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074Y1 - 퀵보드 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퀵보드 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074Y1
KR200244074Y1 KR2020010013502U KR20010013502U KR200244074Y1 KR 200244074 Y1 KR200244074 Y1 KR 200244074Y1 KR 2020010013502 U KR2020010013502 U KR 2020010013502U KR 20010013502 U KR20010013502 U KR 20010013502U KR 200244074 Y1 KR200244074 Y1 KR 200244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edal
fork
front whe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덕수
Original Assignee
송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덕수 filed Critical 송덕수
Priority to KR2020010013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074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퀵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후륜 포크(12)의 앞부분에 발판(11)을 지면과 근접하게 형성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끝단에 시트(41)를 설치한 시트 포스트(40)와, 상기 프레임(10)의 앞쪽에 고정되며 전륜 포크(14)를 지지하는 포크 지지부(13)와, 상기 전륜 포크(14)의 상단에 고정되는 핸들바(15)와, 상기 전륜 포크(14)에 고정되며 구동수단을 갖는 전륜(20)과, 상기 후륜 포크(12)에 고정되는 후륜(30)과, 상기 전륜(20)과 후륜(30)에 각각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퀵보드 겸용 자전거{Bicycle which can be used as quick-board}
본 고안은 퀵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자전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퀵보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자전거에 대한 관심도 아울러 증가하고 있다. 자전거는 운동수단으로서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단거리 이동의 경우 교통체증 등을 염려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오염의 문제도 없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은지 오래이며, 이러한 추세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자전거에 대한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소위 퀵보드(quick board)로 불리는 소형 운송수단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상기 퀵보드는 발판을 갖는 몸체의 앞뒤에 크기가 작은 전륜 및 후륜을 장착하고 몸체의 전륜측에 위쪽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설치한 것으로서,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두고 다른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앞으로 전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퀵보드는 작은 크기로 인해서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동용 기구로도 손색이 없기 때문에 그 사용자 층을 급속도로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서 각 가정에는 자전거 및 퀵보드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데 이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상기 퀵보드는 교통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는 주행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주행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활용장소의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자전거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퀵보드로도 사용할 수 있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첫번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들부분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에서 C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에서 A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도1에서 B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두번째 실시예의 전륜(20)부분의 정면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발판,
12 … 후륜 포크, 13 … 포크 지지부,
14 … 전륜 포크, 15 … 핸들바,
20 … 전륜, 21 … 페달 지지대,
22 … 페달, 23 … 구동기어,
24 … 프리 휠, 25 … 허브,
26 … 페달 지지박스, 30 … 후륜,
40 … 시트 포스트, 41 … 시트,
70 … 크랭크 페달, 71 … 중심축,
72 … 페달기어, 73 … 가속기어,
74 … 제1 전달기어, 75 … 제2 전달기어,
76 … 회전축.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륜 포크(12)의 앞부분에 발판(11)을 지면과 근접하게 형성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끝단에 시트(41)를 설치한 시트 포스트(40)와, 상기 프레임(10)의 앞쪽에 고정되며 전륜 포크(14)를 지지하는 포크 지지부(13)와, 상기 전륜 포크(14)의 상단에 고정되는 핸들바(15)와, 상기 전륜 포크(14)에 고정되며 구동수단을 갖는 전륜(20)과, 상기 후륜 포크(12)에 고정되는 후륜(30)과, 상기 전륜(20)과 후륜(30)에 각각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전륜 포크(14)에서 전륜(20)을 따라 원주상으로 연장되며 끝단에는 페달 지지박스(26)를 갖는 페달 지지대(21)와, 일단이 각각 상기 페달 지지박스(26)에 서로 기어물림된 상태에서 회전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페달(22)과, 상기 한 쌍의 페달(22) 각각의 도중부에 고정되는 원호 형상의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3)와 맞물리며 전륜(20)의 허브(25) 양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프리 휠(24)로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륜(20)의 허브(25)를 관통하며 허브(25)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 크랭크 페달(70)과, 상기 크랭크 페달(70)의 중심축(71)에 설치된 페달기어(72)와, 상기 포크(14)의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76)에 고정되며 상기 페달기어(72)와 맞물리는 가속기어(73)와, 상기 회전축(76)에 고정되는 제1 전달기어(74)와, 상기 중심축(71)에 고정된 제2 전달기어(75)로 구성되며, 상기 페달기어(72)의 잇수가 가속기어(73)보다 많고 제1 전달기어(74)와 제2 전달기어(75)의 잇수는 동일하며, 상기 제2 전달기어(75)는 프리 휠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시트 포스트(40)는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포크 지지부(13)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대한 첫번째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은 퀵보드로 사용하는 경우에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도1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발판(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11)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대해서 좌우로 확장되어 있다.
