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948Y1 - 퀵보드 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퀵보드 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948Y1
KR200308948Y1 KR20-2002-0035489U KR20020035489U KR200308948Y1 KR 200308948 Y1 KR200308948 Y1 KR 200308948Y1 KR 20020035489 U KR20020035489 U KR 20020035489U KR 200308948 Y1 KR200308948 Y1 KR 200308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procket
hub
bicy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익
Original Assignee
김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익 filed Critical 김현익
Priority to KR20-2002-0035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3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directly driving the wheel axle, e.g. by using a ratchet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자전거에 퀵보드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자전거 와 퀵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의 자전거에 구비된 페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퀵보드용 발판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발판을 이용하여 퀵보드로 사용시 상기 페달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페달을 밟아 동력전달수단의 체인으로 뒷바퀴를 돌려 전진시킬 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된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페달과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 제어홈이 형성된 페달제어판이 설치되고 그 페달제어판의 외주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어홈에 끼워지는 제어돌기를 갖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발로 페달을 밟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돌기가 제어홈에 끼워져 페달의 회전을 억제하는 페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퀵보드 겸용 자전거{combined a quick board and a bicycle}
본 고안은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자전거 및 퀵보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전거를 이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전거는 운동 수단으로서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단거리 이동의 경우 교통 체증 등을 염려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전거는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 오염의 문제도 없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 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퀵보드(quick board)라 불리는 소형 운동수단이 최근 인기를 모으고 있다. 이러한 퀵보드는 발판을 갖는 몸체의 앞뒤에 구동바퀴를 장착하여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앞으로 전진하도록 된 기구이다.
이러한 퀵보드는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용 기구로도 손색이 없기 때문에 그 사용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로 인하여 각 가정에서는 자전거와 퀵보드를 모두 보유하여야 하는 등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도 퀵보드와 자전거의 기능을 모두 갖도록 한 제품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는 자전거의 기능을 위한 페달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혹은 자전거 기능을 갖도록 한 동력전달수단의 구조를 변경하였으므로, 자전거로서의 활용도가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자전거에 퀵보드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자전거 와 퀵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의 자전거에 구비된 페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퀵보드용 발판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발판을 이용하여 퀵보드로 사용시 상기 페달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의 요부 구성인 뒷바퀴와 동력전달수단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자전거 10 - 앞바퀴
20 - 뒷바퀴 30 - 동력전달수단
32 - 페달 40 - 발판
50 - 페달제어수단 52 - 페달제어판
54 - 제어홈 56 - 판스프링
58 - 제어돌기 310 - 제1허브
312 - 제1스프라켓 314 - 제1체인
320 - 제2허브 322 - 제2스프라켓
324 - 제3스프라켓 330 - 제3허브
332 - 제4스프라켓 334 - 제2체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페달을 밟아 동력전달수단의 체인으로 뒷바퀴를 돌려 전진시킬 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된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페달과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 제어홈이 형성된 페달제어판이 설치되고 그 페달제어판의 외주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어홈에 끼워지는 제어돌기를 갖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발로 페달을 밟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돌기가 제어홈에 끼워져 페달의 회전을 억제하는 페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홈은 페달제어판의 외주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페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페달제어판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페달제어판의 반대측에 제1스프라켓이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으로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발판에 일체로 용접되고 상측으로는 장공을 갖는 제1브라켓이 구비된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1브라켓의 장공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구멍을 갖는 제2브라켓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프라켓과 제1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스프라켓이 설치되고 그 제2스프라켓의 동일축에 제2스프라켓과 함께 회전하는 제3스프라켓이 설치된 제2허브 및 상기 제3스프라켓에 제2체인으로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되도록 상기 뒷바퀴에 제4스프라켓이 설치된 제3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프라켓과 제2스프라켓은 동일 직경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스프라켓과 제3스프라켓은 1:2의 직경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스프라켓과 제4스프라켓은 2:1의 직경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허브의 외측단에는 숫나사를 갖는 볼트바를 설치하여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바에 삽입 고정하고 상기 볼트바에는 암나사를 갖는 고정체를 체결함과 아울러 그 고정체를 지지바의 상단에 위치시켜 제2허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제2허브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전거(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전거(100)는 앞바퀴(10)와 뒷바퀴(20) 및 상기 앞바퀴(10)를 조향 가능케 설치된 핸들(12), 그리고 상기 뒷바퀴(2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30) 등 통상의 자전거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통상의 자전거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장치(16), 페달(32), 프레임 및 앞바퀴(10)를 고정하는 포크(18)들이 모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바퀴(10)에 조향 가능케 설치된 핸들(12)에는 절첩부(14)가 구비되어 보관시 접어서 보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절첩부(14)에 대한 구성은 통상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페달(32)을 밟는 것에 의해 체인으로 뒷바퀴(20)를 구동되도록 하여 전진되게 하는데, 이러한 동력전달수단(30)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3 ~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앞바퀴(10)와 뒷바퀴(20)의 사이에 퀵보드용 발판(40)이 설치되어 퀵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발판(40)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퀵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퀵보드를 이용시에는 상기 페달(32)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에 대한 구조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의 요부 구성인 뒷바퀴와 동력전달수단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는 페달제어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페달제어수단(50)은 페달(32)과 함께 회전되게 페달제어판(52)이 설치되는데, 상기 페달제어판(52)의 외주면에는 제어홈(54)이 형성된다. 