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103A -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103A
KR20070109103A KR1020060041617A KR20060041617A KR20070109103A KR 20070109103 A KR20070109103 A KR 20070109103A KR 1020060041617 A KR1020060041617 A KR 1020060041617A KR 20060041617 A KR20060041617 A KR 20060041617A KR 20070109103 A KR20070109103 A KR 2007010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ser input
language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송규
Original Assignee
강송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송규 filed Critical 강송규
Priority to KR102006004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9103A/ko
Publication of KR2007010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나 액션스크립트 등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손쉽게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콘텐츠를 제작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공급자인 서버 측은 그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쇼크웨이브 파일(*.swf 파일)을 생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플래시파일 생성기나 플래시파일 저장 서버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접속자 수의 과다로 인한 서버 과부하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단위 콘텐츠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단위 콘텐츠 파일 저장 모듈과, 상기 단위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는 등의 복합 콘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의 편집 동작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과,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언어로 변환하는 에디팅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편집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언어로 변환된 사용자 입력을 저장하는 사용자 입력 저장 모듈과, 상기 제1 언어로 된 사용자 입력을 재생 모듈이 이해할 수 있는 소정의 제2 언어로 해석하는 해석 모듈과, 상기 제2 언어로 해석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위 콘텐츠들을 재생하는 재생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단위 콘텐츠, 복합 콘텐츠, 플래시, XML, 액션 스크립트

Description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An Online System For Making Multi-Contents}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Flash)는 Macromedia사에 의하여 인수된 FutureWave라는 미국의 벤처 기업에서 개발한 벡터(vector) 방식의 웹 애니메이션 제작도구로서,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특별한 방송 장비 없이도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고, 액션스크립트(Actionscript)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이 포함된 풍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 할 수 있다. 액션스크립트란, 플래시 내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팅 언어로서, 플래시 내의 여러 가지 시각적, 청각적 요소들을 제어하는 명령어인 액션을 조합하여 만든 코드가 이를 구성한다. 그러나, 액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하여는 상당한 스크립팅 기법을 요구하고 그 작업이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플래시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0084048호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소정의 플래시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소정의 플래시 또는 상기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에 플래시를 구성하기 위한 요소를 반영하여 새로운 플래시를 생성하기 위한 플래시 생성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040078호에 의하면, 각각 복수로 마련된 플래시파일소스, 이미지소스, 사운드소스, 및 텍스트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템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아이템 및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래시파일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플래시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상기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교체하여 상기 플래시파일소 스를 편집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편집된 상기 플래시파일소스에 기초하여 플래시파일을 생성하는 플래시 생성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파일 제작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스크립팅 기법을 모르는 사용자들도 고가의 플래시를 직접 구입하지 않고 손쉽게 플래시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은 플래시 파일을 제작 및 편집하기 위하여 플래시 구성 요소들을 반영한 쇼크웨이브 파일(ShockWave File;SWF)을 생성하고 저장해야 하므로, 서버는 플래시파일 생성기 및 플래시파일 저장 서버를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스템 공급자 측면에서는 플래시 파일 생성기 및 플래시 파일 저장 서버로 인하여 비용 부담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접속한 사용자가 많은 경우 서버의 작업 부하가 커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는 접속자 수가 많거나 플래시파일의 용량이 큰 경우 플래시파일의 재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래시를 소유하지 않거나 액션스크립트 등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손쉽게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콘텐츠를 제작 또는 편집할 수 있는 한편, 시스템 공급자는 쇼크웨이브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플래시파일 생성기나 사용자 각각의 쇼크웨이브 파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파일 저장 서버를 갖출 필요가 없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 저장된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단위 콘텐츠들이 사용자 시스템에서 마치 하나의 콘텐츠와 같이 재생되도록 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단위 콘텐츠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단위 콘텐츠 파일 저장 모듈; 상기 단위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는 등의 복합 콘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의 편집 동작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언어로 변환하는 에디팅(editing) 모듈; 상기 사용자의 편집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언어로 변환된 사용자 입력을 저장하는 사용자 입력 저장 모듈; 상기 제1 언어로 된 사용자 입력을 재생 모듈이 이해할 수 있는 소정의 제2 언어로 해석하는 해석 모듈; 및 상기 제2 언어로 해석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위 콘텐츠들을 재생하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100은, 단위 콘텐츠 파일 저장 모듈 110,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 120, 에디팅 모듈 130, 사용자 입력 저장 모듈 140, 해석 모듈 150, 및 재생 모듈 160으로 구성된다.
단위 콘텐츠 파일 저장 모듈 110은, 멀티미디어 단위 콘텐츠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멀티미디어 단위 콘텐츠에는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슬라이드, 아이템, 플레이어 스킨(skin),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 특히, 플래시 무비는 쇼크웨이브 파일(swf)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플래시 파일은 화면 효과(screen effect), 장면 전환(slide transition), 이미지 효과(image effect), 글자 모양(font), 텍스트 효과(text effect), 플레이어 스킨, 배경 음악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 120은, 단위 콘텐츠 저장 모듈 110에 저장된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는 등 복합 콘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의 편집 동작인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각각을 식별한다.
이때, 사용자가 단위 콘텐츠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단 위 콘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로딩하여 디스플레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위 콘텐츠를 클릭(click)하거나, 키보드로 직접 입력하거나, 소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텍스트(text)의 경우, 사용자 지정의 텍스트는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경우가 많다. 드로그 앤 드롭 방식은,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고 효과를 주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단위 콘텐츠를 위치시키거나 원하는 위치에 특정 효과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입력 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입력 형태들이 복합된 형태도 가능하며, 단위 콘텐츠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시스템이 인식가능한 것이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에디팅 모듈 130은,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 120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언어로 변환한다. 즉,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 120에 의해 사용자가 어떠한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였는지, 선택한 단위 콘텐츠를 어느 곳에 위치시켰는지, 또는 어떠한 텍스트를 입력하였는지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 식별되면, 에디팅 모듈 130은 이러한 내용을 소정의 제1 언어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1 언어는 XML이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웹상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 가능하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의 마크업 언어이다. 이러한 마크업 언어는 문서나 파일들이 기종과 독립적으로 응용 프로그램 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식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 입력 저장 모듈 140은, 사용자의 편집 동작이 완료되면, 소정의 제1 언어로 변환된 사용자 입력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XML로 변환된 사용자의 입력, 즉 XML 문서를 저장한다. 저장된 사용자의 입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석 모듈 150에 의하여 해석된 후 재생 모듈 160에 의하여 재생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소정의 제1 언어로 변환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입력은, 후에 사용자가 다시 불러오기(loading) 함으로써 종전에 제작한 복합 콘텐츠를 수정, 편집할 수도 있게 된다.
해석 모듈 150은, 소정의 제1 언어로 된 사용자 입력을 재생 모듈 160이 이해할 수 있는 소정의 제2 언어로 해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언어는 액션 스크립트(ActionScript)이며, 상기 재생 모듈 160은 플래시 플레이어이다. 구체적으로, 해석 모듈 150은 사용자 입력 저장 모듈 140에 저장된 XML 문서를 재생 모듈 160이 이를 이해할 수 있는 소정의 제2 언어인 액션스크립트로 해석한다. 상기 액션 스크립트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해석 모듈 150은 그 자체가 제2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 경우, 해석 모듈 150를 사용자 시스템의 재생 모듈로 전송하여, 재생 모듈 160으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생 모듈 160은, 소정의 제2 언어로 해석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위 콘텐츠들을 재생한다. 즉, 액션스크립트와 같은 소정의 제2 언어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므로, 재생 모듈 16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단위 콘텐츠들을 불러와 재생함으로써 조합하여 마치 하나의 복합 콘텐츠가 재생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재생 모듈 160은 플래시 플레이어(Flash ply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 모듈의 재생 형태는 스트리밍(streaming)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온라인 복합 콘텐츠 재생 시스템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 120, 에디팅 모듈 130, 및 재생 모듈 160은 클라이언트 측에, 단위 콘텐츠 파일 저장 모듈 110, 사용자 입력 저장 모듈 140, 및 해석 모듈 150은 서버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한 바에서 명확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시를 소유하지 않은 사용 자들이 액션스크립트 등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이도 손쉽게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콘텐츠를 제작 또는 편집할 수 있는 한편, 시스템 공급자는 쇼크웨이브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플래시파일 생성기나 사용자 각각의 쇼크웨이브 파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파일 저장 서버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각각의 쇼크웨이브 파일과 같은 별도의 플래시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단위 콘텐츠 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된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단위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이므로, 접속자 수의 과다 등 서버 과부하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복합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플래시 무비,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단위 콘텐츠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단위 콘텐츠 파일 저장 모듈;
    상기 단위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는 등의 복합 콘텐츠 제작을 위한 사용자의 편집 동작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 모듈;
    상기 식별된 사용자 입력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1 언어로 변환하는 에디팅 모듈;
    상기 사용자의 편집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언어로 변환된 사용자 입력을 저장하는 사용자 입력 저장 모듈;
    상기 제1 언어로 된 사용자 입력을 재생 모듈이 이해할 수 있는 소정의 제2 언어로 해석하는 해석 모듈; 및
    상기 제2 언어로 해석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위 콘텐츠들을 재생하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언어는 액션스크립트(ActionScrip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듈은 플래시 플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20060041617A 2006-05-09 2006-05-09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20070109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17A KR20070109103A (ko) 2006-05-09 2006-05-09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17A KR20070109103A (ko) 2006-05-09 2006-05-09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103A true KR20070109103A (ko) 2007-11-15