프레임(10)의 후단, 즉 상기 발판(11)의 뒤에는 후륜(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후륜 포크(12)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0)의 전단에는 전륜(20)을 수용하도록 원호형상을 가지며 상부로 연장되는 포크 지지부(13)가 프레임(10)에 대해서 도1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전단에는 전륜(20)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전륜 포크(14)가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핸들스템(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고정된다. 상기 전륜 포크(14)의 상단에는 핸들바(15)가 장착되며, 핸들바(15)의 양끝단에는 손잡이와 브레이크 레버(16)가 장착된다.
상기 전륜 포크(14)에는 페달 지지대(21)가 설치된다. 상기 페달 지지대(21)는 전륜(20)과 간섭하지 않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지며 앞으로 연장되고, 사용자가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전륜 포크(14)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페달 지지대(21)의 끝단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페달(2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페달 지지박스(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페달(22)은 'ㄱ'자 형상을 갖도록 일단이 절곡되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기어의 이를 가져서 상기 페달 지지박스(26) 내에서 서로 맞물린 채로 고정되어 있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부분은 페달 지지박스(26)의 끝단에 형성된 두개의 홈(27)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와 있게 된다. 따라서, 한쪽의 페달(22)이 도1에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다른쪽의 페달(22)은 상기 이의 작동에 의해서 반대쪽, 즉 위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페달 지지대(21)의 홈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페달(22)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페달(22)이 회전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27)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상기 홈(27)의 각 측벽은 페달(22)이 도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페달(22)이 빠지는 것을 막게 된다. 도3에서 왼쪽 페달(22)은 아래로 내려간 상태이고, 오른쪽 페달(22)은 위로 올라간 상태이다.
상기 페달(22)의 도중부에는 구동기어(23)가 고정된다. 상기 구동기어(23)는 원호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륜(20)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는 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페달(22)에 장착된 각각의 구동기어(23)의 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20)의 허브(25)의 양단에 장착된 프리 휠(24)과 각각 맞물리게 된다. 상기 프리 휠(24)은 일반적으로 자전거에 사용되는 프리 휠과 동일한 것으로, 도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허브(25)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결과적으로 전륜(20)을 회전시키지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공회전하게 되어 전륜(20)의 회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허브(25)는 전륜(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크 전륜 포크(14)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양끝단에 한쌍의 프리 휠(24)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전륜(20)과 후륜(30)의 림부분에는 각각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각각 상기 핸들바(15)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16)에 의해서 조작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와 이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 포스트(40)와 프레임(10)의 연결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도중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포스트(40)의 끝단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0)의 측면에는 상하로 두개의 홀(51, 53)이 각각 프레임(1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 포스트(40)에도 3개의 홀(42, 43, 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 53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홀 51과 홀 53 사이의 간격은 각각 상기 홀 42과 홀 43 간의 간격 및 홀 42와 홀 44 간의 간격과 동일하다. 시트 포스트(40)는 상기 프레임(10)의 사각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50)을 통해서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홀 53은 상기 홀 43 또는 홀 44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된 채 각도 조절핀(52)이 삽입되는데, 상기 각도 조절핀(52)은 일부분에만 나사산을 갖고 있어서 홀 53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홀 53과 홀 44가 결합한 경우에는 시트 포스트(40)가 뒤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되고, 홀 53과 홀 43이 결합하면 시트 포스트(40)가 앞으로 젖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도5를 참조하면 포크 지지부(13)와 프레임(10)을 고정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크 지지부(13)의 하단에는 원형의 플랜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는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홀(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앞쪽 끝은 두개의 단을 가져서 상기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단부(61)에는 일정한 각도를 두고 이격된 두 개의 홀(64, 65)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은 상기 플랜지(60)와 결합되도록 끝면이 상기 플랜지의 원호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포크 지지부(13)와 프레임(10)은 끝단에만 나사산을 갖는 볼트를 통해서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홀 63은 프레임(10)의 홀 64 또는 홀 65와 정렬된 채로 일부에만 나사산을 갖는 각도 조절핀(66)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홀 63과 홀 64가 결합되면 포크 지지부(13)와 프레임(10)은 서로 일렬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며, 홀 63과 홀 65가 결합하면 포크 지지부(13)와 프레임(10)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접힌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를 자전거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각도 조절핀(52)을돌려서 홀 53에서 빼낸 후에 상기 홀 53과 홀 44를 정렬시킨 후 각도 조절핀(52)을 삽입 후 조여서 고정시키면, 상기 시트 포스트(40)가 뒤로 젖혀진 상태가 되어 시트(41)에 착석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에 상기 한 쌍의 페달(22) 중 위로 올라간 페달(22)을 발로 누르게 되면 페달(22)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구동기어(23) 또한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23)는 프리 휠(24)과 맞물려 있으므로 구동기어(23)가 아래로 내려오면 프리 휠(2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 휠(2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구동력을 상기 허브(25)에 전달하므로, 허브(25)에 고정된 전륜(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자전거를 앞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한쪽 페달(22)이 아래로 내려오면 다른쪽 페달(22)은 페달 지지박스(26) 내의 기어물림에 의해 구동기어(23)와 함께 위로 올라오게 된다. 