이 제어홈(54)은 페달제어판(52)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홈(54)에 끼워지는 제어돌기(58)를 갖는 판스프링(5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페달제어수단(50)은 자전거를 이용시 발로 페달(32)을 밟으면 상기 페달제어판(52)이 함께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페달제어판(52)의 제어홈(54)에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끼워지는 탄성력보다 페달(32)을 발로 밟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페달제어판(52)의 회전력이 더 크게되어 상기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상기 페달제어판(52)의 제어홈(54)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 않는다. 즉, 페달제어판(52)의 회전에 의해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제어홈(54)에 탄성적으로 지나치게 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페달(32)을 밟는 것에 의해 상기 페달제어판(52)이 함께 회전됨과 아울러 그 페달(32)에 의해 스프라켓이 회전되어 체인에 의해 뒷바퀴(20)를 구동하여 자전거를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퀵보드로 사용시에는 한쪽 발을 발판(40)에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전진되도록 하여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퀵보드로 사용시 발이 페달(3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페달(32)을 뒤쪽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페달제어판(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어홈(54)에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끼워지도록 하여 페달(32)이 뒤쪽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페달제어판(52)의 제어홈(54)에 끼워진 상태에서 자전거를 전진시에는 상기 페달(32)이 회전되지 않는다. 이는 체인을 구동하도록 된 페달(32)을 발로 밟지 않고 자전거를 전진시킬 경우 뒷바퀴의 회전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그 회전에 따른 힘은 크지 않게 되므로 페달제어판(52)의 제어홈(54)에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끼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페달의 자연적인 회전을 억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전거를 사용시에는 페달(32)을 밟게되므로 페달제어판(52)의 회전력이 크게되어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제어홈(54)에 고정되지 못하고 페달제어판(52)이 회전되고, 또 퀵보드를 사용시에는 페달(32)을 밟지 않음으로서 판스프링(56)의 제어돌기(58)가 제어홈(54)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페달(32)의 자연적인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퀵보드로 사용시 상기 페달(32)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발이 페달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퀵보드로서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이 페달(32)에 발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동력전달수단(30)에 따른 체인을 이중 구조로 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제1허브(3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허브(310)는 통상의 자전거에 구비되는 페달(32)의 설치 위치와 동일 위치에설치되어 자전거로서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상기 제1허브(310)는 페달(32)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페달제어판(52)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페달제어판(52)의 반대측에 제1스프라켓(312)이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제1허브(310)는 고정브라켓(318)에 의해 하측으로 발판(40)과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측으로 장공(316a)을 갖는 제1브라켓(31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프라켓(312)은 발판(40)에 발을 올려놓고 퀵보드로 사용시 발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그 직경을 비교적 작게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페달제어판(52)과 동일직경으로 구성함이 좋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제2허브(3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허브(320)는 상기 제1허브(3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1브라켓(316)의 장공(316a)에 볼트(319a)와 너트(319b)로 결합되는 구멍(326a)을 갖는 제2브라켓(326)이 설치된다. 상기 제1브라켓(316)의 장공(316a)과 제2브라켓(326)의 구멍(326a)을 통해 볼트(319a)와 너트(319b)로 결합됨으로서 제2허브(3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체인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허브(320)에는 제1스프라켓(312)과 제1체인(314)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스프라켓(322)과, 이 제2스프라켓(322)의 동일축에 일체로 설치된 제3스프라켓(324)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스프라켓(322)의 직경은 상기 제1스프라켓(312)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좋고, 상기 제3스프라켓(324)의 직경은 제2스프라켓(322)의 2배 정도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 것이 좋다. 이는 페달(32)을 1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뒷바퀴를 2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제3허브(3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3허브(330)는 뒷바퀴(20)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그 제3허브(330)에는 제3스프라켓(324)에 제2체인(334)으로 연결되어 뒷바퀴(20)를 회전되도록 하는 제4스프라켓(33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30)에 구비되는 각 스프라켓들의 직경비는 페달(32)을 밟아 회전시키는 회전수에 비해 뒷바퀴의 회전수를 많게 하여 빠른 회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스프라켓(312)과 제2스프라켓(322)은 1:1의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좋고, 상기 제2스프라켓(322)과 제3스프라켓(324)은 1:2의 직경비로 이루어짐이 좋으면, 상기 제3스프라켓(324)과 제4스프라켓(332)은 2:1의 직경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페달(32)을 발로 밟을 경우 비교적 직경이 작은 제1스프라켓(312)이 회전되고, 그 제1스프라켓(312)의 회전은 제1체인(314)에 의해 제2스프라켓(322)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3스프라켓(324)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3스프라켓(324)의 직경은 제2스프라켓(3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서 이 제3스프라켓(324)에 제2체인(334)으로 연결된 제4스프라켓(332)을 회전시킬 때 