거용 보조 구동장치
KR200244074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120092516A (ko) 전륜 구동이 가능한 자전거
KR200308948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0363735Y1 (ko) 자전거 동력전달 장치
GB1565722A (en) Bicycle
KR200345765Y1 (ko) 다축 구동부를 갖는 승용기구
KR20090049675A (ko) 뒷바퀴 접이식 자전거
KR960000782Y1 (ko) 승마감을 주는 자전거
KR100781765B1 (ko) 광고홍보용 1인승 이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0500054B1 (ko) 자전거
CN2745853Y (zh) 变速自行车自动变速稳档装置
KR200283361Y1 (ko) 롤러 썰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