그러므로 반대쪽의 프리 휠(2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는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으므로 전륜(20)이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주행 중에 사용자가 페달(22)을 구르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경우에, 전륜(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리 휠(24)은 구동기어(23)와 물려있으므로 회전하지 않고 멈추어 있게 된다. 이 때에도 전륜(20)에 대해서는 프리 휠(24)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프리 휠(24)이 멈춘 상태에서 전륜(2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허브(25)는 전륜(20)과는 일체로 고정되어 있지만, 전륜 포크(14)와는베어링 등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륜 포크(14)에 지지된 채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퀵보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홀 53과 홀 43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각도 조절핀(52)을 조이면 시트 포스트(40)는 앞으로 젖혀진 상태가 되어, 상기 발판(11)의 주변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게 된다. 이 때, 시트 포스트(40)가 젖혀지는 각도는 상기 실시예의 제작치수 등에 따라서 변경해야 할 필요가 생길 수 있는 데, 이는 상기 홀 43과 홀 44 간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시트 포스트(40)를 앞으로 젖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쪽발을 발판(11)에 올려 둔 채로 일반적인 퀵보드와 같이 상기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륜(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더라도 상기 프리 휠(24)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 중에 상기 페달(22)이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를 이동시키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도 조절핀(66)을 홀 63과 홀 64가 정렬된 상태에서 조이게 되면 프레임(10)이 회전하게 되어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이 때에도 상기 프레임(10)이 회전하는 각도는 상기 홀 64와 홀 65 간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도6을 참조하면 두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두번째 실시예는 전륜(20)의 구동을 위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첫번째 실시예와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두번째 실시예의 구동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전륜 포크(14)는 두개의 아암을 가지고 있고 그 끝단에는 전륜(20)을 고정하고 있는 허브(25)가 전륜 포크(14)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허브(25)의 중심에는 일반적인 형태의 크랭크 페달(70)이 허브(25)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허브(25)의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 페달(70)의 중심축(71) 상에는 상기 걸림턱과 접하도록 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크랭크 페달(70)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크랭크 페달(70)의 중심축(71)의 한쪽에는 페달기어(72)가 크랭크 페달(7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상기 페달기어(72)는 가속기어(73)와 맞물려 있고 상기 가속기어(73)의 측면에는 제1 전달기어(74)가 위치하는데, 상기 가속기어(73)와 제1 전달기어(74)는 전륜 포크(14)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76)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전달기어(74)는 허브(25)의 일단에 설치된 제2 전달기어(75)와 맞물려 있다. 상기 제2 전달기어(75)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프리 휠이어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허브(25)를 회전시키고 반대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허브(25)에 대해서 공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달기어(74)와 제2 전달기어(75)는 서로 동일한 이를 가지고 있고, 페달기어(72)는 가속기어(73)보다 많은 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두번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전거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크랭크 페달(70)을 도6의 오른쪽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크랭크 페달(70)의 중심축(71)에 고정된 페달기어(7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페달기어(72)에 맞물린 가속기어(73)가 회전하게 되는 데 페달기어(72)의 이가 가속기어(73)의 이보다 많으므로 가속기어(73)는 페달기어(72)보다 더 빠른 회전수를 가지며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전달기어(74)는 회전축(76)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76)은 가속기어(73)의 회전에 의해 가속기어(73)의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1 전달기어(74)도 가속기어(73)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전달기어(74)에 맞물린 제2 전달기어(75)가 제1 전달기어(74)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허브(25)를 회전시키게 되고, 결국 전륜(20)이 가속기어(73)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두번째 실시예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전달기어(75)는 프리 휠이므로 페달(22)을 구르지 않고 있을때에도 상기 전륜(20)은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크랭크 페달(70)에 두발을 올려둔 채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본 고안은 시트 포스트(40)를 젖히는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자전거와 퀵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와 퀵보드를 모두 사는 경제적인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과 포크 지지부(13)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으로 인해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어 보관이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서는 길이가 긴 페달(22)을 사용하고, 상기 페달(22)은 자전거의 전단에 고정되며, 구동기어(23)는 페달(22)의 도중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페달(22)을 발로 구르는 힘보다 강한 힘이 구동기어(23)에 전달되므로 적은 힘을 가지고도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도 제공한다.