빠른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허브(320)가 하측으로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그 제2허브(320)의 외측단에는 숫나사를 갖는 볼트바(328)를 설치하여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바(329)에 지지되도록 하는데, 상기 지지바(329)에는 볼트바(328)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멍(329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바(328)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있는 고정체(328a)를 체결함과 아울러 그 고정체(328a)를 지지바(329)의 상단에 위치시켜 제2허브(3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여 제1,제2체인(314,334)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허브(320)는 제1허브(310)의 제1브라켓(316)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바(329)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제2허브(320)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1,제2체인(314,334)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316)과 제2브라켓(326)이 길이 조절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제2허브(320)를 지지바(329)에 의해 지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체인의 인장력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의하면, 기존의 자전거에 구비되는 페달(32)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퀵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발판(40)을 구비하여, 자전거의 사용과 더불어 퀵보드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자전거에 퀵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발판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자전거와 퀵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전거와 퀵보드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구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자전거에 구비된 페달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않은 상태에서 퀵보드용 발판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전거의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갖으며 퀵보드를 사용시에는 페달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그 사용의 편리성을 갖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페달을 밟아 동력전달수단의 체인으로 뒷바퀴를 돌려 전진시킬 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된 퀵보드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페달과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 제어홈이 형성된 페달제어판이 설치되고 그 페달제어판의 외주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제어홈에 끼워지는 제어돌기를 갖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발로 페달을 밟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돌기가 제어홈에 끼워져 페달의 회전을 억제하는 페달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홈은 페달제어판의 외주면에 대칭되는 양측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페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페달제어판이 일측에 설치되고 그 페달제어판의 반대측에 제1스프라켓이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으로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발판에 일체로 용접되고 상측으로는 장공을 갖는 제1브라켓이 구비된 제1허브;
    상기 제1허브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1브라켓의 장공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구멍을 갖는 제2브라켓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프라켓과 제1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스프라켓이 설치되고 그 제2스프라켓의 동일축에 제2스프라켓과 함께 회전하는 제3스프라켓이 설치된 제2허브; 및
    상기 제3스프라켓에 제2체인으로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되도록 상기 뒷바퀴에 제4스프라켓이 설치된 제3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라켓과 제2스프라켓은 동일 직경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스프라켓과 제3스프라켓은 1:2의 직경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스프라켓과 제4스프라켓은 2:1의 직경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허브의 외측단에는 숫나사를 갖는 볼트바를 설치하여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바에 삽입 고정하고 상기 볼트바에는 암나사를 갖는 고정체를 체결함과 아울러 그 고정체를 지지바의 상단에 위치시켜 제2허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제2허브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2002-0035489U 2002-11-27 2002-11-27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0308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89U KR200308948Y1 (ko) 2002-11-27 2002-11-27 퀵보드 겸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89U KR200308948Y1 (ko) 2002-11-27 2002-11-27 퀵보드 겸용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948Y1 true KR200308948Y1 (ko) 2003-03-31

Family

ID=4940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489U KR200308948Y1 (ko) 2002-11-27 2002-11-27 퀵보드 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9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41A (ko) * 2002-06-29 2004-01-07 서재흥 퀵보드겸용 자전거
KR100796358B1 (ko) 2006-10-18 2008-01-21 김현익 킥보드 겸용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41A (ko) * 2002-06-29 2004-01-07 서재흥 퀵보드겸용 자전거
KR100796358B1 (ko) 2006-10-18 2008-01-21 김현익 킥보드 겸용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181B1 (ko) 절첩식 휴대용 자전거
US6505845B1 (en) Jogging scooter
US5383676A (en) Centering apparatus for front wheel of three wheeled vehicle
US20030141693A1 (en) Rear steering device for a tricycle for children
US20060103105A1 (en) Standing cycle
JP3101174U (ja) 自転車
KR100931524B1 (ko) 삼륜 자전거
US20030171176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US4029326A (en) Bicycle construction
US7048289B2 (en) Human-powered vehicle
KR19990046837A (ko) 산악자전거
KR200308948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EP1342658B1 (en) Bicycle rear derailleur
KR101801159B1 (ko) 한 쌍의 전륜 폭 조절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
US6764090B1 (en) Bicycle with a drive sprocket disposed in front of a seat tube
KR200306897Y1 (ko) 편심 휠
JP2016055833A (ja) 自転車
KR20090049675A (ko) 뒷바퀴 접이식 자전거
KR200287307Y1 (ko) 레저커플자전거
KR20190094781A (ko) 자전거
KR200267654Y1 (ko) 페달의 전후구동방식 자전거
KR100522110B1 (ko) 절첩식 자전거
KR200244364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102052671B1 (ko) 자전거
JP4723349B2 (ja) 補助操作杆付幼児用乗物の連結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補助操作杆付幼児用乗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