Family

ID=3906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617A KR20070109103A (ko) 2006-05-09 2006-05-09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91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751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39345A (ko) *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티맥스에이앤씨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751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합 컨텐츠 패키지의 생성 및 활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39345A (ko) *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티맥스에이앤씨 미디어 컨텐츠 프로세싱 방법
US11064265B2 (en) 2019-06-04 2021-07-13 Tmax A&C Co., Ltd. Method of processing media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75829A1 (en) Voice searching metadata through media content
US8937620B1 (e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on and control of story animation
US8966360B2 (en) Transcript editor
US2013024606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Animated Video Content with a Spoken Language Segment
CN110858408A (zh) 动画制作系统
US201802261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multimedia creation
CN101639943A (zh) 制作动画的方法和设备
KR20040083350A (ko) 복합 미디어 콘텐츠의 변환 장치 및 변환 방법과 복합미디어 콘텐츠 변환 프로그램
KR20100054078A (ko) 스토리보드를 통한 애니메이션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Sadallah et al. CHM: an annotation-and component-based hypervideo model for the Web
JP2011175598A (ja) 手話アニメーション生成装置及び手話アニメーション生成プログラム
JP4917920B2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CN113711575A (zh) 用于基于表现即时组装视频剪辑的系统和方法
JP6602423B6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端末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20070109103A (ko) 온라인 복합 콘텐츠 제작 시스템
JP5041853B2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4865469B2 (ja) コンテンツ制作サーバ、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制作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Jansen et al. Just-in-time personalized video presentations
Cheong et al. Prism: A framework for authoring interactive narratives
JP2022061932A (ja) アプリとウェブサイトの連動によって音声ファイルに対するメモを作成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917917B2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4388496B2 (ja) 番組制作装置及び番組制作プログラム
KR20170058504A (ko)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10847B2 (en) Program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ame
JP2005285076A (ja) 映像情報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