Claims (6)

  1. 후륜 포크(12)의 앞부분에 발판(11)을 지면과 근접하게 형성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끝단에 시트(41)를 설치한 시트 포스트(40)와, 상기 프레임(10)의 앞쪽에 고정되며 전륜 포크(14)를 지지하는 포크 지지부(13)와, 상기 전륜 포크(14)의 상단에 고정되는 핸들바(15)와, 상기 전륜 포크(14)에 고정되며 구동수단을 갖는 전륜(20)과, 상기 후륜 포크(12)에 고정되는 후륜(30)과, 상기 전륜(20)과 후륜(30)에 각각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전륜 포크(14)에서 전륜(20)을 따라 원주상으로 연장되며 끝단에는 페달 지지박스(26)를 갖는 페달 지지대(21)와, 일단이 각각 상기 페달 지지박스(26)에 서로 기어물림된 상태에서 회전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페달(22)과, 상기 한 쌍의 페달(22) 각각의 도중부에 고정되는 원호 형상의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3)와 맞물리며 전륜(20)의 허브(25) 양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프리 휠(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륜(20)의 허브(25)를 관통하며 허브(25) 내에서 자유롭게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 크랭크 페달(70)과, 상기 크랭크 페달(70)의 중심축(71)에 설치된 페달기어(72)와, 상기 포크(14)의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76)에 고정되며 상기 페달기어(72)와 맞물리는 가속기어(73)와, 상기 회전축(76)에 고정되는 제1 전달기어(74)와, 상기 중심축(71)에 고정된 제2 전달기어(75)로 구성되며, 상기 페달기어(72)의 잇수가 가속기어(73)보다 많고 제1 전달기어(74)와 제2 전달기어(75)의 잇수는 동일하며, 상기 제2 전달기어(75)는 프리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포스트(40)는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포크 지지부(13)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포크 지지부(13)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20010013502U 2001-05-09 2001-05-09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0244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02U KR200244074Y1 (ko) 2001-05-09 2001-05-09 퀵보드 겸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02U KR200244074Y1 (ko) 2001-05-09 2001-05-09 퀵보드 겸용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074Y1 true KR200244074Y1 (ko) 2001-10-15

Family

ID=7310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502U KR200244074Y1 (ko) 2001-05-09 2001-05-09 퀵보드 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41A (ko) * 2002-06-29 2004-01-07 서재흥 퀵보드겸용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41A (ko) * 2002-06-29 2004-01-07 서재흥 퀵보드겸용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679B2 (en) Pivot mechanism for scooters, tricycles and the like
JP5069230B2 (ja) 二輪車にジャイロを用いて安定をもたら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20163159A1 (en) Foot pump scooter
US20070152422A1 (en) Pivotable device for bicycles or tricycles
AU632979B2 (en) Multipurpose transmission mechanism for bicycles
US6394213B1 (en) Power clutch mechanism of scooter
JP2006224960A (ja) 組立式走行体
CN104417640B (zh) 自行车脚架
US5486015A (en) Human powered ground vehicle
US20030171176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KR200244074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GB2038735A (en) Folding bicycle
JP2004075031A (ja) 前輪駆動自転車
EP1342658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JP4995999B1 (ja) 三輪型車椅子
US20120292880A1 (en) Children's Vehicle with a Shifting Mechanism
WO2015092532A1 (en) Velocipede
JP2009286155A (ja) 三輪自転車
KR200395054Y1 (ko) 보드형 삼륜 자전거
KR200308948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JP5897198B1 (ja) 三輪自転車
JP7370298B2 (ja) スタン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転車
JPH05139356A (ja) 異径車輪自転車
KR200306897Y1 (ko) 편심 휠
KR200365357Y1 (ko) 자전거 겸용 퀵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